KR101211522B1 -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522B1
KR101211522B1 KR1020110040717A KR20110040717A KR101211522B1 KR 101211522 B1 KR101211522 B1 KR 101211522B1 KR 1020110040717 A KR1020110040717 A KR 1020110040717A KR 20110040717 A KR20110040717 A KR 20110040717A KR 101211522 B1 KR101211522 B1 KR 10121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olar cell
cell module
disc pa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517A (ko
Inventor
박은혜
Original Assignee
수도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도전기(주) filed Critical 수도전기(주)
Priority to KR102011004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52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지지축들; 상기 지지축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태양전지모듈이 장착되는 프레임; 다수 개의 핀구멍들이 형성된 고정 원판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다수 개의 핀구멍들이 형성된 회전 원판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회전축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상기 회전 원판부의 핀구멍과 고정 원판부의 핀구멍에 삽입되어 회전 원판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 고정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단가를 감소시킨다. 또한, 평판 형상인 태양전지모듈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점점 기울어져도 태양전지모듈의 하중이 치우침에 의해 태양전지모듈이 갑자기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AN INCLINATION OF SOLAR CELL MODULE FOR POSITIONING ABOVE THE WATER}
본 발명은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꾼다.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 하고, 다수 개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일정 크기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태양전지모듈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꾼다.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 하고, 다수 개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일정 크기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태양전지모듈이라 한다.
태양전지모듈을 설치시 태양전지모듈을 거치대에 장착하여 육지나 호수에 설치한다.
태양전지모듈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태양전지모듈의 전면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각이 태양전지모듈의 전면에 대하여 수직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각 계절별로 태양의 고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태양전지모듈이 고정된 경우 전력 생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태양전지모듈을 계절별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줌으로써 전력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는, 태양의 위치와 고도를 추적하여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추적방식과 계절마다 수동적으로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동방식이 있다.
자동 추적방식은 태양의 고도에 따라 자동으로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고정방식 또는 수동방식보다 발전 효율이 높으나,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는 센서와 태양전지모듈을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구동장치 등을 구비하게 되므로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유지 보수가 어렵다.
따라서 설치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수월한 수동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공개실용 2009-0009732(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상기 태양전지판(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기술을 개시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웜과 웜기어를 포함하는 감속기 등을 구비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판의 각도를 맞추기가 정확하고 수월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은 구동 스프라켓과 웜 및 웜 기어에 태양전지모듈의 하중이 그대로 전달되어 있으므로 태양전지모듈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하중이 치우쳐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태양전지모듈이 세로로 세워지면서 타부품과 충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를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단가를 감소시키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 형상인 태양전지모듈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점점 기울어져도 태양전지모듈의 하중이 치우침에 의해 태양전지모듈이 갑자기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지지축들; 상기 지지축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태양전지모듈이 장착되는 프레임; 다수 개의 핀구멍들이 형성된 고정 원판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다수 개의 핀구멍들이 형성된 회전 원판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회전축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상기 회전 원판부의 핀구멍과 고정 원판부의 핀구멍에 삽입되어 회전 원판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 고정핀을 포함하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되는 중공축부와, 상기 중공축부의 한쪽 끝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 원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관통 삽입되며 한쪽에 상기 동력전달유닛이 연결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의 다른 한쪽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 원판부와, 상기 회전 원판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원판부와 회전 원판부는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며, 상기 고정 원판부의 핀구멍들과 상기 회전 원판부의 핀구멍들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구동 스포라켓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종동 스포라켓과, 상기 구동 스포라켓과 종동 스포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원판부와 회전 원판부는 서로 대면되며, 상기 고정 원판부와 회전 원판부에, 설정 각도 이상되면 마찰력이 발생되는 마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 회전부재, 그리고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초기 설치 비용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원판부의 