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434B1 - 가변식 카세트 - Google Patents

가변식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434B1
KR101254434B1 KR1020110077712A KR20110077712A KR101254434B1 KR 101254434 B1 KR101254434 B1 KR 101254434B1 KR 1020110077712 A KR1020110077712 A KR 1020110077712A KR 20110077712 A KR20110077712 A KR 20110077712A KR 101254434 B1 KR101254434 B1 KR 101254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torage space
substrate
mov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621A (ko
Inventor
임충기
Original Assignee
임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충기 filed Critical 임충기
Priority to KR102011007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4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식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직육면틀 형상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다수의 기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부를 갖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수납되는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수납공간부 폭을 조절하되, 수납공간부의 양측부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수납공간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 사이드플레이트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켜 수납공간부의 폭을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기판을 수납할 수 있고, 기판이 공급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납공간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기판 공급위치의 변동 없이 용이하게 수납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식 카세트{Clearance adjusting cassette for substrate}
본 발명은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부의 폭을 조절하되, 기판의 양측이 거치되는 양 사이드플레이트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켜 기판을 공급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납공간부의 폭을 조절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식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세트는 박판 형상의 수납물을 수납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납물의 일 실시 예로 액정표시소자의 유리기판을 들 수 있으며, 이 카세트에 다수의 유리기판을 순차적으로 수납하게 된다.
이러한 카세트는 실용신안출원 제20-1998-0025054호의 기재를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카세트의 폭 조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면이 개구된 직육면틀 형상의 프레임(1)의 내부에 다수의 유리기판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트레이(3)가 구비되며, 수납트레이(3)에 수납되는 유리기판의 수납위치를 제한하는 2개의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트레이(3, 4)는 유리기판의 양측이 끼워지도록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로 구성되고, 이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마주보는 면에 다수의 슬롯(slot)이 형성되어 유리기판이 수납된다.
이와 같은,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사이에 다수의 유리기판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는 수납되는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것으로, 프레임(1)의 상단과 하단에는 다수의 고정공(5)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5)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끼워져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봉(6)이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각 단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정봉(6)을 이용하여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위치를 조절하여 유리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유리기판을 수납한다.
그러나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를 각각 이동시킴에 따라 각 고정봉(6)을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함은 물론, 작업시간이 길어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사이 간격을 유리기판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지만, 조절된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전체 위치가 프레임(1) 내부에서 경우에 따라 변동되어 수납공간부의 위치가 변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납공간부의 위치가 변동될 경우, 수납공간부에 기판을 수납시키기 위한 공급장치의 위치를 변동시켜야 됨에 따라 불필요한 공정이 증가됨에 따라 작업시간은 물론, 비용이 증가되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정밀함에 있어서 그 한계가 있고, 작업 중 제1수납트레이(3)와 제2수납트레이(4)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어 수납되는 기판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베이스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다수의 기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부를 갖는 사이드플레이트과 수납되는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사이드플레이트의 수납공간부 폭을 조절하되, 수납공간부의 양측부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기판이 공급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납공간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기판 공급위치의 변동 없이 용이하게 수납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식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직육면틀 형상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다수의 기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부를 갖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수납되는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수납공간부 폭을 조절하되, 수납공간부의 양측부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의 상단 후측에 구비되되, 기판이 수납될 수납공간부 후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상단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의 전측과 후측에서 치합되도록 랙기어를 갖고,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랙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 시, 동일하게 회전되는 회전기어가 각 랙바의 랙기어에 치합되어 각각의 랙기어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부의 폭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제3사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동일하게 이동되고,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제4사이드플레이트가 더 구비되어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동일하게 이동되며,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4사이드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기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제3사이드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기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상단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회전기어,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3사이드플레이트의 각 상단과 하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바, 상기 회전기어의 전측과 후측 중 어느 한 측으로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상기 제1고정바에 의해 제3사이드플레이트가 고정된 제1사이드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랙바,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제4사이드플레이트의 각 상단과 하단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바, 및 상기 회전기어의 다른 한 측으로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상기 제2고정바에 의해 제4사이드플레이트가 고정된 제2사이드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랙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 시, 동일하게 회전되는 회전기어가 각 랙기어에 치합되어 제1랙바와 제2랙바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3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제4사이드플레이트를 동시에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4사이드플레이트의 사이 수납공간부의 폭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제3사이드플레이트의 사이 수납공간부의 폭을 동시에 조절한다.
