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497B1 -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성장을 개선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성장을 개선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497B1
KR101254497B1 KR1020077019466A KR20077019466A KR101254497B1 KR 101254497 B1 KR101254497 B1 KR 101254497B1 KR 1020077019466 A KR1020077019466 A KR 1020077019466A KR 20077019466 A KR20077019466 A KR 20077019466A KR 101254497 B1 KR101254497 B1 KR 10125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matode
plant
seed
resistant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198A (ko
Inventor
데이비드 롱
Original Assignee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7170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544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filed Critical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1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having the sequences of atoms O—N—S, X—O—S, N—N—S, O—N—N or O-halogen,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onds each atom has and with no atom of these sequences forming part of a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충구제제 특성을 갖는 농약으로 식물의 식물 번식재를 처리함으로써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의 성장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약, 선충구제제 특성,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식물 번식재, 종자, 살충제, 살진균제

Description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성장을 개선시키는 방법{Method of improving nematode tolerant or resistant plant growth}
본 발명은 선충구제제 특성을 갖는 농약으로 식물의 식물 번식재를 처리함으로써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의 성장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및 이렇게 처리된 재료에 관한 것이다.
선충류는 직접 급식 손상에 의해, 바이러스를 전달함으로써, 세균성 및 진균성 감염을 촉진시킴으로써 농작물을 손상시킨다. 농작물의 선충류에 의한 손상은 흔히 불특정적이고, 가뭄, 영양부족 또는 질병과 쉽게 혼동된다. 통상적인 징후는 시들음, 잎의 황변 및 불균일하거나 발육이 멎은 성장이다.
선충류를 억제함으로써 식물을 보호하는 방법은 (1) 선충구제제(예: 알디캅) 및 훈증제(예: 메틸 브로마이드)의 사용, (2) 토양 증기의 사용, (3) 특정 작물에 특이적인 선충류에 대해 효과적이지만, 상이한 숙주를 갖는 선충류는 이러한 방법으로 방제할 수 없는 농작물 회전 실행법의 사용, (4) 통상적인 육종 또는 재조합 DNA 공학으로 개발된 선충류 저항성 또는 내성 농작물(유전적으로 변형된 식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이르러, 씨를 뿌리거나 식물을 심기전에 선충류 저항성 또는 내성을 갖는 번식재를 선충구제제로 처리함으로써, 예기치 않게도, 예를 들어, 밭고랑내에서처럼 적용된 선충구제제와 비교하여 우수한 식물 성장 특성을 제공한다는 것 이 밝혀졌다.
따라서, 제1 국면에서, 본 발명은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의 성장 특성, 예를 들어, 수확량 및/또는 생장력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당해 방법은 씨를 뿌리거나 식물을 심기전에 식물의 식물 번식재를 선충구제제 특성을 갖는 농약으로 처리함을 포함한다.
제2 국면에서, 본 발명은 씨를 뿌리거나 식물을 심기전에 선충구제제로 처리된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번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상업적인 규모로 수확되거나 재배되는 식물을 의미하는 작물학적으로 중요한 식물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작물학적 식물(또는 농작물)의 예에는 목화, 옥수수, 곡물(밀, 보리, 호밀 및 쌀 포함), 채소류(과실 채소류, 예를 들어, 토마토, 구근 식물, 잎 식물, 배추과 및 식물 뿌리 포함), 클로버, 콩과 식물(콩, 대두, 완두콩 및 자주개자리 포함), 사탕수수, 사탕 무우, 담배, 평지씨(캐놀라), 해바라기, 잇꽃 및 수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식물 번식재"란 식물의 생식 부분 모두, 예를 들어, 종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고, 이는 종자 및 식물성 식물재, 예를 들어, 절단물 및 덩이줄기(예: 감자)의 증식에 사용될 수 있다. 종자(엄격한 의미에서), 뿌리, 과일, 덩이줄기, 구근, 뿌리줄기, 식물 부분을 언급할 수 있다. 발아후 또는 토양으로부터 발생된 후에 이식되는 발아 식물 및 모종도 또한 언급할 수 있다. 이들 모종은 이식 전에 침지에 의한 전체 또는 부분 처리로 보호될 수 있다.
선충류 저항성 또는 내성 식물은 기타 공지된 민감성 종과 비교할 경우 낮은 수준의 선충류 급식, 재생 및/또는 증가된 수확량을 나타낼 수 있는 식물이다. 따라서, 선충류 저항성 또는 내성 식물은 죽거나 심각한 손상 또는 농작물 손실을 경험하지 않고 선충류 공격 효과를 견딜수 있는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식물은 이러한 내구성을 제공하는 특정 품질(예: 유전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식물 번식재는 식물의 게놈에 하나 이상의 유전자 또는 대립유전자를 도입하여 선충류 저항성 또는 내성을 갖도록 조작되어 온 것들이고, 여기서 도입된 유전자 또는 대립유전자는 선충류 저항성 또는 내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었거나, 도입된 유전자 또는 대립유전자는 선충류 저항성 또는 내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해 식물은 기타 공지된 민감성 종과 비교시 낮은 수준의 선충류 급식, 재생 및/또는 증가된 수확량을 나타낸다. 선충류에 대한 식물로부터 입증된 반응은 선충류의 특정 속, 종 또는 품종에 대해서일 수 있거나,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준의 저항성에서 다른 것 또는 선충류의 다수의 품종, 종 또는 속에 대해서는 아닐 수 있다.
목화씨의 예에는 당근혹선충(Root-Knot nematode)에 대한 저항성을 위해 단일 열성 유전자를 갖는 LA 877(루이지애나로부터의 목화씨 변종)의 형질변환으로부터 유도된 스톤빌 페디그리드 변종(Stoneville Pedigreed variety)인 ST5599BR이 포함된다. 목화에서의 당근혹선충에 대한 완전한 저항성을 위해서는 2개의 유전자가 필요하지만, 하나의 유전자(즉, ST5599BR)가 존재할 경우, 식물은 당근혹선충에 대해 낮은 저항성/내성을 갖는다. 목화씨 변종 NemX는 당근혹선충(멜로이도기네 인코그니타(Meloidogyne incognita)) 형태에 대한 유전자 관련 부분 저항성의 또다른 예이다.