핀구멍들과 회전 원판부의 핀구멍들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관리자가 태양전지모듈의 각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원판부와 회전 원판부에 마찰수단이 구비되므로 평판 형상인 태양전지모듈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점점 기울어져도 태양전지모듈의 하중이 치우침에 의해 태양전지모듈이 갑자기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조절할 때 태양전지모듈이 타부품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장비의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부품들이 배제되므로 수면에 설치시 습기로 인한 부품의 고장을 최소화하게 되어 유지 보수가 수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축들이 부유체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에 마찰수단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에 마찰수단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는 지지축(100)들, 회전축(200), 프레임(300), 고정부재(400), 회전부재(500), 동력전달유닛(600), 고정핀(7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100)들은 연결장치(10)들에 의해 부유체(20)들 위에 설치되어 그 부유체(20)들이 호수나 댐에 놓여짐에 의해 지지축(100)들이 물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100)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산이나 평지인 육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00)들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지지축(100)들을 제1,2 지지축(110)(120)이라 한다. 상기 제1,2 지지축(110)(120)은 각각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축 삽입구멍(H1)이 구비된다. 상기 제1,2 지지축(110)(120)은 길이가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지축(110)에 결합구멍(H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구멍(H2)은 축 삽입구멍(H1)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결합구멍(H2)은 제2 지지축(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결합구멍(H2)은 제1 지지축(110)에 결합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제1,2 지지축(110)(120)의 양쪽끝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200)의 양단부는 상기 제1,2 지지축(110)(120)의 축 삽입구멍(H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축 삽입구멍(H1)에 베어링(미도시)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태양전지모듈(P)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300)의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20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300)의 위에 상기 태양전지모듈(P)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0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제1 지지축(110)의 결합구멍(H2)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400)의 일실시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관통된 중공축부(410)와, 상기 중공축부(410)의 한쪽 끝에 구비되는 고정 원판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축부(410)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축 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중공축부(410)의 외경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원판부(420)는 상기 중공축부(410)의 한쪽 끝 외주면에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축부(410)는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원판부(420)에 다수 개의 핀구멍(H3)들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들은 가상의 원을 기준으로 그 가상의 원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의 원 중심과 축 구멍의 중심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500)의 일실시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5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축부(510)와, 상기 연결축부(510)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회전 원판부(520)와, 상기 회전 원판부(520)에 구비되는 핸들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부(510)는 상기 회전 원판부(520)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축부(510)는 상기 회전 원판부(52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축부(510)는 상기 고정부재(400)의 축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회전 원판부(520)에 다수 개의 핀구멍(H3)들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들은 가상의 원을 기준으로 그 가상의 원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의 원 중심과 연결축부(510)의 중심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530)는 회전 원판부(520)의 일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그 핸들부(530)가 구비된 면은 상기 연결축부(510)가 구비된 면의 반대편 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원판부(420)와 회전 원판부(520)는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며,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들과 상기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들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의 수와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의 수는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의 크기와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의 크기는 서로 같다. 또한 회전 원판부(520)의 가상의 원과 고정 원판부(420)의 가상의 원의 크기가 같다.
상기 프레임(200)에 장착된 태양전지모듈(P)이 대략 수평인 상태에서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들과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들은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 수와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 수를 각각 12개로 할 경우 태양전지모듈(P)이 수평인 상태에서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과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이 한 개씩 엇갈릴 때마다 태양전지모듈(P)은 15도씩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 원판부와 회전 원판부의 핀구멍 수를 조절하면 태양전지모듈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부(510)의 다른 한쪽 끝에 상기 동력전달유닛(600)이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600)이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회전 원판부(520)가 위치하는 반대편이다.
