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275B1 - 노를 구비한 보트 - Google Patents

노를 구비한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275B1
KR101381275B1 KR1020130161526A KR20130161526A KR101381275B1 KR 101381275 B1 KR101381275 B1 KR 101381275B1 KR 1020130161526 A KR1020130161526 A KR 1020130161526A KR 20130161526 A KR20130161526 A KR 20130161526A KR 101381275 B1 KR101381275 B1 KR 10138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od
furnace
boa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길
Original Assignee
홍승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길 filed Critical 홍승길
Priority to KR102013016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6Rowlocks; Mountings therefor
    • B63H16/073Rowlocks; Mountings therefor having oar shaft restrain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 경기를 위한 보트와 같이 전진 방향을 향하여 등을 보이고 노를 젓는 것이 아니라
전진 방향을 바라보면서 노를 젓도록 하면서도 추력을 동일하게 발휘할 수 있어 유희 또는 경주 용도에 모두 적합한 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는 착석부를 구비한 배본체; 상기 배본체에 결합된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에 결합되는 단부 승강체와, 단부에 블레이드를 구비한 로드와, 승강체와 로드를 잇는 링크를 갖는 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노를 구비한 보트{ROWING BOAT}
본 발명은 노를 구비한 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정 경기를 위한 보트와 같이 전진 방향을 향하여 등을 보이고 노를 젓는 것이 아니라
전진 방향을 바라보면서 노를 젓도록 하면서도 추력을 동일하게 발휘할 수 있어 유희 또는 경주 용도에 모두 적합한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수렵과 함께 개발되어 온 배(boat)는 아직도 모터 보트가 아니라 노를 이용하여 추력을 얻는 보트가 조정경기와 같이 경주용을 비롯하여 놀이용도 등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종래 다양한 방식으로 노젓기 배를 개량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 제20-0325235호(등록일자 2003년08월22일) [레저보트용 노의 구조]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노의 외측단부에 반분된 브레이드를 결합하여 전진시에는 확개되어 강력한 추진력을 얻고 후진시에는 접혀져 물의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최소의 힘으로 최대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레저보트용 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측단부에 손잡이와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봉 형상의 지지봉과; 내측에 상기 체결편에 결합되는 경첩과 외측에 판재가 결합된 2개의 브레이드와; 상기 브레이드의 내측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브레이드의 운동량을 조절하는 고정밴드와; 상기 체결편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브레이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캡 너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처럼 상기 등록고안은 미숙자나 초보자가 주로 타게 되는 유희용 보트를 위한 노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그럼에도 종래 노젓기 배와 같이, 인간의 근골격 특성상 배 전진 방향을 향하여 등을 보이는 형태로 뒤로 돌아 노를 젓는 것이 추력을 얻는데 유리하다는 점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보트에 해당하며,
이러한 인간의 근골격 특성에 최적화된 대표적인 노젓기 배가 조정경기용 보트에 해당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노젓기 방식을 변형하고자 한 시도로 실용신안공고 제20-1990-0003819호(공고일자 1990년05월01일) [보트용 노]가 있다.
이 공고고안은 작동간 선단에 부착된 수저판이 90°각도로 유동가능케 하여 효율적인 보트놀이를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종래 보트용 노가 수저판이 노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되어 있어 물을 긁을 때는 하자가 없으나 원복시킬 때는 공기 저항 및 물의 저항을 받게 되어 노를 젓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난점을 해결하고자
대, 소기어로 회동가능케 치합된 작동간과 손잡이로 구성된 노에 있어, 작동간 선단에 걸림턱이 돌설된 걸림대를 형성하여 수저판을 회동 가능케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또 이 실용신안공고 제20-1990-0003819호와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0-0143679호(등록일자 1999년01월27일) [앞을 보고 노를 젓는 튜브보트]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 역시 입체적인 보트를 간편하게 조립 형성하고 앞으로 저을 수 있는 공지한 노를 보트의 플랜지에 설치하여 앞을 보고 안전하게 탈 수 있는 보트를 제공하고 있는데,
특히 방수포지(防水布地)로 된 보트체의 격실에 공기튜브를 삽입 팽창하여 선수와 선미부분만을 지퍼로 간편하게 접합하여 입체적인 보트를 신속하게 구성하고, 격실에 의하여 평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에 지지관을 삽치(揷置)하여 손잡이와 노가 기어에 의하여 동일방향으로 작동하게 된 공지한 노의 지지봉을 상기 지지관에 끼워 간편하게 노를 설치하는 동시 공기튜브의 압력으로 지지관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앞을 보고 보트의 노를 저어 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공고 제20-1990-0003819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143679호는 모두 노젓기 동력전달이 노대의 중간에 개재된 기어를 통하여 구성한 것인데, 물을 밀어낼 때는 문제가 없으나
다시 물을 밀어 내기 위하여 노대를 들어 앞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관련한 구성이 복잡할 수밖에 없고,
이 점이 가격 상승 요인과 잔고장 및 소음원으로 작용하므로 경주용도 및 유희용도 모두에 부적합하여 사장된 기술에 해당한다.
