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589B1 -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589B1
KR101253589B1 KR1020120123810A KR20120123810A KR101253589B1 KR 101253589 B1 KR101253589 B1 KR 101253589B1 KR 1020120123810 A KR1020120123810 A KR 1020120123810A KR 20120123810 A KR20120123810 A KR 20120123810A KR 101253589 B1 KR101253589 B1 KR 101253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nt image
printing paper
image pattern
patter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식
Original Assignee
임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식 filed Critical 임성식
Priority to KR1020120123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33Water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6Security printing using a non human-readable pattern which becomes visible on reproduction, e.g. a void ma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8Transitory images, i.e. images only visible from certain viewing ang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는, 병원, 학교, 정부기관에서 발행하는 진단서, 증명서 등 각종 공적(公的) 혹은 준(準)공적인 성격의 문서들을 출력하기 위한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일부 면적에 마련되며, 배경패턴(30)과 상기 배경패턴(30) 중에 삽입된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으로 구성된 위조방지용 식별부(3); 및 상기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청색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쇄되어 상기 인쇄용지(1)의 원본 상태에서는 나타나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후의 복사본(1a)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복제방지용 워터마크(watermark, 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쇄용지는 원본의 상태에서는 위조방지용 식별부(3) 안의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배경패턴(30)에 의해서 은폐되어 잠상패턴들이 드러나지 않지만, 복사본(1a)의 경우에는 배경패턴(30)이 나타나지 않아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그대로 현출되므로 원본이 아니라는 것을 쉽게 알릴 수 있으며, 그 결과 병원,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발행하는 진단서, 증명서 등의 진정성을 확립하고 부정 사용을 미연에 철저히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printing paper with anti-forgery featur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각종 진단서 및 증명서 등과 같은 의료문서들을 발행하거나 학교 등에서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학위증명서 등의 각종 증명서 등을 발행할 때 사용하는 인쇄용지에 위조방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원본 문서를 복사기로 복사해 만든 복사본에는 그것이 복사본이라는 것을 알리는 표지가 자동적으로 나타나도록 하여 원본 문서의 정당한 이용을 보장하고 위조 및 기타 부정한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재현력이 매우 우수한 복사기, 스캐너, 프린터 등 복제기기가 일반화됨으로써 화폐, 유가증권, 여권, 상품권 기타 각종 증명서류에 대한 위조가 한층 더 쉬워졌다. 이에 따라 화폐 및 각종 공문서 등의 위조 사건 발생률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서 위조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원본임을 증명할 필요가 있는 문서들에 대해서 아예 위조방지 기능이 있는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위조방지 용지들은 원본 용지를 복사하면 원본에 숨어 있던 잠상이 현출되도록 제조되는데, 이처럼 인쇄용지에 위조방지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으로서는 복사기의 센서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색깔로 배경부분을 인쇄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고, 혹은 배경부분의 이미지와 잠상 부분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선의 굵기를 달리하여 배경부분의 선들이 인쇄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위조방지 인쇄용지들은 복사기에 따라서 원본문서를 복사했을 때 사본임을 나타내는 잠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위조방지 기능을 100% 보장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복사기의 복사 농도를 흐리게 설정하고 복사하면 배경패턴 뿐만 아니라 잠상패턴까지도 그대로 사라지는 경우가 있어서 위조방지 기능을 완전하게 보장하지는 못하는 형편이었다.
한편, 병원 등에서 발행하는 진단서 및 증명서들은 보험회사, 근로복지공단, 병무청 등 각종 기관에 특정한 목적(보험급여, 산업재해 판정, 군 입대시 신체검사 등)을 위해 제출되는 경우가 많고, 학교 등의 기관에서 발행하는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학위증명서 등도 취업 혹은 신원확인 등의 널리 사용되는데, 이러한 문서들의 위조 및 변조도 자주 일어나고 있어서, 최근에는 이들 문서들을 발행하는 병원, 학교, 정부기관 등이 위조방지 기능이 구현된 인쇄용지를 사용하여 진단서, 증명서 등의 각종 문서들을 출력해 환자, 고객 및 민원인 등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병원,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위조방지 인쇄용지들은 용지 자체에 서류의 발행자, 즉 원본 문서의 발급처가 누구인지를 나타내는 표시가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각종의 진단서, 증명서 등을 출력하기 위한 인쇄용지들에 그 문서의 발행기관을 표시하는 마크나 표지를 함께 인쇄하고, 복사기로 복사한 문서에는 그 마크나 표지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면 그 문서의 원본 여부를 보다 더 잘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종래의 인쇄용지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병원,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진단서 및 증명서 등과 같이 공적 혹은 준(準)공적인 성격의 문서들을 발행할 때 사용하는 인쇄용지에 위조방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원본 문서를 복사기로 복사해 만든 복사본에는 그것이 복사본이라는 것을 알리는 표지가 자동적으로 나타나도록 하여 원본문서의 정당한 이용을 보장하고 위조 및 기타 