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702B1 -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 Google Patents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702B1
KR101254702B1 KR1020100040392A KR20100040392A KR101254702B1 KR 101254702 B1 KR101254702 B1 KR 101254702B1 KR 1020100040392 A KR1020100040392 A KR 1020100040392A KR 20100040392 A KR20100040392 A KR 20100040392A KR 101254702 B1 KR101254702 B1 KR 10125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bar
hull
pow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001A (ko
Inventor
박영종
Original Assignee
박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종 filed Critical 박영종
Priority to KR102010004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70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3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non-rotary type
    • B63H1/32Flaps, pistons, or the like, reciprocating in propuls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6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a single propulsion power un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에 구비되어 양력에 의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젓는 배는 노가 저어지면서 물을 밀어내면 그 반력에 의해 배의 추진력을 얻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비행기가 날개의 형상을 이용하여 공중에 뜨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저어지는 노에 의해 양력이 발생되어 추진력을 얻어 배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선식 노젓는 기구를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체에 장착되어 동력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으로 선체에 추진력를 제공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패들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체와 회전축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노 및 상기 노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연동바를 포함하되, 상기 노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와,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트랜스미션부 및 일단이 상기 트랜스미션부와 연결되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좌우로 저어지는 노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으로 상기 선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패들부로 구성되되, 상기 노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Chosun type Rowing apparatus and the boa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에 구비되어 양력에 의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젓는 배는 노가 저어지면서 물을 밀어내면 그 반력에 의해 배의 추진력을 얻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비행기가 날개의 형상을 이용하여 공중에 뜨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저어지는 노에 의해 양력이 발생되어 추진력을 얻어 배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선식 노젓는 기구를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종래 노젓는 배는 공지된 것이 많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노젓는 배에 기계 동력을 이용한 것은 없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노젓는 배와는 달리 저어지는 노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으로 배가 추진력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조선식 노젓는 방법으로 노를 저을 수 있는 노젓는 배를 제공한다. 아울러, 노를 인력이 아닌 기계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저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선체(100)에 장착되어 동력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으로 선체(100)에 추진력를 제공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패들부, 4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노(410); 및 상기 노(410)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연동바(418);를 포함하되, 상기 노(410)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100)에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선체(100)에 장착되어 동력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으로 선체(100)에 추진력를 제공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패들부, 4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회전판(412);와, 상기 회전판(412)의 상부에 세워지는 삼각입대(413);와, 상기 삼각입대(413)의 상부에 상기 회전판(412)에 대향하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상부판(414);과, 상기 상부판(414)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대(415);와,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구비하고,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동바(418)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노(410); 및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주는 회전축바(417);를 포함하되, 상기 노(410)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100)에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412)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노(410)와 연동바(418)로 연동되는 회전동력판(421);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회전동력판(421)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전후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414)에 상기 회전지지대(415)의 좌우로 한 쌍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토퍼(419); 및 상기 노(4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장착되어 상기 노(410)가 저어질 때 상기 스토퍼(419)에 걸려서 노엽의 회전각을 한정하는 크로스바(4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가가 본 발명은, 선체(100);와, 상기 선체(100)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200);와, 상기 엔진부(200)의 동력을 전달하는 트랜스미션부(300); 및 일단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연결되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좌우로 저어지는 노(410)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으로 상기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패들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노(410)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100)에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엔진부(200)에서 제공되는 출력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에 전달하는 기어부(25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410)는 상기 선체(100)의 뒷부분에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410)는 상기 선체(100)의 좌우에 대칭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노(410)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연동바(41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인식과는 다른 양력을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의 제공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을 장난감 등에 응용하는 경우에는 아이들의 지식획득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노가 저어지는 방식이므로 조선식 노젓는 전통한선 모형, 조선식 노젓는 거북선/판옥선 모형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실제 크기로 복원하여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서 배가 추진력을 얻는 원리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1실시예의 노가 저어지는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2실시예의 노가 저어지는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3실시예의 노가 저어지는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제4실시예의 노가 저어지는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서 배가 추진력을 얻는 원리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노가 저어지는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노가 저어지는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노가 저어지는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노가 저어지는 원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노젓는 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노젓는 배와는 다른 것으로 배의 전진에 필요한 추진력을 노가 저어지면서 생기는 양력에 의해 얻게 된다. 즉, 비행기가 날개형상인 익형(翼型, airfoil)에 의해 소정 속도 이상이면 양력이 발생되어 공중으로 떠오르는 원리는 이용하여, 배에 구비된 노가 저어지면서 수중에서 발생되는 양력(FL)의 X방향 성분(수평성분, FX)에 의해 배의 추진력을 얻어 선체가 전진하게 된다.