한편, 특허공개 제10-2012-0057024호(공개일자 2012년06월05일) [보트의 노젓기 장치]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 역시 보트의 선체 앞부분에 노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이 거치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노를 결합하여 노젓기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선체를 전방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트의 노젓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트의 선체 앞부분에 노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이 거치대에 회동가능하도록 노를 결합하여 노젓기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선체를 전방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트의 노젓기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선체의 선수부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며 복수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지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수평부재 일단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1조의 회동봉; 상기 회동봉의 일단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노를 연결하는 노대 연결볼트; 상기 노대 연결볼트에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일단에 노를 구비하고 있는 노대; 상기 노대에 구비된 노를 앉아서 저을 수 있도록 하며 안내레일과 슬라이딩 판 및 발 벨트로 구성되는 슬라이딩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개특허는 노젓기를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노 어셈블리가 배본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주된 적용대상으로 예상되는 1~2인용의 소형배, 특히 유희용 소형보트에는 도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그만큼 단가 상승 및 잔고장 빈발 요인을 안고 있는 기술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배에 구비된 작용축에 노의 로드(즉, 노대)의 중간 부위가 결합되어 노젓기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배본체에 구비된 승강로드에 로드 단부가 결합된 노를 이용하여 노젓기가 이루어지는 형태여서 종래 뒤돌아서 노를 젓는 전통적인 로잉(rowing) 보트를 개선하여 앞을 보면서 노를 젓도록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인간의 근골격 특성에도 상응하여 조정경기의 노젓기와 동급의 추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단가 상승 및 잔고장 빈발 요인을 극소화하고, 1~2인 소형보트는 물론 다인용 보트(노젓기를 3인 이상이 하는 보트)에도 적합할 정도로 기존 보트의 노와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는 노를 구비한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노의 로드와 승강로드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체를 연결하는 링크에 퀵커플러를 도입하여 운반, 보관, 조립 사용이 모두 용이한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노의 단부에 구비된 블레이드를 물에 침지하여 물을 밀어 추력을 얻은 후, 블레이드를 물에서 빼내는 동작을 위하여 노의 로드를 들어 올릴 경우 보다 쉽게 적은 힘으로도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노의 승강체에 웨이트를 더 도입한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웨이트를 쉽게 노의 승강체에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웨이트 수용부재를 더 도입한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웨이트가 안치된 수용부재가 보다 안정되게 노의 승강체를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로드를 승강로드에 도입한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를 구비한 보트는
착석부를 구비한 배본체;
상기 배본체에 결합된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에 결합되는 단부 승강체와, 단부에 블레이드를 구비한 로드와, 승강체와 로드를 잇는 링크를 갖는 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노를 구비한 보트에서
상기 노의 링크는 퀵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노의 승강체에는 웨이트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체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체와, 이 결합체와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가 안치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웨이트 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노를 구비한 보트는 종래 배에 구비된 작용축에 노의 로드(즉, 노대)의 중간 부위가 결합되어 노젓기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배본체에 구비된 승강로드에 로드 단부가 결합된 노를 이용하여 노젓기가 이루어지는 형태여서 종래 뒤돌아서 노를 젓는 전통적인 로잉(rowing) 보트를 개선하여 앞을 보면서 노를 젓도록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인간의 근골격 특성에도 상응하여 조정경기의 노젓기와 동급의 추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단가 상승 및 잔고장 빈발 요인을 극소화하고, 1~2인 소형보트는 물론 다인용 보트(노젓기를 2인 이상이 하는 보트)에도 적합할 정도로 기존 보트의 노와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는 장점을 제공하고, 또 노의 로드와 승강로드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체를 연결하는 링크에 퀵커플러를 도입하여 운반, 보관, 조립 사용이 모두 용이하며, 나아가 노의 승강체에 웨이트를 더 도입하여 노의 단부에 구비된 블레이드를 물에 침지하여 물을 밀어 추력을 얻은 후, 블레이드를 물에서 빼내는 동작을 위하여 노의 로드를 들어 올릴 경우 보다 쉽게 적은 