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677B1 -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및 통제방법 - Google Patents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및 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677B1
KR101253677B1 KR1020110054700A KR20110054700A KR101253677B1 KR 101253677 B1 KR101253677 B1 KR 101253677B1 KR 1020110054700 A KR1020110054700 A KR 1020110054700A KR 20110054700 A KR20110054700 A KR 20110054700A KR 101253677 B1 KR101253677 B1 KR 101253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witch
signal
mode
duty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605A (ko
Inventor
웬-웨이 첸
큐오-치 리유
Original Assignee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1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이 제출하는 통제장치의 실시예 중 하나는 신호생성회로 (signal generating circuit)와 모드결정회로(mode decision circuit)를 포함한다. 신호생성회로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출력전압에 따라 제1통제신호 및 제2통제신호를 생성한다. 제1통제신호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통제하여,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동시에 전도되지 않게 한다. 제2통제신호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제3스위치 및 제4스위치를 통제하여, 제3스위치 및 제4스위치가 동시에 전도되지 않게 한다.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duty cycle)이 제1예상치(a first predetermined value)보다 크고, 제2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이 제2예상치 보다 작을 때마다, 모드결정회로는 신호생성회로를 이용하여,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한 제1통제신호 및 제2통제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갖게 한다.

Description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및 통제방법{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BUCK-BOOST CONVERTER}
본 발명은 일종의 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일종의 승강압(昇降壓)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다.
승강압 모드 컨버터는 주로 3개의 운영 모드 즉, 승압모드, 강압모드 및 승강압 모드를 포함한다. 통제신호 설치에 따라 입력전압보다 낮고 입력전압보다 높거나 입력전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출력접압을 제공할 수 있다.
승압모드 시, 승강압모드 컨버터는 비교적 낮은 입력전압을 받고, 비교적 높은 출력전압을 출력한다. 강압모드 시에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는 입력전압보다 낮고 입력전압보다 높거나 입력전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출력접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강압 모드 컨버터 전환 모드 시,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출력전압은 리플(ripple)이 나타나고, 이 출력전압을 받은 장치의 효과에 대해 영향을 주어 상기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 전환 모드 시,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출력 전압의 리플을 어떻게 낮추는가는 업계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압 모드 컨버터 전환 모드 시마다, 출력전압의 리플을 낮출 수 있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및 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일종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사용되는 통제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공하고, 하나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따른 하나의 출력전압은 하나의 제1통제신호, 하나의 제2통제신호, 하나의 제3통제신호 및 하나의 제4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1스위치, 하나의 제2스위치, 하나의 제3스위치 및 하나의 제4스위치를 각각 통제하는 하나의 신호생성회로;및 상기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이 하나의 제1예상치 보다 크고 상기 제3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이 하나의 제2예상치 보다 작을 때마다,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설치하여, 상기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한 상기 제1통제신호 및 상기 제3통제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갖게 하고, 상기 제2통제신호 및 상기 제4통제신호는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갖게 하는 하나의 모드결정회로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제1통제신호 및 제2통제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으며, 상기 제3통제신호 및 상기 제4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일종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사용되는 통제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제공하며, 하나의 제1주기성신호 및 하나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따른 하나의 출력전압이 생성한 하나의 제1회수신호로 하나의 제1통제신호 및 하나의 제2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1스위치 및 하나의 제2 스위치를 각각 통제하는 하나의 제1비교회로; 하나의 제2주기성신호 및 하나의 상기 출력전압이 생성한 하나의 제2회수신호에 따라, 하나의 제3통제신호 및 하나의 제4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를 각각 통제하는 하나의 제2비교회로; 및 하나의 제3주기성신호 및 상기 출력전압이 생성한 하나의 제3회수신호에 따라, 하나의 제5통제신호, 하나의 제6통제신호, 하나의 제7통제신호 및 하나의 제8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를 각각 통제하는 하나의 제3비교회로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제1통제신호 및 상기 제2통제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으며, 제3통제신호 및 상기 제4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고, 상기 제6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 및 상기 제8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5통제신호의 및 상기 제6통제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는다. 상기 제7통제신호 및 상기 제8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일종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사용되는 통제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제공하며, 하나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따른 하나의 출력전압이 생성한 하나의 제1통제신호로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1스위치 및 하나의 제2스위치를 통제하고, 하나의 제2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3스위치 및 하나의 제4스위치를 통제하는 하나의 신호생성회로; 상기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1예상치 보다 크고, 상기 제2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2예상치 보다 작을 때마다,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설치하여, 상기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한 상기 제1통제신호 및 상기 제2통제신호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갖게 하는 하나의 모드결정회로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제1통제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고, 상기 제2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일종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사용되는 통제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제공하며, 하나의 제1주기성신호 및 하나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따른 하나의 출력전압이 생성한 하나의 회수신호는 하나의 제1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1스위치 및 하나의 제2스위치를 통제하는 하나의 제1비교회로; 하나의 제2주기성신호 및 상기 출력전압이 생성한 하나의 제2회수신호에 따라 하나의 제2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3스위치 및 하나의 제4스위치를 통제하는 하나의 제2비교회로; 하나의 제3주기성신호 및 상기 출력전압이 생성한 하나의 제3회수신호에 따라 하나의 제3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를 통제하고 하나의 제4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를 통제하는 하나의 제3비교회로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제1통제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으며, 제2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는다. 상기 제3통제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으며 상기 제4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제4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는다.