즉, 도 1a에서 보듯이, 상기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면, 상기 노(410)의 단면 형상에서 보듯이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이어서 노(410)의 하면(410a)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력(FL)이 발생하게 되며, 이의 수평성분(FX)에 의해 선체(100)가 추진력을 얻게 된다.
나아가, 도 1b에서 보듯이, 상기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면서 노엽의 기울기 각도가 바뀌게 된다. 즉, 상기 노(410)의 상단에 수직하게 장착된 연동바(418)가 구비되어, 상기 연동바(418)의 끝단에 동력을 가하게 되면 단순히 노(410)가 좌우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노엽의 기울기 각도가 변경되면서 좌우운동을 하게 된다. 즉, 노엽은 노(410)의 넓은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노엽의 각도가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는 과정에서 변경되어 양력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도 1b의 (a) 내지 (c)에서 보듯이, 상기 노(410)가 물에 잠긴 부분이 좌측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상정하면, 먼저 (a) 상태에서 연동바(418)를 우측으로 밀어주면, (b) 연동바(418)가 우측으로 밀리면서 노엽의 각도가 변경되고(노가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 길이방향 회전), (c) 더욱 밀어주면 비로소 노(410)가 물에 잠긴 부분이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d) 다시 연동바(418)를 좌측으로 밀어주면, (e) 연동바(418)가 좌측으로 밀리면서 노엽의 각도가 변경되고, (f) 더욱 밀어주면 비로소 노(410)가 물에 잠긴 부분이 우측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노(410)가 물에 잠긴 부분의 노엽이 기울어지면서 효과적으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인 노젓는 배에 사용되는 노(410)는 익형(翼型, airfoil)에 가까운 것으로 노(410)의 하면(410a)은 둥근 형상으로 구비되게 된다.
다만, 비행기 날개와 차이점은 노(410)는 좌우로 저어지면서 방향에 상관없이 양력을 발생시켜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하면(410a)의 양단이 대칭으로 모두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는, 비행기 날개의 상면이 풍상측은 라운드 형상이나, 풍하측은 그렇지 않다는 것과 차이이다.
또한, 노(410)의 상면(410b)은 수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즉 수면방향(DS)을 향하면서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도록 해야 한다.다시 말해 즉, 노의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물속에 잠긴 채로 저어져야 한다. 이점 또한 통상의 노젓는 배와 다른 점으로 통상의 노젓는 배는 노가 거의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노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은 노(410)를 저어서 양력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상기 노(410)의 하면(410a)이 물에 잠긴 상태에서 수면과 정반대 방향인 물속방향(DW)을 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노(41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게 되면 노엽의 기울기 각도가 변경되면서 부득이하게 상기 상면(410b)이 수면과 평행을 이루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선체(100)에 노(41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노(410)가 저어지는 좌우 방향을 고려하여 중앙 부분에 노(41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노(410)의 상면(410b)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것을 기계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a) 연동바(418)를 좌측으로 당겨주면, (b) 노(410)의 노엽의 기울기 각도가 먼저 변경된 후에, (c) 비로소, 노(410)가 좌측으로 끌려오면서 노(410)가 물속에 잠긴 부분은 우측으로 저어지게 된다. (d) 좌측 한계까지 당긴 후에, 다시 우측으로 당겨주면, (e) 노(410)의 노엽의 기울기 각도가 먼저 변경된 후에, (f) 비로소, 노(410)가 우측으로 끌려오면서 노(410)가 물속에 잠긴 부분은 좌측으로 저어지게 된다.
이에, 조선식 노젓는 기구의 제1실시예로 본 발명은 선체(100)에 장착되어 동력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으로 선체(100)에 추진력를 제공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패들부, 4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노(410); 및 상기 노(410)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연동바(418);를 포함하되, 상기 노(410)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100)에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를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17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조선식 노젓는 기구(패들부, 400)는 노(410)가 선체(100) 회전축(411)에 힌지 연결되어 저어지는 것으로, 상기 노(410)의 상단에는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동바(418)를 포함하여 상기 노(410)의 노엽 기울기 각도가 변경되면서 저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이는 상기 도 1c를 참고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410)에 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은 상기 노(410)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된 연동바(418)의 타단을 동력제공수단과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해결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동바(418)의 타단을 좌측으로 당겨주면, 노(410)가 바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연동바(418)의 타단이 먼저 좌측으로 끌려오면서 노엽의 기울기 각도를 변경시킨 후에 비로소 노(410)가 좌측으로 끌려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좌측에서 당기는 경우와 우측에서 당기는 경우에 반대 방향을 향하면서 당기게 되고, 이는 각각 양력의 발생이 효율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동력제공수단은 엔진, 모터 등일 수 있으며, 엔진, 모터 등에 연동된 기어부, 트랜스미션부 등이 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다음으로, 조선식 노젓는 기구의 제2실시예로, 상기 선체(100)에 장착되어 동력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으로 선체(100)에 추진력를 제공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패들부, 4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회전판(412);과, 상기 회전판(412)의 상부에 세워지는 삼각입대(413);와, 상기 삼각입대(413)의 상부에 상기 회전판(412)에 대향하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상부판(414);과, 상기 상부판(414)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대(415);와,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구비하고,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동바(418)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노(410); 및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주는 회전축바(417);를 포함하되, 상기 노(410)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100)에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414)에 상기 회전지지대(415)의 좌우로 한 쌍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토퍼(419); 및 상기 노(4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장착되어 상기 노(410)가 저어질 때 상기 스토퍼(419)에 걸려서 노엽의 회전각을 한정하는 크로스바(4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2실시예 또한 조선식 노젓는 기구(패들부, 400)를 기계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와 근본적인 목적은 동일하다. 다만, 구성을 추가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노(410)가 저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도 2 내지 도 5 참조).