힘으로도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웨이트 수용부재를 통하여 웨이트를 쉽게 노의 승강체에 도입할 수 있고, 또 가이드로드를 승강로드에 도입하여 웨이트가 안치된 수용부재가 보다 안정되게 노의 승강체를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2인 소형보트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보트에서 각각 승강체와 관련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요부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다인용 보트(노젓기를 2인 이상이 하는 보트)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보트에서 승강체와 관련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요부 결합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노를 구비한 보트(B)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노를 구비한 보트(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인 소형보트, 특히 혼자서 노젓기를 하는 보트이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인용 보트(노젓기를 2인 이상이 하는 보트)(도면에서는 4인 노젓기 형태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를 구비한 보트(B)는 배본체(10A)(10B)와, 노(20), 그리고 승강로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배본체(10A)(10B)는 종래 개발된 다양한 배의 소재, 크기 및 형상을 채용할 수 있고,
도 1 및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노젓기를 위하여 배본체에는 적절한 크기, 높이, 형상 및 소재를 갖는 착석부(11)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도 1의 1~2인 소형보트(B)의 배본체(10A)는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의 저면도와 같이, 배본체가 두 분체(10a,10b)로 이루어져 있고, 분체는 저면에 구비된 힌지(10h)를 통하여 연결되며, 분체의 결합상태는 분체의 접면 양 측면에 구비된 캠록(cam lock) 타입의 체결수단(10ℓ)에 의하여 확고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두 분체(10a,10b)로 구성된 배본체(10A)를 갖는 소형보트(B)는 보관, 운반, 조립이 용이하여 레저 또는 유희 용도로 적합하며,
이러한 분체 개념을 3~4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인원이 위한 노젓기 보트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노(20)는 도 1의 소형보트 형태 및 도 4의 중대형 보트 형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의 노와 같이 로드(노대)(21)와 물에 침지되어 물살을 가르며 추력을 제공하는 블레이드(23)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핵심 중 하나인 승강로드(30)와 함께 노(20)의 핵심을 이루는 승강체(27)가 상하 직선운동을 함에 비하여
노를 젓는 전통적인 로잉(rowing) 보트와 같이 노(20)의 단부에 구비된 블레이드(23)를 물에 침지한 후
노의 로드(21) 단부(블레이드 반대편 단부)를 잡고 승강체(27)가 결합된 승강로드(30)를 고정축으로 하여 블레이드를 후진시켜 물을 밀어 추력을 얻은 후,
블레이드를 상승시켜 물에서 빼내고
다음 번 노젓기를 준비하기 위하여 역시 승강로드(30)를 고정축으로 하여 노(20)의 로드(21) 및 블레이드(23)를 전진시켜 원위치 시키는 일련의 동작은
일종의 원추형 궤적을 띄게 되는데,
이러한 노젓기 과정에서 승강로드(3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노(20)의 승강체(27)의 동작과 함께
노의 로드(21) 자체는 호선(弧線)형 궤적을 그리며 움직이므로
로드의 호 운동과 승강체의 직선 승강 운동이 상충하게 되어
로드 구성부품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파손을 비롯한 다양한 고장이 일어나는 상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의 로드와 승강체를 연결하는 링크(25)에 조인트(25A)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의 승강체와 관련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요부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특히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25A)는 승강체(27)의 연결부(27B)와 축핀(25b)을 통하여 연결되는 관절체(25a)를 갖는데,
도시된 조인트의 단순 호 운동 구조가 아니라 피벗(pivot) 내지 유니버설 조인트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관절이 꺾이는 조인트 구조를 도입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링크(25)는 노(20)를 배본체(10A)(10B)에 쉽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퀵커플러(25B)를 도입하여, 보관, 이동 및 조립이 모두 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퀵커플러는 특허등록 제10-1296914호(등록일자 2013년08월08일) [무부하 퀵 커플러]와 같이, 호스 또는 배관 분야에 적용되는 상용 제품을 구입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퀵커플러(25B)의 분리시 퀵커플러의 암 또는 수 부품은 노(20)의 로드(21)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퀵커플러의 나머지 수 또는 암 부품은 조인트(25A)에 연결된 상태로 승강체(27)와 함께 배본체(10A)(10B)에 남아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노(20)의 핵심을 이루는 승강체(27)는 로드(21)와 링크(25)를 통하여 연결되고, 승강로드(30)에 결합되어 움직이는데, 승강체는 승강로드와의 접면에 윤활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윤활부재는 아세탈이나 테플론과 같이 강도가 강하고 어느 정도 윤활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카본 또는 금속(합금 포함)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트(B)는 노(20)의 승강체(27)가 결합되는,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승강로드(30)가 배본체(10A)에 결합되어 있다
도 1과 같은 소형 보트에서는 1인이 노 2개를 젓게 되므로, 도 4의 중대형 보트와 달리 노(20)의 로드(21) 단부에 구비된 승강체(27)가 결합되는 승강로드(30)는 배의 중간에 2개 구비되어 있다.
