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536B1 -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 - Google Patents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536B1
KR101253536B1 KR1020107022684A KR20107022684A KR101253536B1 KR 101253536 B1 KR101253536 B1 KR 101253536B1 KR 1020107022684 A KR1020107022684 A KR 1020107022684A KR 20107022684 A KR20107022684 A KR 20107022684A KR 101253536 B1 KR101253536 B1 KR 10125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acces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803A (ko
Inventor
가빈 베르나르드 호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장치는 제 1 노드(102C)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602)하고,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604)하고, 그리고 제 2 노드(102A)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606)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다.

Description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SUPPORT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N IP ADDRESS}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종종 넓은 지역 ― 예를 들어, 도시, 수도권, 주, 지방 또는 때때로 전국에 걸쳐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때때로 무선 광역 통신망(WWAN: Wireless Wide Area Network)으로 지칭된다. 최근,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으로 알려진 더 소규모의 무선 네트워크들이 수십 미터 내지 수백 미터 범위의 지리적 커버리지를 갖는 더 좁은 영역들을 커버하도록 전개되어 왔다. 이러한 광역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인터넷과 같은 넓은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함께 작동하는 무선 노드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 사이로 로밍할 때 끊김 없는(seamless) 이동성을 달성하기 위해, 무선 노드 간에 무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핸드오프들 간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핸드오프들의 실패율을 감소시키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무선 노드와 통신중인 사용자는 간섭을 줄이기 위해 다른 무선 노드에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성능을 최적화하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그리고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에서,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그리고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도록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또다른 추가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은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그리고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시스템, 및 상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발명의 다른 양상들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해질 것이며, 여기서 발명의 다양한 양상은 예시로 도시 및 설명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실시되는 바와 같이, 발명은 발명의 범위를 모두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다른 관점에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본래 한정이 아닌 예시로 간주해야 한다.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양상이 첨부 도면에서 한정이 아닌 예시로 설명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예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프를 시작하는 액세스 단말을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예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핸드오프를 위해 액세스 단말과 타깃 액세스 포인트 간에 어떻게 데이터가 교환되는지를 보여주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예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단말의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해 서버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예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 노드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무선 노드에서 처리 시스템의 기능에 관한 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본원의 교시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둘 다 표본일 뿐임이 명백하다. 본원의 교시를 기초로,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양상이 다른 어떤 양상들과도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양상 중 둘 이상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서 언급한 임의의 수의 양상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되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언급한 양상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로 또는 그 이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되거나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더욱이, 일 양상은 청구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예로서, 어떤 양상들에서 장치는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몇 가지 샘플 양상을 설명한다.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노드(102, 104)로 지정된 여러 개의 무선 노드를 포함한다. 소정 노드는 (예를 들어, 소정 채널이 소정 반송파에 관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트래픽 흐름(예를 들어, 데이터 흐름)을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관련 수신기 및 송신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논의에서, 수신 노드라는 용어는 수신하고 있는 노드를 말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송신 노드라는 용어는 전송하고 있는 노드를 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참조는 무선 노드가 송신 동작과 수신 동작 모두를 수행할 수는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노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구현들에서 노드는 액세스 단말, 액세스 포인트, 중계 포인트, 또는 다른 어떤 네트워크 관련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드들(102)은 액세스 포인트들이나 중계 포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노드들(104)은 액세스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들(102)은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iMax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4A))이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A)) 또는 중계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이로써 액세스 단말(104A)은 시스템(100) 또는 시스템(100)과 통신하도록 연결된 다른 어떤 네트워크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들(예를 들어, 노드(102B)) 중 하나 이상은 다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광역 통신망(108))에 대한 접속성을 제공하는 유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양상들에서, 시스템(100)의 2개 이상의 노드(예를 들어, 공통 독립 서비스 세트의 노드들)가 서로 관련되어 하나 이상의 통신 링크를 통해 노드들 간의 트래픽 흐름을 구축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4B)과 액세스 포인트(102C)가 이 둘 간에 하나 이상의 트래픽 흐름이 구축되도록 서로 관련될 수 있다.
