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477B1 -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477B1
KR101254477B1 KR1020130010964A KR20130010964A KR101254477B1 KR 101254477 B1 KR101254477 B1 KR 101254477B1 KR 1020130010964 A KR1020130010964 A KR 1020130010964A KR 20130010964 A KR20130010964 A KR 20130010964A KR 101254477 B1 KR101254477 B1 KR 10125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fabric
central portion
ha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신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진 filed Critical 신동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는 복수개의 원단에 의해 제작되는 모자 본체와 상기 모자 본체의 전면 에 재봉되어 고정 부착되며 챙심의 상부와 하부에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이 구성된 챙부로 이루어지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부는 챙심이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에 접이부각 각각 위치하도록 3조각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중앙부 및 접이부는 상하면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이 위치하고, 중앙부의 테두리 및 중앙부와 접하는 접이부의 가장자리 면에는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1테두리원단이 재봉되어 구성되고,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마감원단이 중앙부와 접이부의 하부원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와 부착되지 않은 전체 가장자리를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에 접이부의 상부원단과 마감원단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2테두리원단이 재봉되어 형성되어, 챙부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의 접이부가 접혀지도록 구성되어, 챙을 작은크기로 매우 용이하게 접어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주머니 등의 좁은 공간에도 넣어 다닐 수 있으며, 다시 모자를 착용할 때에 챙이 구겨지지 않고 모자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착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Cap with a folded visor}
본 발명은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 본체와 모자 본체의 전면에 결합구성된 챙부로 이루어지는 모자에 있어서, 챙부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모자 본체와 .모자 본체의 전면부에 결합구성되는 챙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챙부는 내부의 챙심이 딱딱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모자를 가방이나 주머니 등 좁은 공간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모자의 챙부를 구부려 보관하여야 했기 때문에 모자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363349호 "접이식 썬켑(모자)" (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이마부분(B)과 차양부분이(A) 맞닫게 앞으로 접어조작 하는 접이식 모자로써 이마부위(B)와 차양부위(A) 가 붙어 있으며 일정각도로 접혀있는 차양 절접선(A-1)과 양쪽 차양날개 끝부분이 {절접사선(F-1)} , 또 일정각이 밖으로 접혀있고, 이마끝 부위속지 B-1)와 이마끝부분 (B-2)사이에 별도의 조절 끈(C) 한쪽에만 끼워서 같이리벳 (사출물)로(D) 결합조립 되있으며 또 다른 한쪽은 이마부 끝 속지에 걸림단이 있고(B-5) 이마끝 부분 (D-1)와 차양끝부분이 리벳 조립되어 있으며 차양 정 중앙 절접선(E).과 양쪽 차양날개 끝부분이 절접사선(F-1)사이을 지나는 중앙 절접선과 수평을 이루는 절접선(F2)이 있는 것을 구성 하는 것이 특징인 접이식 모자"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모자를 접기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접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363349호 "접이식 썬켑(모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자의 챙을 작은크기로 매우 용이하게 접어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주머니 등의 좁은 공간에도 넣어 다닐 수 있으며, 다시 모자를 착용할 때에 챙이 구겨지지 않고 모자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착용할 수 있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원단에 의해 제작되는 모자 본체와 상기 모자 본체의 전면 에 재봉되어 고정 부착되며 챙심의 상부와 하부에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이 구성된 챙부로 이루어지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부는 챙심이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에 접이부각 각각 위치하도록 3조각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중앙부 및 접이부는 상하면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이 위치하고, 중앙부의 테두리 및 중앙부와 접하는 접이부의 가장자리 면에는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1테두리원단이 재봉되어 구성되고,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마감원단이 중앙부와 접이부의 하부원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와 부착되지 않은 전체 가장자리를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에 접이부의 상부원단과 마감원단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2테두리원단이 재봉되어 형성되어, 챙부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의 접이부가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중앙부의 양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성되고, 중앙부와 맞닿는 접이부의 측면은 중앙부의 볼록한 면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중앙부의 하단부 마감원단의 하부와 모자 본체의 내측면의 후방 하단에는 