부정한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료기관,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진단서, 증명서 등의 문서들을 발행할 때 사용하는 인쇄용지 자체에 그 발행기관을 상징하는 로고(logo)나 마크, 표지를 인쇄하여 원본 문서에는 그 로고 등이 나타나고 복사기로 복사한 경우에는 그 로고 등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 원본 문서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는, 병원,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발행하는 증명서, 진단서 등의 문서를 출력하기 위한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일부 면적에 마련되며, 배경패턴(30)과 상기 배경패턴(30) 중에 삽입된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으로 구성된 위조방지용 식별부(3); 및 상기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청색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쇄되어 상기 인쇄용지(1)의 원본 상태에서는 나타나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후의 복사본(1a)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복제방지용 워터마크(watermark, 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는, 상기 배경패턴(30), 상기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은 각각 복수개의 원형의 망점들(30a, 31a, 32a)이 상기 인쇄용지(1) 위에 인쇄됨으로써 그 이미지들이 구현되고, 상기 배경패턴(30)은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線數)에 4~6%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제1잠상패턴(31)은 100~110선의 스크린 선수에 8~11%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고, 상기 제2잠상패턴(32)은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8~11%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복수개의 원형의 망점들이 상기 인쇄용지(1) 위에 인쇄됨으로써 그 이미지가 구현되고,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5~6%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는,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데 사용된 인쇄잉크가 청색안료 23~26 중량%, 바인더 수지 21~24 중량%, 아마인유(亞麻仁油) 24~27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21~24 중량%, 계면활성제 0.4~0.9 중량%, 콤파운드(compound) 0.5~1.3 중량%, 건조제 0.5~1.3 중량%, 소포제 0.5~1.3 중량% 및 가소제 0.9~1.7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 안의 배경패턴(30),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인쇄잉크가 흑색안료 25~30 중량%, 바인더 수지 20~23 중량%, 아마인유 20~25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18~22 중량%, 계면활성제 0.4~0.9 중량%, 콤파운드 0.5~1.3 중량%, 건조제 0.5~1.3 중량%, 소포제 0.5~1.3 중량% 및 가소제 0.9~1.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의 제조방법은, (a) 위조방지용 워터마크가 형성된 제1인쇄판에 청색의 인쇄잉크를 가하여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중앙 부분에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 제1단계; (b) 위조방지용 식별부를 구성하기 위한 인쇄패턴의 일부로서 배경패턴과 제2잠상패턴이 형성된 제2인쇄판에 흑색의 인쇄잉크를 가하여 상기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가장자리 일부 면적에 상기 배경패턴(30)과 제2잠상패턴(32)을 인쇄하는 제2단계; 및 (c) 위조방지용 식별부를 구성하기 위한 인쇄패턴의 일부로서 제1잠상패턴(31)이 형성된 제3인쇄판에 흑색의 인쇄잉크를 가하여 상기 인쇄용지(1)의 상기 배경패턴(30)이 인쇄된 면적 내에 상기 제1잠상패턴(31)을 인쇄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는 병원,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발행하는 증명서, 진단서 등의 문서를 출력하기 위한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일부 면적에 마련되고, 상기 배경패턴(30)과 상기 배경패턴(30) 중에 삽입된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는 문서 원본의 상태에서는 위조방지용 식별부(3)가 그 안의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배경패턴(30)에 의해서 은폐되어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식별될 수 없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복사본(1a)에서는 상기 배경패턴(30)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그대로 현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를 이용하여 병원 등 의료기관이 진단서, 증명서 등을 출력하거나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각종 증명서 등을 출력한다면, 이 원본 문서를 복사기로 복사해서 만든 복사본에는 '복사본'이라는 표지가 선명하게 나타나므로 누구나 문서의 원본이 아니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으며, 그 결과 병원,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발행하는 진단서, 증명서 기타 문서들의 등의 부정한 사용을 미연에 철저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용지의 표면 중앙부분에 청색의 워터마크를 갖고 있는데, 이 청색의 워터마크는 현존하는 대부분의 복사기들이나 스캐너들에 의해서 복제할 경우에는 절대로 복사가 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문서 원본에 표시된 청색의 워터마크가 없는 문서는 쉽게 복사본이라는 것을 또한 알려줄 수 있으므로, 원본 문서의 부정한 사용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의 평면도로서, 예를 들어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진단서, 증명서 등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인쇄용지(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 중의 위조방지용 식별부(3)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도1의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에 병원 등 의료기관의 진단서 내용(5)을 출력한 '원본 문서'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도3의 의료기관의 진단서 내용(5)을 출력한 본 발명의 인쇄용지(1)를 복사기로 복사했을 경우 '복사본'(1a)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위조방지용 식별부(3′)안의 배경패턴(30)이 사라짐으로써 제1 및 제2잠상패턴들(31, 32)이 현출된 것을 나타낸다.