동작시,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4A))는 시스템(100)으로부터의 비컨들을 주기적으로 탐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컨은 각 노드(102)에 의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이며 다른 노드에 의한 포착을 위해 사용된다. 이 예에서, 액세스 단말(104A)이 우선 시스템(100) 주변으로 이동하면, 액세스 단말(104A)은 하나 이상의 노드(102)로부터의 비컨을 검출하기 시작할 것이다. 비컨들의 신호 세기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를 기초로, 액세스 단말(104A)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수단에 의해 무선 링크를 구축할 노드(102)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노드는 액세스 단말(104A)에 대해서는 시스템(100)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가 되며, 이는 도 1에서 노드(102A)로 도시된다.
일단 액세스 단말(104)이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A))와의 무선 링크를 구축하면, 액세스 단말(104)은 액세스 포인트(102A) 또는 시스템(100)과 관련된 다른 어떤 엔티티와의 세션 설정을 시도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액세스 단말(104)과 액세스 포인트(102A) 또는 다른 엔티티가 애플리케이션 레벨 통신을 교환할 수 있을 때 세션이 설정된다. 세션은 서로 다른 흐름에 대한, 아마도 서로 다른 노드(102)를 통한 통신이 액세스 단말(104A)과 액세스 포인트(102A) 또는 다른 엔티티에 의해 적절히 결합 또는 처리되게 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세션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특정 프로시저들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시로, 액세스 포인트(102A)는 시스템(100) 사용 권한이 부여된 각 액세스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시하지 않은)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함으로써 액세스 단말(104A)에 대한 인증, 권한 검증, 과금(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을 제공할 수 있다. 보안 세션이 요구된다면, 액세스 포인트(102A)와 액세스 단말(104) 사이에 암호화 키들 또한 교환될 수도 있다. 또한, 대역폭과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과 같이 액세스 단말(104A)에 의해 수신되는 서비스 및 접속의 특성들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다른 속성이 협의될 수도 있다.
일단 액세스 단말(104)이 시스템(100)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하면, 액세스 단말(104)은 계속해서 다른 노드들(102)로부터의 비컨들을 청취하고 액세스 단말(104)이 검출하는 비컨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04)은 이러한 측정치들을 사용하여 액티브 리스트를 생성하여 유지할 수 있다. 액티브 리스트는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04)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드들(102)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액티브 리스트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액세스 단말을 간섭하는 노드들(102)(예를 들어, 단말에 대한 관련 및 핸드오프가 제한되는 노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104)은 계속해서 다른 노드들(108)로부터의 비컨들의 신호 세기를 청취 및 측정하기 때문에, 액세스 단말(104)이 시스템(100) 사이로 로밍할 때 액티브 리스트로부터의 노드들(108)을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액티브 리스트에 노드(102)를 추가하는 프로세스는 노드(102)와 액세스 단말(104) 간의 통신 또는 시그널링을 수반한다. 통신은 핸드오프가 요구된다면 액세스 단말(104)에 대한 무선 자원들을 협의 및 예비(reserve)하기 위한 데이터의 교환을 수반할 수도 있다. 핸드오프가 요구되기 전에 액티브 리스트의 각 노드(102)로부터의 무선 자원들을 예비함으로써, 액세스 단말(104)은 액세스 포인트(102A) 또는 다른 엔티티와의 세션을 유지하는 동시에 노드들(102) 사이를 신속히 스위칭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가 현재 액세스 단말(104A)에 요구되는 대역폭 또는 QoS를 제공할 수 없는 등의 다른 조건들이 핸드오프를 트리거할 수도 있지만, 한 노드(102)로부터 다른 노드(102)의 핸드오프는 일반적으로 시스템(100) 도처로 이동하는 액세스 단말(104A)에 응답하여 발생한다. 어떤 경우든, 일단 액세스 단말(104A)이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결정하면, 액세스 단말(104A)은 액티브 리스트에서 핸드오프를 수신할 노드(102)를 선택한다.