각각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수단이 결합구성되어, 모자 본체를 접어 결합수단을 중앙부 하단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결합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자 본체의 테두리는 아이스필 처리한 아이스필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자 본체의 테두리는 쿨 맥스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는 챙을 작은크기로 매우 용이하게 접어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주머니 등의 좁은 공간에도 넣어 다닐 수 있으며, 다시 모자를 착용할 때에 챙이 구겨지지 않고 모자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착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챙부(2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의 접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챙부를 제조단계별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1)는 복수개의 원단에 의해 제작되는 모자 본체(100)와 상기 모자 본체(100)의 전면 에 재봉되어 고정 부착되며 챙심의 상부와 하부에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이 구성된 챙부(200)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모자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챙부(200)의 챙심이 상기 챙부(200)는 챙심이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의 양측에 접이부(212)각 각각 위치하도록 3조각으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중앙부(211)를 중심으로 접이부(212)가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챙부(20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챙부를 제조단계별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챙부(200)는 챙심이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의 양측에 접이부(212)각 각각 위치하도록 3조각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중앙부(211) 및 접이부(212)는 상하면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이 위치하고, 중앙부(211)의 테두리 및 중앙부(211)와 접하는 접이부(212)의 가장자리 면에는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1테두리원단(250)이 재봉되어 구성되고,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마감원단(260)이 중앙부(211)와 접이부(212)의 하부원단(2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100)와 부착되지 않은 전체 가장자리를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의 양측에 접이부(212)의 상부원단(230)과 마감원단(260)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2테두리원단(270)이 재봉되어 형성되어, 챙부(200)가 중앙부(211)를 중심으로 양측의 접이부(212)가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챙부(200)는 챙심이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의 양측에 접이부(212)각 각각 위치하도록 3조각으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분할된 중앙부(211) 및 접이부(212)는 상하면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이 위치하고, 중앙부(211)의 테두리 및 중앙부(211)와 접하는 접이부(212)의 가장자리 면에는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1테두리원단(250)이 재봉되어 구성된다.
즉, 제1테두리원단(250)은 모자 본체(100)와 결합된 부분과, 접이부(212) 중 중앙부(211)와 접하지 않는 부분에는 구성되지 않는다. 제1테두리원단(250)이 구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후술하는 제2테두리원단(270)이 재봉되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중앙부(211)와 접이부(212)로 이루어지는 챙심은 챙심 전체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마감원단(260)이 중앙부(211)와 접이부(212)의 하부원단(2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100)와 부착되지 않은 전체 가장자리를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의 양측에 접이부(212)의 상부원단(230)과 마감원단(260)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2테두리원단(270)이 재봉되어 형성된다.
즉, 마감원단(260)은 챙심의 하부원단(240)의 하부에만 구성되고, 챙심의 상부원단(230)의 상부에는 구성되지 않는다, 이는 챙심을 접을 때, 하부로만 접혀지도록 하고, 상부로는 접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챙부(200)가 챙심의 중앙부(211)를 중심으로 양측의 접이부(212)가 하부로 접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부(211)의 양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성되고, 중앙부(211)와 맞닿는 접이부(212)의 측면은 중앙부(211)의 볼록한 면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부(211)의 양측면을 볼록하게 구성하면, 챙부(200)를 지지하는 중앙부(211)의 면적을 최대한 넓힐 수 있어, 챙부(200)를 여러번 접었다 펴더라도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211)의 양측면에 접하는 접이부(212)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챙부(200)는 전체적으로 전면부가 좁고 후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앙부(211)의 양측면의 접이부(212)의 전면부를 최대한 좁힐 수 있어, 챙부(2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챙부(200)의 양측에 해당하는 접이부(212)를 위치시키고, 접이부(212)의 상부에 상부원단(230)을 구성하고, 하부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원단(240)을 구성한다.
이후, 접이부(212)의 내측 단부에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1테두리원단(250)이 재봉되어 구성한다.
이후, 중앙부(211)에는 상하면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이 위치시키고, 양단부에 제1테두리원단(250)을 재봉하여 결합한다.