도5는 도3의 복사본(1a)에 있어서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3의 의료문서 원본을 복사기로 복사할 때 복사 농도를 인위적으로 매우 낮출 경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제2잠상패턴(32)이 사라지고 제1잠상패턴(31)만이 현출된 것을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를 제조함에 있어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의 인쇄에 사용되는 청색 잉크 조성물의 성분 및 그 성분비율을 정리한 표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를 제조함에 있어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인쇄에 사용되는 흑색 잉크 조성물의 성분 및 그 성분비율을 정리한 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의 일예로서,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진단서, 증명서 등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인쇄용지(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는 그 표면의 중앙 부분에 복제방지용 워터마크(watermark, 2)가 표시되고, 좌측 아래의 모서리 부분에 위조방지용 식별부(3)가 표시된다.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청색의 인쇄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엷은 청색으로 인쇄되며, 그 위에 병원 등 의료기관의 의료문서 내용이 인쇄되더라도 상기 워터마크(2)로 인해 의료문서의 내용을 읽는데 하등 지장이 없도록 옅은 농도로 인쇄된다.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문서의 발행기관, 즉 예를 들어 병원 등 의료기관의 마크, 로고 기타 상징성을 표현할 수 있는 도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는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의 외곽 부분에 문자 인쇄부분(20)이 표시되어 발행기관, 즉 의료기관(병원)의 명칭이 나타나 있으며, 나머지 부분들은 청색의 옅은 배경 그림 혹은 문양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 중에는 아무 것도 인쇄되지 않은 빈 부분(21)도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쇄용지(1)의 좌측 하단부 모서리에 표시된 위조방지용 식별부(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경패턴(30, 도2 참조)과 잠상패턴들(31, 32)이 함께 인쇄된 것이어서 사람의 육안으로 봐서는 그냥 미세한 점들이 찍힌 모양으로만 보일 뿐 특별히 의미 있는 모양으로는 인식되지 않는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 중의 위조방지용 식별부(3)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2를 참고하면, 위조방지용 식별부(3)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네모난 모양으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작은 미세한 점들로 이루어진 배경패턴(30)과 조금 더 큰 점들로 이루어진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이 포함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경패턴(30)을 구성하는 점들의 크기는 제1잠상패턴(31)을 구성하는 점들의 크기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인쇄용지(1)에 표현된 문양과 같은 이미지를 종이 위에 표현할 때, 망점이 있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필름을 만들고 그 필름에 의해서 인쇄판(소부판)을 만들면, 한 색깔의 잉크로도 여러 가지 농도로 그 이미지의 음영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은 색 잉크 하나만을 가지고서 100% 검은색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100%의 검은색과 100%의 흰색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농도의 회색들을 표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할 때는 '망점'(網點)과 '선수'(線數)라는 개념이 사용되는데, 망점은 인쇄시 잉크가 묻는 최소 단위 면적을 말하고, 선수는 망점들이 1인치(inch)안에 몇 줄로 들어가는가를 뜻한다. 여기서의 '선수'란 '출력선수'를 줄여서 부르는 말인데, 예를 들어 1인치 안에 망점이 175개가 잇달아 있다면 175선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선수란 이미지의 인쇄를 위해 사용되는 스크린에서 망점을 만들기 위해 일정 면적을 어느 정도의 조밀도로 나누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라고 할 수 있으며, 선수가 높다는 것은 망점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결국 작은 점들을 사용해서 세밀한 음영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스크린 선수'는 인쇄의 가늘기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척도인데, 망점이 많이 있다는 것은 망점 그룹의 간격이 좁아지고 망점의 사이즈도 작아지며, 망점이 작을수록 사람의 눈은 점으로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인쇄시의 망점의 사이즈를 얼마로 할 것인가는 인쇄하는 종이의 재질이나 인쇄방법 등에 따라 다르게 된다. 대체로 신문과 같은 저급의 용지를 사용하는 인쇄의 경우에는 80~100선의 스크린 선수를 사용하며, 서적이나 잡지와 같이 1~2색으로 인쇄하는 경우에는 100~150선의 스크린 선수를 사용하고, 포스터, 캘린더, 카탈로그 등의 고급 컬러 인쇄에서는 150~200선의 스크린 선수를 사용한다.
한편, 계조(gradation) 혹은 농도는 잉크가 묻는 면적의 정도를 나타내며, %단위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 농도가 50%라는 것은 일정 면적에서 잉크가 묻은 망점의 면적 비율이 50%인 것을 의미한다. 스크린 농도(혹은 계조)가 낮을수록 그 일정 면적 내에서 망점(잉크가 찍힌 부분)의 면적 비율은 작게 되므로, 한 가지 색의 잉크를 가지고서도 그 색 계열에 속한 다양한 색들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청색의 잉크를 가지고서 청색 계열에 속한 다양한 농도의 색들을 표현할 수 있다.