도 2는 핸드오프를 시작하는 액세스 단말의 예시에 관한 개념도이다. 현재 액세스 단말(104A)을 서빙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102A)는 "서빙 액세스 포인트"로 지칭될 것이고, 액세스 단말(104A)의 핸드오프를 수신할 노드(102C)는 "타깃 액세스 포인트"로 지칭될 것이다. 이 예에서, 핸드오프는 액세스 단말(104)과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 간의 특정 통신 또는 시그널링이 전제된다. 통신은 데이터의 교환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액세스 단말(104A)은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에 핸드오프 요청을 전송하고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는 요청을 승인함으로써 액세스 단말(104A)에 응답한다. 액세스 단말(104A)은 또한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에 세션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로 하여금 다른 어떤 엔티티로부터 세션 상태 정보를 리트리브(retrieve)하게 할 수도 있다. 보안 정보 또한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에 제공되어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가 (도시하지 않은)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인증, 권한 검증, 과금을 제공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1)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를 액티브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2) 액세스 단말(104A)을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로 핸드오프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104A)과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 간에 어떻게 데이터가 교환되는지를 보여주는 예시의 개념도이다. 두 경우 모두, 액세스 단말(104A)과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는 IP 어드레스들을 사용하여 서빙 액세스 포인트(102A)에 의해 전달된다. IP 어드레스들을 사용함으로써, 서빙 액세스 포인트(102A)는 데이터를 처리할 필요가 없고 IP 패킷에 대한 라우터의 기능을 하거나 서빙 액세스 포인트(102A)에 대한 제 1 호핑 라우터로 IP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단말(104A)은 서빙 액세스 포인트(102A)를 통해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로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와 통신한다. 각각의 데이터 패킷은 목적지 IP 어드레스 및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페이로드는 예를 들어 에어 링크 자원들을 예비하기 위한 시그널링, 핸드오프 요청, 핸드오프 요청에 대한 승인, 세션 정보, 보안 정보, 또는 임의의 다른 시그널링을 포함하여,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에 대한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데이터 패킷의 IP 어드레스는 액세스 단말(104A)과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 간에 페이로드들을 전달하기 위해 서빙 액세스 포인트(102A)에 의해 요구되는 라우팅 정보를 제공한다.
액세스 단말(104A)은 임의의 수의 방법으로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로,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뿐 아니라 시스템(100)의 다른 모든 노드(102)는 제어 채널을 통해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끊임없이 또는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액세스 단말(104A)은 타깃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에 대한 제어 채널만을 모니터링한다.
대안으로,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뿐 아니라 시스템(100)의 다른 노드들(102)도 제어 채널을 통해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는 IP 어드레스의 브로드캐스팅에 대한 매력적인 대안일 수 있는데, 이는 더 넓은 대역폭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액세스 단말(104A)은 타깃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에 대해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식별자의 수신시, 액세스 단말(104A)은 식별자를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에 대한 IP 어드레스로 변형시킨다. 이는 서버에 식별자를 문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식별자를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에 대한 IP 어드레스로 번역하기 위해 서버(110)가 사용될 수 있다. IP 어드레스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또는 다른 어떤 수단에 의해 액세스 단말(104A)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액세스 단말(104A)은 메모리의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식별자를 타깃 액세스 포인트(102C)에 대한 IP 어드레스로 번역할 수도 있다. 룩업 테이블은 액세스 단말(104A)이 처음 시스템(100)에 액세스할 때 시스템(100) 또는 다른 엔티티로부터 액세스 단말(104A)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액세스 단말(104A)에 룩업 테이블이 프로비저닝(provision)될 수도 있다. IP 어드레스는 또한 상기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서 계산될 수도 있다. 예시로, IP 어드레스의 일부는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고 IP 어드레스의 다른 일부는 문의, 룩업 테이블 등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당업자들이 쉽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이런 식의 IP 어드레스들의 사용은 서빙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액세스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와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시로, 시스템(100)의 노드(102)로부터의 무선 송신들은 시스템(100)의 비-관련 노드에서의 수신을 간섭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심벌(106B)로 나타낸 것과 같이) 노드(102D)가 노드(104C)로 전송하는 것과 동시에 (무선 통신 심벌(106A)로 나타낸 것과 같이) 노드(104B)는 노드(102C)로부터 수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노드들(104B, 102D) 간의 거리와 노드(102D)의 송신 전력 및 타이밍에 따라, (점선 심벌(106C)로 나타낸 것과 같이) 노드(102D)로부터의 송신들이 노드(104B)에서의 수신을 간섭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노드(104B)는 간섭하고 있는 노드(104C)로의 송신을 제한하기 위한 요청을 노드(102D)에 전송할 수 있다. 