이후,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마감원단(260)이 중앙부(211)와 접이부(212)의 하부원단(2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100)와 부착되지 않은 전체 가장자리를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의 양측에 접이부(212)의 상부원단(230)과 마감원단(260)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2테두리원단(270)이 재봉되어 형성되어, 챙부(200)가 중앙부(211)를 중심으로 양측의 접이부(212)가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의 접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챙부(200)의 중앙부(211)를 중심으로 양측의 접이부(212)를 접게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의 저면에서 보게 되면, 챙부(200)의 중앙부(211)를 중심으로 양측의 접이부(212)가 180도 접혀져 중앙부(211)와 겹쳐져 접이부(212)의 후면에 봉제되어 결합된 모자 본체(100)도 접혀지게된다.
이렇게 챙부(200)의 크기를 최대한 줄이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모자 본체(100)의 후면을 180도 접어서 챙부(200)와 겹쳐지도록 하면 모자의 크기를 최소로 할 수 있어, 휴대가 매우 간편한 것이다.
이때, 상기 중앙부(211)의 하단부 마감원단(260)의 하부와 모자 본체(100)의 내측면의 후방 하단에는 각각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수단(310)(320)이 결합구성되어, 모자 본체(100)를 접어 결합수단(310)을 중앙부(211) 하단에 형성된 결합수단(320)에 결합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챙부(200)의 접이부(212)를 중앙부(211)와 겹치도록 접고, 다시 모자 본체(100)를 모자 본체(100)를 접어서 챙부(200)와 겹쳐지도록 할수 있지만, 챙부(200)와 접혀진 모자 본체(100)를 구속할 수단이 없어 접혀진 부분이 풀릴 수 있기 때문에, 접혔을 때 상호 구속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결합수단(310)(320)은 모자 본체(100)를 접었을 때 챙부(200)와 접하는 부분에 각각 구성하도록 한다.
결합수단(310)(320)은 후크, 똑딱이 단추, 벨크로 등 다양한 공지의 결합수단을 사용할 수 있지만, 모자를 접을때 가장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벨크로가 바람직하다.
또한, 모자 본체(100) 내측 하단에 테두리(110)는 사용자의 이마가 직접 닿는 부분이며, 이를 아이스필(ICEFIL) 처리한 아이스필 원단으로 구성하거나 쿨맥스 원단으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스포츠 아웃도어웨어에 주로 사용되는 아이스필 원단은 태양의 열적외선 차단가공과 자일리톨 성분을 가공해 땀이 자일리톨과 반응할 때 -3℃ 정도의 체열을 발산하도록 하는 기능성 후가공 기법이다.
무더운 여름철에 일상생활을 하거나 스포츠, 레저 활동을 하게 되면, 땀을 흘리는 양이 많아지게 된다. 이때 발생된 땀을 빨리 증발시키지 않으면 불쾌감을 줄뿐 아니라, 더울 때는 체온을 계속 상승시키고 추울 때는 체온을 하강시켜 신체가 최대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쿨 맥스(cool max)’ 원단은 피부로부터 땀을 빠른 속도로 흡수/증발시켜 계절에 관계없이 최적의 체온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365일 언제나 항상 시원하고 상쾌하며, 신체가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모자 본체(100)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밀착되는 부분에 쿨 맥스 원단으로 구성된 테두리(110)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는 챙을 작은크기로 매우 용이하게 접어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주머니 등의 좁은 공간에도 넣어 다닐 수 있으며, 다시 모자를 착용할 때에 챙이 구겨지지 않고 모자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착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100 : 모자 본체
200 : 챙부 211 : 중앙부
212 : 접이부 230 : 상부원단
240 : 하부원단 250 : 제1테두리원단
260 : 마감원단 270 : 제2테두리원
310, 320 : 결합수단

Claims (6)

  1. 복수개의 원단에 의해 제작되며, 내측 하단부에 테두리(110)가 형성된 모자 본체(100)와 상기 모자 본체(100)의 전면에 재봉되어 고정 부착되며 챙심의 상부와 하부에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이 구성된 챙부(200)로 이루어지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부(200)는 챙심이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의 양측에 접이부(212)각 각각 위치하도록 3조각으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중앙부(211) 및 접이부(212)는 상하면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이 위치하고,
    중앙부(211)의 테두리 및 중앙부(211)와 접하는 접이부(212)의 가장자리 면에는 상부원단(230) 및 하부원단(240)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1테두리원단(250)이 재봉되어 구성되고,
    챙심과 동일한 크기의 마감원단(260)이 중앙부(211)와 접이부(212)의 하부원단(2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100)와 부착되지 않은 전체 가장자리를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의 양측에 접이부(212)의 상부원단(230)과 마감원단(260)의 단부를 모두 덮도록 제2테두리원단(270)이 재봉되어 형성되어,