또한, 상기 회전봉의 하단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보조회전기어와 이 보조회전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보조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보조랙바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이동 시, 뒤틀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카세트에 의하면,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수납공간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 사이드플레이트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켜 수납공간부의 폭을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기판을 수납할 수 있고, 기판이 공급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납공간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기판 공급위치의 변동 없이 용이하게 수납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카세트의 폭 조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의 간격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의 가이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의 간격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의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카세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식 카세트(10)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사이드플레이트(200) 및 간격조절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직육면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이드플레이트(2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다수의 기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부(50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간격조절수단(300)은 수납되는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사이드플레이트(200)의 수납공간부(500) 폭을 조절하되, 수납공간부(500)의 양측부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간격조절수단(300)은 수납공간부(500)를 형성하기 위한 사이드플레이트(200)의 양측부를 동시에 이동시킴에 따라 변형되는 수납공간부(500)의 중심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됨에 따라 이 수납공간부(500)에 기판을 수납시키는 공급장치(미 도시)의 위치 변동 없이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사이드플레이트(20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로 구성되며,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는 간격조절수단(30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간격조절수단(300)은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의 상단 후측에 구비되되, 기판이 수납될 수납공간부(500) 후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간격조절수단(300)는 수납공간부(500)에 수납되는 다수의 기판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상태로 수납공간부(5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30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봉(310)과 회전기어(320) 및 랙바(330)로 구성된다.
회전봉(31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상단과 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12)가 중간에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기어(320)는 회전봉(3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며, 랙바(330)는 회전기어(320)의 전측과 후측에서 치합되도록 랙기어를 갖고,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 상단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회전봉(310)을 회전시키면, 회전기어(320)가 회전되고, 이 회전기어(320)에 치합되는 두 개의 랙바(330)는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수납공간부(5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기판이 공급되는 수납공간부(500)의 중앙부는 위치 변동이 없음이 당연하다.
여기서, 간격조절수단(300)은 보조회전기어(340)와 보조랙바(350)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보조회전기어(340)는 회전봉(310)의 하단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보조랙바(350)는 이 보조회전기어(340)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보조회전기어(340)의 회전에 의해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회전기어(320)와 랙바(330)를 보조하여 수납공간부(500)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하게 된다.
또한 사이드플레이트(200)는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가이드수단(400)이 더 구비되어 간격조절수단(300)에 의해 이동 시, 뒤틀림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수단(40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410)과 가이드롤(420)로 구성된다.
가이드홈(41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에 사이드플레이트(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가이드롤(420)은 사이드플레이트(20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어 각 사이드플레이트(200)가 이동될 경우, 가이드홈(410)을 따라 이동되어 각 사이드플레이트(20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각 사이드플레이트(200)는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가변식 카세트(10)의 작동상태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플레이트(200)의 다른 실시 예로, 간격조절수단(30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사이드플레이트(210), 제4사이드플레이트(24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 제3사이드플레이트(230)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간격조절수단(30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되, 제2사이드플레이트(220)의 외측으로 제3사이드플레이트(230)가 구비되어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동일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제4사이드플레이트(240)가 더 구비되어 제2사이드플레이트(220)와 동일하게 이동된다.
이러한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4사이드플레이트(240)의 마주보는 면에 다수의 슬롯(212, 242)이 형성되어 기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520)를 형성하고, 제2사이드플레이트(220)와 제3사이드플레이트(230)의 마주보는 면에 다수의 슬롯(222, 232)이 형성되어 기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510)를 형성한다.
이를 위한 간격조절수단(300')은 회전봉(310')과 회전기어(320'), 제1랙바(330'), 제2랙바(340'), 제1고정바(350') 및 제2고정바(360')로 구성된다.