또 도 1 하부 우측의 두 일점쇄선 원 내의 개략적인 평면도(최우측의 평면도는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노 블레이드(23)와 링크(25) 사이의 로드(21) 부위 중 링크 인접 부위의 로드 단부 부위(즉, 배본체(10A)(10B) 영역 내에 배열된 로드 부위)를 손잡이 삼아 노젓기가 이루어지므로 양측 노의 손잡이 또는 승선인의 손이 충돌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이는 또 후술하는 웨이트(40) 및 웨이트 수용부재(50)의 충돌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상기 두 승강로드(30)는 배본체(10A)의 전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되, 이격된 두 승강로드를 연결한 선은 보트의 전진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사선을 이루며, 그 각도는 25~70도 정도일 수 있다.
또 노(20)의 승강체(27)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31)가 승강로드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고, 도 1의 소형보트에서 이 스토퍼는 두 승강로드의 단부를 연결하는 형태여서 일종의 승강로드 보강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중대형, 다인용 보트(B)는 도 1의 1~2인용, 소형, 1인 노젓기 보트(B)와 달리
노젓기를 하는 승선인 1인이 하나의 노(20)만 젓는 구조여서, 노(20)의 단부, 즉 로드(21) 단부, 이에 연결된 링크(25) 및 승강체(27), 그리고 승강로드(30)는 배본체(10B)의 영역 밖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승강로드(30)를 배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13B)는 금속 소재 파이프를 이용하여 배본체(10B) 외측과 연결되어 있고, 장착부(13B)를 구성하는 파이프는 보강살(13a)에 의하여 강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의 보트에서 장착부 및 승강로드의 설치 구조 및 보강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배본체(10B) 외측에 위치하는 승강로드는 또 배의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능한 배를 유선형으로 만들고 좁게 만들게 되는 경주용 보트 특성을 보장하면서도,
보트 진행 방향 전방 주시 노젓기를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노를 적용하면서도, 노젓기시 최대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트(B)의 또 다른 핵심은 웨이트(40)로, 이는 노(20)의 단부에 구비된 블레이드(23)를 물에 침지하여 물을 밀어 추력을 얻은 후,
다음 번 노젓기를 위하여 블레이드를 승선인의 전방, 즉 배의 전진 방향 제1직선에 대하여 승강로드(30)가 수직 교차하도록 연결한 개별 승강로드 배치 제2직선의 앞쪽에 블레이드(23)를 원위치시키는 일련의 노젓기 동작을 진행하기 위하여
블레이드를 물에서 빼내는 동작을 하는 경우
먼저 노의 로드를 들어 올려야 하는데, 이때 블레이드(23) 및 로드(21)가 쉽게 적은 힘으로도 상승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웨이트(40)는 보관, 이동,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 등의 유체나 모래 등의 분체를 담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한 병(기타 뚜껑을 구비한 용기로 대체 가능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웨이트(40)는 로드(21) 단부나 링크(25)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승강체(27)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상기 노(20)의 승강체(27) 중에서도 승강체(27)의 돌출 부위, 즉 승강로드(30)를 기준으로 링크(25) 반대편에 돌출된 결합부(27A)에 구비되어 노젓기 과정에서 간섭이 일어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또 노(20) 블레이드(23)의 상승 원위치 동작에도 도움이 된다.