도2에서 본 발명의 인쇄용지(1) 중의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배경패턴(30)을 인쇄할 때는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를 사용하며 농도(계조)는 4~6%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한다. 그리고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제1잠상패턴(31)은 100~110선의 스크린 선수에 8~11%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하고, 상기 제2잠상패턴(32)은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8~11%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한다.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배경패턴(30),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은 모두 원형의 망점들(30a, 31a, 32a)로 각각 구성되며, 배경패턴(30)은 제1잠상패턴(31)보다 미세한 망점들(30a)을 사용해서 인쇄되어 있다. 사람의 눈은 미세한 망점들을 개별적으로 식별하지는 못하며, 망점들이 모여서 색의 혼합이 이루어진 것을 전체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배경패턴(30)은 작은 망점들을 사용하지만 그 작은 점들이 많이 찍혀 있어 제1잠상패턴(31)과 비슷한 음영의 느낌을 주기 때문에, 배경패턴(30)의 내부에 삽입된 제1잠상패턴(31)은 배경패턴(30)에 가려져서 쉽게 알아볼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잠상패턴(32) 역시 상기 배경패턴(30)에 가려져서 그 모양이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도2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 중의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구현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는 모두 흑색의 잉크를 사용해서 인쇄하되, 그 중에서 배경패턴(30)은 150선의 스크린 선수에 5%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하고,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제1잠상패턴(31)은 100선의 스크린 선수에 10%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하고, 상기 제2잠상패턴(32)은 150선의 스크린 선수에 8%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경패턴(30)과 제2잠상패턴(32)은 망점들(30a, 32a)의 크기는 서로 같고, 다만 스크린 농도가 제2잠상패턴(32)쪽이 더 진하며, 제1잠상패턴(31)은 배경패턴(30) 및 제2잠상패턴(32)보다 망점(31a)의 크기를 더 크게 하고, 스크린 농도도 가장 진하게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 원형의 미세한 점들(30a)로 이루어진 배경패턴(30) 안에 "사본"이라고 기재된 제1잠상패턴(31)이 삽입되어 있으며, 특정한 디자인을 가진 제2잠상패턴(32)이 역시 배경패턴(30) 안에 삽입되어 있다.
도3은 도1의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에 병원 등 의료기관의 진단서 내용(5)을 출력한 '원본 문서'의 상태를 도시한다. 원본문서로서의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의 중앙에는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가 표시되어 있으며, 좌측 하단부 모서리에는 위조방지용 식별부(3)가 인쇄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의 중앙 부분에 크게 인쇄된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청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되, 높은 스크린 선수를 사용하여 옅은 농도로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인쇄용지(1)의 표면에 원래의 문서(예를 들어 의료문서) 내용을 그 위에 인쇄하더라도 문서 자체의 내용을 읽는데는 전혀 장애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할 때는 청색의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며, 인쇄용지(1)에 표현된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5~6%의 스크린 농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150선의 스크린 선수에 5%의 스크린 농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복사기들은 그 이미지 센서가 대상물을 주사(走査)할 때 사용하는 빛의 파장이 청색 계통에 잘 흡수되는 영역에 속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청색의 이미지는 잘 복사되지 않게끔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인쇄용지(1)에 미리 크게 인쇄되는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반드시 청색의 잉크를 사용해서 인쇄하도록 한 것은, 이처럼 청색 계열의 잉크가 복사기들에 의해 잘 인식되지 못한다는 점을 이용하고자 한 것이다.
도4는 도3의 의료기관의 진단서 내용(5)을 출력한 본 발명의 인쇄용지(1)를 복사기로 복사했을 경우의 '복사본'(1a)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위조방지용 식별부(3′)안의 배경패턴(30)이 사라짐으로써 제1 및 제2잠상패턴들(31, 32)이 현출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도3에 도시된 의료기관의 의료문서 원본을 현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시판 및 사용되고 있는 복사기들과 스캐너들을 이용해서 복사하거나 스캔해보면, 인쇄용지(1) 원본의 중앙부에 나타났던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복사되지 않아서 복사본(1a)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복사본(1a)의 좌측 하단 모서리 부분에 복사되어 나타난 위조방지용 식별부(3′)는 배경패턴(30)이 완전히 사라지고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 만이 나타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는 현존하는 복사기들을 이용해서 한번 복사하고 나면 원본에 선명히 나타나 있던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완전히 사라지고, 원본에서 전혀 보이지 않았던 "사본"이라는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선명하게 보이므로, 누구나 이 문서가 원본이 아니라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도3에서 미설명부호 2′는 원본 문서에서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가 있었던 위치를 가리키며, 미설명부호 5′는 복사된 의료문서의 내용을 가리킨다.
도5는 도3의 복사본(1a)에 있어서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도3의 의료문서 원본을 복사기로 복사할 때 복사 농도를 인위적으로 매우 낮출 경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제2잠상패턴(32)이 사라지고 제1잠상패턴(31)만이 현출된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 이전의 종래의 위조방지 기능을 갖춘 인쇄용지들은 복사기의 복사 농도를 낮출 경우(즉 흐리게 복사할 경우) 배경패턴 뿐만 아니라 잠상패턴들까지도 복사되지 않아서 위조방지용 식별부 자체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었다. 복사본에 "사본"과 같은 표지가 나타나지 않으면 결국 복사본을 원본과 다른 문서로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라도 복사본에는 잠상패턴이 나타나도록 해야만 한다.
