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189B1 -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 Google Patents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189B1
KR101254189B1 KR1020110016716A KR20110016716A KR101254189B1 KR 101254189 B1 KR101254189 B1 KR 101254189B1 KR 1020110016716 A KR1020110016716 A KR 1020110016716A KR 20110016716 A KR20110016716 A KR 20110016716A KR 101254189 B1 KR101254189 B1 KR 101254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end device
reinforcing
ho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7242A (en
Inventor
원용문
김진춘
김정임
김상우
원용규
Original Assignee
원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문 filed Critical 원용문
Priority to KR102011001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189B1/en
Publication of KR2012009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2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28Enlarging drilled holes, e.g. by counterb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팔 수 없는 곳에서 지반의 보강이나 차수가 이루어지도록 지반을 개량하는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쐐기 형태를 갖고 방향을 틀어서 진행이 가능한 선단부위를 유연성을 갖는 로드에 연결하여 보강 대상지의 일측 지상에서 보강대상지의 하부를 거쳐 반대쪽 측면 지상으로 관통하게 뚫어준 후 선단부위를 확공장치로 교체하여 뚫려진 관통로를 따라 되돌아오면서 관통로를 확장시키는 동시에 몰타르를 주입하여 콘트리트 파일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이 서로 인접되게 다수를 형성함으로써 보강 대상지의 차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grouting method for improving the ground so as to reinforce or order the ground in a place where the ground can not be sol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ip portion having a wedge shape and capable of advancing by turning a direction is connected to a flexible rod to pierce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on one side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The penetration path is expanded while returning along the through-hole to be opened, and mortar is injected to form a concrete pile, and the concrete pile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degree of a reinforcing object.

Description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 및 장치{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Desc / Clms Page number 1 >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

본 발명은 지면을 팔 수 없는 곳에서 지반의 보강이나 차수가 이루어지도록 지반을 개량하는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ground so that reinforcement or ordering of the ground can be achieved where the ground can not be sold.

지면을 팔 수 없는 터널, 폐광, 철도, 도로, 쓰레기 매립장, 폐기물 매립장, 동물 매립지, 고층 건물 등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을 필요로 하는 보강대상지(1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굴착기로 굴착한 후 굴착 구멍을 확공시키며 몰탈을 주입하여 콘크리트 파일(11)을 형성시키되 콘크리트 파일(11)의 간격을 일측면이 서로 접하게 하여 지반을 보강함으로써 보강 대상지(10)의 무너짐이나 침출수의 누출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보강용 파일을 형성한 후 파일 사이에 차단벽을 끼워 설치함으로써 보강 대상지(10)의 지반을 보강하고 있다.In order to reinforce the ground such as tunnels, abandoned lights, railways, roads, refuse landfills, waste landfills, animal landfills, high-rise buildings, etc., which can not be grounded, The concrete piles 11 are formed by injecting the mortar into the excavation holes and the concrete piles 1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one side of the concrete piles 11 to reinforce the ground, The reinforcing pi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the blocking walls are sandwiched between the piles to reinforce the ground of the reinforcing pavement 10.

그러나, 상기 된 방식은 측면은 차단이 가능하여 측방향으로의 침출수 누출이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보강대상지(10)의 하측을 시킬 수 없는 관계로 하측을 통하여 지하수로 침출수가 유입되는 경우는 막을 수 없는 것이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leachate in the lateral direction or decrease in strength due to the side surface being blocked, but since the lower side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can not be made, It was impossible to prevent it.

그리고, 도 2와 같이 특정 건물(20)의 지하를 보강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파일(21)을 박아 지반을 안정화시킨 후 그 위에 건물(20)을 짓게 되나, 토양의 변화로 인하여 건물(20)의 지하를 추가로 보강할 필요가 있을 경우 건물(20)의 측면에서 건물(20)의 지하 깊숙이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굴착기로 경사지게 굴착한 후 굴착 구멍을 확공시키며 몰탈을 주입하여 콘크리트 파일(22)을 형성시킴으로써, 건물(20)의 지하 지반을 보강해 주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reinforce the underground of the specific building 20, the concrete pile 21 is inserted to stabilize the ground and the building 20 is built thereon. However, due to the change of the soil, The concrete pile 22 is formed by inserting the mortar into the excavation hole by drilling the excavation hole obliquely with the excavator so as to meet each other deep inside the building 20 at the side of the building 20 , And reinforce the underground ground of the building (20).