상술된 실시예의 장점 중 하나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 전환 모드 시마다, 출력전압의 리플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이하의 설명과 도면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승강압 모드 컨버터 간소화 후의 전기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통제장치의 일 실시예 간소화 후의 기능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도 2의 회수신호처리회로의 일 실시예를 간소화 한 후의 전기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통제신호생성회로의 일 실시예를 간소화 한 후의 전기회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통제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한 참고신호를 간소화 한 후의 파형도(波形圖)이다.
상기 도면에 맞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 또는 공정순서를 의미한다.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떤 어휘들로 특정 부품을 지칭하였다. 동일한 부품은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는 것을 기술영역 중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설명서와 후속의 특허청구범위는 명칭의 차이로 부품을 구분하는 방식이 아니라, 부품의 기능 사이의 차이에 따라 구분하는 기준이다. 명세서 및 후속의 청구항에서 언급한 「포함한다」는 하나의 개방적인 용어이다. 따라서 「포함하지만, 한정되지는 않는다」라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결합하다」는 단어는 직접 및 간접 어떤 연결 수단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만약 제1장치가 제2장치에 결합되어 있다고 묘사되었다면, 제1장치는 제2장치에 직접 연결(전성을 통한 연결, 유선전송, 무선전송 또는 광학전송 등 신호연결 방식을 포함한다.)되거나 기타 장치 또는 연결수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성 또는 신호로 상기 제2장치까지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명세서와 도면 중, 각각의 부품의 수량, 위치 및 연결관계 등은 단지 나타내기 위한 서술과 도면제작이므로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명세서 중 각각의 부품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부품으로 실시되거나 명세서 중 다수 개의 부품의 기능은 동일 부품에 의해 실시되어 모두 본 발명이 포함 범위라는 것을 기술영역 중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및 도면에서 어떤 신호, 부품, 회로, 공정 또는 작동 방법 등은 단지 전압 도는 전류의 방법을 묘사하는 것이지만, 전압형식 및 전류형식의 실시방법은 모두 적당한 전환을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기술영역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을 간소화 한 후의 전기회로도이다.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는 스위치(111, 112, 113 및 114), 콘덴서(130 및150), 및 인덕터(170)를 포함한다.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는 입력전압을 출력전압으로 전환한 후 로드Z까지 출력된다.
스위치(111, 112, 113 및 114)는 각종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주동 및/또는 피동의 전자부품으로 구성된 스위치, 및/또는 기계식의 스위치 등 방식을 채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스위치(111, 112, 113 및 114)는 각각 통제신호S1, S2, S3 및 S4에 따라 전도 또는 미전도 상태를 나타낸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의 전도상태 및 미전도 상태는 단지 상대적인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 중,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로 실현되며, 스위치가 전도상태 시와 비교하면 스위치가 미전도 상태 시에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은 전류만 전도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비교적 큰 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스위치가 전도상태 또는 미전도 상태 시 반드시 전류 또는 저항 등 제한 조건을 갖는 것은 아니며, 단지 상대적인 전도상태와 미전도 상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통제신호S1, S2, S3 및 S4는 모두 액티브하이 방식으로 표현되어 간단히 설명한다. 즉, 통제신호의 전위(電位)가 하나의 예상치 보다 클 때(이하에서는 통제신호는 고전위로 칭한다.), 스위치는 전도상태를 나타내며, 통제신호가 상기 예상치 보다 작을 때(이하에서 통제신호는 저전위로 칭한다.) 스위치는 미전도상태를 나타낸다. 이 외에도, 만약 특별하게 설명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의 기타신호들도 액티브하이 방식으로 표현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기타 실시예 중 각각의 신호는 모두 액티브하이, 액티브로우 또는 액티브하이 및 액티브로우를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실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 작동 시, 콘덴서(130)을 삽입하여 입력전압(Vin)과 접합되고, 스위치(111)는 콘덴서(130)와 인덕터(170) 사이에 접합되며, 스위치(112)는 스위치(111)와 콘덴서(130) 사이에 접합되고, 스위치(113)은 인덕터(170)와 스위치(112) 사이에 접합되고, 스위치(114)는 인덕터(170)와 콘덴서(150) 사이에 접합되고, 인덕터(170)은 스위치(111)와 스위치(114) 사이에 접합되고, 콘덴서(150)는 스위치(113)와 스위치(114) 사이에 결합되고, 로드(Z)는 콘덴서(150)의 양 끝은 출력접압(Vout)을 받는다.
통제신호S1는 고전위이고, 통제신호S2는 저전위이면, 스위치(111)는 전도상태를 나타내며, 스위치(112)는 미전도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스위치(113) 및 스위치(114)는 통제신호S3 및 통제신호S4에 따라 전도상태와 미전도 상태의 전환을 진행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를 승압 모드로 작동하게 할 수 있고, 입력전압(Vin)보다 높은 출력전압(Vout)을 제공한다.
통제신호S3은 저전위이고, 통제신호S4는 고전위이면, 스위치(113)는 미전도 상태를 나타내고, 스위치(114)는 전도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스위치(111)와 스위치(112)는 통제신호S1과 통제신호S2에 따라 전도상태 및 미도전 상태의 전환을 진행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강압 모드로 작동하게 할 수 있고, 입력전압(Vin)보다 낮은 출력전압(Vout)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111, 112, 113 및 114)는 모두 통제신호(S1, S2, S3 및 S4)에 따라 전도상태 및 미전도 상태의 전환 진행 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강압 모드로 작동하게 할 수 있어서, 입력전압 보다 낮고, 입력전압보다 높거나 입력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출력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의 통제장치(200)를 간소화한 후의 기능 블럭도이며, 도 2는 도 1과 함께 통제장치(200)의 동작방식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제장치(200) 작동 시, 통제장치(200)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의 출력전압(Vout)을 감지하고,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에 제공하여 스위치(111,112,113 및114)의 전도상태 및 미전도 상태를 통제한다.