필요에 따라 블레이드(23) 반대편에 구비된 승강체(27)의 결합부(27A)의 돌출 정도는 다양하게 선택 될 수 있고, 승강체와 일체형이 아닌 별도의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웨이트 또는 웨이트 수용부재의 결합 지점이 승강체에서 멀수록 노의 블레이드 상승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강도, 내구성, 노젓기 동작의 원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합부의 설계 및 제작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보트(B)에는 웨이트(40)를 쉽게 노(20)의 승강체(27)에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웨이트 수용부재(50)를 더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웨이트 수용부재(50)는 웨이트(40)가 안치되는 수용체(51)와, 이에 연결된 결합체(53)로 구성되는데,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결합체(53)에 대하여 수용체(51)는 편심된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바,
이는 소형 보트에서 승선인 1인이 두 노를 젓는 상황을 고려하여
두 노(20)의 단부 결합부(27A) 위쪽에 인접 배열된 수용체 및 안치된 웨이트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도 4 및 도 5에서 중대형 보트에서는 역시 도 1과 같인 일정 강도를 갖는 철선을 이용하여 제조한 결합체와 수용체로 구성되어 있되, 수용체(51)의 무게 중심 하부에 결합체(53)가 구비된 형태의 웨이트 수용부재(50)를 갖는다.
도시된 형상 외에도 다양한 소재, 크기, 형상을 갖는 웨이트 수용부재가 도입될 수 있다.
또 도 2의 상부 두 일점 쇄선 타원 내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노(20) 승강체(27)의 로드(21) 반대편 결합부(27A)의 결합홈에 단부가 삽입된 웨이트 수용부재(50)의 바(bar)타입 결합체(53)가
격렬한 노젓기 과정에서도 무거운 웨이트(4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하여 결합체(53)를 안내·지지하는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제시되어 있다.
특히 이 가이드수단은 가이드로드(55)와, 이 가이드로드와 수용부재의 결합체(53)를 연결하는 커넥터(5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로드(55)는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승강로드(30)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하면서 노출 정도가 조절되는 형태이며, 결합체(53)의 상부에 치우쳐 배열되어 결합체와 가이드로드를 연결하는 커넥터(57)는
노(20)의 승강체(27)가 승강로드(27)를 따라 상승하고, 이에 연동하여 결합부(27A)가 상승함에 따라
웨이트 수용부재의 결합체까지 상승하므로 가이드로드(55)는 승강로드에서 뽑혀 올라가고, 커넥터(57)도 함께 올라가게 되어 수용부재(50) 및 웨이트(40)의 안정된 상승 보장은 물론, 그 반대 동작시의 요동 없는 하강을 보장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승강로드의 길이, 커넥터의 위치(웨이트 수용부재의 결합체가 아닌 수용체에 결합된 커넥터를 도입할 수 있다)가 가변될 수 있고,
도 4의 수용체 및 이에 연결된 동심 결합체를 갖는 웨이트 수용부재에도 이러한 가이드로드 및 커넥터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배본체 및 노의 제원, 그리고 승강체의 소재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보트 10A,10B: 배본체
11: 착석부 13A,13B: 장착부
20: 노 21: 로드
23: 플레이드 25: 링크
25A: 조인트 25B: 퀵커플러
27: 승강체 27A: 결합부
30: 승강로드 40: 웨이트
50: 웨이트 수용부재 51: 수용체
53: 결합체 55: 가이드로드
57: 커넥터

Claims (4)

  1. 착석부(11)를 구비한 배본체(10A)(10B);
    상기 배본체(10A)(10B)에 결합된 승강로드(30); 및
    상기 승강로드(30)에 결합되는 단부 승강체(27)와, 단부에 블레이드(23)를 구비한 로드(21)와, 승강체(27)와 로드(21)를 잇는 링크(25)를 갖는 노(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노(20)의 승강체(27)는 결합부(27A)를 갖고, 승강체는 링크(25) 반대편 돌출 결합부(27A)를 갖고,

    상기 노(20)의 승강체(27)에는 웨이트(40)가 결합되어 있되,
    노(20) 승강체(27)의 결합부(27A)에 결합되는 결합체(53)와, 이 결합체(53)와 연결되고 수용체(51)를 포함하는 웨이트 수용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40)는 유체나 분체가 담긴 뚜껑을 구비한 용기로, 상기 웨이트 수용부재(50)의 수용체(51)에 안치되고,

    가이드로드(55)와, 이 가이드로드와 수용부재(50)의 결합체(53)를 연결하는 커넥터(57)로 구성되고, 격렬한 노젓기 과정에서도 무거운 웨이트(4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하여 결합체(53)를 안내·지지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로드(55)는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승강로드(30)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하면서 노출 정도가 조절되는 형태이며,

    상기 커넥터(57)는,
    노(20)의 승강체(27)가 승강로드(27)를 따라 상승하고, 이에 연동하여 결합부(27A) 및 웨이트 수용부재(50)의 결합체(53)까지 상승함에 따라 가이드로드(55)가 승강로드(27)에서 뽑혀 올라가도록
    가이드로드(55)와 수용부재(50)의 결합체(53)를 연결하며 커넥터(57)도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20)의 링크(25)는 퀵커플러(25B) 및 조인트(25A)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25A)는 승강체(27)의 연결부(27B)와 축핀(25b)을 통하여 연결되는 관절체(25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본체(10A)는 두 분체(10a,10b)로 이루어져 있고,