도 2에 도시된 공법으로 건물(20)의 지하 보강을 하는 경우 콘크리트 파일(22)이 경사져서 형성되는 관계로 깊숙이 콘크리트 파일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콘크리트 파일(22)의 길이가 쓸데없이 길어야 하고, 이로 인하여 기초를 위한 콘크리트 파일(21)의 하부에 상당한 넓이의 지반이 위치하게 되므로, 지반의 안정화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2, since the concrete pile 22 is inclined to form a concrete pile, the length of the concrete pile 22 must be unnecessarily long, As a result, a ground having a considerable widt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crete pile 21 for foundati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stabilize the ground.

특히 쓰레기 매립장, 동물 사체 매립장 등은 침출수가 누출되는 경우를 완전히 차단시켜야만 이차적인 오염을 방지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나, 기존의 매립장이 완벽하지 못하여 침출수의 누출이 우려되는 곳에서는 상기 된 방식을 사용하여서는 완벽한 형태로 침출수를 막을 수 없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landfill, the burial site of an animal carcass and the like can protect the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leachate completely to prevent secondary pollution.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existing landfill is not perfect and the leakage of the leachate is a concern, It is a perfect form that can not prevent leachate.

본 발명은 지면을 팔 수 없는 터널, 폐광, 철도, 도로, 쓰레기 매립장, 폐기물 매립장, 동물 매립지, 고층 건물 등에서, 지반 보강이 필요한 지역(이하 '보강 대상지'라 칭한다)의 측면과 하측을 통하여 차수(遮水)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보강 대상지의 하부 지반을 보강하여 안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ground in a tunnel, abandoned light, railway, road, waste landfill, waste landfill, animal landfill, (Water shielding), or reinforce the lower ground of the object to be stabilized.

본 발명은 쐐기 형태를 갖고 방향을 틀어서 진행이 가능한 선단부위를 유연성을 갖는 로드에 연결하여 보강 대상지의 일측 지상에서 보강대상지의 하부를 거쳐 반대쪽 측면 지상으로 관통하게 뚫어준 후 선단부위를 확공장치로 교체하여 뚫려진 관통로를 따라 되돌아오면서 관통로를 확장시키는 동시에 몰타르를 주입하여 콘트리트 파일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이 서로 인접되게 다수를 형성함으로써 보강 대상지의 차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ip portion having a wedge shape and capable of advancing by turning a direction is connected to a flexible rod to pierce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on one side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The penetration path is expanded while returning along the through-hole to be opened, and mortar is injected to form a concrete pile, and the concrete pile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degree of a reinforcing object.

여기서 관통로가 지상과 만나는 부위에는 함몰된 형태의 함몰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형성하는 몰타르가 상기 함몰부를 채우며 고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case, a hollow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through-hole meets the ground, so that a mortar for forming a concrete pile fills the hollow to solidify the hollow.

그리고 본 발명은 관통로를 형성하여 노출된 선단부위를 제거한 후 보강관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관통로에 끼워지게 하되 상기 보강관에는 외측으로 배출홀을 형성하여 보강관으로 주입되는 몰타르 또는 밀크가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강 대상지의 측면과 하부에서 차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exposed tip portion is removed, and a reinforcing pipe is connected to the through-hole by a wire so that a mortar or a milk injected into the reinforcing pipe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pip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so that the order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또한 본 발명은 보강 대상물의 측면에서 보강 대상물의 하측으로 쐐기형 선단장치와 유연성을 갖는 로드를 연결하여 관통홈을 형성한 후 선단장치를 빼내어 주입헤드를 연결하여 관통홈에 끼운 상태로 주입헤드를 빼내면서 몰타르 또는 밀크가 주입헤드에서 배출되어 지반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edge-shaped end device and a flexible rod ar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an object to be reinforced on the side of a reinforcement object to form a through-hole, and then the end device is pulled out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head. So that the mortar or milk is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head to stabilize the ground.

