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279B1 - 코너 선반 - Google Patents

코너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279B1
KR102020279B1 KR1020180076860A KR20180076860A KR102020279B1 KR 102020279 B1 KR102020279 B1 KR 102020279B1 KR 1020180076860 A KR1020180076860 A KR 1020180076860A KR 20180076860 A KR20180076860 A KR 20180076860A KR 102020279 B1 KR102020279 B1 KR 10202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rner
wall
shelf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국
Original Assignee
이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국 filed Critical 이창국
Priority to KR102018007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주방 등에 설치되는 코너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을 이루는 판면의 일측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지며, 상기 판면 상에 상기 한 쌍의 벽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채널이 형성되는 선반 본체와; 상기 한 쌍의 벽부의 각 외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판부와, 상기 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밀판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로드부를 갖는 한 쌍의 밀대와;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이루는 한 쌍의 가지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채널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밀대의 각 로드부에 접하고, 후방을 이루는 몸통부가 상기 판면 상에서 상기 모서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안내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판면 상에 고정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캠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캠면을 통해 상기 몸통부를 가압하여 상기 매개 부재를 상기 모서리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밀대를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 전진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컬럼 구조 없이 벽체에 직접 부착 및 고정되는 코너 선반으로서 벽체에 대한 밀착력을 높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코너 선반{CORNER SHELF}
본 발명은 욕실, 주방, 거실, 방, 베란다, 사무실 등의 공간에서 벽과 벽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세위지는 컬럼 구조에 의한 지지 없이 벽체에 직접 부착 및 고정되는 코너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수직으로 세위지는 컬럼 구조에 의한 지지 없이 벽체에 직접 부착 및 고정되는 종래의 코너 선반(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루는 양측의 밀판(11)을 통해 역시 직각을 이루는 벽의 코너 부분에서 마찰력을 유지한 채 밀어줌으로써 지지된다.
밀판(11)을 밀어주는 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설치되는 좌,우 슬라이드 바(12)가 레버(13)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밀려남으로써 발생하게 되고, 레버(13)의 좌,우측면(13a)에는 각각 경사진 캠면이 형성됨에 따라 회전될 경우 슬라이드 바(12)를 밀어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코너 선반(10)은 슬라이드 바(12)의 운동방향(좌우방향)과 밀판(11)의 가압방향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을 이룸에 따라 약간의 분력만이 밀판(11)에 수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벽체에 대한 밀착력이 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욕실에서 사용되는 샴푸, 린스 등의 액상물질을 담은 용기들이 비교적 무거운 것을 고려한다면 밀판(11)의 밀착력을 높여줄 필요가 있고, 부수적으로 코너 선반(10)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보완책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등록 제10-1253587호 (등록일자: 2013.04.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컬럼 구조 없이 벽체에 직접 부착 및 고정되는 코너 선반으로서 벽체에 대한 밀착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개선된 코너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너 선반에 있어서, 수평을 이루는 판면의 일측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지며, 상기 판면 상에 상기 한 쌍의 벽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채널이 형성되는 선반 본체와; 상기 한 쌍의 벽부의 각 외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판부와, 상기 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밀판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로드부를 갖는 한 쌍의 밀대와;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이루는 한 쌍의 가지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채널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밀대의 각 로드부에 접하고, 후방을 이루는 몸통부가 상기 판면 상에서 상기 모서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안내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판면 상에 고정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캠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캠면을 통해 상기 몸통부를 가압하여 상기 매개 부재를 상기 모서리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밀대를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 전진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선반 본체는, 상기 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판부를 통해 외부의 이웃하는 벽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벽부에 각기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외부의 이웃하는 벽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추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밀대의 각 밀판부 표면에는 다수의 빨판 기둥이 돌출 형성되어 서로간 배열을 이루되, 각 빨판 기둥의 돌출단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캠면을 따라 다수의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결합홈부의 사이마다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밀대는 각 로드부에 스프링이 내장됨으로써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너 선반에 의하면, 레버에 의해 전방으로 구동되는 매개 부재를 통해 한 쌍의 밀대를 선반 본체의 양측 벽부에 각각 수직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벽체에 대한 밀착력을 크게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너 선반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코너 선반의 저면 덮개를 개방한 모습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선반의 일 구성요소인 선반 본체의 상판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선반의 일 구성요소인 선반 본체의 하판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하판에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선반의 일 구성요소인 레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선반의 일 구성요소인 매개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선반의 일 구성요소인 밀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 선반(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과 하판(120)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선반 본체, 하판(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밀대(140, 150), 매개 부재(160), 레버(170)를 포함한다.