토마토 종자의 예는 Mi 유전자 저항성 종자이다. 특정 토마토 종에서 발견된 Mi 유전자는 토마토 식물 중 Mi 유전자 좌(locus)로부터 유도되는 당근혹선충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한다. 마리나(Marina), 라이코퍼시콘 라이코퍼시쿰(Lycopersicon lycopersicum)은 당근혹선충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Mi 유전자를 갖는 토마토 종자 변종의 일례이다.
콩씨스트선충(soybean cyst nematode(SCN))에 대한 저항성이 도입된 대두 종자의 예가 있다. SCN에 대한 저항성을 암호화하는 다수의 공지된 유전자 좌가 있고, 특이한 대두 유전자형은 특정 SCN 품종에 대한 뚜렷한 반응을 갖는다. SCN에 대해 저항성인 저항성 대립유전자 또는 특이적 유전자의 유전자 좌를 도입하여 일부 콩씨스트선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한다. 흔히 대립유전자는 특이한 품종의 선충류에 대해서는 대두 생식질을 보호하지만 (다른 품종으로부터의) 기타 종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콩씨스트선충에 품종 특이적 저항성을 갖는 대두 종의 예에는 노쓰럽 킹(Northrup King) S26-V6, S29-J6(품종 3에 대해 유효 및 품종 14에 대해 완만하게 유효) 가스트(Garst) 1212RR/N, 1812RR/N(품종 3에 대해 유효 및 품종 14에 대해 유효) 파이오니어(Pioneer) 91M90 및 92M92(품종 1 및 3에 대해 유효) 및 파이오니어(Pioneer) 93B67, 93M50, 9492, 95B53, 97B52, 92M70(품종 5 및 14에 대해 유효) 및 파울러(Fowler) 대두 변종(품종 2, 3 및 5에 대해 유효)이 있다. 동정된 다수 품종의 콩씨스트선충이 있지만, 통상적으로 이들 중 극히 소수만(품종 1, 2, 3, 4, 5 및 14)이 SCN 저항성을 발생시키는데 널리 사용된다.
품종은 소정 세트의 식물 종을 감염시키는 종 및/또는 병원체 그룹(예: 선충류) 내에서 유전적으로 및 흔히 지리학적 명백한 교배 그룹으로서 정의된다. 숙주 특이성에 기인하는 품종 지정을 갖는 다수의 선충 종(멜로이도기네 인코그니타(M. incognita) 품종 3은 목화에 대해서는 병원성이지만 땅콩에 대해서는 아니고, 멜로이도기네 아레나리아(M. arenaria) 품종 1은 땅콩에 대해서는 병원성이지만 목화에 대해서는 아니다) 또는 숙주 내의 종(헤테로데라 글리신(Heterodera glycines) 품종 1은 대두 변종 파이오니어(Pioneer) 92M70을 공격하지만, 대두 변종 파이오니어(Pioneer) 92M92는 공격하지 않는다)이 있다.
한 양태에서, 선충구제제 종자 처리법은 목화씨 변종, 예를 들어, 스톤빌 페디그리드 목화씨 변종 ST5599BR, 및 USDA-ARS 및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에그리컬쳐 익스페리먼트 스테이션(the University of Tennesse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에 의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파울러 대두[글리신 막스(Glycine max)(L.) Merr.](Reg. no. CV-421, PI 613195) 변종에 대해서이다.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은 또한 선충류 공격으로부터 선충류 저항성 또는 내성 식물 또는 이의 번식재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충류에 의한 식물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이러한 선충류의 개선된 억제를 통해 성장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식물의 성장하는(또는 성장) 특성의 개선은 다수의 상이한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식물의 보다 나은 생산물을 얻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 면, 식물의 수확량 및/또는 생장력 또는 식물로부터 수확한 생산물의 품질을 개선시키는 데에서 나타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식물의 "수확량을 개선시킴"이라는 자구는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건하에 생산된 식물의 동일한 생산물의 수확량을 능가하는 측정 가능한 양의 식물의 생산물 수확량 증가에 관한 것이다. 수확량은 약 0.5% 이상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 또는 그 이상이증가한다. 수확량은 특정 기준에 대한 식물의 생산물의 중량 또는 용적량으로 환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은 시간, 성장 면적, 생산된 식물 중량, 사용된 원료의 양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식물의 "생장력을 개선시킴"이라는 자구는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건하에 생산된 식물의 동일한 인자를 능가하는 측정 가능한 또는 현저한 양의 생장력 등급, 임분(stand)(면적 단위당 식물 수), 식물 높이, 초관, 출아(예: 녹엽 색상), 뿌리 등급, 발아 또는 단백질 함량의 증가 또는 개선, 증가된 경작, 보다 큰 잎새, 덜 죽은 근출엽, 보다 강력한 새싹, 보다 감소된 비료 요구량, 보다 감소된 종자 요구량, 보다 생산적인 조작, 보다 이른 개화, 보다 이른 곡물 숙성, 보다 덜한 식물 구부러짐(plant verse)(도복), 증가된 가지 성장률, 보다 이른 발아, 이들 인자의 임의 조합 또는 당업자에게 친숙한 기타 이점에 관한 것이다.
당해 방법이 식물의 "수확량 및/또는 생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하는 경 우, 당해 방법은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식물의 수확량,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식물의 생장력 또는 식물의 수확량과 생장력 둘 다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특별한 이점은 고유의 선충류 저항성/내성을 갖으며 식물의 성장 특성에서 놀라운 개선을 보여주는 선충구제제 처리된 식물 번식재, 예를 들어, 종자가 여전히 고온에서 선충류에 대해 보호된다는 것이다.