본 발명에서 보강 대상지의 하측으로 관통로를 형성하거나 보강 대상물의 하측으로 관통홈을 형성하는 쐐기형의 선단장치에는 위치를 알리는 위치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관통로나 관통홈을 원하는 위치나 방향으로 형성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edge-shaped end device forming a through passage downwardly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or forming a through groove at the lower side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for informing the position so that the through passage or the through groove is formed in a desired position or direction .

본 발명은 보강 대상지의 지반을 보강하거나 차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매립지에서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강 대상지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누수나 지반 침하 등의 현상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leachate from leaking out from the landfill by reinforcing the ground of the reinforcement site or making the order of reinforcement, thereby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enhancing the phenomena such as water leakage and subsidence caus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ement site You can.

도 1및 도 2는 기존의 보강 대상지와 건물의 지반을 보강하는 방법을 보인 단면도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순서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9는 도 8을 이용한 파일 형성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작동 순서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작동 순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입헤드 실시예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확공장치 실시예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주입장치 단면도
Figs.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ethod of reinforcing the existing reinforcement site and the ground of the building
3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le formation state using FIG. 8
10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sequence of operation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jection hea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per devic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j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보강 대상지의 위치와 깊이 등을 파악한 후 보강 대상지의 측면에서 보강대상지의 지하를 통하여 보강 대상지의 반대쪽으로 관통하는 관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로를 통하여 측면으로 노출된 쐐기 형태의 선단부위를 제거한 후 원뿔 형태의 확공장치를 로드에 결합하며, 상기 로드를 당겨 확공장치가 관통로를 지나면서 확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확공된 곳에 몰타르 또는 밀크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파일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보강대상지의 하부에 콘크리트 파일을 형성시키되 상기 콘크리트 파일은 측면이 서로 맞닿게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enetration path penetrat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is formed through the underground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on the side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after grasping the position and depth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And then the rod is pulled so that the shoemaker goes through the penetration path and the mortar or milk is injected into the hole to form a concrete pile, A concrete file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ing object, and the concrete pile is formed so that the side 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즉,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대상지(10)의 측면에 드릴장비(40)를 놓고 주입장치(41)를 이용하여 유연하게 휠 수 있는 로드(50)에 쐐기형 선단장치(60)를 연결한 후 상기 쐐기형 선단장치(60)를 회전시켜 보강 대상지(10)의 측면에서 보강 대상지(10)의 하측으로 천공이 이루어지게 하되, 선단장치(60)에 위치센서를 내장시킴으로써 선단장치(60)가 천공되어 있는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3, the drilling rig 40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and the wedge-shaped end device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flexible rod 50 using the injection device 41 60, the wedge-type end device 60 is rotated so that the reinforcing object 10 is punch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and the position sensor is built in the end device 60 So that the tip end device 6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여기서 선단장치(60)가 일정 깊이로 천공되면 회전을 멈춘 후 선단장치(60)를 돌리되 쐐기형태를 이용하여 진행 방향으로 밀어준 후 다시 회전을 시키며 천공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선단장치(60)가 도 4와 같이 보강 대상지(10)의 측면에서 보강 대상지(10)의 하부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천공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로드(50)는 유연성을 갖추어 곡선 형태의 천공로(70)를 따라 선단장치(60)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회전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선단장치(60)와 로드(50)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보강 대상지(10)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하부를 관통한 후 측면으로 노출되게 관통로(70)를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end device 60 is pierced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end device 60 is rotated, then the end device 60 is pivoted by pushing the end device 60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using a wedge shape, As shown in FIG. 4, a smooth curve is drawn from the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to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and the rod 50 is flexible, 5, the ends 60 and the rods 50 are used to connect to the apparatus 60 and to be rotated. By using the end apparatus 60 and the rod 50, The penetrating passages 70 can be formed.

이때 도 5와 같이 관통로(70)를 형성시킬 때 보강대상지(10)의 하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강 대상지(10)의 하부에서 확실한 차수와 지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through-passages 70 are formed, the reinforcing object 10 is not far away from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thereby assuring a certain degree of the reinforcement and the ground reinforcement at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그리고 본 발명의 주입장치(4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적으로 로드(50)를 끼워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전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로드(50)에 연결된 선단장치(60)가 관통로(7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18, the distal end device 60 connected to the rod 5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assage 70 (see FIG. 18) so that the rod 50 is internally rotated while being rotated and advanced, Can be formed.