회전봉(310')은 베이스프레임(100)에 상단과 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회전기어(320')는 회전봉(3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제1고정바(350')는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3사이드플레이트(230)의 각 상단과 하단을 고정시키고, 제1랙바(330')는 회전기어(320')의 전측과 후측 중 어느 한 측으로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제1고정바(350')에 의해 제3사이드플레이트(230)가 고정된 제1사이드플레이트(210)를 이동시키게 된다.
제2고정바(360')는 제2사이드플레이트(220)와 제4사이드플레이트(240)의 각 상단과 하단을 고정시키고, 제2랙바(340')는 회전기어(320')의 다른 한 측으로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제2고정바(360')에 의해 제4사이드플레이트(240)가 고정된 제2사이드플레이트(22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간격조절수단(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회전봉(310')의 회전 시, 동일하게 회전되는 회전기어(320')가 각 랙기어에 치합되어 제1랙바(330')와 제2랙바(340')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3사이드플레이트(230)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220)와 제4사이드플레이트(240)를 동시에 이동시킴에 따라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4사이드플레이트(240)의 사이 수납공간부(520)의 폭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220)와 제3사이드플레이트(230)의 사이 수납공간부(510)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봉(310')의 하단에는 보조회전기어(미 도시)와 이 보조회전기어에 치합되도록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보조랙바와 제2보조랙바로 구성된 보조랙바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회전기어와 보조랙바는 회전기어(320')와 제1랙바(330')와 제2랙바(340')를 보조하여 제3사이드플레이트(230)가 고정된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4사이드플레이트(240)가 고정된 제2사이드플레이트(220)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각 수납공간부(510, 520)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하게 된다.
또한 각 사이드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가이드수단(400)이 더 구비되어 간격조절수단(300')에 의해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 제3사이드플레이트(230) 및 제4사이드플레이트(240)의 이동 시, 뒤틀림을 방지한다.
이러한 가이드수단(400)은 가이드홈(410)과 가이드롤(420)로 구성된다.
가이드홈(41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에 사이드플레이트(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가이드롤(420)은 사이드플레이트(20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어 각 사이드플레이트(200)가 이동될 경우, 가이드홈(410)을 따라 이동되어 각 사이드플레이트(20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각 사이드플레이트(200)는 제1사이드플레이트(210)와 제2사이드플레이트(220), 제3사이드플레이트(230) 및 제4사이드플레이트(240)를 나타낸다.
10 : 카세트 100 : 베이스프레임
200 : 사이드플레이트 210 : 제1사이드플레이트
220 : 제2사이드플레이트 230 : 제3사이드플레이트
240 : 제4사이드플레이트 300, 300' : 간격조절수단
400 : 가이드수단 500, 510, 520 : 수납공간부

Claims (8)

  1.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직육면틀 형상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되어 다수의 기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부를 갖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수납되는 기판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수납공간부 폭을 조절하되, 수납공간부의 양측부를 상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제3사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동일하게 이동되고,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제4사이드플레이트가 더 구비되어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동일하게 이동되며,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4사이드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기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제3사이드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기판이 수납되는 수납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카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상단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회전기어;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3사이드플레이트의 각 상단과 하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바;
    상기 회전기어의 전측과 후측 중 어느 한 측으로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상기 제1고정바에 의해 제3사이드플레이트가 고정된 제1사이드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랙바;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제4사이드플레이트의 각 상단과 하단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바; 및
    상기 회전기어의 다른 한 측으로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상기 제2고정바에 의해 제4사이드플레이트가 고정된 제2사이드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랙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봉의 회전 시, 동일하게 회전되는 회전기어가 각 랙기어에 치합되어 제1랙바와 제2랙바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3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제4사이드플레이트를 동시에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4사이드플레이트의 사이 수납공간부의 폭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와 제3사이드플레이트의 사이 수납공간부의 폭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카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하단에 구비되어 동일하게 회전되는 보조회전기어와 이 보조회전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갖고,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보조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사이드플레이트와 제2사이드플레이트를 상호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보조랙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카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이동 시,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카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변식 카세트.