선충류 해충의 예는, 예를 들면, 멜로이도기네(Meloidogyne) 종(예: 멜로이도기네 인코그니타(Meloidogyne incognita) 및 멜로이도기네 자바니카(Meloidogyne javanica)); 헤테로데라(Heterodera) 종(예: 헤테로데라 글리신(Heterodera glycines), 헤테로데라 샤크티(Heterodera schachtii), 헤테로도라 아베나에(Heterodora avenae) 및 헤테로도라 트리폴리(Heterodora trifolii)); 글로보데라(Globodera) 종(예: 글로보데라 로스토키엔시스(Globodera rostochiensis)); 라도폴러스(Radopholus) 종(예: 라도폴러스 시밀레스(Radopholus similes)); 로틸렌쿨러스(Rotylenchulus) 종; 프라틸렌쿠스(Pratylenchus) 종(예: 프라틸렌쿠스 네글렉탄스(Pratylenchus neglectans) 및 프라틸렌쿠스 페네트란스(Pratylenchus penetrans); 아펠렌코이데스(Aphelenchoides) 종; 헬리코틸렌쿠스(Helicotylenchus) 종; 호플롤라이머스(Hoplolaimus) 종; 파라트리코도루스(Paratrichodorus) 종; 론기도루스(Longidorus) 종; 나코부스(Nacobbus) 종; 수반구이나(Subanguina) 종; 벨론라이무스(Belonlaimus) 종; 크리코네멜라(Criconemella) 종; 크리코네모이데스(Criconemoides) 종; 디틸렌쿠스(Ditylenchus) 종; 돌리코도루스(Dolichodorus) 종; 헤미크리코네모이데스(Hemicriconemoides) 종; 헤미사이클리오포라(Hemicycliophora) 종; 히르슈마니엘라(Hirschmaniella) 종; 하이프소페린(Hypsoperine) 종; 마크로포스토니아(Macroposthonia) 종; 멜리니우스(Melinius) 종; 푼크토데라(Punctodera) 종; 퀴니술시우스(Quinisulcius) 종; 스쿠텔로네마(Scutellonema) 종; 크시피네마(Xiphinema) 종; 및 틸렌초린쿠스(Tylenchorhynchus) 종을 포함한다.
단일 농약은 하나 이상의 해충 방제 영역에서 활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농약은 살진균제, 살충제 및 선충구제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디캅은 살충제, 진드기 구충제 및 선충구제제 활성에 대해 공지된 반면, 메탐은 살충제, 제초제, 살진균제 및 선충구제제 활성에 대해 공지되어 있고, 티아벤다졸 및 캡탄은 선충구제제 및 살진균제 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내에서 선충구제제, 바람직하게는 식물 번식재 처리 선충구제제는 허용되는 선충류 억제율, 예를 들면, 처리되지 않은(선충구제제 없음) 대조군과 비교하여 선충류 억제에서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개선을 나타내는 농약이다.
식물 번식재를 처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선충구제제의 예는 아바멕틴, 카바메이트 선충구제제(예: 알디캅, 카보푸란, 카보설판, 옥사밀, 알독시캅, 에토프로프 베노밀, 알라니캅), 유기인 선충구제제(예: 헤나미포스, 페나미포스, 펜설포티온, 테르부포스, 포스티아제이트, 디메토에이트, 포스포캅, 디클로펜티온, 이사미도포스, 포스티에탄, 이사조포스, 에토프로포스, 카두사포스, 테르부포스, 클로르피리포스, 디클로펜티온, 헤테로포스, 이사미도포스, 메카폰, 포레이트, 티오나진, 트리아조포스, 디아미다포스, 포스티에탄, 포스파미돈) 및 특정 살진균제, 예를 들어, 캡탄 및 티아벤다졸이 있다. 아바멕틴, 알디캅 또는 옥사밀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선충구제제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식물 번식재는 선충구제제 이외에, 하나 이상의 기타 농약, 예를 들어, 살진균제 및 살충제로 처리될 수 있다.
활성 성분(선충구제제(들))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기타 농약의 균일한 분포 및 종자에의 이의 부착이 번식재, 예를 들어, 종자의 처리 동안 목적시된다. 당해 처리는 식물 번식재, 예를 들어, 종자 상에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제형의 박막으로부터 가변적일 수 있고, 여기서 원래의 크기 및/형상은 두꺼운 필름(예를 들어, 종자의 원래 형태 및/또는 크기가 더이상 인지되지 않는 상이한 재료(예: 담체, 예를 들어, 점토; 기타 활성 성분의 상이한 제형; 중합체; 및 착색제)의 다층에 의한 코팅 또는 펠릿화)으로 인식가능하다.
따라서, 제2 국면에서, 선충구제제는 번식재, 예를 들어, 종자에 부착된다.
본 방법이 임의의 생리학적 상태에서 종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종자는 처리 공정 동안 어떠한 손상도 초래하지 않는 충분히 내구성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종자는 밭에서 수확되고; 식물로부터 분리되고; 옥수수속, 줄기, 겨 및 주위 펄프 또는 기타 비종자 식물재로부터 분리된 종자일 것이다. 당해 종자는 바람직하게는 처리가 종자에 어떠한 생물학적 손상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생물학적으로 안정할 것이다. 처리는 종자의 수확 및 씨 뿌림 사이 또는 씨 뿌림 공정 동안(종자 통제 적용법) 언제라도 종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종자 처리는 뿌려지지 않은 종자에서 일어나고, "뿌려지지 않은 종자"란 용어는 종자의 수확 및, 식물의 발아 및 성장 목적으로 땅에 씨 뿌림 사이의 임의의 기간에서의 종자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뿌려지지 않은 종자에 대한 처리는 농약이 토양에 적용되는 실행법은 포함하지 않지만, 심기 공정 동안 종자를 표적화하는 임의의 적용 실행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는 씨를 뿌리기 전에 수행하여 뿌려진 종자가 예비처리되도록 한다.
