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587B1 - 코너선반 - Google Patents

코너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587B1
KR101253587B1 KR1020100135860A KR20100135860A KR101253587B1 KR 101253587 B1 KR101253587 B1 KR 101253587B1 KR 1020100135860 A KR1020100135860 A KR 1020100135860A KR 20100135860 A KR20100135860 A KR 20100135860A KR 101253587 B1 KR101253587 B1 KR 101253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rner
wall surface
pres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500A (ko
Inventor
쇼 시이나
Original Assignee
쇼 시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 시이나 filed Critical 쇼 시이나
Publication of KR2011008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과제] 간단 구조, 저비용으로, 코너의 벽면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강대한 장착 지지력을 부여하는 코너선반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코너 벽면(W)에 선반판 본체(1)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지지하는 고정 기구(7)를 포함하고, 고정 기구(7)는 벽면(W)를 향해 진퇴 가능하고, 또 벽면(W)에 대해서 각각 직교하는 방향의 압박력을 부여하는 2개의 장착 부재(20)와, 2개의 장착 부재(20)에 제 2 가상선(KL2)을 따르는 진퇴 작동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8)로 구성되고, 전달 부재(8)는 선반판 본체(1)의 2개의 접촉 변(2)으로 둘러싸인 각부를 이등분하는 제 1 가상선(KL1)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작동부(9)와, 회전 작동부(9)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제 1 가상선(KL1) 상을 진퇴 이동하고, 제 2 가상선(KL2)을 따라 2개의 장착 부재(20)를 각각 진퇴 이동시키는 이동작용부(15)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코너선반{CORNER SHELF}
본 발명은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2개의 평행하지 않은 벽면간에 형성되는 실내 등의 코너부[우각부(隅角部)] 영역에 구비되는 코너용 선반, 자세하게는 착탈 가능한 코너선반의 장착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실내란 주택, 오피스 등의 실내로 한정하지 않고, 차고, 창고, 공장 등의 내부 공간도 포함하는, 적어도 벽면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을 총칭해 말하는 것으로 한다.
실내 등의 코너부(우각부) 영역에, 랙이나 캐비넷을 설치해 코너 공간을 선호하는 장식물 등으로 장식하거나 하여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랙이나 캐비넷과 같은 설치 타입에서는 공간을 활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실내에 있어서의 코너의 높이 방향의 임의 공간 위치에 장식물 등을 장식하고 싶은 경우에는 설치 타입인 랙이나 캐비넷으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코너의 임의의 높이 위치에 선반판을 장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어, 종래부터 다양한 타입의 코너선반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자도 먼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코너선반을 제안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코너선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연장선 상에 있어서 교차하는 평행하지 않은 좌우 접촉 변을 가지는 선반판과, 그 선반판의 이면에 구비되고 또한 선반판의 평행하지 않은 좌우 접촉 변 사이에 있는 각(角)부위를 등분하는 선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조작부와, 그 조작부의 양단에 있어서 각각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선반판의 평행하지 않은 좌우 접촉 변 사이에 있는 각부위를 등분하는 선과 직교하도록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좌우 회전 샤프트와, 그 좌우 회전 샤프트의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베벨 기어와, 그 각각의 베벨 기어에 서로 맞물려 회전 작동을 전달하는 베벨 기어를 구비한 단일 조작 핸들과, 상기 각각의 회전 샤프트의 여유단측에 배치되어 고정부를 상기 선반판에 있어서의 평행하지 않은 각각의 접촉 변 가장자리보다 동축상으로 출몰시키는 전후진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부 각도 수정부를 통해 상기 전후진 부재에 좌우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 본체와, 그 본체의 단부면에 구비되는 1개 혹은 2개 이상의 고정용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코너선반은 다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1) 단일 조작 핸들의 회전 조작만으로 위치 결정 및 장착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코너 부위에 있어서의 강고한 지지가 가능한 것, 즉 이 특허문헌 1에 관한 특허 출원 이전의 코너선반이 장착이 어렵고 번거롭고 불안정한 점, 그 구조상으로부터 경량의 물건 밖에 실을 수 없다는 점에서,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2) 또한, 장착 대상 벽면 코너에 약간의 오차가 생겼다고 해도 고정부의 각도 수정에 의해 그 오차에 따라 확실하고 강고하게 장착 설치할 수 있고, 안정하고 강고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 것, 즉 이 특허문헌 1에 관한 특허 출원 이전의 코너선반이 상기 서술한 과제를 달성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가 먼저 제안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코너선반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유용한 구성이지만, 다소의 개량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던 것이다.
즉, 베벨 기어를 포함한 조작부의 구조상 어떻게 해도 고비용으로 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또한, 장착 대상이 되는 벽면 코너에 약간의 오차가 생겨도 확실하고 강고하게 장착 설치되어는 있었지만, 벽면에 대한 고정부의 압박력은 벽면에 대해서 예각으로 가해지는 구조였기 때문에, 고정부의 압박력이 코너 부위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 버리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돌기부 등의 벽면에 꽂는 구조를 고정부의 벽면 대향면에 구비하고, 고정부에 관한 압박력과 함께 이 돌기부를 벽면에 꽂을 수 있는 장소(벽재)에 장착하는 경우는 강고한 장착력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타일 등의 벽재를 이용하고 있는 욕실의 코너 부위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돌기부를 고정부에 구비하지 못해 고정부의 압박력만으로 장착 지지할 수 밖에 없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이 고정부의 압박력만으로도 꽤 강고하게 장착 지지는 되었지만, 본 발명자가 요구하는 중량, 예를 들면 60kg 정도의 중량을 가진 것을 싣는 경우에는 다소의 불안감이 남아 있던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출원 후에도 다양한 코너선반 구조가 제안되고 있지만, 어느 것도 상기 서술한 과제를 달성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및 3은 특허문헌 1의 조작부를 간단한 구조로 해 저비용을 달성하려는 것이지만, 장착 대상이 되는 벽면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구비한 바늘(돌기부)을 꽂아 넣는(꽂는) 구조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타일 등의 벽재를 이용하고 있는 욕실의 코너 부위에 장착하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3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장착 대상이 되는 벽면에 대해서 예각으로 압박력이 가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도저히 말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3에 개시되어 있는 바늘을 압출하는 조작 부분의 구조로 하면 내구성에도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용 빈도에 따라서는 조기에 사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구조도 제안되고 있다.