노드(102D)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 노드(104B)에 의해 메시지가 노드(102C)를 통해 노드(102D)로 전송될 수 있다. 노드(102C)는 패킷들을 전달하며 메시지를 처리할 필요는 없다. 메시지의 수신시, 노드(102D)는 송신을 그만두기로 결정할 수도 있고, 자신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메시지를 무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노드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노드(502)는 액세스 단말, 액세스 포인트, 중계 포인트, 또는 다른 어떤 네트워크 관련 컴포넌트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노드(502)에 관한 다음 설명은 본래는 정보이며 각 블록의 기능을 넓게 정의한다.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개념에 적절한 기능만이 설명될 것이다. 당업자들은 이러한 기능 블록들이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이 예에서, 노드(502)는 3개의 기능 블록: 무선 인터페이스(504), 처리 시스템(50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508)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504)는 송신 및 수신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트랜시버로서 구성될 수 있다. 송신 기능은 반송파를 정보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기능은 반송파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504)는 또한 RF 전단 처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타이밍 및 주파수 추정, 채널 추정, 터보 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무선 인터페이스(504)는 노드(502)의 완전한 물리 계층 구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시스템(506)은 단독이든 노드(502)의 다른 엔티티들과 조합하든, 물리 계층 이상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처리 시스템(506)은 또한 물리 계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가장 일반적인 관점에서, 처리 시스템(506)은 무선 인터페이스(504)의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처리 시스템(506)은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IP 어드레스들을 이용하는 다양한 핸드오프 프로시저를 지원한다.
처리 시스템(50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논리 회로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정보의 계산이나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엔티티일 수 있다.
처리 시스템(506)은 또한 식별자들을 액세스 단말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IP 어드레스들로 변역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어떤 것으로 지칭되든, 명령들, 프로그램들, 코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전자 매체 콘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ASIC를 갖는 경우일 수도 있는 것과 같이, 프로세서와 함께 집적된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가능한 PROM(EPROM: Erasable 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DVD, 임의의 다른 적당한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프로세서 외부의 저장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 신호를 인코딩하는 반송파나 송신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처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 기능을 어떻게 최상으로 구현해야 하는지를 인식할 것이다.
노드(502)는 액세스 단말로서 기능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50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8)는 디스플레이,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 및/또는 사용자가 액세스 단말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8)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한 무선 링크를 통해 처리 시스템(506)에 의해 전송 및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노드로서 기능하는 노드(502)는 액세스 단말들 및/또는 무선 노드들과의 임의의 적절한 수의 무선 다운링크 접속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백홀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업링크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50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업링크 접속은 유선일 수도 있고 무선일 수도 있다.
도 6은 처리 시스템(506)의 기능에 관한 예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처리 시스템(506)은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602), 식별자로부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604), 및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 2 노드를 통해 제 1 노드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모듈(606)을 포함하며, 여기서 데이터는 제 1 노드에 대한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다.