농약(예: 선충구제제, 살진균제, 살충제)은 제형 형태이고, 이는 통상의 처리 기술 및 기기, 예를 들어, 유동상 기술, 롤러 밀 방법, 로토스택틱(rotostatic) 종자 처리기 및 드럼 피복기를 사용하여 종자에 적용할 수 있다. 기타 방법, 예를 들어, 분출 상도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종자는 코팅 전에 예비사이징될 수 있다. 코팅 후, 종자를 통상적으로 건조시킨 후 사이징용 사이징기로 옮긴다.
통상의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농축물(예비혼합 조성물 (또는 농축물, 제형화된 화합물(또는 생성물))로서 공지됨)로서 제형화되지만, 최종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임의로 번식재 처리용 하나 이상의 기타 농약 예비-혼합물(탱크 혼합 조성물 (또는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스프레이 배양액, 또는 슬러리)로서 공지됨)을 함유하기도 하는 묽은 제형을 사용하고, 적합하게 제형화된 예비 혼합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선충구제제를 포함하여, 농약 처리용 제형은 임의로, 중합체성 담체 또는 고착제를 사용하여 현탁액, 유액, 용액 또는 분진을 포함하여 각종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형(예비 혼합물 또는 탱크 혼합물)은 또한 선충구제제 및, 임의로 특정 입자 크기의 기타 농약, 제형화 공학에 통상적인 하나 이상의 보조제(또한 보조약으로서 공지됨), 예를 들어, 증량제, 예를 들어, 용매(예: 물) 또는 고체 담체, 또는 표면 활성 화합물(계면활성제)을 본 발명에서 제형 형태로 포함한다.
종자 처리 예비 혼합 제형 형태의 예는 다음과 같다:
WS: 종자 처리 슬러리용 습윤성 분말
LS: 종자 처리용 용액
ES: 종자 처리용 유액
FS: 종자 처리용 현탁액 농축물
WG: 수분산성 과립
CS: 수성 캡슐 현탁액.
탱크 혼합 조성물용으로 적합한 제형 형태의 예는 용액, 묽은 유액, 현탁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분진이다.
탱크 혼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농약, 및 임의로 추가의 보조제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예비 혼합 조성물을 용매(예: 물)로 희석시켜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수성 탱크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종자 처리 적용법을 위한 탱크 혼합 제형은 농약 0.25 내지 80%, 특히 1 내지 75% 및 고체 또는 액체 보조제(예를 들어, 물과 같은 용매 포함) 99.75 내지 20%, 특히 99 내지 25%를 포함하고, 여기서 보조제는 탱크 혼합 제형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40%, 특히 0.5 내지 30%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종자 처리 적용법을 위한 예비-혼합 제형은 농약 0.5 내지 99.9%, 특히 1 내지 95% 및 고체 또는 액체 보조제(예를 들어, 물과 같은 용매 포함) 99.5 내지 0.1%, 특히 99 내지 5%를 포함하고, 여기서, 보조제는 예비-혼합 제형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50%, 특히 0.5 내지 40%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종자 처리 예비-혼합 제형은 수성 현탁액 농축물이다.
다음 예들은 적합한 제형을 예시한다.
제형 실시예
습윤성 분말 a) b) c)
활성 성분 25% 50% 75%
나트륨 리그노설포네이트 5% 5% -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3% - 5%
나트륨 디이소부틸나프탈렌설포네이트 - 6% 10%
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 2% -
(7 내지 8mol의 에틸렌 옥사이드)
고분산된 규산 5% 10% 10%
카올린 62% 27% -
활성 성분을 보조제와 철저히 혼합하고 혼합물을 적합한 밀에서 철저히 분쇄하여 습윤성 분말을 수득하고, 이를 물로 희석하여 목적하는 농도의 현탁액을 수득할 수 있다.
분진 a) b) c)
활성 성분 5% 6% 4%
탤컴 95% - -
카올린 - 94% -
무기 충전제 - - 96%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분진은 활성 성분을 담체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적합한 밀에서 분쇄함으로써 수득된다. 이러한 분말은 종자용 건조 드레싱에 사용될 수 있다.
현탁액 농축물 a) b)
활성 성분 5% 30%
프로필렌 글리콜 10% 10%
트리스티릴페놀 에톡실레이트 5% 6%
나트륨 리그노설포네이트 - 10%
카복시메틸셀룰로즈 - 1%
실리콘 오일(물 중의 75% 유액 형태로) 1% 1%
착색 안료 5% 5%
물 74% 37%
미분된 활성 성분을 보조제와 긴밀하게 혼합하여 현탁액 농축물을 수득하고, 이를 물로 희석하여 목적하는 희석도의 현탁액을 수득할 수 있다. 또는, 활성 성분 및 보조제(물 포함)의 현탁액을 비드-밀로 습식 분쇄하여 적합한 처리 특성을 갖는 안정한 제형을 달성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아바멕틴 선충구제제는 수성 현탁액과 같은 현탁액 농축물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선충구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종자당 활성 성분 0.01 내지 2mg,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mg, 특히 0.1 내지 0.8mg으로 종자 상에 처리한다. 구체적인 비율은 종자 및 선충구제제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로서, 아바멕틴은 종자당 활성 성분 0.1 내지 0.2mg으로 목화씨 상에, 종자당 활성 성분 0.3 내지 0.6mg으로 토마토 종자 상에, 및 종자당 활성 성분 0.1 내지 0.2mg으로 대두 종자 상에 처리된다.
본 발명의 처리된 식물 번식재는 통상의 식물 번식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처리된 종자는 임의의 기타 농약 처리된 종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저장되고, 취급되고, 씨뿌려지고, 경작될 수 있다.