상판(110)과 하판(120)은 서로 결합하여 외부의 이웃하는 벽(1, 2)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설치된다.
하판(120)의 세부 구조를 살펴보면, 수평을 이루는 판면(121)의 모서리(1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 쌍의 벽부(123, 124)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각 벽부(123, 124)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직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채널(125, 126)이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채널(125, 126)이 만나는 내측 단부에서는 다시 반대편 모서리(127)를 향해 연장되는 슬라이드 채널(128)이 형성된다.
밀대(140, 15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20)의 벽부(123, 124)의 외측면에 중앙부분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판부(141), 상기 벽부(123, 124)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밀판부(141)와 일체로 연결되고 가이드 채널(125, 126)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로드부(142)를 갖는다.
매개 부재(16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이루는 한 쌍의 가지부(161, 162)가 한 쌍의 가이드 채널(125, 126)의 내측 단부에 각각 수용되되, 전후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스트로크(도 4 및 도 5 참조)를 가지고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여유폭(W)을 갖도록 구성한다.
각 가지부(161, 162)의 전단부는 상기한 밀대(140, 150)의 각 로드부(142)의 후단부에 접한다. 매개 부재(160)의 후방을 이루는 몸통부(163)는 슬라이드 채널(128)에 일치하도록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된다.
레버(17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 부재(160)측 몸통부(163)의 후단부에 이웃한 위치에서 판면(121) 상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는 힌지축(12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힌지축(129)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캠(171), 이 캠(17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17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170)의 손잡이(172)를 (도 6 기준으로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릴 경우에는 캠(171)의 캠면(173)을 통해 매개 부재(160)의 몸통부(도 7의 163)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모서리(도 4의 122)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부(161, 162)가 로드부(142, 152)의 후단부를 각기 벽부(123, 124)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한 쌍의 밀대(140, 150)가 한 쌍의 가이드 채널(125, 126)을 따라 각기 외측으로 전진한다.
이와 같이 외측으로 전진하는 한 쌍의 밀대(140, 150)의 각 밀판부(141, 151)가 이에 대면하게 되는 외부의 벽(도 3의 1, 2)을 각기 일정한 밀착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코너 선반(100) 전체를 지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밀판부(141, 151)에 의한 밀착력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에서 벽(1, 2)에 대면하는 한 쌍의 벽부(111, 112)에는 각각 체결공(113, 114)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벽(1, 2)에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판(110)의 모서리 부분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체결판부(115)를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벽(1, 2)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판부(115)는 상기 코너 부분을 나사로 고정하는 기능도 있지만, 실은 선반(100)이 적재되는 물건의 수직하중으로 인해 앞으로 꼬꾸라지는 것을 지탱해주는 기능이 더 강하며, 이에 따라 선반(100)이 벽(1, 2)의 코너 부분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게 해준다.
도 8을 참조하면, 밀대(140)의 밀판부(141) 표면에는 다수의 빨판 기둥(143)이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배열을 이루도록 하여 이들 빨판 기둥(143)을 통해 벽(1, 2) 표면에 밀착 접촉하여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응력을 집중시킬 수 있고, 특히 빨판 기둥(143)의 돌출단면(144)은 오목하게 형성시켜줌으로써 벽(1, 2)에 밀착 접촉 시 음압을 발생시켜주어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버(170)는 캠면(173)을 따라 다수의 결합홈부(174)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결합홈부(174)의 사이마다 걸림돌기(175)가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결합홈부(174)는 서로 반경을 달리하므로 힌지축(129)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시 매개 부재(도 7의 160)의 몸통부(163)에 대한 가압 강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즉, 반경이 작은 저단의 결합홈부(174)에 의해서는 밀판부(141)에서 낮은 정도의 밀착력을 발휘할 수 있고, 반경이 큰 고단의 결합홈부(174)에서는 높은 정도의 밀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결합홈부(174)가 몸통부(163)의 후단부에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좌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175)에 의해 몸통부(163)가 원주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레버(17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밀대(140)의 로드부(142)는 피스톤(145)과 실린더(146)의 결합구성을 취할 수 있고, 실린더(146)에는 스프링을 내장함으로써 밀판부(141)를 통한 밀착력을, 상기 다수의 결합홈부(174)의 단 수 조절 시 상기 스프링의 압축량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일정한 비율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코너 선반(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나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코너 선반 110: 상판
111, 112: 벽부 113, 114: 체결공
115: 체결판부 120: 하판
121: 판면 122: 모서리
123, 124: 벽부 125, 126: 가이드 채널
128: 슬라이드 채널 129: 힌지축
140, 150: 밀대 141, 151: 밀판부
142, 152: 로드부 143: 빨판 기둥
144: 돌출단면 145: 피스톤
146: 실린더 160: 매개 부재
161, 162: 가지부 163: 몸통부
170: 레버 171: 캠
172: 손잡이 173: 캠면
174: 결합홈부 175: 걸림돌기