상기 설명은 어떠한 당업자도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본원에 나타낸 형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부합하는 전체 범위에 따르는 것이며, 여기서 엘리먼트에 대한 단수 언급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 하나"를 의미하는 것보다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떤"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을 말한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또는 나중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 전반에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 및 기능적 등가물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며,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원에 개시된 어떤 것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언급되는지에 상관없이 대중에게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 엘리먼트가 명백히 "수단"이라는 문구를 이용하여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는 엘리먼트가 "단계"라는 문구를 이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범위 엘리먼트도 35 U.S.C.§112 6항의 조항 하에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8)

  1.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로서,
    상기 액세스 단말 장치에서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단말 장치에서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그리고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air link resource)들의 관리에 관련되며, 그리고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일부를 통한 송신들의 간섭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액티브 리스트(active list)를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액티브 리스트에 상기 제 1 노드를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리스트에 상기 제 1 노드를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에서 에어 링크 자원들을 예비(reserve)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상기 제 1 노드로의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는 핸드오프 요청, 세션 상태 정보 또는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버에 문의(query)함으로써 상기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식별자를 상기 IP 어드레스로 번역(translate)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이용 가능한 노드들의 액티브 리스트를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13.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액세스 단말에서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단말에서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과 상기 제 1 노드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되며, 그리고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일부를 통한 송신들의 간섭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액티브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액티브 리스트에 상기 제 1 노드를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리스트에 상기 제 1 노드를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에서 에어 링크 자원들을 예비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상기 제 1 노드로의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는 핸드오프 요청, 세션 상태 정보 또는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삭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IP 어드레스의 결정은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버에 문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를 상기 IP 어드레스로 번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 13 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이용 가능한 노드들의 액티브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로서,
    상기 액세스 단말 장치에서 제 1 노드와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액세스 단말 장치에서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제 1 노드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노드를 통해 상기 제 1 노드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IP 어드레스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의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되며, 그리고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일부를 통한 송신들의 간섭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제 1 노드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액티브 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액티브 리스트에 상기 제 1 노드를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리스트에 상기 제 1 노드를 추가하는 것과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에서 에어 링크 자원들을 예비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링크 자원들의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제 2 노드로부터 상기 제 1 노드로의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는 핸드오프 요청, 세션 상태 정보 또는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31. 삭제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33.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버에 문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34.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를 상기 IP 어드레스로 번역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35. 제 25 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3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를 포함하는 이용 가능한 노드들의 액티브 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37. 기계 판독 가능 매체로서,
    제 1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3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 장치.
KR1020107022684A 2008-03-13 2008-03-27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 KR101253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23608P 2008-03-13 2008-03-13
US61/036,236 2008-03-13
US12/056,129 US9025563B2 (en) 2008-03-13 2008-03-26 Support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n IP address
US12/056,129 2008-03-26
PCT/US2008/058511 WO2009114025A1 (en) 2008-03-13 2008-03-27 Supporting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n ip addres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247A Division KR20130014606A (ko) 2008-03-13 2008-03-27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03A KR20100126803A (ko) 2010-12-02
KR101253536B1 true KR101253536B1 (ko) 2013-04-11

Family

ID=410629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247A KR20130014606A (ko) 2008-03-13 2008-03-27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
KR1020107022684A KR101253536B1 (ko) 2008-03-13 2008-03-27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247A KR20130014606A (ko) 2008-03-13 2008-03-27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25563B2 (ko)
EP (1) EP2274930B1 (ko)
JP (1) JP5479376B2 (ko)
KR (2) KR20130014606A (ko)
CN (1) CN101960883B (ko)
AT (1) ATE533322T1 (ko)
TW (1) TW200939715A (ko)
WO (1) WO2009114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8267B2 (en) 2009-05-01 2013-07-30 At&T Mobility Ii Llc Access control for macrocell to femtocell handover
EP2365711B1 (de) * 2010-03-12 2016-02-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ahtlosnetzwerk, insbesondere für Automatisierungs-, Echtzeit- und/oder Industrie-Anwendungen