상기 동력전달유닛(600)의 일실시예로, 상기 동력전달유닛(600)은 상기 회전부재(500)에 결합되는 구동 스포라켓(610)과, 상기 회전축(200)에 결합되는 종동 스포라켓(620)과, 상기 구동 스포라켓(610)과 종동 스포라켓(620)을 연결하는 체인(63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500)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부재(500)의 회전력이 구동 스포라켓(610)과 체인(630)을 통해 종동 스포라켓(620)에 전달되어 종동 스포라켓(6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 스포라켓(6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20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700)은 상기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과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에 동시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부재(50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700)이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과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에 동시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회전부재(500)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 원판부(420)와 회전 원판부(520)에 설정 각도 이상되면 마찰력이 발생되는 마찰수단(8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수단(800)은,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일면에 구비되는 부채꼴 형상의 제1 마찰부재(810)와, 상기 고정 원판부(420)의 일면에 대면되는 상기 회전 원판부(520)의 일면에 구비되는 부채꼴 형상의 제2 마찰부재(8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마찰부재(810)와 제2 마찰부재(820)는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면 서로 접촉된다. 상기 제1,2 마찰부재(810)(820)는 각각 고무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마찰부재(810)(820)는 각각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200)과 연결된 프레임(300)에 장착된 태양전지모듈(P)이 수평인 상태에서 고정 원판부(420)에 결합된 제1 마찰부재(810)와 회전 원판부(520)에 결합된 제2 마찰부재(820)가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태양전지모듈(P)이 좌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태양전지모듈(P)과 연동되는 회전 원판부(520)에 결합된 제2 마찰부재(820)가 연결축부(510)를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여 제1 마찰부재(810)와 접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프레임(300)에 장착된 태양전지모듈(P)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 관리자(작업자)가 고정핀(700)을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과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에서 빼낸다. 그리고 회전부재(500)의 핸들부(530)를 잡고 회전부재(5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부재(500)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부재(500)의 회전력이 동력전달유닛(600)을 통해 회전축(200)에 전달된다. 회전축(20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레임(300)에 장착된 태양전지모듈(P)을, 회전축(200)의 축방향과 상응하는 태양전지모듈(P)의 중간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시킨다. 태양전지모듈(P)이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면 서로 일치되는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과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에 고정핀(700)을 삽입한다. 고정핀(700)이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과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에 삽입됨에 따라 회전부재(500)가 고정되면서 태양전지모듈(P)이 고정된다.
태양전지모듈(P)을 수평상태에서 조금 기울이게 될 경우 태양전지모듈(P)이 크게 치우치지 않아 태양전지모듈(P)을 기울이는데 힘이 많이 작용하지 않게 되나 태양전지모듈(P)을 많이 기울이게 되면, 예를 들면 45도 이상으로 기울이게 되면 기울어지는 힘이 많이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바람이 불 경우 그 힘이 더욱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P)이 설정된 각 이상으로 기울어질수록 고정 원판부(420)와 회전 원판부(520)에 각각 구비된 제1,2 마찰부재(810)(820)의 접촉면적이 커지면서 마찰력이 점점 크게 작용하여 태양전지모듈(P)의 기울어지는 힘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회전부재(500) 그리고 동력전달유닛(600)을 통해 태양전지모듈(P)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태양전지모듈(P)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구조)가 간단하다. 이로 인하여 초기 설치 비용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원판부(420)의 핀구멍(H3)들과 회전 원판부(520)의 핀구멍(H3)들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모듈(P)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관리자가 태양전지모듈(P)의 각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태양전지모듈(P)의 각도를 조절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원판부(420)와 회전 원판부(520)에 제1,2 마찰부재(810)(820)가 구비되므로 평판 형상인 태양전지모듈(P)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점점 기울어져도 태양전지모듈(P)의 하중이 치우침에 의해 태양전지모듈(P)이 갑자기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태양전지모듈(P)의 각도를 조절할 때 태양전지모듈(P)이 타부품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장비의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부품들이 배제되므로 수면에 설치시 습기로 인한 부품의 고장을 최소화하게 되어 유지 보수가 수월하게 된다.