Claims (5)

  1. 코너 선반에 있어서,
    수평을 이루는 판면의 일측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한 쌍의 벽부를 가지며, 상기 판면 상에 상기 한 쌍의 벽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채널이 형성되는 선반 본체와;
    상기 한 쌍의 벽부의 각 외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밀판부와, 상기 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밀판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로드부를 갖는 한 쌍의 밀대와;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방을 이루는 한 쌍의 가지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채널에 수용되어 상기 한 쌍의 밀대의 각 로드부에 접하고, 후방을 이루는 몸통부가 상기 판면 상에서 상기 모서리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안내되는 매개 부재; 및
    상기 판면 상에 고정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캠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캠면을 통해 상기 몸통부를 가압하여 상기 매개 부재를 상기 모서리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밀대를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 전진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본체는
    상기 모서리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판부를 통해 외부의 이웃하는 벽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벽부에 각기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외부의 이웃하는 벽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밀대의 각 밀판부 표면에는 다수의 빨판 기둥이 돌출 형성되어 서로간 배열을 이루되, 각 빨판 기둥의 돌출단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캠면을 따라 다수의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결합홈부의 사이마다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밀대는 각 로드부에 스프링이 내장됨으로써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선반.
KR1020180076860A 2018-07-03 2018-07-03 코너 선반 KR10202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60A KR102020279B1 (ko) 2018-07-03 2018-07-03 코너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60A KR102020279B1 (ko) 2018-07-03 2018-07-03 코너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279B1 true KR102020279B1 (ko) 2019-09-10

Family

ID=6795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860A KR102020279B1 (ko) 2018-07-03 2018-07-03 코너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074A (zh) * 2020-01-23 2020-05-19 江门市安豪贸易有限公司 一种墙角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010A (ja) * 1991-11-19 1993-09-24 T & M Kk コーナー用棚
KR20000000222A (ko) * 1999-10-02 2000-01-15 조한천 코너 진열대를 위한 고정장치
KR20110086500A (ko) * 2010-01-22 2011-07-28 쇼 시이나 코너선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010A (ja) * 1991-11-19 1993-09-24 T & M Kk コーナー用棚
KR20000000222A (ko) * 1999-10-02 2000-01-15 조한천 코너 진열대를 위한 고정장치
KR20110086500A (ko) * 2010-01-22 2011-07-28 쇼 시이나 코너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074A (zh) * 2020-01-23 2020-05-19 江门市安豪贸易有限公司 一种墙角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0290B2 (ja) 家具用支持フレーム
RU25855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передней панели выдвижных ящиков и выдвижной ящик
US7543356B2 (en) Snap hinge for supporting closure elements
CN106801551B (zh) 可调节的门铰链
KR102020279B1 (ko) 코너 선반
US20220225763A1 (en) Furniture element
US20170095082A1 (en)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Furniture Drawer to a Guidance Unit that Moveably Guides the Drawer in a Furniture Body
US8020822B2 (en) Shelf assembly for customizable furniture
CN110520587B (zh) 具有带集成配件的可附接板形复合元件的家具
US20210310292A1 (en) Furnitur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12368456A (zh) 家具配件
AU2014202342B2 (en) Shower door assembly for fast assembling and adjustment
KR2019005780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US8162416B2 (en) Anti-tip system for adjacent drawers
US9750346B2 (en) Drawer slide assembly
KR20130004749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EP2738329B1 (en) Embedded hinge for reversible door
AU2014202056B2 (en) Shower door assembly with linkage control
WO2014083415A9 (en) Support and actu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in particular for wardrobes
US20200063480A1 (en) Furniture hinge
KR101877490B1 (ko) 수납장용 슬라이딩 도어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US20150191963A1 (en) Shower door assembly with continuous control
KR102168020B1 (ko) 코너 선반
KR20200119769A (ko) 코너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