통제장치(200)는 회수신호처리회로(210), 파형생성회로(230), 모드결정회로(250) 및 통제신호생성회로(270)를 포함한다.
회수신호처리회로(210)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의 출력전압(Vout)을 받아, 참고신호Vc를 생성한다. 파형생성회로(230)는 참고신호(Vg1 및 Vg2)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모드결정회로(250)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에 전환모드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대응하는 통제신호(BB, BB1 및 BB2)를 통제신호생성회로(270)까지 출력한다. 통제신호생성회로(270)는 참고신호Vc, Vg1 및 Vg2와 통제신호BB, BB1 및 BB2에 따라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제공하고,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로 출력하여 스위치(111, 112, 113 및/또는 114)의 전도상태 및 미전도 상태를 통제한다.
본 실시예 중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의 출력전압(Vout)은 회수신호처리회로(210)로 전송된다. 회수신호처리회로(210)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의 출력전압(Vout)에 따라 참고신호Vc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회수신호처리회로(210)는 참고신호(Vc = A x Vout + B)를 생성할 수 있고, 그 중 파라미터A와 B는 적당한 수치의 정수 및/또는 음수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회수신호처리회로(210)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의 출력전압(Vout) 및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 중의 전류신호I를 따르고, 기타 방식을 선택하여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참고신호Vc를 생성한다.
전류신호I는 인덕터(170)를 통한 전류, 스위치(111, 112, 113 및/또는 114)를 통한 전류 또는 각종 부품의 전류 값의 조합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회수신호처리회로(210)는 신호(Vc = Σ (An x Voutn + Bn x In) + C)를 생성할 수 있다. 그 중 파라미터 An, Bn 및 C는 적당한 수치의 정수 및/또는 음수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의 출력전압(Vout)은 또 다른 하나의 신호처리회로(미도시, 통제장치(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를 통해 처리 후, 다시 회수신호처리회로(210)로 전송되어, 참고신호Vc를 생성한다.
도 3은 회수신호처리회로(210)의 일 실시예를 간소화 한 전기회로도이며, 도 3의 실시예 중, 회수신호처리회로(210)는 레지스터(211 및 212), 비교회로(213), 참고전압원(214)을 포함한다. 레지스터(211 및 212), 비교회로(213), 참고전압원(214)은 각종 주동 및/또는 피동의 부품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거나, 참고전압원(214)은 필요한 참고전위까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회로(213)는 차동증폭기를 선택 및/또는 레지스터(211 및 212)는 트랜지스터 방식을 선택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출력전압은 레지스터(211 및 212)를 통해 지면까지 결합되고, 레지스터(211 및 212)가 분압된 후의 전압은 비교회로(213)의 하나의 출력 끝 부분까지 전송된다. 참고전압원(214)은 Vrc의 전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교회로(213)의 다른 한 끝 부분까지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비교회로(213)의 출력 끝 부분은 참고신호(Vc = C x (Vrc-D x Vout))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중, 파라미터 C와 D는 설계를 고려하여 각각 적당한 수치의 정수 및/또는 음수로 설치 나누어 설치할 수 있으며, 레지스터(211 및 212)와 비교회로(213)는 대응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지스터(212) 및 참고전압원(214)의 한 끝 부분은 모두 지면과 결합되어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레지스터(212)와 참고전압원(214)의 한 끝 부분은 동일 또는 동일하지 않은 예상 전위까지 나누어 결합되어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예상된 전위(예를 들면, 접지 끝 부분 또는 기타 예상 전위)는 비교회로(213)의 하나의 출력 끝 부분까지 전송된다. 출력접압(Vout)은 레지스터(211 및 212)를 통해 참고전압원(214)에 결합되고, 레지스터(211 및 212)를 통해 분압된 후의 전압을 비교회로(213)의 하나의 다른 끝 부분까지 전송하여 비교회로(213)의 출력 끝 부분이 참고신호Vc를 제공한다.
파형생성회로(230)는 진동회로가 출력한 진동신호 또는 클록신호에 따라 주동 및/또는 피동으로 부품을 구성한 회로에 맞춰, 필요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주기성 참고신호를 생성하고, 참고신호는 적당한 신호 값의 삼각파, 톱날파, 정현파(sine wave) 또는 주기성을 갖는 어떤 신호로 설치할 수 있으며 참고신호의 주기, 피크투피크 전압(peak to peak voltage) 및/또는 파형(波形) 등 파라미터는 고정 설치되거나 조정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형생성회로(230)이 생성한 참고신호(Vg1 및 Vg2)는 주기, 피크투피크전압 및 파형 등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다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파형생성회로(230)는 주기성을 갖는 참고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참고신호들은 동일 또는 동일하지 않은 주기, 피크투피크전압 및/또는 파형 등의 파라미터를 갖도록 각각 설치된다.
모드결정회로(250)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전환모드가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대응하는 통제신호BB, BB1 및 BB2에서 통제신호생성회로(270)까지 생성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를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에 따라 적당한 작동 방식의 통제신호S1, S2, S3 및 S4에 대응하여 출력 시킨다.