100; 지지축 200; 회전축
300; 프레임 400; 고정부재
500; 회전부재 600; 동력전달유닛
700; 고정핀 800; 마찰수단

Claims (7)

  1. 복수 개의 지지축들;
    상기 지지축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태양전지모듈이 장착되는 프레임;
    다수 개의 핀구멍들이 형성된 고정 원판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다수 개의 핀구멍들이 형성된 회전 원판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회전축을 연결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 및
    상기 회전 원판부의 핀구멍과 고정 원판부의 핀구멍에 삽입되어 회전 원판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되는 중공축부와, 상기 중공축부의 한쪽 끝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 원판부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관통 삽입되며 한쪽에 상기 동력전달유닛이 연결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의 다른 한쪽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 원판부와, 상기 회전 원판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원판부와 회전 원판부는 서로 대면되게 위치하며, 상기 고정 원판부의 핀구멍들과 상기 회전 원판부의 핀구멍들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구동 스포라켓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종동 스포라켓과, 상기 구동 스포라켓과 종동 스포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원판부와 회전 원판부는 서로 대면되며, 상기 고정 원판부와 회전 원판부에, 설정 각도 이상되면 마찰력이 발생되는 마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수단은 상기 고정 원판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부채꼴 형상의 제1 마찰부재와, 상기 고정 원판부의 일면에 대면되는 상기 회전 원판부의 일면에 구비되며, 설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제1 마찰부재와 접촉되는 부채꼴 형상의 제2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KR1020110040717A 2011-04-29 2011-04-29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KR10121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17A KR101211522B1 (ko) 2011-04-29 2011-04-29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17A KR101211522B1 (ko) 2011-04-29 2011-04-29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17A KR20120122517A (ko) 2012-11-07
KR101211522B1 true KR101211522B1 (ko) 2012-12-12

Family

ID=4750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717A KR101211522B1 (ko) 2011-04-29 2011-04-29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185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태양전지판의 경사각 및 단위 부력체 모듈간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수상태양광 시스템
KR20210061534A (ko) 2019-11-20 2021-05-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경사 가변형 수상 태양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6305A1 (de) 2012-06-20 2013-12-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gbares Endgerä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61B1 (ko) * 2008-01-22 2008-06-27 주식회사 유니크 태양전지판 회전각 조절장치
KR100956443B1 (ko) * 2009-02-06 2010-05-0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태양전지어레이의 계절별 경사각 반고정식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61B1 (ko) * 2008-01-22 2008-06-27 주식회사 유니크 태양전지판 회전각 조절장치
KR100956443B1 (ko) * 2009-02-06 2010-05-0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태양전지어레이의 계절별 경사각 반고정식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185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태양전지판의 경사각 및 단위 부력체 모듈간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수상태양광 시스템
KR20210061534A (ko) 2019-11-20 2021-05-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경사 가변형 수상 태양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17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02514A1 (en) Solar cell module support assembly
KR101996721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추적장치
KR100990752B1 (ko)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장치
KR100715040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93690B1 (ko) 태양광추적 2축 제어장치
US201101682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photovoltaic panels
JP2010539725A (ja) 太陽光発電装置
KR200468300Y1 (ko) 태양광 모듈의 각도 조절장치
KR20100102402A (ko) 태양전지패널의 태양위치추적장치
KR101947422B1 (ko) 태양광 지면반사모듈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0760043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100064448A (ko) 경사각 및 회전각 조절장치를 구비한 태양 전지판 구조물
KR20100104520A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일체형 각도 조절 장치
JP2010205764A (ja)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
KR101211522B1 (ko)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KR101309831B1 (ko) 태양전지모듈 각도조절장치
KR101247663B1 (ko) 태양광 모듈의 회전지지장치
KR100687140B1 (ko) 태양광 추적식 에너지발전장치
KR100946731B1 (ko) 태양 추적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01716B1 (ko) 중량평형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용 태양 자동 추적 장치
KR20110120838A (ko) 비엘디씨 모터와 모터 드라이브를 이용한 태양광 추적장치
WO2021145166A1 (ja) 流体発電装置及び発電装置の設置構造
KR20110124824A (ko) 태양광 추적용 구동장치
KR20110087134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70681B1 (ko) 태양광 추적센서유닛을 갖는 태양광 집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