본 발명은 선단장치(60)와 로드(50)를 이용하여 보강 대상지(10)의 측면에서 하부를 관통하여 관통로(70)를 도 5와 같이 형성하여 선단장치(60)가 다시 노출되게 되면, 선단장치(60)를 제거하고 원뿔형 확공장치(80)를 연결한 후 확공장치(80)가 관통로(70)를 통과하면서 확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몰타르 또는 밀크가 확공장치(80)를 통하여 분출되게 함으로써 관통로(7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콘크리트 파일(61)이 도 6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 7과 같이 형성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stal end device 60 is exposed again by forming the penetrating passages 70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using the distal end device 60 and the rod 50 The distal end device 60 is removed and the conical widening device 80 is connected and then the widening device 80 is extend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enetrating passageway 70 while the mortar or milk is passed through the widening device 80 The concrete pile 6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enetrating passages 70 is formed as shown in FIG. 7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의 확공장치(8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형태를 갖는 등 외측으로 확공을 위한 비트(81)가 돌출 설치되는 한편 내측으로 몰타르나 밀크를 배출하는 배출로(82)가 형성되어 있으며, 확공장치(80)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 이외의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The spread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ical outlet 81 and a discharge passage 82 for discharging the mortar or milk to the inside as shown in FIG. And the opening device 80 may have a structure other than the structure shown in the drawing.

그리고, 확공장치(80)가 관통로(70)에서 빠지게 되면, 다시 로드(50)에서 확공장치(80)를 빼낸 후 선단장치(60)를 연결하여 상기 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61)의 측면에 또 다른 콘크리트 파일(61)을 형성하도록 한다.When the spreading device 80 is pulled out of the penetrating path 70,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by pulling out the spreader 80 from the rod 50 again and connecting the end device 60, So that another concrete pile 61 is formed.

여기서 콘크리프 파일(61)은 서로 측면이 맞닿게 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61) 사이로 누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이를 반복하여 보강 대상지(10)의 하부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게 한다.In this case, the cone creeping piles 61 ar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concrete piles 61 by bringing their side surfac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ne creeping piles 61 are formed so as to completely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le 10.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 대상지(10)의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로(70)를 형성하되 상기 관통로(70)는 보강 대상지(10)의 하부와 근접된 위치에서 곡선된

Figure 112011013604134-pat00001
형태의 관통로(70)가 형성되게 한 후 선단장치(60)를 확공장치(80)로 바꿔주어 관통로(70)가 확장되면서 콘크리트 파일(61)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61)은 서로 인접된 형태로 보강 대상지(10)의 하부를 감싸게 형성시킴으로써 보강 대상지(10)의 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나 지반 침하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완벽한 형태의 차수와 지반 보강을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passage (70) passing through a lower portion of a reinforcing object (10) is formed, and the through passage (70) is curved at a position close to a lower portion of a reinforcing object
Figure 112011013604134-pat00001
The penetrating path 70 is formed so that the concrete pile 61 is formed and the concrete pile 61 is formed while the penetrating path 70 is formed. By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in the form of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such as leakage of water or subsidence which may occu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그리고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관통로(70)를 형성시킬 때 지면에 미리 함몰부(71)를 형성한 후 상기 함몰부(71)를 통하여 관통로(70)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과정을 거쳐 관통로(70)에 콘크리트 파일(61)이 형성될 때 관통로(70)를 채우는 몰타르 또는 밀크가 함몰부(71)를 채우면서 형성되게 함으로써, 지표면과 가까운 곳을 통하여 누출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8, when a through-hole 70 is formed, a through-hole 70 is formed through the depressed portion 71 after the depressed portion 71 is formed on the ground in advance, When the concrete pile 61 is formed in the penetrating passageway 70, the mortar or the milk filling the penetrating passageway 70 is formed while filling the depressed portion 71, thereby eliminating the case of leaking through the portion close to the surface of the ground do.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과정에 의해 보강 대상지(10)의 측면에서 하부를 거쳐 다시 반대 측면으로 관통하는 곡선진 형태의 관통로(70)가 형성되면, 도 10과 같이 선단장치(60)를 제거한 후 배출홀(91)이 여러 개 형성된 보강관(90)을 와이어(93)로 연결하여 로드(50)를 당기면 와이어(93)에 의해 보강관(90)이 관통로(70)를 통하여 끼워지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ved penetrating passages 70 penetrating from the side to the opposite side through the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nd device 60 is removed as shown in FIG. 10 The reinforcement pipe 90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91 is connected by the wire 93 and the rod 50 is pulled so that the reinforcing pipe 90 is inserted through the penetration passage 70 by the wire 93 .