일 실시예 중, 모드결정회로(250)는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의 입력전압(Vin) 및 출력전압(Vout)에 따라 통제신호BB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Vout - Vin) < Vrbb1 또는 (Vin - Vout) < Vrbb2일 때, 모드결정회로(250)는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BB를 생성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BB에 따라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생성하게 한다. 그 중, 참고전압Vrbb1 및 참고전압Vrbb2는 동일 또는 동일하지 않은 적당수치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고전압Vrbb1 및 참조전압Vrbb2 모두 0.1볼트로 설치되며, 입력전압(Vin) 및 출력전압(Vout)의 차분 값은 0.1 볼트보다 작을 시, 모드결정회로(250)는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BB(예를 들면, BB를 고전위로 설치한다.)를 생성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BB에 따라 승강압 모드에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생성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드결정회로(250)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의 듀티사이클에 따라 통제신호BB1 및/또는 BB2를 생성할 수 있다. 듀티사이클은 통제신호S1, S2, S3 및 S4가 스위치를 전도상태를 나타나게 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통제신호S1, S2, S3 및 S4와 비교하여 하나의 주기시간이 갖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듀티사이클의 수치는 1과 같거나 작고 0과 같거나 크다.
예를 들면,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압모드로 작동하면, 스위치(111)는 전도상태를 나타내고, 스위치(112)는 미전도 상태를 나타내며, 통제신호S1은 고전위이며, 통제신호S2는 저전위임을 의미한다. 즉,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1과 같고, 통제신호S2의 듀티사이클은 0과 같다. 따라서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이 예상치Ds3bt보다 작을 때, 모드결정회로(250)는 승강압 모드에 대응되는 통제신호BB1(예를 들면, BB1은 고전위이다.)를 생성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BB1에 따라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압모드로 작동 시, 설계상의 요인을 고려하여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1과 같지 않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0.99와 같거나 크게 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압 모드로 작동 시,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0.99와 같거나 크고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이 예상치Ds3bt=0.05보다 작을 때, 통제신호BB1은 고전위로 설치되어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강압모드로 작동하면, 스위치(113)는 미전도 상태를 나타내고, 스위치(114)는 전도상태를 나타내어, 통제신호S3은 저전위이고 통제신호(S4)는 고전위임을 의미한다. 즉,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은 0과 같고, 통제신호S4의 듀티사이클은 1과 같다. 따라서, 통제신호S1의 책임 주기가 예상치Ds1bk보다 클 때, 모드결정회로(250)는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BB2(예를 들면, BB2는 고전위로 설치된다.)를 생성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BB2에 따라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강압모드로 작동 시, 설계상의 요인을 고려하여,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을 0과 같지 않게 설치한다. 예를 들면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은 0.01과 같거나 작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강압모드로 작동 시,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은 0.01과 같거나 작고,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예상치Ds1bk=0.95 보다 클 때, 통제신호BB2는 고전위로 설치되어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BB2에 따라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강압 모드로 작동 시,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예상치Ds1bb1 보다 작을 때,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이 예상치Ds3bb1 보다 작을 때, 모드결정회로(250)는 강압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BB1(예를 들면, BB1은 저전위로 설치된다.)를 생성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BB1에 따라 강압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하게 한다. 예상치Ds1bb1 및 예상치Ds3bb1는 동일 또는 동일하지 않은 수치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강압모드로 작동 시,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이 예상치Ds1bb1=0.47 보다 작고,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이 예상치Ds3bb1=0.47 보다 작을 때, 통제신호BB1은 저전위로 설치되며, 통제신호생성회로(270)는 강압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강압 모드로 작동 시,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예상치Ds1bb2 보다 크고,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이 예상치Ds3bb2 보다 클 때, 모드결정회로(250)는 승압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BB2(예를 들면, BB2는 저전위로 설치된다.)를 생성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BB2에 따라 승압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하게 한다. 예상치Ds1bb2 및 예상치Ds3bb2는 동일 또는 동일하지 않은 수치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예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강압 모드로 작동하면,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예상치Ds1bb2=0.53 보다 크고,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은 예상치Ds3bb2=0.53 보다 클 때, 통제신호BB2는 저전위로 설치되어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승압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드결정회로(250)는 통제신호BB, BB1, BB2를 생성할 수 있고, 전환 모드의 통제신호가 하나 또는 다수 개인가를 판단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BB2에 따라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가 고전위일 때, 통제신호생성회로(270)는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해야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가 고전위 또는 저전위로 각각 나뉠 때, 통제신호생성회로(270)는 승압모드, 강압모드, 승강압 모드와 대응되는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해야 한다.
도 4는 통제신호생성회로(270)의 일 실시예를 간소화한 전기회로도이며, 통제신호생성회로(270)는 비교회로(410, 430 및 450), 전압조정회로(470), 및 신호선택회로(490)를 포함한다. 통제신호생성회로(270)는 참고신호Vc, Vg1 및 Vg2와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에 따라,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생성한다.