이 특허문헌 4의 코너선반은 교차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단부끼리가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선반틀과, 방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양 벽면에 상기 각 선반틀을 압박하기 위해 그 양 선반틀 사이에 배치된 압박 수단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양 선반틀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판을 구비하고 있는 코너용 선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각 선반틀의 내면에 양 단부가 각각 접촉한 상태로 그 양 선반틀의 교차 부분에 대해서 탈착 가능해지도록 설치된 받침목 부재와, 이 받침목 부재를 상기 교차 부분을 향해 강제적으로 접근시키는 체결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구조는 압박 부재에 의해 소정의 가로길이 형상의 받침목 부재를 선반판의 각부 방향으로 차례차례 단단히 조여감으로써 선반판의 각부 위치를 구성하는 교차 부위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선반틀을 상기 받침목 부재가 장착 대상이 되는 좌우 벽면 방향으로 벌려, 그 벌리는 힘에 의해 좌우 선반틀을 장착 대상이 되는 좌우 벽면에 압박하여 장착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이더라도 장착 대상이 되는 좌우 벽면으로의 좌우 선반틀의 압박력은 벽면에 대해서 각각 예각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2 및 3과 마찬가지로 상기 서술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도저히 말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예의연구를 거듭해 장착 대상이 되는 좌우 벽면에 대해서 각각 직각 방향(직교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강대한 장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구조로 함과 아울러 그 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함으로써 저비용의 신규 유용한 코너선반의 개발에 성공했다.
일본 특허 제 2855428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4-8375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4-229877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5855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장착 대상이 되는 코너 부위 영역의 좌우 벽면에 대해서 각각 직각 방향(직교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강대한 장착 지지력을 부여하고, 또한 저비용의 코너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은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2개의 평행하지 않은 벽면간에 형성되는 우각부 영역에 장착된 코너선반으로서,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접촉 변을 적어도 가지는 선반판 본체와,
상기 선반판 본체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벽면간의 우각부 영역에 선반판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지지하는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고정 기구는 상기 2개의 벽면을 향해 각각 진퇴 가능하고 또한 상기 2개의 벽면에 대해서 각각 직교하는 방향의 압박력을 부여하는 2개 이상의 장착 부재와,
상기 2개 이상의 장착 부재에 진퇴 작동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전달 부재는,
선반판 본체의 상기 2개의 접촉 변에 둘러싸인 각부를 이등분하는 제 1 가상선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작동부와,
상기 회전 작동부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가상선 상을 진퇴 이동하고 상기 벽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2 가상선을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장착 부재를 각각 진퇴 이동시키는 이동작용부로 구성되고,
장착 부재는,
상기 벽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2 가상선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동작용부와 슬라이딩하는 작용 지지부와,
상기 벽면에 대해서 압박 밀착 가능한 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변 근처에서 상기 제 2 가상선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압박 고정부와,
상기 작용 지지부와 압박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작용 지지부와 압박 고정부를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벽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압박력을 부여 혹은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으로 한 것이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회전 작동부는 외주의 길이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수 나사부를 구비한 봉 형상으로 제 1 가상선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선반판 본체의 각부에 대향하는 단부와 반대측의 타단부에는 회전운동 조작 부재와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동작용부는,
2개 이상의 장착 부재의 각각의 작용 지지부와 슬라이딩하고 또한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슬라이딩변과 상기 회전 작동부의 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변은 우각부를 구성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벽면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으로 한 것이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선반판 본체의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접촉 변은 우각부를 구성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벽면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탄성 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작용 지지부는 이동작용부의 슬라이딩변과 접하는 반구상의 슬라이딩 곡면부와
상기 슬라이딩 곡면부의 이면으로부터 그 슬라이딩 곡면부보다 소경으로 일체 성형되고 또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코일 내경에 삽입되는 가이드 심재와,
상기 슬라이딩 곡면부의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고,
압박 고정부는 상기 선반판 본체의 접촉 변과 평행하게 형성된 소정 길이의 압박 판부와,
상기 압박 판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배치되고, 소정 길이로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삽입 가능한 삽입구를 개방한 통 형상의 스프링 지지 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판 본체의 이면에는 상기 스프링 지지 통부를 삽입 가능한 소정 길이로 또한 양단을 개방한 통 형상의 가이드 통부가 상기 2개의 접촉 변을 향해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통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 통부를 통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으로 한 것이다.
제 4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벽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압박 고정부를 유인하는 유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인 부재에 의한 유인력은 탄성 부재에 의한 압박력보다 약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면서, 장착 대상이 되는 코너 부위 영역의 좌우 벽면에 대해서 각각 직각 방향(직교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강대한 장착 지지력을 부여하고, 또한 저비용의 코너선반을 제공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너선반의 한 실시예로, 벽면으로의 장착 전의 상태를 일부 단면함과 아울러 이면측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너선반의 한 실시예로, 벽면으로의 장착 지지상태를 일부 단면함과 아울러 이면측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너선반의 한 실시예를 이면측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너선반의 고정 기구를 구성하는 장착 부재를 확대하는 것과 아울러 일부 단면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코너선반의 고정 기구를 구성하는 전달 부재를 확대하는 것과 아울러 일부 단면해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코너선반에 관한 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한 예에 지나지 않고, 전혀 이에 한정 해석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실시예 1
실내 등의 코너 부위(우각부 영역)(C)는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평행하지 않은 좌우 벽면(본체 벽면)(W, W)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너 부위(C)가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는 실시의 한 형태를 가지고 이하 설명한다. 도 중 부호 1은 선반판 본체, 부호 7은 고정 기구를 나타낸다.