도5는 복사기의 복사 농도를 정상치보다 약간 낮춰 본 발명의 인쇄용지(1)를 복사한 경우의 복사본(1a)의 인쇄상태를 도시하며, 도6은 복사기의 복사 농도를 현저히 낮춰 본 발명의 인쇄용지(1)를 복사한 경우의 복사본(1a)의 인쇄상태를 도시한다.
우선, 도5와 같이 약간 복사농도를 낮춰서 복사기로 복사한 경우에는 배경패턴(30)은 완전히 사라져서 보이지 않으며(도면부호 30′ 참조),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보인다. 도5에서 미설명부호 3′는 위조방지용 식별부(3)를 복사한 모양임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도6과 같이 복사기의 복사농도를 최저치에 가깝게 내려서 복사한 경우에는, 제2잠상패턴(32)은 복사되지 않으며 제1잠상패턴(31)만이 복사되어 나타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는 현존하는 복사기들을 가지고서 원본 문서를 어떻게 복사하더라도 반드시 제1잠상패턴(31)이 그 복사본 문서에 나타나게끔 하므로, 누구나 그 문서가 복사본이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는 청색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용지 중앙의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 제1단계, 흑색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용지 좌측 하단부에 위조방지용 식별부(3) 중의 배경패턴(30)과 제2잠상패턴(32)을 인쇄하는 제2단계, 그리고 다시 흑색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에 추가적으로 제1잠상패턴(31)을 인쇄하는 제3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를 제조할 때 3개의 필름(110, 120, 130)과 그에 따라 3개의 인쇄판들(111, 121, 131)을 사용하므로, 본 발명의 인쇄용지를 인쇄하는 공정은 3도(度)의 인쇄작업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3단계의 인쇄공정에 있어서 각 단계별 인쇄의 진행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7의 도면의 아래 부분에는 인쇄용지(1)에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와 배경패턴30) 및 제2잠상패턴(32), 그리고 제1잠상패턴(31)이 인쇄된 상태를 약간 과장된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를 제조함에 있어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의 인쇄에 사용되는 청색 잉크 조성물의 성분 및 그 성분비율을 정리한 표이다.
일반적으로 인쇄잉크란 사진이나 문자, 도형 등과 같은 화상을 종이나 피인쇄체에 형성하기 위한 색재로서 비이클(vehicle) 또는 전색제(展色劑)에 안료(顔料)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것이다.
이러한 잉크의 조성을 이루는 3가지 큰 요소들은 안료, 비이클 및 보조제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안료는 각 색깔별로 서로 다른 안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검은색의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주로 사용하고, 청색의 안료로서는 프탈로시아닌 블루(phthalocyanine blue)를 사용한다. 비이클은 상기 안료를 피인쇄체에 운반하여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기름, 수지 및 용제 성분으로 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특별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첨가되는 보조제로서는 건조도를 높이기 위한 건조제 및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첨가물 등이 들어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조방지용 인쇄용지(1)를 제조함에 있어 인쇄용지(1) 중의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청색 잉크 조성물은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데 사용된 인쇄잉크는 청색안료 23~26 중량%, 바인더 수지 21~24 중량%, 아마인유(亞麻仁油) 24~27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21~24 중량%, 계면활성제 0.4~0.9 중량%, 콤파운드(compound) 0.5~1.3 중량%, 건조제 0.5~1.3 중량%, 소포제 0.5~1.3 중량% 및 가소제 0.9~1.7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청색안료는 프탈로시아닌 블루(phthalocyanine blue)이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로진변성 페놀수지(rosin modified phenolic resin), 로진변성 석유수지, 로진변성 알키드 수지(rosin modified alkyd resin), 로진변성 말레인산 수지 및 아크릴 변성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고 평균분자량이 5만~15만이다. 그리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SDS(sodium dodecyl sulfate), PA(Na-Polyacrylate), NSF(naphthalene sulfonate formaldehyd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및 석신이미드(succinimide)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고, 상기 콤파운드는 왁스(wax), 그리스(grease) 및 소프오일(soap oil)을 혼합한 것이며, 상기 건조제는 코발트 옥토에이트(cobalt octoate)이다.