비교회로(410)는 회수신호처리회로(210)가 제공한 참고신호Vc 및 파형생성회로(230)가 제공한 참고신호Vg1을 받아 참고신호Vc가 참고신호Vg1보다 클 때, 비교회로(410)는 고전위의 통제신호T1 및 저전위의 통제신호T2를 생성한다. 참고신호Vc가 참고신호Vg1보다 작을 시, 비교회로(410)는 저전위의 통제신호T1과 고전위의 통제신호T2를 생성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참고신호Vc가 참고신호Vg1보다 클 때, 비교회로(410)는 저전위의 통제신호T1과 고전위의 통제신호T2를 생성하게 설치된다. 참고신호Vc가 참고신호Vg1보다 작을 때, 고전위의 통제신호T1와 저전위의 통제신호T2를 생성한다. 이외에도, 비교회로(430과450)에서는 이런 방식을 선택하여 통제신호T3부터 T8까지를 생성할 수 있다. 비교회로(410, 430 및 450)는 펄스폭변조기(pulse width modulator), 증폭기 및/또는 기타 주동 또는 피동 부품으로 구성된 비교회로를 선택할 수 있다.
전압조정회로(470)는 회수신호처리회로(210)가 제공한 참고신호Vc를 받고 참고신호Vc1 = Vc + Vsh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참고신호Vc와 참고신호Vc1 사이의 차분 값Vsh는 참고신호Vc의 피크투피크전압 수치의 하나의 마이너스 전압보다 크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분 값Vsh는 적당한 수치의 정수 전압 또는 음수 전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전압조정회로(470)는 전압원, 전류원을 주동 및/또는 피동 부품, 및/또는 기타 주동부품 및/또는 피동부품으로 구성된 회로에 맞춰 필요한 참고신호Vc1을 제공한다.
비교회로(430)는 전압조정회로(470)가 제공한 참고신호Vc1 및 파형생성회로(230)가 제공한 참고신호Vg1을 받는다. 참고신호Vc1이 참고신호Vg1보다 클 때, 고전위의 통제신호T3 및 저전위의 통제신호T4를 생성한다. 참고신호Vc1이 통제신호Vg1보다 작을 때, 저전위의 통제신호T3와 고전위의 통제신호T4를 생성한다.
비교회로(450)는 회수신호처리회로(210)가 제공한 참고신호Vc와 파형생성회로(230)이 제공한 참고신호Vg2를 받는다. 참고신호Vc가 참고신호Vg2보다 클 때, 고전위의 통제신호T5와 저전위의 통제신호T6, 고전위의 통제신호T7과 저전위의 통제신호T8를 생성한다. 참고신호Vc가 참고신호Vg2보다 작을 때, 저전위의 통제신호T5와 고전위의 통제신호T6, 저전위의 통제신호T7, 고전위의 통제신호T8을 생성한다. 이외에도, 비교회로(450)가 제공한 통제신호T5와 통제신호T7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가지며, 통제신호T6와 통제신호T8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갖는다.
신호선택회로(490)는 통제신호BB, BB1 및/또는BB2에 따라 통제신호 T1, T2, T3 및 T4를 통제신호 S1, S2, S3 및 S4로 각각 나누어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가 승압모드 또는 강압모드를 나타낼 때, 신호선택회로(490)는 통제신호T1, T2, T3 및 T4를 통제신호S1, S2, S3 및 S4로 각각 나누어 출력한다.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가 승강압 모드로 작동 시, 신호선택회로(490)는 통제신호T5, T6, T7 및 T8을 통제신호S1, S2, S3 및 S4로 각각 나누어 출력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신호선택회로(490)는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가 승압모드, 강압모드 또는 승강압모드를 나타낼 때, 통제신호T1, T2, T3 및 T4와 통제신호T5, T6, T7 및 T8을 통제신호S1, S2, S3 및 S4로 각각 나누어 출력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신호선택회로(490)는 통제장치(200)의 외부에 설치되며, 통제장치(200)는 통제신호T1부터 통제신호T8까지 및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를 신호선택회로(490)까지 출력한 후, 다시 신호선택회로(490)가 적당한 통제신호S1부터 S4까지를 승강압 모드 컨버터까지 출력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드결정회로(250) 및 신호선택회로(490)는 모두 통제장치(200) 외부에 설치되며, 통제장치(200)는 통제신호T1부터 통제신호T8까지를 모드결정회로(250) 및 신호선택회로(490)까지 출력 한 후, 모드결정회로(250)는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를 신호선택회로(490)까지 전송한다. 신호선택회로(490)가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에 대해 승압모드, 강압모드 또는 승강압모드를 나타내면 통제신호T1, T2, T3, T4 또는 통제신호T5, T6, T7, T8을 통제신호S1, S2, S3 및 S4로 출력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참고신호Vc, Vc1, Vg1, Vg2 및/또는 관련 회로를 설치함으로써, 통제신호T1부터 통제신호T4까지의 듀티사이클 및 통제신호T5부터 통제신호T8까지의 듀티사이클을 적당하게 설치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전환 모드 시, 출력전압(Vout)의 리플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압모드로 작동하면,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0.99와 같거나 크고,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은 예상치 Ds3bt=0.05와 같거나 작을 때, 통제신호BB1은 고전위로 설치된다.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이 0.05와 같을 시, 비교회로(450)는 듀티사이클이 0.513과 같은 통제신호T5와 통제신호T7을 생성하게 설치되어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T5부터 통제신호T7까지가 통제신호S1부터 통제신호S4까지로 출력하게 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강압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강압모드로 작동 시, 통제신호S3의 듀티사이클은 0.01과 같거나 작고,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예상치Ds1bk=0.95와 같거나 클 때, 통제신호BB2는 고전위로 설치된다. 통제신호S1의 듀티사이클은 0.95와 같을 때, 비교회로(450)는 듀티사이클이 0.487과 같은 통제신호T5 및 통제신호T7를 생성하게 설치되고,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통제신호T5~T7을 통제신호S1~S4로 출력하게 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강압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는 도 5부터 도 8까지의 간소화 한 후의 파형도와 함께 통제신호생성회로(270)에 작동방식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의 파형도에서, 참고신호Vc는 참고신호Vg1의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에 있고, 참고신호Vc1은 항상 참고신호Vg1 보다 작고,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는 승강압 모드 미진입 상태를 띤다. 이때, 비교회로(410)는 주기성의 통제신호T1 및 통제신호T2를 생성하고, 비교회로(430)는 저전위의 통제신호T3 및 고전위의 통제신호T4를 생성한다. 신호선택회로(490)는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에 따라 통제신호T1, T2, T3, T4를 통제신호S1, S2, S3 및 S4로 출력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강압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도 6의 파형도에서 참고신호Vc는 항상 참고신호Vg1 보다 크고, 참고신호Vc1은 참고신호Vg1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사이에 있으며,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는 승강압 모드 미진입 상태를 띤다. 