선반판 본체(1)는 상기 좌우 벽면[구체(軀體) 벽면](W, W)과 평행하고 또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에 접촉하는 평행하지 않은 형상의 2변의 접촉 변(2, 2)과, 그 2변의 접촉 변(2, 2) 사이에 걸쳐 일체로 걸쳐지는 평탄한 형상의 적재판(3)을 포함하고, 상기 2변의 접촉 변(2, 2) 사이에 있는(둘러싸인) 가상 각부(4)를 90도로 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꼴 형상의 평판이다.
즉, 본 실시예의 선반판 본체(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 각부(4)를 커팅하여 평탄면(4a)을 형성해 이루어지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상기 선반판 본체(1)의 이면의 동일 개소에는 후술하는 2개의 스프링 지지 통부를 각각 삽입 가능한 2개의 통 형상의 가이드 통부(6, 6)가 한개씩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통부(6)는 소정 길이로, 또 양단을 개방한 내부 중공의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반판 본체(1)의 접촉 변(2)을 향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통부(6)는 후술하는 스프링 지지 통부와 대략 동일한 통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지지 통부를 통내에 다소의 여유를 가지고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또 평행하지 않은 형상의 2변의 접촉 변(2, 2) 사이에 있는(둘러싸인) 가상 각부(4)를 본 실시 형태에서는 90도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 등의 코너 부위(C)의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 사이에 있는(둘러싸인) 코너 부위(C)의 확개각도(擴開角度)에 맞추어 예각에서 둔각까지 임의로 변경 설계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선택 변경 가능하다. 또한 선반판 본체(1)의 재질도 합성 수지재, 목재 혹은 금속재 등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그 설치 장소ㆍ설치 환경에 따른 재질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반판 본체(1)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 형상의 판을 채용하고 있지만, 선반판 본체(1)의 형상은 전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 등의 코너 부위(C)에 합치하는 형상, 즉 실내 등의 코너 부위(C)의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에 접촉할 수 있는, 연장선 상에 있어서 교차하는 평행하지 않은 형상의 2변의 접촉 변(2, 2)을 적어도 가지는 형상이면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 임의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개략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판 본체(1)는 그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적재판(3)의 표면측(물품 적재측)을 향해 턱부(5)를 세우고 있지만, 이 턱부(5)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그 외 다양한 구성이나 장식을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고정 기구(7)는 상기 선반판 본체(1)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간의 코너 부위(C) 영역에 선반판 본체(1)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지지하는 기구이다.
고정 기구(7)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을 향해 각각 진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에 대해서 각각 직교하는 방향의 압박력을 부여하는 2개 이상의 장착 부재(20, 20), 상기 2개 이상의 장착 부재(20, 20)에 진퇴 작동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8)로 구성되어 있다.
전달 부재(8)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반판 본체(1)의 상기 2개의 접촉 변(2, 2)에 둘러싸인 가상 각부(4)를 이등분(45도씩으로 분할)하는 제 1 가상선(KL1)을 따라 정역회전(화살표 R1은 정방향의 회전 방향, R2는 역방향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작동부(9)와, 상기 회전 작동부(9)의 정역회전(R1방향, R2방향)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가상선(KL1) 상을 진퇴 이동(화살표 X1은 전진 방향, X2는 후퇴 방향을 나타낸다)하고, 상기 벽면(W, W)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2 가상선(KL2, KL2)(벽면(W)과 제 2 가상선(KL2)의 교차 각도가 90도)을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장착 부재를 각각 진퇴 이동(화살표 Y1은 전진 방향, Y2는 후퇴 방향을 나타낸다)시키는 이동작용부(15)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작동부(9)는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길이의 둥근 막대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외주의 길이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수 나사부(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가상 각부(4)에 대향하는 단부)측에는 수 나사부(10)보다 소경인 둥근 막대형의 지지축부(11)를 일체로 구비하고, 후단(가상 각부(4)에 대향하는 단부와 반대측의 타단부)측에는 각기둥 형상의 피결합부(12)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KG는 상기 피결합부(12)에 결합해 회전 작동부(9)에 정역회전(R1방향, R2방향) 작동을 부여하는 회전운동 조작 부재의 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회전운동 조작 부재(KG)와 피결합부(12)는 회전 작동부를 정역회전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도시한 구조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회전 작동부(9)의 후단측(본 실시예의 피결합부(12)측)에 미리 회전운동 조작 부재(이 경우, 회전운동 조작부라고도 한다.)를 일체로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작동부(9)는 상기 제 1 가상선(KL1)을 따라 선반판 본체(1)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배치한 전후 지지부(13, 14)에 의해 상기 제 1 가상선(KL1)을 따라 정역회전(R1방향, R2방향)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방의 지지부(가상 각부(4)에 대향하는 지지부)(13)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대략 중앙에 상기 지지축부(11)가 여유를 가지고 삽입 가능한 가이드구멍(13a)이 전면(13b)과 후면(13c)에 걸쳐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후방의 지지부(14)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대략 중앙에 상기 회전 작동부(9)의 수 나사부(10)의 후단측이 여유를 가지고 삽입 가능한 가이드구멍(14a)이 전면(14b)과 후면(14c)에 걸쳐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의 지지부(13)의 가이드구멍(13a)과 후방의 지지부(14)의 가이드구멍(14a)은 제 1 가상선(KL1) 상에서 동일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의 지지부(13)의 가이드구멍(13a)에 지지축부(11)를 삽입 지지시킴과 아울러, 후방의 지지부(14)의 가이드구멍(14a)에 