종자 처리 선충구제제, 예를 들어 아바멕틴의 작용은 상당히 개선되어 농업에서 사용되는 기타 종자 처리 선충구제제 화합물(상기한 예들)를 사용하여 주어진 환경에 순응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성장 특성은 처리시 번식재에 하나 이상의 기타 농약을 도입함으로써 추가로 개선시킬 수 있고, 이는 기타 해충, 예를 들어, 질병 및 벌레를 억제할 수 있다.
예비-혼합물, 탱크 혼합물 또는 번식재(예: 종자) 상에 선충구제제와 배합물로 사용되는 기타 농약의 적합한 예는 트리아졸 유도체, 스트로빌루린, 카바메이트(티오카바메이트 포함), 벤즈이미다졸(티아벤다졸), N-트리할로메틸티오 화합물(캡탄), 치환된 벤젠, 카복스아미드, 페닐아미드 및 페닐피롤, 및 이들의 혼합물; 및 네오니코티노이드, 카바메이트 및 피레트로이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는 아세페이트(2), 아세트아미프리드(4), 알파-시아퍼메트린(202), 아진포스-메틸(45), 비펜트린(76), 카바릴(115), 카복신(120), 카보푸란(118), 카보설판(119), 클로르피리포스(145), 클로티아니딘(165), 사이로마진(209), 델타메트린(223), 디메토에이트(262), 에마멕틴 벤조에이트(291), 엔도설판(294), 피프로닐(354), 푸라티오캅(412), 감마-HCH(430), 이미다클로프리드(458), 이소펜포스, 메티오캅(530), 오메토에이트(594), 테플루트린(769), 티아메톡삼(792), 티아클로프리드(791), 티오디캅(799), 아족시스트로빈(47), 피라클로스트로빈(690), 베노밀(62), 베날락실(56), 비테르타놀(84), 캡탄(114), 카벤다짐(116), 카복신(120), 클로로탈로닐(142), 구리 염(예: 황산구리(172), 산화제1구리(181), 보르도액(87), 수산화구리(169), 황산구리(삼염기성)(173), 옥시염화구리(171) 및 구리 옥타노에이트(170)), 사이목사닐(200), 사이프로코나졸(207), 사이프로디닐(208), 디페노코나졸(247), 디목시스트로빈, 디니코나졸(267), 에티리몰, 파목사돈(322), 페녹사닐(338), 플루옥사스트로빈, 페나미돈(325), 펜헥사미드(334), 펜피클로닐(341), 플루아지남(363), 플루퀸코나졸(385), 플루톨라닐(396), 포세틸-알루미늄(407), 후베리다졸(409), 구아자틴(422), 헥사코나졸(435), 하이멕사졸(447), 아마잘릴(449), 이프로디온(470), 만코젭(496), 만넵(497), 메탈락실(516), 메탈락실-M(517), 메트코나졸(525), 마이클로부타닐(564), 누아리몰(587), 실티오팜(729), 옥사딕실(601), 옥신-구리(605), 옥솔린산(606), 펜사이쿠론(620), 프로클로라즈(659), 프로사이미돈(660), 피리메타닐(705), 프로피코나졸(675), 피라클로스트로빈(690), 피로퀼론(710), 퀸토젠(716), 테부코나졸(761), 테트라코나졸(778), 티아벤다졸(790), 티오파네이트-메틸(802), 티람(804), 트리아디메놀(815), 트리아족사이드(821), 트리티코나졸(842), 트리플록시스트로빈(832), 피콕시스트로빈(647), 이프코나졸(468), 및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입체이성체 및 입체이성체의 혼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토오토머를 포함하는 오르토-사이클로프로필-카복스아닐리드 유도체이다:
Figure 112007061719678-pct00001
.
상기 화학식에서,
Rx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디플루오로메틸이고,
Ry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Rx가 디플루오로메틸이고 Ry가 수소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Rx가 디플루오로메틸이고 Ry가 수소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을 나타내는 라세미 화합물의 함량이 65 내지 99중량%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에마멕틴 벤조에이트(291), 메탈락실-M(517), 피프로닐(354), 티아메톡삼(792), 디페노코나졸(247), 아족시스트로빈(47), 플루디옥소닐, 실티오팜(729), 테플루트린(769), 이미다클로프리드(458), 티아클로프리드(791), 클로티아니딘(165), 티아벤다졸(790) 및 마이클로부타닐(564)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혼합 파트너는 메탈락실(516), 메탈락실-M(517), 티아메톡삼(792), 디페노코나졸(247), 플루디옥소닐, 아족시스트로빈(47), 실티오팜(729), 테플루트린(769), 이미다클로프리드(458), 클로티아니딘(165), 마이클로부타닐 및 티아벤다졸(790)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종자 처리 선충구제제의 작용은 상당히 개선되어 농업에서 사용되는 기타 선충구제제 화합물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씨를 뿌리거나 식물 번식재를 심는 서식지에, 심기 전 또는 성장 동안 기타 선충구제제의 적용에 의해 주어진 환경에 순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선충구제제 적용의 예는 다음 4개의 뚜렷한 그룹에 속한다: 1) 심기에서 밭고랑 내 적용된 선충구제제(예를 들어, 목화에서 테미크(Temik) 15G 형태의 알디캅이 심었을 때 밭고랑에 적용된 생산물 5 내지 7lbs/a의 비율로 적용된다); 2) 식물 발아후 측면 시비 적용된 선충구제제(예를 들어, 높은 선충 침입률을 갖는 지역에서 테미크 15G는 또한 목화 전개의 2차 단계 내지 8차 진엽 단계 동안 적용될 수 있다); 3) 잎 적용된 선충구제제(예를 들어, 비데이트(Vydate)(옥사밀) 형태의 옥사밀은 식물 발아후 잎 스프레이로서 적용되어 선충류로부터 식물을 보호할 수 있다); 및 4) 토양 훈증(예를 들어, 메틸 브로마이드 및 텔론(1,3-디클로로프로펜)을 사용하여 심각하게 선충 감염된 토양을 훈증시킬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목화씨를 성장시켜 (1) 토양 처리 및 (2) 종자 처리의 상이한 선충구제제 처리와 비교한다:
(1) 토양 처리- 종자 상에 살진균제 및 살충제: 종자 처리(a), 알디캅을 밭고랑(심었을 때)에 활성 성분 360g/a(테미크 15G의 생성물 5lbs와 유사함)의 비율로 적용,
(2) 종자 처리- 종자 상에 아바멕틴과 살진균제 및 살충제 배합물: 종자 처리(b).