즉, 회전판(412)을 구비하여, 회전판(412)의 상부에 삼각입대(413), 상부판(414)이 구비하여, 상부판(414)의 상부에 노(410)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노(410)가 자연스럽게 물에 잠길 수 있는 구성을 갖게 한다.
또한, 노(410)의 노엽 기울기 각도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판(414)에 회전지지대(415)를 구비하여 노(410)에 구비되는 회전축돌기(416)가 끼워져서 회전축바(417)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노엽의 기울기 각도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나아가, 노(410)의 상단에 일단이 수직하게 부착되는 연동바(418)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도 1c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노(410)의 노엽의 기울기 각도를 변경하면서 노(410)가 저어지도록 구성한다.
다만, 제2실시에서는 스토퍼(419) 및 크로스바(420)를 구비하여 노엽의 기울기 각도의 한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c에서 보듯이, 상기 연동바(418)를 당겨주면 노엽의 기울기 각도가 변하면서 노(410)가 회전축바(417)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일정 각도 회전하면 상기 노(410)를 가로질러 설치된 크로스바(420)가 상기 스토퍼(419)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고 노(410)가 끌려와서 저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조선식 노젓는 기구의 제3실시예로, 상기 제2실시예의 구성을 약간 변경한 것으로,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판(412)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노(410)와 연동바(418)로 연동되는 회전동력판(421);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회전동력판(421)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전후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기구이다.
나아가, 상기 상부판(414)에 상기 회전지지대(415)의 좌우로 한 쌍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토퍼(419); 및 상기 노(4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장착되어 상기 노(410)가 저어질 때 상기 스토퍼(419)에 걸려서 노엽의 회전각을 한정하는 크로스바(4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실시예가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노(41)의 연동바(418)가 동력제공수단과 연동되는 방식의 차이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연동바(418)의 타단이 직접 연동되는 방식이었으나, 본 제3실시예에서는 회전동력판(421)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를 해결하는 것이다(도 6 내지 도 9 참조).
즉, 상기 회전판(412)의 하부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회전동력판(421)을 구비하여, 회전동력판(421)이 동력제공수단과 1차로 연동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동력판(421)과 연동바(418)가 2차로 연동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연동바(418)를 좌우로 움직여서 노가 저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는 적용 구성의 차이만 약간 상이할 뿐 궁극적인 목적은 동일하며, 상기 제2실시예와 기타의 구성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선식 노젓는 기구(패들부, 400)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조선식 노젓는 기구의 제1,2,3실시예 중, 제1실시예는 선체(100)의 좌우측에 노가 장착되는 경우로 구현하고, 제2,3실시에는 선체(100)의 선미에 장착되는 경우로 구현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서 조선식 노젓는 기구의 활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선식 노젓는 기구의 제1,2,3실시예는 각자 다양한 방식으로 선체(100)에 장착되어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조선식 노젓는 기구(패들부, 400)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1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인 노젓는 배는, 선체(100);와, 상기 선체(100)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200);와, 상기 엔진부(200)의 동력을 전달하는 트랜스미션부(300); 및 일단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연결되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좌우로 저어지는 노(410)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으로 상기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패들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노(410)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100)에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젓는 배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엔진부(200)에서 제공되는 출력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에 전달하는 기어부(25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체(100)는 소정 형상을 구비하여 물 위에 뜰 수 있는 것이라면 형상의 제한은 없으며 다양한 형상 및 방식이 가능하다.