그리고 상기 소포제는 옥탄올(octanol), 시클로헥산올(cyclohexanol) 및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고, 상기 가소제는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 및 아디핀산 옥틸(adipic acid octyl)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 데 사용되는 청색 인쇄잉크의 조성물의 최적 배합 비율을 발견하였는데, 즉 청색안료(프탈로시아닌 블루) 25 중량%, 바인더 수지 23 중량%, 아마인유(亞麻仁油) 25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22 중량%, 계면활성제 0.5 중량%, 콤파운드 1.0 중량%, 건조제 1.0 중량%, 소포제 1.0 중량% 및 가소제 1.5 중량%를 포함할 경우에 최적의 인쇄성능과 복제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최적의 배합비율로 청색 인쇄잉크를 제조할 경우에,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의 인쇄가 가장 원활하게 잘 이루어지고, 또 복사기로 인쇄용지(1)를 복사했을 경우 워터마크(2)가 전혀 복사되지 않아서 복제방지의 효과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었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를 제조함에 있어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인쇄에 사용되는 흑색 잉크 조성물의 성분 및 그 성분비율을 정리한 표이다.
도9의 흑색잉크에 관한 조성물의 성분별 배합비율을 도8의 청색 잉크 조성물의 경우와 비교해 보면, 흑색안료가 청색안료 대신 들어간 것과 각 성분별 배합비율이 약간 변동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인쇄용지(1)의 좌측 하단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위조방지용 식별부(3)를 인쇄하는 데 사용되는 흑색 잉크는 흑색안료 25~30 중량%, 바인더 수지 20~23 중량%, 아마인유 20~25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18~22 중량%, 계면활성제 0.4~0.9 중량%, 콤파운드 0.5~1.3 중량%, 건조제 0.5~1.3 중량%, 소포제 0.5~1.3 중량% 및 가소제 0.9~1.7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흑색 안료로는 카본블랙을 사용하며,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로진변성 페놀수지(rosin modified phenolic resin), 로진변성 석유수지, 로진변성 알키드 수지(rosin modified alkyd resin), 로진변성 말레인산 수지 및 아크릴 변성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되 그 평균분자량이 5만~15만인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SDS(sodium dodecyl sulfate), PA(Na-Polyacrylate), NSF(naphthalene sulfonate formaldehyd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및 석신이미드(succinimide)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며, 상기 콤파운드는 왁스(wax), 그리스(grease) 및 소프오일(soap oil)을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건조제는 코발트 옥토에이트(cobalt octoate)이며, 상기 소포제는 옥탄올(octanol), 시클로헥산올(cyclohexanol) 및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고, 상기 가소제는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 및 아디핀산 옥틸(adipic acid octyl)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을 사용한다.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에 의해서,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상기 배경패턴(30),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을 인쇄하는데 사용된 인쇄잉크의 조성물로서, 흑색안료 28중량%, 바인더 수지 22 중량%, 아마인유 24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21 중량%, 계면활성제 0.5 중량%, 콤파운드 1.0 중량%, 건조제 1.0 중량%, 소포제 1.0 중량% 및 가소제 1.5 중량%를 포함하도록 하는 경우가 최적의 인쇄성능과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는 문서 원본의 상태에서는 위조방지용 식별부(3)가 그 안의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배경패턴(30)에 의해서 은폐되어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식별될 수 없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복사본(1a)에서는 상기 배경패턴(30)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그대로 현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용지를 이용하여 병원 등 의료기관의 진단서, 증명서 등을 출력하거나 학교의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학위증명서들 출력하거나 또는 정부기관이 각종 증명서 등을 출력하면, 이 원본 문서를 복사기로 복사해서 만든 복사본에는 '사본'이라는 표지가 선명하게 나타나므로 누구나 그 문서가 원본이 아니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으며, 그 결과 병원, 학교, 정부기관 등에서 발행하는 진단서, 증명서 등의 부정한 사용을 미연에 철저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용지의 표면 중앙부분에 청색의 워터마크를 갖고 있는데, 이 청색의 워터마크는 현존하는 대부분의 복사기들이나 스캐너들에 의해서 복제할 경우에는 절대로 복사가 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문서 원본에 표시된 청색의 워터마크가 없는 문서는 쉽게 복사본이라는 것을 또한 알려줄 수 있으므로, 그 문서 자체의 부정한 사용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1a: 복사본
2. 복제방지용 워터마크(watermark) 2′: 워터마크 위치
3: 위조방지용 식별부 3′: 위조방지용 식별부 복사 이미지
5: 진단서 인쇄 내용 5′: 진단서 내용 복사물
20: 문자 인쇄부분 21: 빈 부분
30: 배경패턴 30′ 배경부분
30a, 31a, 32a: 망점 31: 제1잠상패턴
32: 제2잠상패턴 110: 제1필름
111: 제1인쇄판 120: 제2필름
121: 제2인쇄판 130: 제3필름
131: 제3인쇄판

Claims (6)

  1. 병원의 진단서, 증명서 및 학교의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학위증명서를 포함한 문서들을 출력하기 위한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일부 면적에 마련되며, 배경패턴(30)과 상기 배경패턴(30) 중에 삽입된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으로 구성된 위조방지용 식별부(3); 및