종자 처리(a):
종자 처리 제형은 3.32% 메페녹삼(CAS# 70630-17-0), 1.11% 플루디옥소닐(CAS# 131341-86-1) 및 6.64% 아족시스트로빈(CAS# 131860-33-8)을 함유하는 살진균제 농축물 및 47.6% 티아메톡삼을 함유하는 살충제 농축물을 담체로서의 물속에서 희석시켜 제조한다. 이 제형 희석물을 주위 온도에서 1 내지 2분 동안 각각의 개별 종자 당 활성 성분(살진균제 및 살충제 종자 처리의 조합) 0.37mg의 비율로 헤지(Hege) 종자 처리기(헤지) 내에서 공지된 당근혹선충 내성 목화씨 약 1kg에 적용한다. 처리된 종자를 통풍 건조시키고, 적하시키고 심기전 주위 온도에서 저장한다(약 2주).
종자 처리(b):
상기한 살충제 및 살진균제의 제형(종자 처리(a)에서)을 담체로서의 물 속에서 46.3% 아바멕틴을 함유하는 아바멕틴 농축물과 합한다. 티아메톡삼, 메페녹삼, 플루디옥소닐, 아족시스트로빈 및 아바멕틴을 종자당 활성 성분 0.52mg의 전체 비율로 적용한다. 살진균제 및 살충제를 (a)에서 제시된 비율로 적용하고, 아바멕틴을 종자당 활성 성분 0.15mg의 비율로 적용한다. 이 제형 희석물을 주위 온도에서 1 내지 2분 동안 헤지 종자 처리기 중에서 (a)에서 사용된 목화씨 약 1kg에 적용한다. 처리된 종자를 통풍 건조시키고, 적하시키고 심기전 주위 온도에서 저장한다(약 2주).
당근혹선충 내성을 갖는 목화씨를 사용하여 처리(1) 및 (2)를 비교한다. 목화씨를 종자 처리(a) 및 (b)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제형으로 처리한 후, 종자를 랜덤한 완전 블록 배치로 4열(열 간격 36in) ×50ft 치수의 플롯에 심는다(1ft당 4개 종자). 실험 면적 내의 밭 토양은 심기전에 당근혹선충으로 오염시키고/감염시킨다. 결과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처리 목화씨 수확량(lbs/a) 평균 균혹 등급*
1. 선충구제제 처리된 토양 (밭고랑내 적용에서 알디캅과 함께 살충제 및 살진균제 처리된 종자) 2441 2.9
2. 선충구제제 처리된 종자(살충제, 살진균제, 아바멕틴 처리된 종자) 2956 2.4
* 균혹 등급은 1 내지 6 규모를 사용하고, 여기서 1은 균혹 없음, 2는 식물당 1 내지 2개 균혹 있음, 3은 식물당 3 내지 10개 균혹 있음, 4는 식물당 11 내지 30개 균혹 있음, 5는 식물당 31 내지 100개 균혹 있음, 6은 식물당 100개 초과의 균혹 있음
데이터는 심기전 선충구제제로 처리된 선충류 내성 종자(처리(2))로부터의 농작물 수확량이 심었을 때(즉, 씨뿌린 후) 선충구제제 처리한 상응하는 종자(처리(1))보다 우수하다(수확량 17.4% 증가)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종자 처리 선충구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처리(처리 1)보다 종자 처리 선충구제제를 사용한 선충류 저항성 종에서 보다 적은 균혹(17.2% 감소)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
대두 종자를 성장시켜 특정 품종의 콩씨스트선충(SCN)에 저항성인 종자와 SCN에 저항성이 아닌 종자 사이의 선충구제제 종자 처리법을 비교한다.
두 세트의 종자를 하기 기술되는 종자 처리(c) 및 (d)로 처리한다.
종자 처리(c):
종자 처리 제형은 1.07% 메페녹삼(CAS# 70630-17-0) 및 0.73% 플루디옥소닐(CAS# 131341-86-1)을 함유하는 살진균제 농축물을 담체로서의 물속에서 희석시켜 제조한다. 이 제형 희석물을 주위 온도에서 1 내지 2분 동안 종자 100kg당 활성 성분(살진균제의 배합물) 6.5g의 비율로 헤지 종자 처리기(헤지) 내에서 종자 약 1kg에 적용한다. 처리된 종자를 통풍 건조시키고, 적하시키고 심기전 주위 온도에서 저장한다(약 2주).
종자 처리(d):
상기한 제형 살진균제(종자 처리(c)에서)를 담체로서의 물 속에서 46.3% 아바멕틴을 함유하는 아바멕틴 농축물과 합한다. 메페녹삼 및 플루디옥소닐 및 아바멕틴을 살진균제에 대해서는 종자 100kg당 활성 성분 6.5g의 전체 비율로, 아바멕틴의 경우에는 종자당 활성 성분 0.10mg의 비율로 적용한다. 이 제형 희석물을 주위 온도에서 1 내지 2분 동안 헤지 종자 처리기 중에서 종자 약 1kg에 적용한다. 처리된 종자를 통풍 건조시키고, 적하시키고 심기전 주위 온도에서 저장한다(약 2주).