상기 엔진부(2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통상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엔진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통상 엔진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발생되는 회전력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방향 및 속도 등을 변경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기어부(250)는 상기 엔진부(200)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의 회전수를 변경시켜주는 것에 해당하며, 본 발명에서 다양한 방식의 기어를 사용하여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어떠한 제한도 없다.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는 상기 엔진부(200)에서 직접 또는 상기 기어부(250)를 거쳐 전달되는 회전력을 본 발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직선력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로 이하에서 각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패들부(400)는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에서 전달되는 직선력에 의해 좌우로 저어지는 노(410))를 포함하여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 또한, 이하 설명할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설명한 노(410)가 선체(100)의 뒷부분에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실시예는, 선체(100)에 장착되는 노(410)의 위치가 선미에 해당하며, 이에 장착된 노(410)에 동력을 제공하는 트랜스미션부(300) 및 패들부(400)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노(410)가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노(410)를 좌우로 밀고당겨주는 힘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상술한 엔진부(20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트랜스미션부(300)에서 방향이 바뀌어 상기 노(410)로 제공되게 된다.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는, 상기 엔진부(200) 또는 기어부(250)와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바(310);와, 상기 회전바(310)의 타단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전달바(315); 및 가로바(321)와 세로바(322)가 교차된 '+' 형상으로, 세로바(32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달바(315)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세로레일홈(323)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바(321)에는 상기 세로바(322)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로레일홈(324)이 구비되어 상기 선체(100)에 구비된 지지대(325)가 가로레일홈(324)을 지지하면서 각각 가로방향 움직임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십자형전달바(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십자형전달바(320)에 상기 노(410)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십자형 전달바(320)가 상기 노(410)에 힌지 연결은 상기 노(410)의 끝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동바(418)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면서 노(410)의 넓은 면(노엽)의 기울기가 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노(410)에 의해서 발생되는 양력을 크게 하여 선체(100)로 더욱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제1실시예에서는 엔진부(200)의 예로 모터를 사용했으며, 모터의 회전동력은 기어부(250)에서 적당히 회전수가 조절된 후에 상기 회전바(310)로 전달되어 회전바(310)가 원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힘을 전달한다.
회전바(310)가 회전하면서, 회전바(310)의 끝단에 구비되는 전달바(315)도 회전하게 되며, 전달바(31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십자형전달바(320)의 세로레일홈(323)으로 상기 전달바(315)가 상하운동하게 되고, 한편, 상기 선체(100)에 고정된 지지대(325)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볼트에 상기 가로레일홈(324)이 끼워져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대(325)는 세로바(322)를 중심으로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의 가로레일홈(324)에 각각 고정볼트로 끼우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십자형전달바(320)에 의해 직선력으로 변경되어, 상기 십자형전달바(320)에 끝단이 힌지 연결된 노(410)를 좌우로 저어주게 된다.
나아가,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로바(321)의 좌우 끝단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선체(100)에 구비된 풀리(326)의 외측으로 감겨 순환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순환스트링(327);을 더 포함하여, 상기 노(410)의 연동바(418)가 상기 순환스트링(327)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로바(321)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상기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십자형전달바(320)에 노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유동성이 좋은 순환스트링(327)에 노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순환스트링(327)으로는 체인, 로프 등 다양한 종류의 스트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상기와 같이 유동적인 순환스트링(327)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노(410)가 비정상적으로 유동치게 되는 경우라도 순환스트링(327)이 그 움직임을 모두 흡수할 수 있어 장비의 고장 방지가 용이하고, 강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고려해야 하나, 스트링은 유동성이 커서 이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들부(400)는,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회전판(412);과, 상기 회전판(412)의 상부에 세워지는 삼각입대(413);와, 상기 삼각입대(413)의 상부에 상기 회전판(412)에 대향하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상부판(414);과, 상기 상부판(414)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대(415);와,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구비하고,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동바(418)가 구비되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노(410); 및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주는 회전축바(4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패들부(400)는, 상기 회전판(412)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노(410)와 연동바(418)로 연동되는 회전동력판(421);을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동력판(421)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전후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414)에 상기 회전지지대(415)의 좌우로 한 쌍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토퍼(419); 및 상기 노(4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장착되어 상기 노(410)가 저어질 때 상기 스토퍼(419)에 걸려서 노엽의 회전각을 한정하는 크로스바(4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패들부(400)의 구성은 상기 노(410)가 선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잘 저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리 밝혀두지만,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 아니라 단순하게 선체(100)에 힌지 연결되어 노가 저어지는 방식도 물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나아가, 제1실시예에서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패들부(400)의 구성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 패들부(400)는 좌우로 회전이 용이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 상기 회전축돌기(41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노(410)의 넓은 부분이 좌우로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노(410) 자체가 좌우로 저어지면서 넓은 면의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상기 노(410)가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경우에 노(410)의 움직임을 더욱 유동성 있게 하고 노(410)에서 발생되는 추진력이 더욱 선체(100)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제1실시예에서 노(410)가 저어지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즉, 엔진부(20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기어부(250)를 거쳐) 트랜스미션부(300)로 전달되어 어떻게 노(410)가 저어지는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엔진부(200)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은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를 거치면 직선력으로 바뀌게 되고, 이 직선력은 상기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도록 제공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설명한 노(410)가 선체(100)의 뒷부분에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2실시예는, 선체(100)에 