수 나사부(10)의 후단측을 삽입 지지시킴으로써 회전 작동부(9)가 선반판 본체(1)의 이면 측에서 정역회전(R1방향, R2방향)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작용부(15)는 2개 이상의 장착 부재의 각각의 작용 지지부와 슬라이딩하고 또한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슬라이딩변(16, 16)과, 상기 2개의 슬라이딩변(16, 16)의 선단(가상 각부(4)와 대향하는 단부) 사이에 걸쳐서 일체로 걸쳐지는 전판부(17)와, 상기 2개의 슬라이딩변(16, 16)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각각의 대향면(16a, 16a)에 걸쳐서 걸쳐지는 중판부(18)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보아 대략 A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슬라이딩변(16, 16)은 소정 두께ㆍ소정 높이ㆍ소정 길이를 가지는 긴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변(16, 16)은 선반판 본체(1)의 2변의 접촉 변(2, 2) 및 코너 부위(C)의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변(16)은 후술하는 장착 부재(20)의 작용 지지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높이를 가짐과 아울러, 장착 부재(20)를 진퇴 이동(Y1방향, Y2방향)시키는 데에 필요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부재(20)의 압박 작동에 있어서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두께는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상기 서술한 소정 두께ㆍ소정 높이 및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슬라이딩변(16)의 형상 등은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전판부(17)는 소정 두께ㆍ소정 높이 및 소정 길이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대략 중앙에 상기 회전 작동부(9)의 수 나사부(10)가 여유를 가지고 삽입 가능한 가이드구멍(17a)이 전면(17b)과 후면(17c)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판부(18)는 상기 전판부(17)와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소정 두께ㆍ소정 높이 및 소정 길이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대략 중앙에 상기 회전 작동부(9)의 수 나사부(10)가 나사결합해 삽입되는 암 나사부(18a)가 전면(18b)과 후면(18c)에 걸쳐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판부(18)에 직접 암 나사부(18a)를 관통해 형성한 구성의 한 실시 형태이지만, 이 암 나사부를 상기 수 나사부(10)가 나사결합 가능한 소정의 구멍직경을 가지는 너트로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작동부(9)를 후방의 지지부(14)의 가이드구멍(14a)에 삽입관통하고, 이어서 회전 작동부(9)의 수 나사부(10)에 상기 중판부(18)의 암 나사부(18a)를 나사결합함과 아울러, 선단측(지지축부(11)측)을 전판부(17)의 가이드구멍(17a)에 삽입관통한다. 또한, 이어서 상기 회전 작동부(9)의 선단측(지지축부(11)측)을 전방의 지지부(13)의 가이드구멍(13a)에 삽입관통해 빠짐방지핀(19) 등으로 빠짐방지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회전 작동부(9)와 이동작용부(15)가 일체가 되어 선반판 본체(1)의 이면에서 회전 작동부(9)가 정역방향(R1방향, R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 그 회전 작동에 의해 이동작용부가 제 1 가상선(KL1)을 따라 진퇴 작동(X1방향, X2방향)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빠짐방지핀(19)을 가지고 설명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 선단측(지지축부(11)측)에 수 나사부를 형성하고 있으면 전방의 지지부(13)의 가이드구멍(13a)으로부터 돌출된 그 수 나사부에 너트를 나사결합해 빠짐방지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외 다양한 주지의 빠짐방지 구성으로 적절히 설계변경 가능하다.
장착 부재(2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판 본체(1)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한 개씩 합계 2개 배치되어 있다.
장착 부재(20, 20)는 상기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 및 2변의 접촉 변(2, 2)에 대해서 각각 직교하는 방향의 제 2 가상선(KL2, KL2)을 따라 선반판 본체(1)의 이면을 슬라이딩해 진퇴 이동(Y1방향, Y2방향)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작용부(15)의 슬라이딩변(16, 16)과 슬라이딩하고, 이동작용부(15)의 제 1 가상선(KL1)을 따르는 진퇴 작동(X1방향, X2방향)에 의해 제 2 가상선(KL2, KL2)을 따라 진퇴 작동(Y1방향, Y2방향)하는 작용 지지부(21)와, 상기 작용 지지부(21)의 진퇴 작동을 받음으로써 상기 제 2 가상선(KL2, KL2)을 따라 진퇴 이동(Y1방향, Y2방향)하고 상기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부터 압박력을 부여 혹은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압박 고정부(25)와, 상기 작용 지지부(21)와 압박 고정부(25) 사이에서 상기 작용 지지부(21)와 압박 고정부(25)를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3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채용되고 있고, 압축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30)은 후술하는 압박 고정부(25)의 압박 판부(26)가 벽면(구체 벽면)(W)을 압박하고 있지 않은 상태(선반판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압박 판부(26)의 이면과 작용 지지부(21)의 스프링 지지부(24) 사이에 스프링의 탄성력이 가해지지 않고 배치되는 자유 높이를 가지고 있다(도 1 참조.).
이 압축 코일 스프링(30)의 선 지름, 피치, 코일 직경(내경 및 외경), 감김수, 혹은 자유 높이나 밀착 높이 등은 사양에 따라 적절히 설계변경되는 것이다.
작용 지지부(21)는 이동작용부(15)의 슬라이딩변(16)과 접하는 반구상의 슬라이딩 곡면부(22)와, 상기 슬라이딩 곡면부(22)의 이면으로부터 그 슬라이딩 곡면부(22)보다 소경으로 일체 성형되고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30)의 코일 내경에 삽입되는 둥근 막대형의 가이드 심재(23)와, 상기 슬라이딩 곡면부(22)의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30)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곡면부(22)는 상기 슬라이딩변(16)과 접해 매끄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접촉면측을 반구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심재(23)는 압축 코일 스프링(30)이 최대로 압축되기(밀착 높이 상태가 되기)까지 그 압축 작동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봉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비장착상태(압축 코일 스프링(30)의 비압축상태)에서는 가이드 심재(23)의 타단부(슬라이딩 곡면부(22)와 반대측의 단부)가 후술하는 압박 고정부(25)의 스프링 지지 통부(27) 내에 약간 들어가 있는 상태로, 도 2에 나타내는 장착 상태(압축 코일 스프링(30)의 압축 상태)에서는 가이드 심재(23)의 타단부측이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더 상기 스프링 지지 통부(27) 내에 들어가는 있지만 압박 판부(26)의 이면에는 접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하고 있다.