    챙부(200)가 중앙부(211)를 중심으로 양측의 접이부(212)가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211)의 양측면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성되고, 중앙부(211)와 맞닿는 접이부(212)의 측면은 중앙부(211)의 볼록한 면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211)의 하단부 마감원단(260)의 하부와 모자 본체(100)의 내측면의 후방 하단에는 각각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수단(310)(320)이 결합구성되어, 모자 본체(100)를 접어 결합수단(310)을 중앙부(211) 하단에 형성된 결합수단(320)에 결합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10)(320)은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모자 본체(100)의 테두리(110)는 아이스필 처리한 아이스필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모자 본체(100)의 테두리(110)는 쿨 맥스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KR1020130010964A 2012-12-18 2013-01-31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KR101254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096 2012-12-18
KR20120148096 2012-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477B1 true KR101254477B1 (ko) 2013-04-12

Family

ID=4844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964A KR101254477B1 (ko) 2012-12-18 2013-01-31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378B1 (ko) 2014-08-04 2016-04-22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입체적으로 접힘이 가능한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1710699B1 (ko) 2015-10-16 2017-02-27 박왕용 휴대가 용이한 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550U (ko) * 1996-04-12 1997-11-10 최수덕 챙이 절첩되는 모자
KR0127887Y1 (ko) * 1996-02-16 1998-12-01 김상학 접철식 휴대용 모자
KR20010069243A (ko) * 2000-09-08 2001-07-25 이승호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KR20060023622A (ko) * 2004-09-10 2006-03-15 주식회사 다다실업 접을 수 있는 챙을 가진 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887Y1 (ko) * 1996-02-16 1998-12-01 김상학 접철식 휴대용 모자
KR970056550U (ko) * 1996-04-12 1997-11-10 최수덕 챙이 절첩되는 모자
KR20010069243A (ko) * 2000-09-08 2001-07-25 이승호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KR20060023622A (ko) * 2004-09-10 2006-03-15 주식회사 다다실업 접을 수 있는 챙을 가진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378B1 (ko) 2014-08-04 2016-04-22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입체적으로 접힘이 가능한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1710699B1 (ko) 2015-10-16 2017-02-27 박왕용 휴대가 용이한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128A (en) Protective headwear
US9439472B2 (en) Comfort headgear with moisture-draining and absorption mechanism
US7836522B2 (en) Bandana headwear with flexible headband, having options of reversibility, attachable visor, attached cap and 3-way visor
KR100327479B1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US20140013486A1 (en) Reversible storage visor, cap and sun hat
US9089181B1 (en) Headwear with quick access pocket
JP2008533325A (ja) ヘッドバンド
US20140310853A1 (en) Attachable Sunshade for Caps with Half Moon Shaped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Back of the Cap
KR101254477B1 (ko) 접이식 챙을 구비한 모자
US20140223636A1 (en) Reversible sun visor
US20140208482A1 (en) Form-fitting Hat With Both Cooling and Style Attributes that Can Be Worn Four Different Ways, and Includes a "Flip-Up" Front Brim
WO2006096941A1 (en) Protective headwear
JP3213106U (ja) リバーシブル帽子
US20050235395A1 (en) Cap having a visor with soft inner edge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US1545706A (en) Child's hat or cap
KR200473762Y1 (ko) 접기 용이한 챙
KR101519853B1 (ko) 통기성 모자
JP3167051U (ja) 帽子
JP3204310U (ja) サンキャップ型帽子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19878A1 (en) Hat with improved comfort
KR20110001086U (ko) 차양날개를 갖는 차양모자
KR20240000821A (ko) 우의모자
KR200424256Y1 (ko) 휴대가 용이한 선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