KR1020110077712A 2011-08-04 2011-08-04 가변식 카세트 KR10125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712A KR101254434B1 (ko) 2011-08-04 2011-08-04 가변식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712A KR101254434B1 (ko) 2011-08-04 2011-08-04 가변식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621A KR20130015621A (ko) 2013-02-14
KR101254434B1 true KR101254434B1 (ko) 2013-04-12

Family

ID=4789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712A KR101254434B1 (ko) 2011-08-04 2011-08-04 가변식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35B1 (ko) 2017-02-01 2017-11-02 (주)상아프론테크 가변식 카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2454B (zh) * 2013-11-27 2015-09-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基板盒
KR101662958B1 (ko) * 2015-08-27 2016-10-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랙 구조물
KR101862754B1 (ko) * 2018-04-25 2018-05-30 (주)상아프론테크 가변식 카세트
CN108663813A (zh) * 2018-06-25 2018-10-16 荆门市欣安泰钢化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hud平视显示的钢化玻璃
CN110767585B (zh) * 2019-11-07 2022-05-24 无锡鼎桥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镀膜石墨舟片及石墨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889U (ja) * 1992-01-20 1993-09-17 山下電気株式会社 挿入幅可変型板材収納装置
JPH11186374A (ja) * 1997-12-17 1999-07-09 Starlite Co Ltd 基板用カセット
JP2004134464A (ja) 2002-10-08 2004-04-30 Yodogawa Hu-Tech Kk 基板カセットおよび表示装置製造システム
KR200449469Y1 (ko) 2010-04-05 2010-07-13 강순규 인쇄회로기판 매거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889U (ja) * 1992-01-20 1993-09-17 山下電気株式会社 挿入幅可変型板材収納装置
JPH11186374A (ja) * 1997-12-17 1999-07-09 Starlite Co Ltd 基板用カセット
JP2004134464A (ja) 2002-10-08 2004-04-30 Yodogawa Hu-Tech Kk 基板カセットおよび表示装置製造システム
KR200449469Y1 (ko) 2010-04-05 2010-07-13 강순규 인쇄회로기판 매거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35B1 (ko) 2017-02-01 2017-11-02 (주)상아프론테크 가변식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621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34B1 (ko) 가변식 카세트
CN103183182B (zh) 可调节槽杆之间间距的玻璃基板装载卡匣
US6588605B1 (en) Planar article rack having closeable holding members
KR102177784B1 (ko) 오픈 마스크 조립체
US20140056679A1 (en) Wafer exchange apparatus and wafer supporting hand
WO2015029540A1 (ja) 工作機械
JP2018161729A (ja) 産業用ロボット
CN103687728A (zh) 网版印刷机
ITMI20100498A1 (it) Macchina inchiodatrice per l¿assemblaggio di pallet in legno o simili, con traini per gruppi di tasselli a distanza variabile.
KR20130030928A (ko) 공작기계 툴매거진의 공구이송장치
JP2008062963A (ja) 収納幅可変式板材収納枠
WO2015186652A1 (ja) ワーク昇降装置
JP2005138963A (ja) 直方体製品の上下反転装置
KR101273608B1 (ko) 초고속 셔틀
KR20140148071A (ko) 박스 테이핑 장치
KR20210028052A (ko) 강성이 개선된 벨트 전송 장치
TWM585777U (zh) 具有搖擺式輸送裝置的烤箱
TWI494190B (zh) 刀庫鏈框導引裝置
KR20130130157A (ko) 유리 적재용 카세트
CN219246643U (zh) 基板放置料盒
CN207138747U (zh) 搓齿机间隙调整结构
JP6585398B2 (ja) 可動装置
KR101098230B1 (ko) 기판 크기 자동 변환이 가능한 기판 처리 장치
KR101445686B1 (ko) 기판 정렬장치
KR20160034178A (ko) 기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