압박 고정부(25)는 상기 선반판 본체(1)의 접촉 변(2)과 평행하게 형성된 소정 길이의 압박 판부(26)와, 상기 압박 판부(26)의 이면측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배치되고 소정 길이이며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30)을 삽입 가능한 삽입구(27a)를 개방한 각통 형상의 스프링 지지 통부(27)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박 판부(26)는 소정 두께ㆍ소정 높이 및 소정 길이를 가지고 직사각형의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박 판부(26)는 압축 코일 스프링(30)에 의한 압박력에 견딜 수 있는(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두께나 재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박 판부(26)의 벽면 대향면(면부)(26a)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돌기(28)를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예를 들면, 고정 돌기(28)는 원통형의 다이 시트부(28a)와, 그 다이 시트부(28a)의 일면측으로부터 돌출해 일체로 구비한 돌기부(28b)로 구성되어 있고, 압박 판부(26)의 벽면 대향면(26a)측에는 압박 판부(26)의 대략 중앙(스프링 지지 통부(27) 배치 위치)으로부터 균등하게 이간한 좌우 위치에 각각 한 개씩 고정 돌기용 구멍 부분(26b)을 형성하고, 그 고정 돌기용 구멍 부분(26b)은 상기 고정 돌기(28)의 다이 시트부(28a)가 밀어넣어져 긴밀히 끼워질 정도의 구멍직경이며, 또 돌기부(28b)만이 벽면 대향면(26a)으로부터 돌출하는 구멍 깊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돌기(28)를 고정 돌기용 구멍 부분(26b)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춰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환경 등 필요에 따라서 고정 돌기(28)를 이용하거나 혹은 고정 돌기(28)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를 선택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벽면 대향면(26a) 측에는 소정 두께의 탄성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시트는 특히 그 재질에 한정 해석은 되지 않지만 벽면(W)과 접했을 때의 밀착성을 높이는 점에서 마찰 저항이 높은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시트는 벽면(W)과 접했을 때에 벽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쿠션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벽면 대향면(26a)에 점착 시트나 접착 시트 등을 구비하는 것은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스프링 지지 통부(27)는 삽입구(27a)를 이동작용부(15)측에 대향시키고, 압박 판부(26)의 이면측에서 그 길이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선반판 본체(1)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통부(6)의 통 내면에 여유를 가지고 이동 가능한 통외형(筒外形)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박 고정부(25)의 이면측(벽면 대향면(26a)과 반대측의 면부)과 일체로 형성되어 선반판 본체(1)의 이면을 슬라이딩하도록 구비한 가이드판부(29)와, 선반판 본체(1)의 이면 사이에 걸쳐서 벽면(W)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압박 고정부(25)를 유인하는 유인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판부(29)에는 상기 선반판 본체(1)의 가이드 통부(6)를 피해 배치하기 위해 커팅 영역(K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개략 사시도에서는 유인 부재(31)를 도시 생략하고 있다.
유인 부재(31)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유인 부재(31)의 한 예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을 채용하고, 가이드 통부(6)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한 개씩 배치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유인 부재(31)에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 도 2는 유인 부재(31)에 인장력(화살표(Z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힘)이 가해져 있고, 인장 부재(31)는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화살표(Z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압박 고정부(25)를 유인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유인 부재)(31)에 의한 유인력은 압박 고정부(25)를 벽면(W)방향으로 압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0)에 의한 압박력보다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 인장 코일 스프링(31)을 채용하고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압박 고정부(25)에는 그 벽면 대향면(26a)에 고정 돌기(2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코너선반을 코너 부위(C)의 벽면(W, W)에 장착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 고정 돌기(28)가 벽면(W)에 꽂혀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코너선반을 분리하는 경우 회전 작동부(9)를 역회전(R2방향)시켜 이동작용부(15)에 가상 각부(4)와는 역방향으로 이동(X2방향으로의 후퇴)시키고, 압박 고정부(25)를 벽면(W)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30)의 압박력을 약하게 한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30)에 작용하고 있는 압축력을 완전히 해제(압축 코일 스프링(30)을 자유 높이까지 되돌린다)하면 압박 고정부(25)의 벽면(W)에 대한 압박력은 해제되지만, 압박 고정부(25)는 압축 코일 스프링(30)에 의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강대한 압박력이 겹쳐 고정 돌기(28)가 강하게 벽면(W)에 꽂혀 있는대로이다. 따라서, 이대로는 전혀 압박 고정부(25)를 벽면(W)으로부터 떼어 내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선반판을 벽면(W)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31)을 구비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30)의 압박력이 해제된 단계에서 인장 코일 스프링(31)이 압박 고정부(25)를 벽면(W)으로부터 떼어 내는 방향으로 당기기(인장 스프링(31)이 되돌아오기) 때문에 그 압박 고정부(25)를 당기는 힘에 의해 벽면(W)에 꽂혀 있는 고정 돌기(28)가 빠지고 선반판과 벽면(W)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28)는 본 실시예에서는 간격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2개 구비되어 있지만, 이러한 고정 돌기(28)를 1개 혹은 3개 이상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또 고착하여 착탈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혀 한정은 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너선반의 장착 방법 및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실내 등의 코너 부위(C)의 높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선반 배치 위치를 선택하고, 그리고 그 코너 부위(C) 위치에 본 실시예의 코너선반을 맞춰 넣음과 함께, 좌우 벽면(W, W)에 선반판(1)의 좌우 접촉 변(2, 2)을 각각 접촉시킨다(도 1 참조.).
또한, 이어서 회전운동 조작 부재(KG)를 회전 작동부(9)의 피결합부(12)에 결합시키고, 회전 작동부(9)를 정방향(R1)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 작동부(9)의 정방향(R1)의 회전 작동(회전운동)이 회전 작동부(9)의 수 나사부(10)를 통해 이동작용부(15)의 암 나사부(18a)에 전달되고, 그 암 나사부(18a)에 의해 제 1 가상선(KL1)을 따라 가상 각부(4)의 방향(실내 등의 코너 부위(C)의 방향)을 향한 이동작용부(15)의 전진 작동(X1방향의 전진 운동)으로 변환되고, 이동작용부(15)는 소정의 위치까지 전진 작동을 한다.