이때, 비교회로(410)는 고전위의 통제신호T1 및 저전위의 통제신호T2를 생성하고, 비교회로(430)는 주기성의 통제신호T3 및 T4를 생성한다. 신호선택회로(490)는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에 따라 통제신호T1, T2, T3, T4를 통제신호S1, S2, S3 및 S4로 출력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압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도 7의 파형도에서 참고신호Vc는 참고신호Vg1의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에 있다. 참고신호Vc1은 항상 참고신호Vg1 보다 작다. 하지만 이 때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는 승강압 모드 작동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8의 파형도에서 참고신호Vc는 항상 참고신호Vg1보다 크고, 참고신호Vc1은 참고신호Vg1의 최대치 및 최소치 사이에 있다. 그러나, 이 때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는 승강압 모드로 작동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외에도, 도 7과 도 8에서, 참고신호Vc는 참고신호Vg2의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에 있으며, 비교회로(450)는 참고신호Vc와 참고신호Vg2의 관계에 따라, 주기성 통제신호T5, T6, T7, T8를 생성하고, 통제신호T5와 통제신호T7의 듀티사이클은 서로 같게 설치되며, 통제신호T6와 통제신호T8의 듀티사이클은 서로 같게 설치된다. 이때, 신호선택회로(490)는 통제신호BB, BB1 및/또는 BB2에 따라 통제신호T5, T6, T7, T8를 통제신호S1, S2, S3 및 S4로 출력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강압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상술한 실시예 중에서 참고신호Vc, Vc1, Vg1 및/또는 Vg2 및/또는 통제신호BB, BB1 및 BB2 중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참고전압Vrbb1 및 Vrbb2등 파라미터)를 설치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적당한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압모드, 강압모드 또는 승강압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는 승압모드, 강압모드 및 승강압 모드 중 임의의 2개의 모드로만 작동하며, 상기 참조신호 및/또는 통제신호를 설치하여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적당한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할 수 있게 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적당한 모드로 작동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회수신호처리회로(210)와 파형생성회로(230)는 조합하거나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수신호처리회로(210)에서 출력전압(Vout)과 주기성 신호는 연산을 진행하여 주기성을 갖는 파형의 참고신호Vc를 생성한다. 참고신호Vg1과 참고신호Vg2는 동일 또는 동일하지 않은 전압수치(예를 들면, 접지 끝 부분 또는 기타 예상 전위)를 각각 나누어 설치한다. 참고신호Vc, 참고신호Vg1과 참고신호Vg2 및 통제신호BB, BB1과 BB2를 통제신호생성회로(270)까지 전송한 후, 통제신호생성회로(270)가 적당한 통제신호S1, S2, S3 및 S4를 출력할 수 있게 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적당한 모드로 작동한다.
통제신호S1과 통제신호S2는 동시에 스위치(111,112) 중 한 곳에만 전도되며, 통제신호S3과 통제신호S4는 동시에 스위치(113,114) 중 한 곳에만 전도된다. 따라서,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제장치(200)는 2개의 통제신호S1과 통제신호S3만 생성하거나 통제신호S1과 통제신호S2만을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까지 제공한다.
또한, 통제신호S1을 사용하여 스위치(111,112)를 통제하여, 스위치(111, 112)가 동시에 그 중 하나에만 전도되게 하고, 통제신호S3을 사용하여 스위치(113,114)를 통제하여, 스위치(113,114)가 동시에 그 중 하나에만 전도되게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제장치(200)는 통제신호S1과 통제신호S2 중 하나만을 생성하고, 통제신호S3와 통제신호S4중 하나만을 생성하거나 통제신호S1과 통제신호S2 중 하나 및 통제신호S3와 통제신호S4 중 하나를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까지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회수신호처리회로(210), 파형생성회로(230), 모드결정회로(250) 및/또는 신호선택회로(490)를 통제장치(200)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고, 신호의 결합 방식을 적당히 변화시켜 통제신호S1, S2, S3, S4를 사용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를 통제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적당한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통제장치(200)가 승압모드 또는 강압모드일 때, 참고신호Vc와 참조신호Vg1을 선택하여 통제신호S1~S4를 생성하고, 승강압 모드에서는 참고신호Vc와 참고신호Vg2를 선택하여 통제신호S1~S4를 생성한다. 참고신호Vc, Vg1, Vg2 및 관련 회로를 적당하게 설치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승압모드 및/또는 강압모드에서 승강압 모드로 전환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출력전압(Vout)의 리플을 낮출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통제장치(200)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분 값이 예상 범위 내인지 여부를 선택하여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다른 하나의 작동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는가를 판단한다. 따라서, 차분 값의 예상 범위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 전화모드의 시기를 변화시켜, 통제장치(200)가 설계 상 탄성을 갖게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통제장치(200)는 통제신호S1, S2, S3 및/또는 S4의 듀티사이클로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가 다른 하나의 작동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는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승강압 모드 컨버터는 판단기준인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으로 모드를 전환할 지 여부를 판단할 시, 전압수치의 부동(浮動) 때문에 판단 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판단 착오의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승강압 모드 컨버터(100)의 출력전압(Vout)의 리플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모든 것은 본 발명이 출원한 특허청구범위에 의거한 균등변화, 수식, 조합이며, 모두 본 발명의 포함범위이다.