여기서, 보강관(90)은 관통로(70)를 따라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로드(50)의 선단에 와이어(93)를 연결하되 보강관(90)이 와이어(93)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한 후 관통로(70)에 끼워진 로드(50)를 역방향으로 당기면 보강관(90)이 도 11과 같이 관통로(70)에 끼워지게 된다.The reinforcing pipe 9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along the penetrating path 70 and is connected to a wire 93 at the tip of the rod 50. The reinforcing pipe 90 is connected to the wire 93 The reinforcing pipe 9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assage 70 as shown in FIG. 11 when the rod 50 inserted in the through passage 70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보강관(90)이 관통로(70)에 끼워진 후에는 보강관(90)의 내측으로 몰타르나 밀크 등을 주입하여 몰타르나 밀크가 배출홀(91)을 통하여 지반으로 누출될 수 있도록 하고, 위와 같이 보강관(90)의 배출홀(91)을 통하여 밀크나 몰타르가 배출되면 도 12와 같이 보강 대상지(10)의 하부에 파일(62)이 형성되어 지반을 보강하는 한편 보강 대상지(60)의 하부를 감싸게 하면 차수도 이루어지게 된다.After the reinforcing pipe 90 is fitted in the through passage 70, mortar or milk is injected into the reinforcing pipe 90 so that the mortar or milk can be leaked to the ground through the discharge hole 91, When the milk or morta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91 of the reinforcing pipe 90 as shown in FIG. 12, a pile 62 is formed under the reinforcing object 10 to reinforce the ground, When the lower part is wrapped, the car is also made.

본 발명에서 확공장치(80)를 사용하여 관통로(70)를 확공시키는 한편 몰타르 또는 밀크를 주입하는 것은 콘크리트 파일(61)의 직경을 크게 하기 위함이고, 보강관(9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통로(70)를 확공시키지 않고 보강 대상지(10)의 하측으로 몰타르나 밀크가 흘러들어 파일(62)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지반 보강이나 차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mortar or milk is injected while enlarging the diameter of the concrete pile 61 by using the punching device 80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inforcing pipe 90 is used The mortar or milk flows to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without opening the penetrating passages 70, so that the piles 62 are formed, so that the ground reinforcement and the order are achieved.

한편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유연성을 갖는 로드(50)에 연결된 쐐기 형태를 갖고 위치센서가 내장된 선단장치(60)를 이용하여 건물(20)의 측면에서 하부로 관통홈(72)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홈(72)은 건물(20)의 하부까지만 뚫려 있도록 한다.13, a through hole 72 is formed downward from a side surface of the building 20 by using a tip device 60 having a wedge shape connected to a flexible rod 50 and equipped with a position sensor as shown in FIG. And the through-hole 72 is formed on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ilding 20.

위와 같이 건물(20)의 측면에서 하측으로 관통홈(72)을 뚫은 후에는 로드(50)와 선단장치(60)를 관통홈(72)에서 빼낸 후 선단장치(60)를 로드(50)에서 분리하고 선단이 라운드지고 몰타르나 밀크를 배출시키는 홀(96)이 형성된 주입헤드(95)를 연결하고, 상기 주입헤드(95)를 다시 관통홈(72)에 끼운 후 몰타르 또는 밀크를 주입하면서 도 14와 같이 주입헤드(95)를 후퇴시킴으로써 관통홈(72)에는 파일(62)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지반으로 스며들어 지반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fter the through hole 72 is pierc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uilding 20 to the lower side as described above, the rod 50 and the distal end device 60 are taken out of the through hole 72 and then the distal end device 60 is pulled out from the rod 50 And the injection head 95 having the rounded tip and discharging the mortar or the milk is formed and the injection head 95 is again inserted into the through groove 72 and then the mortar or milk is injected 14, the pumping grooves 72 are formed with the piles 62, and the penetration grooves 72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and reinforce the ground.