    상기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청색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쇄되어 상기 인쇄용지(1)의 원본 상태에서는 나타나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후의 복사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복제방지용 워터마크(watermark, 2);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패턴(30), 상기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은 각각 복수개의 원형의 망점들(30a, 31a, 32a)이 상기 인쇄용지(1) 위에 인쇄됨으로써 그 이미지들이 구현되고, 상기 배경패턴(30)은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線數)에 4~6%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제1잠상패턴(31)은 100~110선의 스크린 선수에 8~11%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고, 상기 제2잠상패턴(32)은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8~11%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복수개의 원형의 망점들이 상기 인쇄용지(1) 위에 인쇄됨으로써 그 이미지가 구현되고,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5~6%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 데 사용된 인쇄잉크는, 청색안료 25 중량%, 바인더 수지 23 중량%, 아마인유(亞麻仁油) 25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22 중량%, 계면활성제 0.5 중량%, 콤파운드 1.0 중량%, 건조제 1.0 중량%, 소포제 1.0 중량% 및 가소제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상기 배경패턴(30),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을 인쇄하는데 사용된 인쇄잉크는 흑색안료 28중량%, 바인더 수지 22 중량%, 아마인유 24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21 중량%, 계면활성제 0.5 중량%, 콤파운드 1.0 중량%, 건조제 1.0 중량%, 소포제 1.0 중량% 및 가소제 1.5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쇄용지(1)의 원본에서는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상기 배경패턴(30)에 의해 은폐되어서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식별될 수 없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복사본에서는 상기 배경패턴(30)이 나타나지 않아 상기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현출되며,
    상기 인쇄용지(1)의 원본에서는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가 청색의 이미지로 나타나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복사본에서는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상패턴(31)은 상기 배경패턴(30) 중에 삽입된 문자의 형태를 가지며 "사본"이라고 표시되고, 상기 제2잠상패턴(32)은 상기 배경패턴(30) 중에 삽입된 기호 또는 로고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배경패턴(30)은 150선의 스크린 선수에 5%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제1잠상패턴(31)은 100선의 스크린 선수에 10%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고, 상기 제2잠상패턴(32)은 150선의 스크린 선수에 8%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150선의 스크린 선수에 5%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안료는 프탈로시아닌 블루(phthalocyanine blue)이고, 상기 흑색안료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이며, 상기 바인더 수지는 로진변성 페놀수지(rosin modified phenolic resin), 로진변성 석유수지, 로진변성 알키드 수지(rosin modified alkyd resin), 로진변성 말레인산 수지 및 아크릴 변성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고 평균분자량이 5만~15만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SDS(sodium dodecyl sulfate), PA(Na-Polyacrylate), NSF(naphthalene sulfonate formaldehyd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및 석신이미드(succinimide)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고, 상기 콤파운드는 왁스(wax), 그리스(grease) 및 소프오일(soap oil)을 혼합한 것이며, 상기 건조제는 코발트 옥토에이트(cobalt octoate)이고, 상기 소포제는 옥탄올(octanol), 시클로헥산올(cyclohexanol) 및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고, 상기 가소제는 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 및 아디핀산 옥틸(adipic acid octyl)로 이루어진 물질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6. (a) 복제방지용 워터마크가 형성된 제1인쇄판에 청색의 인쇄잉크를 가하여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중앙 부분에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 제1단계;
    (b) 위조방지용 식별부를 구성하기 위한 인쇄패턴의 일부로서 배경패턴과 제2잠상패턴이 형성된 제2인쇄판에 흑색의 인쇄잉크를 가하여 상기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가장자리 일부 면적에 상기 배경패턴(30)과 제2잠상패턴(32)을 인쇄하는 제2단계; 및
    (c) 위조방지용 식별부를 구성하기 위한 인쇄패턴의 일부로서 제1잠상패턴(31)이 형성된 제3인쇄판에 흑색의 인쇄잉크를 가하여 상기 인쇄용지(1)의 상기 배경패턴(30)이 인쇄된 면적 내에 상기 제1잠상패턴(31)을 인쇄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는 병원의 진단서, 증명서 및 학교의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학위증명서를 포함한 문서들을 출력하기 위한 인쇄용지(1)의 표면 면적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일부 면적에 마련되며, 상기 배경패턴(30)과 상기 배경패턴(30) 중에 삽입된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경패턴(30), 상기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은 각각 복수개의 원형의 망점들(30a, 31a, 32a)이 상기 인쇄용지(1) 위에 인쇄됨으로써 그 이미지들이 구현되고, 상기 배경패턴(30)은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4~6%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제1잠상패턴(31)은 100~110선의 스크린 선수에 8~11%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고, 상기 제2잠상패턴(32)은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8~11%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는 복수개의 원형의 망점들이 상기 인쇄용지(1) 위에 인쇄됨으로써 그 이미지가 구현되고, 150~160선의 스크린 선수에 5~6%의 스크린 농도로 인쇄되며,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를 인쇄하는 데 사용된 인쇄잉크는, 청색안료 25 중량%, 바인더 수지 23 중량%, 아마인유(亞麻仁油) 25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22 중량%, 계면활성제 0.5 중량%, 콤파운드 1.0 중량%, 건조제 1.0 중량%, 소포제 1.0 중량% 및 가소제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상기 배경패턴(30), 제1잠상패턴(31) 및 제2잠상패턴(32)을 인쇄하는데 사용된 인쇄잉크는 흑색안료 28중량%, 바인더 수지 22 중량%, 아마인유 24 중량%,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21 중량%, 계면활성제 0.5 중량%, 콤파운드 1.0 중량%, 건조제 1.0 중량%, 소포제 1.0 중량% 및 가소제 1.5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쇄용지(1)의 원본에서는 상기 위조방지용 식별부(3)의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상기 배경패턴(30)에 의해 은폐되어서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식별될 수 없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복사본에서는 상기 배경패턴(30)이 나타나지 않아 상기 제1잠상패턴(31)과 제2잠상패턴(32)이 현출되며,
    상기 인쇄용지(1)의 원본에서는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가 청색의 이미지로 나타나지만, 상기 인쇄용지를 복사기로 복사한 복사본에서는 상기 복제방지용 워터마크(2)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용지의 제조방법.