종자를 랜덤한 완전 블록 배치로 4열(열 간격 36in) ×50ft 치수의 플롯에 심는다(1ft당 4개 종자). 실험 면적 내의 밭 토양은 심기전에 콩씨스트선충으로 오염시키고/감염시킨다. 결과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종자 형태 처리 수확량(lbs/a) 뿌리당 씨스트 수*
선충류 민감성 종자
처리(c) 2640 615
처리(d) 2520 411
SCN 저항성 종자
처리(c) 2685 0
처리(d) 2760 0
* 뿌리 영역에서 콩씨스트 수
표 2의 데이터는 종자 처리 선충구제제로 처리된 저항성 종자(처리(d))가 가장 큰 수확량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수확량에서의 이러한 증가는 SCN의 재생에 의해 유도되는 징후가 0일 경우에도 일어난다. 당해 데이터는 종자 처리 선충구제제가 수확에 필요한 식물의 필요 에너지를 박탈하는 선충류의 초기 도입을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처리(c)(살진균제 유일)에서, 고유 SCN 저항성을 갖는 대두 종자는 씨스트 형성의 성공적인 재생을 제한하지만, 초기 감염 공정을 제한하지는 않을 것이다. 종자 처리로서 선충구제제를 도입하면 감염 전에 뿌리 영역 외부에서 SCN을 사멸한다. 추가로 그리고 놀랍게도, 선충류 저항성 종자에 대한 선충구제제 종자 처리(처리(d))는 선충구제제가 없는 경우(즉, 살진균제 유일 종자 처리(c))와 비교하여 개선된 수확량을 제공하는 반면, 민감성 종자에 대한 선충구제제 종자 처리(처리(d))는 살진균제 유일 종자 처리(c))보다 적은 수확량을 제공한다.

Claims (9)

  1. 식물의 식물 번식재를 아바멕틴으로 처리함을 포함하여,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의 성장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번식재가 하나 이상의 추가의 농약으로 추가로 처리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의 농약이 살진균제, 살충제 및 선충구제제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추가의 농약이 하나 이상의 트리아졸계 살진균제, 스트로빌루린계 살진균제, 카바메이트계 선충구제제, 벤즈이미다졸계 선충구제제, N-트리할로메틸티오계 살진균제, 치환된 벤젠계 살진균제, 카복스아미드계 살진균제, 페닐아미드계 살진균제, 페닐피롤계 살진균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 또는 유기인계 선충구제제인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추가의 농약이 하나 이상의 에마멕틴 벤조에이트(291), 메탈락실-M(517), 피프로닐(354), 티아메톡삼(792), 디페노코나졸(247), 아족시스트로빈(47), 플루디옥소닐, 실티오팜(729), 테플루트린(769), 이미다클로프리드(458), 티아클로프리드(791), 클로티아니딘(165), 티아벤다졸(790) 또는 마이클로부타닐(564)인 방법.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목화, 옥수수, 곡물, 채소류, 클로버, 콩과 식물, 사탕수수, 사탕 무우, 담배, 평지씨, 해바라기, 잇꽃 및 수수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번식재가 종자인 방법.
  9. 아바멕틴으로 처리된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번식재.
KR1020077019466A 2005-02-24 2006-02-22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성장을 개선시키는 방법 KR101254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604205P 2005-02-24 2005-02-24
US60/656,042 2005-02-24
PCT/EP2006/001615 WO2006089733A2 (en) 2005-02-24 2006-02-22 Method of improving nematode tolerant or resistant plant grow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198A KR20080019198A (ko) 2008-03-03
KR101254497B1 true KR101254497B1 (ko) 2013-04-19

Family

ID=3671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466A KR101254497B1 (ko) 2005-02-24 2006-02-22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성장을 개선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20090054234A1 (ko)
EP (2) EP2269450A3 (ko)
JP (1) JP5026991B2 (ko)
KR (1) KR101254497B1 (ko)
CN (2) CN101128111B (ko)
AP (1) AP2471A (ko)
AR (1) AR053022A1 (ko)
AT (1) ATE544341T1 (ko)
AU (1) AU2006218063B2 (ko)
BR (1) BRPI0607259A2 (ko)
CA (1) CA2599446C (ko)
DK (1) DK1850662T3 (ko)
EA (1) EA014662B1 (ko)
ES (1) ES2381680T3 (ko)
IL (1) IL184723A0 (ko)
MA (1) MA29241B1 (ko)
MX (1) MX2007009958A (ko)
NZ (1) NZ560411A (ko)
PL (1) PL1850662T3 (ko)
PT (1) PT1850662E (ko)
TN (1) TNSN07321A1 (ko)
TW (1) TWI374009B (ko)
UA (1) UA93042C2 (ko)
WO (1) WO2006089733A2 (ko)
ZA (1) ZA2007064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33245A (en) * 2006-10-09 2008-08-16 Syngenta Participations Ag Pesticidal combinations
EP1925204A1 (en) * 2006-11-23 2008-05-28 Syngeta Participations AG Plant propagation material treatment nematicides
EP1925205A1 (en) * 2006-11-23 2008-05-28 Sygenta Participations AG. Plant propagation material treatment nematicides
WO2008110274A2 (en) * 2007-03-09 2008-09-18 Syngenta Participations Ag Ternary fungicidal compositions
TWI479995B (zh) 2007-08-13 2015-04-11 孟山都科技有限責任公司 控制植物寄生性線蟲的方法及以其處理過之種子
CN101180969B (zh) * 2007-12-03 2011-04-20 于建垒 噻唑膦·阿维菌素杀线虫颗粒剂
GB0801589D0 (en) * 2008-01-29 2008-03-05 Syngenta Participations Ag Mollusicide
CN103298341B (zh) * 2010-09-22 2016-06-08 拜耳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活性成分在抗线虫作物中用于防治线虫的用途
CN102334509B (zh) * 2011-10-31 2015-02-04 联保作物科技有限公司 一种杀虫防病悬浮种衣剂
CN102334508B (zh) * 2011-10-31 2013-10-16 联保作物科技有限公司 一种杀虫防病悬浮种衣剂
JP2013119537A (ja) * 2011-12-08 2013-06-17 Sumitomo Chemical Co Ltd 有害生物の防除方法
EP2622961A1 (en) * 2012-02-02 2013-08-07 Bayer CropScience AG Acive compound combinations
CN103109849B (zh) * 2012-06-01 2014-08-06 北京明德立达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噻唑膦杀虫剂组合物及其应用
UA118254C2 (uk) 2012-12-04 2018-12-26 Монсанто Текнолоджи Ллс Нематоцидні водні композиції концентрату суспензії