이 이동작용부(15)의 제 1 가상선(KL1)을 따르는 전진 작동(X1방향의 전진 운동)이 개시되면, 이동작용부(15)가 좌우 접촉 변(2, 2) 및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과 각각 평행한 좌우 슬라이딩변(16, 16)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동작용부(15)의 제 1 가상선(KL1)을 따르는 전진 작동(X1방향의 전진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좌우 슬라이딩변(16, 16)과 좌우 접촉 변(2, 2) 및 좌우 벽면(구체 벽면)(W, W)과의 거리가 천천히 줄어든다.
이 이동작용부(15)의 제 1 가상선(KL1)을 따르는 전진 작동(X1방향의 전진 운동)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변(16, 16)에 접하고 있는 각 장착 부재(20, 20)의 각각의 작용 지지부(21, 21)가 천천히 각 제 2 가상선(KL2)을 따라 전진 이동(Y1방향의 전진 운동)하고, 좌우 벽면(W, W)방향으로 압박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작용 지지부(21, 21)가 압박되면, 각각의 작용 지지부(21, 21)의 스프링 지지부(24, 24)와 각각의 압박 판부(26, 26)의 이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압축 코일 스프링(30, 30)은 각각의 압박 판부(26, 26)가 벽면(W, W)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각 제 2 가상선(KL2)을 따라 천천히 압축되어 간다.
이동작용부(15)의 제 1 가상선(KL1)을 따르는 전진 작동(X1방향의 전진 운동)이 소정 위치까지 나아가면, 슬라이딩변(16)에 의해 슬라이딩하면서 압박되는 작용 지지부(21)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30)이 소정의 압축 상태(밀착 높이가 되는 상태)까지 압축되고, 그 압축한 압축 코일 스프링(30)에 의한 압박력이 각 제 2 가상선(KL2)을 따라 벽면(W)에 대해서 직각으로 가해진다.
따라서, 압박 고정부(25)의 압박 판부(26)는 벽면(W)에 대해서 직각으로 걸리는 압축 코일 스프링(30)에 의한 강대한 압박력에 의해 벽면(W)에 강고하고 확실하게 압박된다(벽면 대향면(면부)(26a)이 압박 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강대한 압박력에 의해 선반판 본체(1)는 강고하고 확실히 코너 부위(C)에 장착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도 2).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압박 판부(26)의 벽면 대향면(26a)에 고정 돌기(28)를 돌출해 구비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강대한 압박력에 의해 고정 돌기(28)가 벽면(W)에 꽂혀, 더욱 강고하고 확실한 장착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30)이 밀착 상태가 될 때까지 압박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 벽면(W)에 대해서 직각 방향의 압박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코너선반의 장착 지지구조에 비해 그 압박 지지력은 높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30)이 밀착 상태가 될 때까지 압박하지 않아도 되고, 코너선반의 설치 벽면 상황 등을 고려해 압박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작동부(9)를 단일 조작으로 회전 작동시키면, 단일 이동 작동부(15)의 좌우 슬라이딩변(16, 16)이 각각의 장착 부재(20, 20)에 대해서 동시에 제 2 가상선(KL2)을 따르는 벽면(W, W)으로의 직각 방향의 강대한 압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구조도 매우 간단한 구조이므로 코너선반 전체의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반판 본체(1)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통부(6)의 통내에 스프링 지지 통부(27)가 여유를 가지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선반판 본체(1)의 접촉 변(2)과 장착 대상이 되는 벽면(W)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간극이 생겨버린 경우여도 가이드 통부(6) 내에서 스프링 지지 통부(27)가 다소 좌우로 어긋나기 때문에 압박 고정부(25)를 벽면(W)에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장착 개시후, 압축 코일 스프링(30)의 압박력에 의해 좌우 고정 돌기(28, 28)를 약간만 벽면(W, W)에 꽂은 상태로 회전 작동부(9)의 회전 작동을 중지하면 고정 돌기(28, 28)가 벽면에 얕게 꽂힌 상태로 코너선반이 지지되기 때문에 장착 위치의 확인을 이 때 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는 회전 작동부(9)를 역회전(R2방향)시켜 압축 코일 스프링(30)의 압박력을 해제하고, 일단 그 고정 돌기(28)를 벽면(W)으로부터 빼면 다시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고정 돌기(28, 28)의 꽂힌 상태가 약간이기(얕기) 때문에 벽면(W)으로의 흠집도 미소하고 매우 눈에 띄지 않는 정도이다.