KR1020120123810A 2012-11-02 2012-11-02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810A KR101253589B1 (ko) 2012-11-02 2012-11-02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810A KR101253589B1 (ko) 2012-11-02 2012-11-02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589B1 true KR101253589B1 (ko) 2013-04-16

Family

ID=4844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810A KR101253589B1 (ko) 2012-11-02 2012-11-02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5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382A (ko) * 2014-12-26 2016-07-06 한국조폐공사 인쇄적성과 작업적성 개선을 위한 요판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9766B1 (ko) * 2015-08-26 2017-01-25 류일영 보안요소가 적용된 친환경 감열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8355A (ko) 2017-10-31 2019-05-09 대한민국(국방부 국군인쇄창장) 기능성 용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99A (ko) * 2003-12-09 2005-06-14 김상현 복사열 알루미늄 단열 안료와 인쇄용 복사열 단열 잉크 및그의 제조방법
JP3144231U (ja) * 2008-06-09 2008-08-21 小林クリエイト株式会社 偽造防止帳票
KR20090053563A (ko) * 2007-11-23 2009-05-27 한국조폐공사 컬러 출력기에 의한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30911A (ja) * 2007-11-28 2009-06-11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Kk 紙、および紙の生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99A (ko) * 2003-12-09 2005-06-14 김상현 복사열 알루미늄 단열 안료와 인쇄용 복사열 단열 잉크 및그의 제조방법
KR20090053563A (ko) * 2007-11-23 2009-05-27 한국조폐공사 컬러 출력기에 의한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30911A (ja) * 2007-11-28 2009-06-11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Kk 紙、および紙の生成方法
JP3144231U (ja) * 2008-06-09 2008-08-21 小林クリエイト株式会社 偽造防止帳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382A (ko) * 2014-12-26 2016-07-06 한국조폐공사 인쇄적성과 작업적성 개선을 위한 요판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3716B1 (ko) 2014-12-26 2021-10-18 한국조폐공사 인쇄적성과 작업적성 개선을 위한 요판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9766B1 (ko) * 2015-08-26 2017-01-25 류일영 보안요소가 적용된 친환경 감열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8355A (ko) 2017-10-31 2019-05-09 대한민국(국방부 국군인쇄창장) 기능성 용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482B2 (en) Control element for printed matters
JP2008044340A (ja) 隠し画像
US20080134920A1 (en) Security Element and Printing Method
JP5315580B2 (ja) 潜像印刷物
US7384890B2 (en) Check fraud protection techniques
US20080036193A1 (en) Three images in one
MXPA03009920A (es) Caracteristica de seguridad transparente, antifalsificacion, que usa patrones de lineas.
JP2010110943A (ja) 印刷物、印刷物の真偽判別方法及び真偽判別プログラム
KR101253589B1 (ko) 위조방지용 인쇄용지 및 그 제조방법
JP5360725B2 (ja) 潜像印刷物
JP5885164B2 (ja) 潜像印刷物
JP2003237211A (ja) コピー偽造防止用紙及びこのコピー偽造防止用紙を用いた有価証券類
JP5804383B2 (ja) 潜像印刷物
KR101260723B1 (ko) 위조방지용지
JP2003305938A (ja) 偽造防止印刷物
JP6403014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
JP6108233B2 (ja) 透過潜像印刷物
KR101127224B1 (ko) 필터형 잠상 인쇄물 제조방법 및 필터 인식기에 의한 위조여부 확인방법
JP6497044B2 (ja) 印刷物
JP2021011098A (ja) 複写防止用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6253023B2 (ja) 透過潜像印刷物
JP6216974B2 (ja) 偽造防止印刷物
KR102402655B1 (ko)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278313B2 (ja) 透過模様印刷物
JP5910964B2 (ja) 複写けん制印刷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