즉, 본 발명은 건물(20)의 측면에서 건물(20)의 하측으로 쐐기형 선단장치(60)와 유연성을 갖는 로드(50)를 연결한 후 회전과 선단장치(60)를 위치 변환시켜 밀어 넣는 과정을 반복하여 관통홈(72)을 형성한 후 선단장치(60)를 빼내고, 주입헤드(95)를 연결하여 관통홈(72)에 끼운 상태로 주입헤드(95)를 빼내면서 몰타르 또는 밀크가 주입헤드(95)에서 홀(96)에서 배출되어 지반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nnecting the wedge-shaped end device 60 and the flexible rod 50 to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20 from the side of the building 20, the rotation and the end device 60 are shifted and pushed The injection head 95 is pulled out while the penetration groove 72 is formed and the tip end device 60 is taken out and the injection head 95 is connected to the through groove 72. Then, Is discharged from the hole (96) in the injection head (95) to stabilize the ground.

여기서 지반의 안정과 더불어 누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틈새를 막아주게 되므로, 차수가 이루어지게 된다.Here, since the gap is prevented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soil together with the stability of the ground, the degree is achieved.

본 발명의 지향성 그라우팅 장치를 구성하는 주입헤드(9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둥근 형태를 갖도록 하여 관통홈(72)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입헤드(95)에는 몰타르나 밀크를 주입하기 위한 홀(96)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도 16의 (A)와 같은 경우는 내부적으로 밀크의 압입 분사를 위하여 노즐이 형성된 경우이며, (B)(C)는 자연 압력에 의한 주입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injection head 95 constituting the directive grou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72 with the tip end rounded as shown in FIG. 16, while the injection head 95 is provided with mortar (A) of FIG. 16 is a case in which a nozzle is formed internally for press-in injection of milk, and (B) and (C) The injection is made.

즉, 본 발명의 주입헤드(95)는 로드(50)에 연결된 선단장치(60)를 이용하여 보강대상지(10)나 건물(20)의 하측으로 형성된 관통홈(72)에 끼워진 후 내측으로 몰타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홈(96)을 형성하는 것으로, 관통홈(72)을 따라 들어갈 수 있도록 선단이 라운드져 형성되고, 측방향이나 선단쪽을 향하여 홀(96)이 형성되게 된다.That is, the injection head 9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72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object to be reinforced 10 or the building 20 by using the end device 60 connected to the rod 50, And a hole 96 is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eading edge so that the tip 96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enter along the through groove 72.

상기 주입헤드(95)의 홀(96)에는 노즐(97)을 끼움으로써 주입헤드(95)의 노즐(97)을 통하여 밀크의 분사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nozzle 97 of the injection head 95 is inserted into the hole 96 of the injection head 95 so that injection of milk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nozzle 97 of the injection head 95.

본 발명의 로드(50)는 특수강으로 제작되어 잘 휘어지면서 복원력이 있으며, 작업도중에 부러지거나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라운드진 형태의 관통로(70)나 관통홈(72)이 형성되게 b하고, 선단장치(60)는 신소재 합금인 브레이드날과 노즐로 구성되게 된다.The rod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pecial steel and has a restoring force while being bent well so that the rounded passageway 70 or the through groove 72 is formed by preventing breakage or loosening during operation, 60) is composed of a braid blade and a nozzle, which are a new material alloy.

그리고 선단장치(60)에는 위치센서를 내장시켜 선단장치(60)가 지하에서 이동할 때 지상의 모니터로 그 위치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지상에서는 모니터를 보고 선단장치(60)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A position sensor is built in the distal end device 60 to allow the position of the distal end device 60 to be displayed on the ground monitor when the distal end device 60 moves in the underground, so tha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distal end device 60 can be adjusted by viewing the monitor on the ground .