장착되는 노(410)의 위치가 선미에 해당하며, 이에 장착된 노(410)에 동력을 제공하는 트랜스미션부(300) 및 패들부(400)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노(410)가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노(410)를 좌우로 밀고당겨주는 힘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상술한 엔진부(20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트랜스미션부(300)에서 방향이 바뀌어 상기 노(410)로 제공되게 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미션부(300)는, 상기 엔진부(200) 또는 기어부(250)와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바(330);와, 상기 회전바(330)의 타단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전달바(335); 및 가로바(341)와 세로바(342)가 교차된 'T' 형상으로, 세로바(34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달바(335)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세로레일홈(343)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바(331)는 상기 선체(100)에 장착된 지지대(345)에 구비된 끼움홈(344)에 상기 세로바(342)를 중심으로 각각 가로방향 움직임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티자형전달바(3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로바(341)의 끝단은, 상기 패들부(4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선체(100)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동력판(421)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난 부분과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듯이, 제1실시예에서는 엔진부(200)의 예로 모터를 사용했으며, 모터의 회전동력은 기어부(250)에서 적당히 회전수가 조절된 후에 상기 회전바(330)로 전달되어 회전바(330)가 원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힘을 전달한다.
회전바(330)가 회전하면서, 회전바(330)의 끝단에 구비되는 전달바(335)도 회전하게 되며, 전달바(33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티자형전달바(340)의 세로레일홈(343)으로 상기 전달바(335)가 상하운동하게 되고, 한편, 상기 선체(100)에 고정된 지지대(345)의 상단에 구비된 끼움홈(344)에 상기 가로바(341)이 끼워져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대(345)는 세로바(322)를 중심으로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의 끼움홈(344)에 상기 가로바(341)가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티자형전달바(340)에 의해 직선력으로 변경되어, 상기 가로바(341)의 끝단에 연결된 회전동력판(421)을 회전시켜 궁극적으로 노(410)를 좌우로 저어주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패들부(400)는,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회전판(412);과, 상기 회전판(412)의 상부에 세워지는 삼각입대(413);와, 상기 삼각입대(413)의 상부에 상기 회전판(412)에 대향하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상부판(414);과, 상기 상부판(414)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대(415);와,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구비하고,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동바(418)가 구비되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노(410); 및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주는 회전축바(4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패들부(400)는, 상기 회전판(412)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노(410)와 연동바(418)로 연동되는 회전동력판(421);을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동력판(421)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전후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414)에 상기 회전지지대(415)의 좌우로 한 쌍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토퍼(419); 및 상기 노(4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장착되어 상기 노(410)가 저어질 때 상기 스토퍼(419)에 걸려서 노엽의 회전각을 한정하는 크로스바(4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패들부(400)의 구성은 상기 노(410)가 선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잘 저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리 밝혀두지만,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 아니라 단순하게 선체(100)에 힌지 연결되어 노가 저어지는 방식도 물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나아가, 제2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패들부(400)의 구성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실시예에서 패들부(400)는 좌우로 회전이 용이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 상기 회전축돌기(41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노(410)의 넓은 부분이 좌우로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노(410) 자체가 좌우로 저어지면서 넓은 면(노엽)의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상기 노(410)가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경우에 노(410)의 움직임을 더욱 유동성 있게 하고 노(410)에서 발생되는 추진력이 더욱 선체(100)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9을 참고하여 제2실시예에서 노(410)가 저어지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즉, 엔진부(20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기어부(250)를 거쳐) 트랜스미션부(300)로 전달되어 어떻게 노(410)가 저어지는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엔진부(200)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은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를 거치면 직선력으로 바뀌게 되고, 이 직선력은 상기 회전동력판(421)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동력판(421)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회전동력판(421)과 연동된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설명한 노(410)가 선체(100)의 좌우측면에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노(410)는 상기 선체(100)의 좌우에 대칭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노(410)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연동바(41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제3실시예는, 선체(100)에 장착되는 노(410)의 위치가 선체(100)의 측면에 해당하며, 이에 장착된 노(410)에 동력을 제공하는 트랜스미션부(300) 및 패들부(400)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노(410)가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노(410)를 좌우로 밀고당겨주는 힘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상술한 엔진부(20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트랜스미션부(300)에서 방향이 바뀌어 상기 노(410)로 제공되게 된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젓는 배의 경우에는, 노가 선체의 측면으로 거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돌출되어 넓은 부분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밀어내어 반력에 의해 배가 전진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노(410)의 특이한 형상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게 되므로, 상기 노(410)는 선체(100)의 길이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즉, 도 11의 평면도에서 보듯이 상기 노(410)는 선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구비되어야 하며, 선체(100)에서 떨어져 돌출되어서는 안된다. 물론, 노(410)를 젓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선체(100)에서 돌출되어 저어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선체(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는, 원판 형상이되, 상기 엔진부(200)에 중심에서 벗어난 부분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판(350);과, 세로는 상기 회전판(350)의 회전 직경에 상당하고 가로는 상기 회전판(350)의 직경에 상당하는 사이즈로 회전홈(36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홈(361)에 끼워진 상기 회전판(350)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동력전달판(360); 및 'ㄱ' 형상으로 모서리(370)가 선체(100)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판(360)과 일단이 연결되는 각형전달바(3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형전달바(370)의 타단에 상기 연동바(418)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좌우에 구비되는 노(410)가 한 쌍인 것을 상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소형 배에 장착되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서 보듯이, 제3실시예에서는 엔진부(200)의 예로 모터를 사용했으며, 모터의 회전동력은 기어부(250)에서 적당히 회전수가 조절된 후에 상기 회전판(350)으로 전달되어 회전판(350)이 원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힘을 전달한다.