100 승강압 모드 컨버터
111, 112, 113, 114 스위치
130, 150 콘덴서
170 인덕터
200 통제장치
210 신호회수처리회로
230 파형생성회로
250 모드결정회로
270 신호생성통제회로
211, 212 레지스터
213 비교회로
214 참고전압원
410, 430, 450 비교회로
470 전압조정회로
490 신호선택회로

Claims (34)

  1. 하나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따른 하나의 출력 전압은 하나의 제1, 하나의 제2, 하나의 제3 및 하나의 제4의 통제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1, 하나의 제2, 하나의 제3 및 하나의 제4의 스위치를 각각 통제하기 위한 하나의 신호생성회로; 및
    상기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1예상치 보다 크고, 상기 제3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2예상치 보다 작을 때마다,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제1통제신호와 제3통제신호가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갖게 하며, 상기 제2통제신호와 상기 제4통제신호는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갖는 하나의 모드결정회로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통제신호 및 상기 제2통제신호는 동시에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로 전도 할 수 없으며, 상기 제3통제신호 및 상기 제4통제신호는 동시에 상기 제3스위치 및 제4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제4스위치로 전도할 수 없는 통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상치는 0.95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2예상치는 0.01와 같거나 작은 통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3예상치 보다 크고, 상기 제3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4예상치 보다 클 때, 상기 모드결정회로는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하는 상기 제1통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에 전도 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2 통제신호는 상기 제2스위치에 전도되지 않게 하고, 상기 제3통제신호 및 상기 제4통제신호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에 전도되게 하는 통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예상치와 상기 제4예상치는 모두 0.53과 같거나 큰 통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예상치 및 제4예상치가 동일하게 설정된 통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예상치는 0.99와 같거나 크고, 상기 제2예상치는 0.05와 같거나 작은 통제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5예상치 보다 작고, 상기 제3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6예상치 보다 작을 때마다, 상기 모드결정회로는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한 상기 제3통제신호가 상기 제3스위치에 전도되지 않게 하며, 상기 제4통제신호가 상기 제4스위치에 전도 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1통제신호 및 상기 제2통제신호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에 전도 될 수 있게 하는 통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예상치는 0.47과 같거나 작고, 상기 제6예상치는 0.47보다 작은 통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예상치 및 상기 제6예상치가 동일하게 설정된 통제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하나의 승강압 모드 컨버터에 따른 하나의 출력전압이 생성한 하나의 제1통제신호로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1스위치 및 하나의 제2스위치를 통제하고, 하나의 제2통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하나의 제3스위치 및 하나의 제4스위치를 통제하는 하나의 신호생성회로; 및
    상기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이 하나의 제1예상치 보다 크고, 상기 제2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이 하나의 제2예상치 보다 작을 때마다,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한 제1통제신호 및 상기 제2통제신호가 동일한 듀티사이클을 갖도록 하는 하나의 모드결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제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으며, 상기 제2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에 동시에 전도되지 않는 통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이 하나의 제3예상치 보다 크고 상기 제2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이 하나의 제4예상치 보다 클 때마다, 상기 모드결정회로는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한 상기 제1통제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에 전도되게 하고, 상기 제2스위치에는 전도되지 않게 하며, 상기 제2통제신호는 상기 제3스위치 및 상기 제4스위치에 전도되는 통제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5예상치 보다 작고, 상기 제2통제신호의 듀티사이클은 하나의 제6예상치 보다 작을 때마다, 상기 모드결정회로는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생성회로가 생성한 상기 제2통제신호가 상기 제3스위치에 전도되지 않게 하고, 상기 제4스위치에 전도되지 않게 하며, 상기 제1통제신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에 주기적으로 전도되는 통제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10054700A 2011-04-15 2011-06-07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및 통제방법 KR101253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13296 2011-04-15
TW100113296A TWI408882B (zh) 2011-04-15 2011-04-15 升降壓式轉換器的控制裝置及控制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279A Division KR101307455B1 (ko) 2011-04-15 2012-11-08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605A KR20120117605A (ko) 2012-10-24
KR101253677B1 true KR101253677B1 (ko) 2013-04-11

Family

ID=470059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00A KR101253677B1 (ko) 2011-04-15 2011-06-07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및 통제방법
KR1020120126279A KR101307455B1 (ko) 2011-04-15 2012-11-08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279A KR101307455B1 (ko) 2011-04-15 2012-11-08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36309B2 (ko)
KR (2) KR101253677B1 (ko)
TW (1) TWI4088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6133B2 (en) * 2010-01-08 2013-05-21 Mediatek Inc. Methods and control circuits for controlling buck-boost converting circuit to generate regulated output voltage under reduced average inductor current
CN103078495B (zh) * 2013-01-29 2016-06-01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升降压转换器及其控制方法
US9800158B2 (en) 2013-01-30 2017-10-24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downstream controller