또한, 상기 선반 장착 작업시의 회전 방향(정방향(R1))과 역방향(R2)으로 회전 작동부(9)를 회전시키면 회전 작동부(9)의 역회전(R2) 운동이 이동작용부(15)로 전달되고, 이동작용부(15)는 제 1 가상선(KL1)을 따라 후퇴 작동(X2방향으로의 후퇴 운동)을 개시한다. 이 이동작용부(15)의 제 1 가상선(KL1)을 따르는 후퇴 작동(X2방향으로의 후퇴 운동)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변(16, 16)과 좌우 벽면(W, W) 사이가 점점 멀어져 가기 때문에 압박 고정부(25, 25)에 가해진 압축 코일 스프링(30, 30)의 벽면(W, W)으로의 직각 방향의 압박력이 천천히 약해진다. 또한 회전 작동부(9)를 계속해서 회전시키고, 소정 위치까지 이동작용부(15)의 후퇴 작동(X2방향으로의 후퇴 운동)을 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30, 30)에 가해진 압박력이 해제되고, 좌우 압박 고정부(25, 25)가 실내의 코너 부위(C)의 좌우 벽면(W, W)으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장착 지지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고정 돌기(28)를 구비하고 있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 때 인장 코일 스프링(31)에 의해 압박 판부(26)를 강제적으로 벽면(W)으로부터 떼어 놓을 방향으로 유인하기 때문에, 벽면(W)에 꽂혀 있던 고정 돌기(28)도 분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너선반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벽면(W, W)에 대해서 꽂혀 있는 고정 돌기(28, 28)가 압축 코일 스프링(30, 30)에 의해 항상 벽면(W, W)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벽면(W, W)간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만일, 지진 등이 발생해 벽면(W, W) 간격이 다소 넓어졌다고 해도, 그 압축 코일 스프링(30, 30)의 허용 범위 내에 있어서 압축 코일 스프링(30, 30)이 되돌아오고, 벽면(W, W) 간격의 확대에 따라 압박 고정부(25, 25)를 전방(벽면(W, W)방향)으로 압출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그 넓어진 분 만큼 압박 고정부(25) 전체가 접촉 변(2)보다 돌출되고, 압박 고정부(25, 25)에 의한 벽면(W, W)으로의 고정 지지상태는 확보되어 코너선반의 낙하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코너선반은 코너 부위(C)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병설시켜도 되고, 또 다른 형상의 선반판 혹은 크기가 다른 선반판을 병설시켜도 것도 되며, 그 배치의 조합은 임의이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구성의 설명상, 선반판 본체(1)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 기구(7)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선반판 본체(1)의 이면측에는 이 고정 기구(7)를 덮어 가리는 이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이면 부재(도시 생략)에는 압박 고정부(25)가 출몰가능할 정도의 개구부(도시 생략)와, 회전 작동부(9)의 피결합부(12)에 회전운동 조작 부재(KG)를 꽂아 넣어 연결해 회전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도시 생략)는 적어도 구비하고 있는 구조로 한다.
또한, 이면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오히려 고정 기구(7)를 노출시키는 형태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선반판 전체를 투명 부재로 구성하고, 전체를 스켈리턴(skeleton) 타입으로 함으로써 그 고정 기구(7)를 선반판의 디자인의 하나로서 표현하는 것도 수요자의 흥취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변형예 1"
상기 서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 부재(20)의 압박 고정부(25)의 벽면 대향면(26a)에 고정 돌기(28)를 구비한 실시의 한 형태를 가지고 설명했지만, 이 고정 돌기(28)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여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즉, 본 발명은 압박 고정부(25)를 벽면(W)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직각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력을 부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압박력은 강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달성할 수 없을 정도의 장착 지지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정 돌기(28)를 구비하지 않아도 강한 장착 지지력으로 선반판을 장착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설치 벽면(W)이 타일 등의 고정 돌기(28)를 꽂을 수 없는 벽면인 경우에는 고정 돌기(28)를 떼어낸 상태로 코너선반을 장착해도, 그 장착 지지상태는 매우 강고하고 확실하다.
"변형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압박 고정부(25)에 압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의 한 예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30)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탄성 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30)에 전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압박 고정부(25)에 압박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 부재이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주지의 탄성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등의 압박력(반발력)을 가지는 고무재나 판 형상의 스프링 부재 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변형예 3"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동작용부(15)를 회전 작동부(9)의 수 나사부(10)를 따라 진퇴 이동시키는 구조 대신에, 다음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이 변형예의 구성을 채용해도 상기 서술한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동작용부(15)를 가상 각부(4)의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고 또 낙하하지 않게 지지가능한 레일부(도시 생략)를 선반판 본체(1)의 이면측에 구비하고, 이동작용부(15)를 그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다.
또한, 그 이동작용부(15)의 선단과 반대측의 후단(가상 각부(4)에 대향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측에 연결하고, 이동작용부(15)를 압박 및 되돌림 가능한 회전 작동부(도시 생략)를 진퇴 가능하게 선반판 본체(1)의 이면에 배치한다.
"변형예 4"
상기 서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인 부재(31)의 한 예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을 채용하고 있지만, 압박 고정부(25)를 벽면(W)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는 탄성 부재(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압축 코일 스프링(30))의 압박력보다 약한 인장력을 가지는 것이면, 전혀 이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조를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판 스프링이나 고무끈 등의 주지의 탄성 부재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계변경 가능하다.