회전판(350)이 회전홈(361)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회전홈(361)이 구비된 동력전달판(360)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판(360)에 연결된 각형전달바(370)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 각형전달바(370)는 모서리(37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게 되어 상기 각형전달바(370)의 타단에 연결된 노(410)를 좌우로 저어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형전달바(370)는 힘의 방향을 다시 바꿔주는 것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노(410)는 도 10 내지 도 13에서 보듯이, 선체(100)에 구비된 볼트의 상단에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거나, 상기 볼트가 상기 노(410)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방식이 가능하다. 즉, 이는 통상 노젓는 배의 경우에는 선체에 장착된 볼트의 상부에 노의 회전축이 올려져 회전되거나, 상기 노에 관통홀 또는 홈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에 끼워진 상태로 저어지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고하여 제3실시예에서 노(410)가 저어지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즉, 엔진부(20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기어부(250)를 거쳐) 트랜스미션부(300)로 전달되어 어떻게 노(410)가 저어지는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엔진부(200)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은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를 거치면 직선력으로 바뀌게 되고, 이 직선력은 상기 각형전달바(370)에 전달되어 각형전달바(370)가 최종적으로 노(410)에 전달하여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설명한 노(410)가 선체(100)의 좌우측면에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로 노(410)가 복수 쌍이 구비되게 된다.
즉, 제4실시예는, 선체(100)에 장착되는 노(410)의 위치가 선체(100)의 측면에 해당하며, 이에 장착된 노(410)에 동력을 제공하는 트랜스미션부(300) 및 패들부(400)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노(410)가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노(410)를 좌우로 밀고당겨주는 힘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상술한 엔진부(20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트랜스미션부(300)에서 방향이 바뀌어 상기 노(410)로 제공되게 된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젓는 배의 경우에는, 노가 선체의 측면으로 거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돌출되어 넓은 부분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밀어내어 반력에 의해 배가 전진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노(410)의 특이한 형상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게 되므로, 상기 노(410)는 선체(100)의 길이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즉, 도 15의 평면도에서 보듯이 상기 노(410)는 선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구비되어야 하며, 선체(100)에서 떨어져 돌출되어서는 안된다. 물론, 노(410)를 젓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선체(100)에서 돌출되어 저어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선체(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는, 상기 노(410)가 좌우측에 각각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3실시예에서, 양단에 구비된 장홈(381)에 의해 상기 선체(100)에 볼트 결합되어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노(410)와 연결된 연동바(418)가 좌우측별로 각각 연동되는 노연결바(380); 및 상기 동력전달판(360)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장홈(391)에 의해 상기 선체(100)에 볼트 결합되어 전후 움직임이 가능한 전달바(390);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각형전달바(370)의 일단은 상기 전달바(39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노연결바(38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노(410)와 상기 노연결바(380)는 보조바(382)의 양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4실시예에서는 좌우측의 노(410)가 상호 어떻게 연동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하는가가 발명의 요지가 된다.