10 : 보강 대상지 20 : 건물
50 : 로드 60 : 선단장치
70 : 관통로 80 : 확공장치
90 : 보강관 95 : 주입헤드
96 : 홀
10: reinforcement site 20: building
50: rod 60: end cap
70: penetration passage 80: opening device
90: reinforcement tube 95: injection head
96: hole

Claims (13)

쐐기 형태를 갖고 회전되며 천공이 이루어지며 방향을 틀어서 진행 방향을 변경시키는 선단장치(60)와, 상기 선단장치(60)에 연결되어 라운드진 관통로(70)에 끼워져 동력을 전달하는 로드(50)를 이용하여 보강 대상지(10)의 측면에서 천공을 시작하여 보강대상지(10)의 하부를 통한 후 반대쪽 측면으로 관통되게 관통로(70)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로(70)가 형성되면 로드(50)에서 선단장치(60)를 제거한 후 관통로(70)의 직경을 확공시키는 비트(81)가 돌출되는 한편 몰타르나 밀크가 주입되는 배출로(82)가 형성된 확공장치(80)를 연결하며,
상기 확공장치(80)를 관통로(70)에서 역방향으로 빼 내면서 확공장치(80)로 관통로(70)를 확공시키되 상기 관통로(70)가 시작되고 끝나는 곳은 지면에서 함몰되게 함몰부(71)를 형성하여 함몰부(71)와 관통로(70)에 콘크리트 파일(6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61)은 보강대상지(10)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게 반복하여 형성하되 인접된 콘크리트 파일(61)은 서로 맞닿게 형성하여 보강대상지(10)의 측면과 하측에 대한 차수나 지반 보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
(50)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device (60) and is inserted in the rounded passageway (70) to transmit the power, and a rod The through hole 70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When the through-passage 70 is formed, a bit 81 for protruding the diameter of the through-passage 70 is protruded from the rod 50 after the end device 60 is removed, while a discharge passage 82 for injecting mortar or milk ) Is connected to the opening device 80,
The through hole 70 is extended to the opening device 70 while the opening device 70 is withdrawn from the through hole 7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ends of the through hole 70 are depressed 71 are formed so that a concrete pile 61 is formed in the depressed portion 71 and the through passage 70,
The concrete piles 61 are repeatedly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so that the adjacent concrete piles 6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egree of the sides and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So that reinforcement can be achiev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쐐기 형태를 갖고 회전되며 천공이 이루어지며 방향을 틀어서 진행 방향을 변경시키는 선단장치(60)와, 상기 선단장치(60)에 연결되어 라운드진 관통로(70)에 끼워져 동력을 전달하는 로드(50)를 이용하여 보강 대상지(10)의 측면에서 천공을 시작하여 보강대상지(10)의 하부를 통한 후 반대쪽 측면으로 관통되게 관통로(70)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로(70)가 형성되면 로드(50)에서 선단장치(60)를 제거한 후 일정 간격으로 배출홀(91)이 형성된 두 개의 보강관(90)을 와이어(93)로 로드(50)에 연결되게 하며,
상기 로드(50)를 관통로(70)에서 역방향으로 빼 내면서 보강관(90)이 관통로(70)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보강관(90)의 양쪽으로 몰타르나 밀크를 주입하여 배출홀(91)에서 배출되어 지반보강지(10)의 하측으로 파일(62)이 형성되게 하여 보강대상지(10)의 하측에 대한 차수나 지반 보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
(50)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device (60) and is inserted in the rounded passageway (70) to transmit the power, and a rod The through hole 70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reinforcing object 10,
When the penetrating passages 70 are formed, two end effector tubes 90 having discharge holes 9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e removed from the rod 50 by the wires 93 after the end devices 60 are removed from the rod 50 To be connected,
The reinforcing pipe 9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assage 70 while the rod 50 is withdrawn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through passage 70,
A mortar or milk is injected in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ipe 90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91 so that the pile 62 is formed below the ground reinforcement paper 10 so that the degree to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paper 10 And the ground reinforcement is per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4항 있어서, 쐐기 형태를 갖는 선단장치(60)는 로드(50)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천공이 이루어지게 하고, 천공각도를 변환시킬 때에는 회전을 정지시킨 후 선단장치(60)의 쐐기 형태를 이용하여 진행이 되는 쪽으로 선단장치(60)를 돌려 로드(50)를 압입시키면서 선단장치(60)의 방향이 변환되게 하며, 선단장치(60)의 방향이 변환되면 다시 로드(50)를 회전시켜 천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wedge-shaped end device (60) is connected to the rod (50) and rotated to allow perforation. When the drilling angle is changed, the end device (60)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distal end device 60 is changed while pushing the rod 50 by turning the distal end device 60 toward the side where the wedge shape of the distal end device 60 is changed. So that the perforation is performed.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쐐기 형태를 갖는 선단장치(60)에는 지하를 이동할 때 지상의 모니터에서 그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위치센서를 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The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or 4, wherein the wedge-shaped tip device (60) incorporates a position sensor to display its position on a ground monitor when moving underground.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로드(50)에 연결된 선단장치(60)로 천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주입장치(41)는 로드(50)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한편 전후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The injection device (41)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injection device (41) for piercing the distal end device (60) connected to the rod (50) is connected to the rod (50) A directional grout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16716A 2011-02-24 2011-02-24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KR101254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16A KR101254189B1 (en) 2011-02-24 2011-02-24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16A KR101254189B1 (en) 2011-02-24 2011-02-24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42A KR20120097242A (en) 2012-09-03
KR101254189B1 true KR101254189B1 (en) 2013-04-18