CN104206410A (zh) * 2014-04-30 2014-12-17 广东中迅农科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噻唑膦和苯醚甲环唑的农药组合物
CN105409506B (zh) * 2015-11-09 2018-07-13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防治作物根结线虫病的甘蔗叶堆肥的制备及其防治方法
CN106508922A (zh) * 2016-10-25 2017-03-22 河北昊阳化工有限公司 一种杀灭地下害虫、线虫的药肥混配组合物
CN106665206A (zh) * 2016-12-09 2017-05-17 河池市农业科学研究所 一种预防甘蔗钻心虫的方法
CN111670716B (zh) * 2020-07-28 2022-04-19 华南农业大学 一种模拟相似穿孔线虫与烟草互作模式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8462A (ja) * 1999-09-08 2003-03-04 バイエ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種子表面被覆剤調合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4006A (en) * 1990-04-05 1998-11-10 Dow Agrosciences Llc Latex-based agricultural compositions
GB9916052D0 (en) * 1999-07-08 1999-09-08 Pfizer Ltd Anthelmintic compositions
DE10203688A1 (de) * 2002-01-31 2003-08-07 Bayer Cropscience Ag Synergistische insektizide Mischungen
DE10207242A1 (de) * 2002-02-21 2003-09-04 Bayer Cropscience Ag Synergistische insektizide Mischungen
AU2004317816B2 (en) * 2004-03-16 2010-12-23 Syngenta Participations Ag Pest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seed treatment
BRPI0511847B1 (pt) * 2004-06-07 2014-09-16 Syngenta Participations Ag Métodos de reduzir o dano ao material de propagação da planta e órgãos de planta e de melhorar o controle de pragas que habitam o solo direcionado a uma planta por um pesticid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8462A (ja) * 1999-09-08 2003-03-04 バイエ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種子表面被覆剤調合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 Sci. Vol.95, p.293-304(198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53022A1 (es) 2007-04-18
ATE544341T1 (de) 2012-02-15
EP1850662B1 (en) 2012-02-08
AP2007004108A0 (en) 2007-08-31
AU2006218063A1 (en) 2006-08-31
DK1850662T3 (da) 2012-05-21
CA2599446C (en) 2013-12-24
JP2008531512A (ja) 2008-08-14
PT1850662E (pt) 2012-05-09
TWI374009B (en) 2012-10-11
AU2006218063B2 (en) 2011-10-20
CA2599446A1 (en) 2006-08-31
JP5026991B2 (ja) 2012-09-19
PL1850662T3 (pl) 2012-07-31
KR20080019198A (ko) 2008-03-03
US20090054234A1 (en) 2009-02-26
IL184723A0 (en) 2008-12-29
CN101128111A (zh) 2008-02-20
ES2381680T3 (es) 2012-05-30
TW200640370A (en) 2006-12-01
TNSN07321A1 (en) 2008-12-31
EP2269450A3 (en) 2011-03-09
EP1850662A2 (en) 2007-11-07
MX2007009958A (es) 2007-09-26
UA93042C2 (ru) 2011-01-10
EA200701614A1 (ru) 2008-02-28
WO2006089733A2 (en) 2006-08-31
CN101911875A (zh) 2010-12-15
AP2471A (en) 2012-09-21
MA29241B1 (fr) 2008-02-01
ZA200706426B (en) 2008-07-30
WO2006089733A3 (en) 2007-05-31
EP2269450A2 (en) 2011-01-05
BRPI0607259A2 (pt) 2009-08-25
EA014662B1 (ru) 2010-12-30
CN101128111B (zh) 2013-01-30
NZ560411A (en) 200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97B1 (ko) 선충류 내성 또는 저항성 식물 성장을 개선시키는 방법
JP2008531512A5 (ko)
EP1925204A1 (en) Plant propagation material treatment nematicides
BR112013030068B1 (pt) composição de controle biológico na forma de um grânulo dispersível em água e método para redução da contaminação de aflatoxina de uma colheita agrícola
US20080287294A1 (en) Method of Mollusc Control
CN106172443B (zh) 含有乙虫腈和特定氨基甲酸酯的农药化合物混合物
Joshi et al. The potency of chemical insecticides in management of cutworm, Agrotis ipsilon Hufnagel (Noctuidae: Lepidoptera): A review
KR20080071998A (ko) 살선충성 조성물 및 방법
US20120031313A1 (en) Low dose methods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US2011023047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phid pests on plants
EP1925205A1 (en) Plant propagation material treatment nematicides
RU2383124C2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качества собранных семян
Barad et al. Bio-efficacy of some insecticides against hoppers in rice
Ali et al. SELECTIVITY OF CERTAIN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THE CABBAGE APHID Brevicoryne brassicae (L.) And Their Effect On Some Predatory Insects On CAULIFLOWER FIELDS IN EL-MINIA REGION-UPPER EGYPT.
CN107668054A (zh) 一种杀线虫剂组合物及其使用方法
SA06270027B1 (ar) طريقة لتحسين نمو نبات يتحمل أو يقاوم الديدان الخيطية
CA3190488A1 (en) Bioinsecticide
UA121474C2 (uk) Спосіб контролю шкідників-нематод
WO2024084345A1 (en) Pest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thiamethoxam, chlorothalonil and fluxapyroxad
EA041287B1 (ru) Состав инсектицидного протравителя семян для защиты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CN112825865A (zh) 一种杀虫组合物及其应用、杀虫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