제4실시예에서는 좌우측의 노(410)들이 각각 노연결바(380)에 의해 연동되게 되며, 노연결바(380)는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동력전달판(360)에서 전달되는 동력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만, 상기 노연결바(380)는 선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며, 노(410)가 많을수록 그 길이는 더욱 길어지게 된다. 이에, 동력전달판(360)의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로 전달바(390)가 추가로 구비되어 일단은 동력전달판(360)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타단은 상기 각형전달바(370)에 전달하여, 각형전달바(370)는 다시 노연결바(380)에 동력을 전달하여 연동바(418)를 움직임으로써 최종적으로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제4실시예는 보조바(382)를 구비하여 상기 노연결바(380)와 상기 연동바(418)를 연결하여 노(410)의 좌우 움직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노(410)는 도 14 내지 도 17에서 보듯이, 선체(100)에 구비된 볼트의 상단에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거나, 상기 볼트가 상기 노(410)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방식이 가능하다. 즉, 이는 통상 노젓는 배의 경우에는 선체에 장착된 볼트의 상부에 노의 회전축이 올려져 회전되거나, 상기 노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에 끼워진 상태로 저어지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고하여 제4실시예에서 노(410)가 저어지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즉, 엔진부(20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기어부(250)를 거쳐) 트랜스미션부(300)로 전달되어 어떻게 노(410)가 저어지는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엔진부(200)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은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를 거치면 직선력으로 바뀌게 되고, 이 직선력은 전달바(390)로 전달되어 각형전달바(370)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노연결바(380)로 전달되어 연동바(418)에 전달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노(410)에 전달하여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선체
200 : 엔진부
250 : 기어부
300 : 트랜스미션부
400 : 패들부

Claims (17)

  1. 삭제
  2. 선체(100)에 장착되어 동력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으로 선체(100)에 추진력를 제공하는 조선식 노 젓는 기구(패들부, 4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회전판(412);
    상기 회전판(412)의 상부에 세워지는 삼각입대(413);
    상기 삼각입대(413)의 상부에 상기 회전판(412)에 대향하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상부판(414);
    상기 상부판(414)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대(415);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구비하고,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동바(418)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노(410); 및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주는 회전축바(417);를 포함하되,
    상기 노(410)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100)에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이며,
    상기 회전판(412)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노(410)와 연동바(418)로 연동되는 회전동력판(421);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회전동력판(421)이 상기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전후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기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414)에 상기 회전지지대(415)의 좌우로 한 쌍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토퍼(419); 및 상기 노(4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장착되어 상기 노(410)가 저어질 때 상기 스토퍼(419)에 걸려서 노엽의 회전각을 한정하는 크로스바(4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기구.
  5. 선체(100);
    상기 선체(100)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200);
    상기 엔진부(200)의 동력을 전달하는 트랜스미션부(300); 및
    일단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연결되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좌우로 저어지는 노(410)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으로 상기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패들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노(410)는, 넓은 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선체(100)에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면(410a)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부(200)에서 제공되는 출력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에 전달하는 기어부(25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410)는 상기 선체(100)의 뒷부분에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는,
    상기 엔진부(200)와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바(310);
    상기 회전바(310)의 타단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전달바(315); 및
    가로바(321)와 세로바(322)가 교차된 '+' 형상으로, 세로바(32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달바(315)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세로레일홈(323)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바(321)에는 상기 세로바(322)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로레일홈(324)이 구비되어 상기 선체(100)에 구비된 지지대(325)가 가로레일홈(324)을 지지하면서 각각 가로방향 움직임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십자형전달바(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십자형전달바(320)에 상기 노(410)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321)의 좌우 끝단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선체(100)에 구비된 풀리(326)의 외측으로 감겨 순환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순환스트링(327);을 더 포함하여,
    상기 노(410)가 상기 순환스트링(327)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로바(321)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상기 노(410)가 좌우로 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는,
    상기 엔진부(200)와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바(330);
    상기 회전바(330)의 타단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전달바(335); 및
    가로바(341)와 세로바(342)가 교차된 'T' 형상으로, 세로바(34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달바(335)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세로레일홈(343)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바(341)는 상기 선체(100)에 장착된 지지대(345)에 구비된 끼움홈(344)에 상기 세로바(342)를 중심으로 각각 가로방향 움직임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티자형전달바(3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로바(341)의 끝단은, 상기 노(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선체(100)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동력판(421)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난 부분과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부(400)는,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회전판(412);