    각 분체는 저면에 구비된 힌지(10h)를 통하여 연결되며, 분체의 결합상태는 분체의 접면 양 측면에 구비된 캠록(cam lock) 타입의 체결수단(10ℓ)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20)의 로드(21) 단부에 구비된 승강체(27)가 결합되는 승강로드(30)는 배본체(10A)의 중간에 2개 구비되어 있고,
    노 블레이드(23)와 링크(25) 사이의 로드(21) 부위 중 링크 인접 부위의 로드 단부 부위로 배본체(10A) 영역 내에 배열된 로드 부위를 손잡이 삼아 노젓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양측 노의 손잡이 및 웨이트(40)와 웨이트 수용부재(50)의 충돌 방지를 위하여
    상기 두 승강로드(30)는 배본체(10A)의 전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되, 이격된 두 승강로드를 연결한 선은 보트의 전진 방향과 25~70도의 사선 각도를 이루고,

    노(20)의 승강체(27)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31)가 승강로드(3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고, 이 스토퍼는 두 승강로드의 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승강로드 보강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KR1020130161526A 2013-12-23 2013-12-23 노를 구비한 보트 KR10138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526A KR101381275B1 (ko) 2013-12-23 2013-12-23 노를 구비한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526A KR101381275B1 (ko) 2013-12-23 2013-12-23 노를 구비한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275B1 true KR101381275B1 (ko) 2014-04-04

Family

ID=5065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526A KR101381275B1 (ko) 2013-12-23 2013-12-23 노를 구비한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96B1 (ko) * 2015-03-20 2015-10-30 홍승길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
KR101954162B1 (ko) * 2018-12-12 2019-03-06 홍승길 노를 구비한 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1412A (ko) * 2010-02-05 2011-08-11 조기권 추진장치
KR20110121001A (ko) * 2010-04-30 2011-11-07 박영종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1412A (ko) * 2010-02-05 2011-08-11 조기권 추진장치
KR20110121001A (ko) * 2010-04-30 2011-11-07 박영종 조선식 노젓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선식 노젓는 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396B1 (ko) * 2015-03-20 2015-10-30 홍승길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
KR101954162B1 (ko) * 2018-12-12 2019-03-06 홍승길 노를 구비한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3585B2 (en) Elliptical human-powered watercraft
US9027501B2 (en) Stand-up paddleboard stool
US20120267503A1 (en) Self-leveling, gravity-stabilized, sliding and tilting support for a chair
KR101381275B1 (ko) 노를 구비한 보트
US10786703B1 (en) Convertible rowing apparatus
US9376176B1 (en) Stand up paddleboard having improved rowing characteristics
EP2165928B1 (en) Small foldable single-seater acquatic pedal-boat, transformable into trolley for transport thereof
KR101564396B1 (ko) 노를 구비한 접이식 보트
EP3205571A1 (en) Human-powered boat and human-powered propulsion apparatus therefor
US3377977A (en) Combination sculling and surfboard
US10647396B2 (en) Paddleboard kit
US9533741B2 (en) Stand up paddle board
EP3090936A1 (en) Elevated kayak seat
US3487806A (en) Water jet powered vessel
US10093404B1 (en) Rowing apparatus
US6857922B2 (en) Front facing rowing apparatus
GB2101946A (en) Oar mounting system
US7070470B2 (en) Bow-facing rowing system
US3951095A (en) Crossbar with oar guides for boats having frontward-rowing boat-spanning oars
US11584494B2 (en) Front facing rowing boat
EP1180479A1 (en) Rowing apparatus
CN215399281U (zh) 一种便于固定的水上运动用碳纤维划水装置
US9004965B1 (en) Forward facing rowing apparatus
CN208855840U (zh) 一种六人赛艇装置
US3857356A (en) Frontward-rowing boat spanning angular oars having self-surfacing bla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