US9804621B2 (en) * 2013-02-05 2017-10-31 Nvidia Corporation Current-parking switching regulator downstream controller pre-driver
CN104660039A (zh) * 2013-11-21 2015-05-27 青岛润鑫伟业科贸有限公司 一种可升可降的高效开关电源电路
WO2015119958A1 (en) * 2014-02-04 2015-08-13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ommon mode voltage of multi-mode power converter
US9825544B2 (en) 2014-04-01 2017-11-21 Securaplane Technologies, Inc. Power converters
WO2015171937A1 (en) 2014-05-08 2015-11-12 Cirrus Logic, Inc. Switched mode converter with low-voltage turn-around mode
EP2953248A1 (en) * 2014-06-06 2015-12-09 Dialog Semiconductor GmbH Method for a current mode buck-boost converter
US9628033B2 (en) 2014-10-29 2017-04-18 Cirrus Logic, Inc. Power stage with switched mode amplifier and linear amplifier
KR102549239B1 (ko) 2018-04-24 2023-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델타 시그마 모듈레이터를 이용한 벅-부스트 컨버터
US11418119B2 (en) * 2019-05-21 2022-08-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de switching frequency range switched mode power supply control topology
US20230216407A1 (en) * 2021-12-27 2023-07-0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Multi-level inverting buck-boost converter archite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323A (ja) 2003-12-25 2005-07-14 Texas Instr Japan Ltd Dc−dcコンバータ
JP2008141871A (ja) 2006-12-01 2008-06-19 Honda Motor Co Ltd 電力変換器
KR20080073173A (ko) * 2007-02-05 2008-08-08 (주)제이디에이테크놀로지 다출력 직류 전압 변환기
US20110074373A1 (en) 2009-09-29 2011-03-31 Richtek Technology Corp.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 buck-boost power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6527A (en) * 2000-03-27 2000-12-2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in a buck-boost switching regulator
US7265524B2 (en) * 2004-09-14 2007-09-04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control for inducer based buck-boost voltage regulators
US7466112B2 (en) * 2005-02-08 2008-12-1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Variable frequency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394231B2 (en) * 2005-02-08 2008-07-01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176667B2 (en) * 2005-06-20 2007-02-13 Aimtron Technology Corp. Buck-boost voltage converter
CN101401287B (zh) 2006-03-22 2013-05-01 三菱电机株式会社 双向升降压dcdc转换器装置、铁路车辆驱动控制系统及电气铁路供电系统
US7843177B2 (en) * 2007-10-31 2010-11-30 Elite Semiconductor Memory Technology Inc.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in switching regulator
US7952900B2 (en) 2008-04-16 2011-05-31 Analog Devices, Inc. H-bridge buck-boost converter
TW201034363A (en) * 2009-03-13 2010-09-16 Richtek Technology Corp Buck-boost power converter and its control method
US7977928B2 (en) * 2009-03-17 2011-07-12 Microsem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right half-plane zero in a cascaded DC-DC buck-boost conver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323A (ja) 2003-12-25 2005-07-14 Texas Instr Japan Ltd Dc−dcコンバータ
JP2008141871A (ja) 2006-12-01 2008-06-19 Honda Motor Co Ltd 電力変換器
KR20080073173A (ko) * 2007-02-05 2008-08-08 (주)제이디에이테크놀로지 다출력 직류 전압 변환기
US20110074373A1 (en) 2009-09-29 2011-03-31 Richtek Technology Corp.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 buck-boost power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36309B2 (en) 2014-09-16
US20120262142A1 (en) 2012-10-18
TWI408882B (zh) 2013-09-11
TW201242227A (en) 2012-10-16
KR20120130154A (ko) 2012-11-29
KR101307455B1 (ko) 2013-09-12
KR20120117605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677B1 (ko) 승강압 모드 컨버터의 통제장치 및 통제방법
US9831780B2 (en) Buck-boost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ck-boost converter
JP5877074B2 (ja) コンパレータ、それを用いたオシレータ、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dc/dcコンバータ、電子機器
US7830132B2 (en) Output rippl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 PWM system
TWI404309B (zh) 切換式升降壓轉換器控制電路及方法
US20140225577A1 (en) Buck-boost converter with buck-boost transition switching control
TWI426689B (zh) 切換式電源供應器及其控制電路與控制方法
EP297397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100 percent duty cycle in switching regulators
CN102201202B (zh) 发光二极管的驱动电源控制电路与驱动电源控制方法
KR20120060728A (ko) 적응형 입력선택을 갖는 전원공급회로 및 전원공급방법
US8502510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predicted PWM control
US9667144B2 (en) DC-DC converter with reverse current detecting circuit
TWI479780B (zh) 降壓轉換器
JP5479940B2 (ja) 昇降圧dc−dcコンバータ及び車両用灯具
JP2017085725A (ja) 降圧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車載用電源装置
CN110402534B (zh) 车辆用电源装置
CN107834875B (zh) 一种频率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和开关型变换器
CN104852568B (zh) 基于Cuk的电流源
JP5085261B2 (ja) 駆動回路
JP4487649B2 (ja)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KR101087749B1 (ko) 전류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장치
JP2008295237A (ja) スイッチングパルス生成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パルス生成回路を用いたレギュレータ
US9992826B1 (en) Dual mode constant current LED driver
JP2014011841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06353007A (ja) チャージポンプ式ledドライバおよびチャージポンプ回路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