    상기 회전판(412)의 상부에 세워지는 삼각입대(413);
    상기 삼각입대(413)의 상부에 상기 회전판(412)에 대향하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상부판(414);
    상기 상부판(414)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대(415);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구비하고,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동바(418)가 구비되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노(410); 및
    상기 회전지지대(415)에 끼워지는 회전축돌기(41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주는 회전축바(4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부(400)는,
    상기 회전판(412)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노(410)와 연동바(418)로 연동되는 회전동력판(421);을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동력판(421)이 상기 트랜스미션부(300)와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전후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414)에 상기 회전지지대(415)의 좌우로 한 쌍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토퍼(419); 및 상기 노(4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장착되어 상기 노(410)가 저어질 때 상기 스토퍼(419)에 걸려서 노엽의 회전각을 한정하는 크로스바(4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410)는 상기 선체(100)의 좌우에 대칭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선체(100)와 회전축(411)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상기 노(410)의 상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동력제공수단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좌우이동 동력을 제공받는 연동바(41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부(300)는,
    원판 형상이되, 상기 엔진부(200)에 중심에서 벗어난 부분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판(350);
    세로는 상기 회전판(350)의 회전 직경에 상당하고 가로는 상기 회전판(350)의 직경에 상당하는 사이즈로 회전홈(36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홈(361)에 끼워진 상기 회전판(350)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동력전달판(360); 및
    'ㄱ' 형상으로 모서리(370)가 선체(100)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판(360)과 일단이 연결되는 각형전달바(3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형전달바(370)의 타단에 상기 연동바(418)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좌우로 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410)는 좌우측에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고,
    양단에 구비된 장홈(381)에 의해 상기 선체(100)에 볼트 결합되어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동바(418)가 좌우측별로 각각 연동되는 노연결바(380); 및 상기 동력전달판(360)과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장홈(391)에 의해 상기 선체(100)에 볼트 결합되어 전후 움직임이 가능한 전달바(390);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각형전달바(370)의 일단은 상기 전달바(39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노연결바(38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바(418)와 상기 노연결바(380)는 보조바(382)의 양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식 노젓는 배.
KR1020100040392A 2010-04-30 2010-04-30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KR10125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92A KR101254702B1 (ko) 2010-04-30 2010-04-30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92A KR101254702B1 (ko) 2010-04-30 2010-04-30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01A KR20110121001A (ko) 2011-11-07
KR101254702B1 true KR101254702B1 (ko) 2013-04-15

Family

ID=4539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392A KR101254702B1 (ko) 2010-04-30 2010-04-30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96B1 (ko) 2015-03-20 2015-10-30 홍승길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
CN105539755A (zh) * 2015-12-29 2016-05-04 芜湖华强文化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自动摆渡式游乐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75B1 (ko) * 2013-12-23 2014-04-04 홍승길 노를 구비한 보트
KR101954162B1 (ko) * 2018-12-12 2019-03-06 홍승길 노를 구비한 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045Y1 (en) * 1982-11-13 1985-09-21 Cho Song Kyo Apparatus for oarage and oar storage
KR910008744Y1 (ko) * 1989-04-06 1991-11-04 이병형 종합운동구
KR100520006B1 (ko) * 2004-05-19 2005-10-10 유재형 노 추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045Y1 (en) * 1982-11-13 1985-09-21 Cho Song Kyo Apparatus for oarage and oar storage
KR910008744Y1 (ko) * 1989-04-06 1991-11-04 이병형 종합운동구
KR100520006B1 (ko) * 2004-05-19 2005-10-10 유재형 노 추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96B1 (ko) 2015-03-20 2015-10-30 홍승길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
CN105539755A (zh) * 2015-12-29 2016-05-04 芜湖华强文化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自动摆渡式游乐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01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5098B2 (ja) 浮体式基礎を備える浮体式風力原動機及びこのような風力原動機を設置する方法
US4389843A (en) Water wave energy transducer
JP4813501B2 (ja) 水流による動力生成装置
CN107512380B (zh) 一种全方位推进器、船舶及浮式平台
KR101254702B1 (ko)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CN102164816B (zh) 用于在流体中摆动翼片的设备、相关船及装置
JP5879641B1 (ja) 海底水域への酸素補給装置
JP2009121241A (ja) 水流発電装置
KR20070024461A (ko) 관절형 가상해저면
CN105587460B (zh) 适用于洋流的发电装置
CN106335599B (zh) 一种挡风浪型混合动力船
EP2759696A2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including a floating body, ship propelling apparatus, and foldable and windable wing included i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JP7144601B2 (ja) 水中浮遊式軌道交通システム
JP2005351201A (ja) 潮流発電設備
TWI726736B (zh) 以風力前進的液力發電載具
US20090088035A1 (en) Forward Facing Rowing System in Sit-Down or Stand Up Position
CN115571315B (zh) 一种赛艇划桨支架装置
CN115406625B (zh) 一种模拟波浪运动试验装置
US8911207B1 (en) Deployment device and system for hydrokinetic energy converter turbine
CN205190108U (zh) 一种移动式悬浮水流发电装置
CN112339923A (zh) 一种浮动式海上充电平台
CN107306871B (zh) 二叶滑水式耕水机
CN210101956U (zh) 一种船舶推进装置
WO2022257060A1 (zh) 以风力前进的液力发电载具
CN216366602U (zh) 一种划水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