1 선반판 본체
2 접촉 변
7 고정 기구
8 전달 부재
9 회전 작동부
15 이동작용부
20 장착 부재
21 작용 지지부
25 압박 고정부
30 탄성 부재
C 우각부(코너 부위)
KL1 제 1 가상선
KL2 제 2 가상선
R1, R2 회전 방향
W 벽면
X1, X2 진퇴 방향(이동작용부)
Y1, Y2 진퇴 방향(장착 부재)

Claims (4)

  1.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2개의 평행하지 않은 벽면간에 형성되는 우각부 영역에 장착된 코너선반으로서: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접촉 변을 적어도 가지는 선반판 본체와,
    상기 선반판 본체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벽면간의 우각부 영역에 상기 선반판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지지하는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2개의 벽면을 향해 각각 진퇴 가능하고 또한 상기 2개의 벽면에 대해서 각각 직교하는 방향의 압박력을 부여하는 2개 이상의 장착 부재와,
    상기 2개 이상의 장착 부재에 진퇴 작동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선반판 본체의 상기 2개의 접촉 변에 둘러싸인 각부를 이등분하는 제 1 가상선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작동부와,
    상기 회전 작동부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가상선 상을 진퇴 이동하고 상기 벽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2 가상선을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장착 부재를 각각 진퇴 이동시키는 이동작용부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벽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2 가상선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동작용부와 슬라이딩하는 작용 지지부와,
    상기 벽면에 대해서 압박 밀착 가능한 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변 근처에서 상기 제 2 가상선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압박 고정부와,
    상기 작용 지지부와 상기 압박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작용 지지부와 상기 압박 고정부를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벽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압박력을 부여 혹은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작동부는 외주의 길이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수 나사부를 구비한 봉 형상으로 제 1 가상선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선반판 본체의 각부에 대향하는 단부와 반대측의 타단부에는 회전운동 조작 부재와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작용부는,
    2개 이상의 장착 부재의 각각의 작용 지지부와 슬라이딩하고 또한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슬라이딩변과 상기 회전 작동부의 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변은 우각부를 구성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벽면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판 본체의 평행하지 않은 2개의 접촉 변은 우각부를 구성하는 평행하지 않은 2개의 벽면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작용 지지부는,
    상기 이동작용부의 슬라이딩변과 접하는 반구상의 슬라이딩 곡면부와,
    상기 슬라이딩 곡면부의 이면으로부터 그 슬라이딩 곡면부보다 소경으로 일체 성형되고 또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코일 내경에 삽입되는 가이드 심재와,
    상기 슬라이딩 곡면부의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압박 고정부는,
    상기 선반판 본체의 접촉 변과 평행하게 형성된 소정 길이의 압박 판부와,
    상기 압박 판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배치되고 소정 길이이며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삽입 가능한 삽입구를 개방한 통 형상의 스프링 지지 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판 본체의 이면에는 상기 스프링 지지 통부를 삽입 가능한 소정 길이로, 또 양단을 개방한 통 형상의 가이드 통부가 상기 2개의 접촉 변을 향해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통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 통부를 통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박 고정부를 유인하는 유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인 부재에 의한 유인력은 탄성 부재에 의한 압박력보다 약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KR1020100135860A 2010-01-22 2010-12-27 코너선반 KR101253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1694 2010-01-22
JP2010011694A JP4905816B2 (ja) 2010-01-22 2010-01-22 コーナー棚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500A KR20110086500A (ko) 2011-07-28
KR101253587B1 true KR101253587B1 (ko) 2013-04-11

Family

ID=4453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860A KR101253587B1 (ko) 2010-01-22 2010-12-27 코너선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05816B2 (ko)
KR (1) KR1012535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29Y1 (ko) * 2016-03-15 2016-09-12 이현영 욕실용 선반
KR20170004021U (ko) 2016-05-18 2017-11-29 (주)대한솔루션 코너 선반
KR20210001051A (ko) 2019-06-26 2021-01-06 천길순 코너선반
KR20210063175A (ko) 2019-11-22 2021-06-01 김형훈 탈부착이 용이한 코너선반
KR20220000613U (ko)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지앤지비 욕실용 코너 선반
KR20230060951A (ko) 2021-10-28 2023-05-08 천길순 코너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3980B2 (ja) * 2012-12-06 2016-1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101867585B1 (ko) * 2018-03-06 2018-06-15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KR102020279B1 (ko) * 2018-07-03 2019-09-10 이창국 코너 선반
KR102651106B1 (ko) * 2024-02-13 2024-03-26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코너 벽 몰딩형 안테나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989U (ko) * 1989-07-31 1991-03-26
KR20000000222A (ko) * 1999-10-02 2000-01-15 조한천 코너 진열대를 위한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3376A (en) * 1960-01-21 1962-05-08 Eastman Harold Shelf with supporting pins
JPH0545260Y2 (ko) * 1990-11-16 1993-11-18
JP2855428B2 (ja) * 1997-06-09 1999-02-10 祥 椎名 コーナー用棚構造
US5992654A (en) * 1998-07-30 1999-11-30 Dente, Jr.; Gerald A. Corner shelf
JP2004008375A (ja) * 2002-06-05 2004-01-15 Shigetaka Masuda コーナ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989U (ko) * 1989-07-31 1991-03-26
KR20000000222A (ko) * 1999-10-02 2000-01-15 조한천 코너 진열대를 위한 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29Y1 (ko) * 2016-03-15 2016-09-12 이현영 욕실용 선반
KR20170004021U (ko) 2016-05-18 2017-11-29 (주)대한솔루션 코너 선반
KR20210001051A (ko) 2019-06-26 2021-01-06 천길순 코너선반
KR20210063175A (ko) 2019-11-22 2021-06-01 김형훈 탈부착이 용이한 코너선반
KR20220000613U (ko)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지앤지비 욕실용 코너 선반
KR20230060951A (ko) 2021-10-28 2023-05-08 천길순 코너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05816B2 (ja) 2012-03-28
JP2011147635A (ja) 2011-08-04
KR20110086500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587B1 (ko) 코너선반
WO2006099733A8 (en) Anchor assembly with toggle for hollow walls
JP5855673B2 (ja) 機能部品を引出しの引出しガイドの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EP2644109A3 (en) Tissue thickness compensator comprising structure to produce a resilient load
WO2007038318A3 (en) Needle retraction structure
JP2014507981A5 (ko)
WO2009020122A1 (ja) クリップ及び支持部材
WO2013115754A3 (en) Wall mounting and alignment device
EP2951448B1 (de) Fernbetätigbares befestigungsmittel
EP2944224B1 (de) Regal
EP1990547A3 (en) Structural beam clamps and connectors
CN110697333B (zh) 一种三明治龙骨链板自动生产包装流水线
CA2648888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EP1975330A3 (en) Aseismic joint
CN109154320A (zh) 用于家具和家居用品的底部件的具有前部致动的隐藏式接合系统
CN109026935B (zh) 一种用于建筑室内装饰的可拆卸固定装置
CN204299413U (zh) 一种用于方框的横竖边框连接的固定装置
GB2551569B (en) A fix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n object to be affixed to sheet of plasterboard
CN112178029A (zh) 一种用于建筑室内装饰的固定设备
WO2007070449A3 (en) Width adjustable spring-loaded dovetail socket assembly
JP2013507541A (ja) 家具用金具の固定具
DE102017102290A1 (de) Stuhlführungsvorrichtung mit Dämpfersystem
DE102011086679A1 (de) Bindung für Gleitbrett mit Stützglied
CN102459932A (zh) 具有塑性螺母的固定装置
CN219175726U (zh) 一种装饰板挂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