JP6049462B2 (ja) * 2013-01-04 2016-12-2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投影性に優れるとともにマーカー描き性及び拭き取り性に優れるプレコート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90333B2 (en) 2013-05-02 2019-08-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source identification
US10083201B2 (en) 2015-09-22 2018-09-25 Walmart Apollo, Llc System for maintaining consistency across a decentralized database cluster and method therefor
US10268744B2 (en) * 2015-09-22 2019-04-23 Walmart Apollo, Llc System for maintaining consistency across a decentralized database cluster and method therefor
US10394817B2 (en) 2015-09-22 2019-08-27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database
US10169138B2 (en) 2015-09-22 2019-01-01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self-healing a database server in a cluster
US10116736B2 (en) 2015-09-22 2018-10-30 Walmart Apollo, Llc System for dynamically varying traffic routing modes in a distributed cluster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6140A1 (en) 2002-05-17 2003-11-20 Georg Chambert Universal identification system for access points of wireless access networks
KR20050002338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네트워크의 이동에 따른 라우팅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012B2 (ja) * 1995-07-14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信電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20020055971A1 (en) 1999-11-01 2002-05-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low-overhead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in the internet protocol layer
WO2002041530A1 (fr) * 2000-11-16 2002-05-23 Sony Corporation Apparei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et appareil de communication
US7545754B2 (en) 2001-11-02 2009-06-09 Ntt Docomo, Inc. Geographically adjacent access router discovery and caching for mobile nodes
US7224677B2 (en) 2002-03-15 2007-05-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mobile nodes of desirable access characteristics
US7161933B2 (en) * 2002-09-24 2007-01-09 Intel Corporation Optimistic caching for address translations
US7917152B2 (en) 2003-06-27 2011-03-29 Nokia Corporation Enhanced fast handover procedures
EP1531645A1 (en) 2003-11-12 2005-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ext transf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plural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US7046647B2 (en) 2004-01-22 2006-05-1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obility architecture using pre-authentication, pre-configuration and/or virtual soft-handoff
US7911510B2 (en) * 2004-06-10 2011-03-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using a key image in image retrieval or reading out
JP2005354423A (ja) 2004-06-10 2005-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通信制御装置
GB2416277B (en) * 2004-07-14 2009-04-08 Vodafone Plc Location updating in communications networks
KR100645432B1 (ko) * 2004-11-04 200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IP 기반 이동망 환경에서 액세스 망간 핸드오버시QoS 시그널링 방법
JP4640855B2 (ja) * 2005-02-18 2011-03-0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及び該基地局における干渉低減方法
FR2888078B1 (fr) * 2005-06-30 2007-08-10 Alcatel Sa Procede de transfert d'une communication impliquant un noeud mobile en situation de macro-mobilite au sein d'un reseau de communication ip a routage hierarchique
US7653357B2 (en) * 2005-08-22 2010-01-2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ccess point interference control and selection methods
US8983468B2 (en) * 2005-12-22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ing physical attachment point identifiers
GB2431070B (en) 2005-10-06 200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KR101216751B1 (ko) * 2006-02-07 201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충돌 회피 방법
US9118529B2 (en) * 2006-06-20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of neighbor cells
US8467784B2 (en) * 2006-07-14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WLAN system scanning and selection
EP1906593A1 (en) 2006-07-28 2008-04-02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obility optimisation based on IP prefix information in WLAN SSID
US8134969B2 (en) * 2006-11-10 2012-03-13 Motorola Solutions, Inc. IP layer-handoff using mobility domains and IP cach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6140A1 (en) 2002-05-17 2003-11-20 Georg Chambert Universal identification system for access points of wireless access networks
KR20050002338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네트워크의 이동에 따른 라우팅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0883A (zh) 2011-01-26
EP2274930B1 (en) 2011-11-09
US20090232115A1 (en) 2009-09-17
JP2011528512A (ja) 2011-11-17
US9025563B2 (en) 2015-05-05
CN101960883B (zh) 2013-08-14
KR20130014606A (ko) 2013-02-07
WO2009114025A1 (en) 2009-09-17
ATE533322T1 (de) 2011-11-15
EP2274930A1 (en) 2011-01-19
TW200939715A (en) 2009-09-16
KR20100126803A (ko) 2010-12-02
JP5479376B2 (ja)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536B1 (ko)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지원
EP14860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mobile nodes of desirable access characteristics
US9867113B2 (en) Ubiquitous access to FEMTO-connected network
US9787855B2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JP5628335B2 (ja) マルチ・ユーザ・ダイバーシティを用いたピア・トゥ・ピア・ネットワーク発見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460589B2 (ja) Ipレベルのシームレスなハンドオーバを実現するための最適なターゲット・アクセス・ルータを決定するプロトコル
US10637997B2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TW201130365A (en) Multi-user, multi-mode baseband signaling methods, timing/frequency synchronization, and receiver architectures
US20140273850A1 (en) Method of providing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supporting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s
CN113825109A (zh) 无线通信系统中中继传送直接通信请求消息的方法和设备
CN113825204A (zh) 无线通信系统中执行pc5单播链路建立过程的方法和设备
CN111656854B (zh) 减少无线网络中的等待时间
Choi et al. On the use of ad hoc cooperation for seamless vertical handoff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EP3292673A1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CN105379379A (zh) 用于专用移动无线电服务的节点和方法
JP2009260971A (ja) ローミング方法
WO2020163377A1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CN118176752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提供中继的方法和设备
KR20090110264A (ko) 로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