Family

ID=4710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716A KR101254189B1 (en) 2011-02-24 2011-02-24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1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17B1 (en) 2013-07-30 2014-09-02 주식회사 대명이엔지 The connecting bearing device for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3464B (en) * 2012-09-18 2015-07-15 广州市白云文物保护工程有限公司 Stone relic foundation rock reinforcement and protection construction method for improving penetration depth by internal continuous drip-injection
CN113215892B (en) * 2021-05-26 2022-11-08 金陵科技学院 Grouting soil arch induced pile-supported embank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0236A (en) * 1999-02-09 2000-08-22 Nit Co Ltd Ground reinforcing material and soil reinforcing method
KR200316586Y1 (en) 2003-03-05 2003-06-18 김용현 Soft Ground Improvement System
KR100568763B1 (en) 2004-02-03 2006-04-07 세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ulti stage grout system using a multi stage injection pipe and the method
JP2009057826A (en) * 2008-12-18 2009-03-19 Toa Harbor Works Co Ltd Injection method and device of ground improvement chemic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0236A (en) * 1999-02-09 2000-08-22 Nit Co Ltd Ground reinforcing material and soil reinforcing method
KR200316586Y1 (en) 2003-03-05 2003-06-18 김용현 Soft Ground Improvement System
KR100568763B1 (en) 2004-02-03 2006-04-07 세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ulti stage grout system using a multi stage injection pipe and the method
JP2009057826A (en) * 2008-12-18 2009-03-19 Toa Harbor Works Co Ltd Injection method and device of ground improvement chemic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17B1 (en) 2013-07-30 2014-09-02 주식회사 대명이엔지 The connecting bearing device for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42A (en)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862B1 (en) Under-ground pushing pipe and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20130024944A (en) Screw anchor pile
KR101254189B1 (en) Directional grouting method and device
CN108166513A (en) Anchor hole and the pore-forming technique in the dual-purpose hole of osculum in a kind of dregs side slope
KR100949606B1 (en) Hole-boring and hammering-vibration working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ed construction with sheet-pile fixed to outside of hole-boring auger casing
KR101064340B1 (en) Prevention method of construction for slope land collapse
KR10069189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having h-beam
JP4374338B2 (en) Pile removal equipment
KR20150098135A (en) precast pile for watertight wall
KR20140062914A (en) Construction method for extending bulb of the ground anchor by post grouting and bulb extending apparatus being used for the same
JP2013036216A (en) Reinforcement method of retaining wall
KR101742812B1 (en) Construction casing for concrete piles
JP2011252319A (en) Reinforcement material for natural ground reinforcement earth method and natural ground reinforcement earth method
US20180291582A1 (en) Anchor having fixing device at side of pressure plate to depress land slop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10316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road of rotate discharge
JP5284168B2 (en) Excavation member for earth retaining member construction and earth retaining member construction method
KR101680106B1 (en) The screw anchor pile with extended reinforcing plate for earth reinforcement
JP4515307B2 (en) Ground improvement method
JP2017066836A (en) Core material for earth retaining wall and upper core material removing method
JP5145757B2 (en) Ground reinforcement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ground reinforcement structure
KR100914414B1 (en) Box capable of horizontal shift and method for forming underground contineous wall
JP2005127092A (en) Work-execution method for anchor
JP6340248B2 (en) Mountain retaining wall, how to construct a mountain retaining wall
JP2012184650A (en)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JP7165958B1 (en) Reinforcement drainage system for retaining wall and Reinforcement drainage method for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