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318B1 - 물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물 여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3318B1 KR101253318B1 KR1020110023496A KR20110023496A KR101253318B1 KR 101253318 B1 KR101253318 B1 KR 101253318B1 KR 1020110023496 A KR1020110023496 A KR 1020110023496A KR 20110023496 A KR20110023496 A KR 20110023496A KR 101253318 B1 KR101253318 B1 KR 101253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ration
- high pressure
- water
- pressure backwash
- treated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01D29/0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1—Making filter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조 ; 상기 여과조에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유입관 ;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다수의 여과용 포트가 마련되는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 ; 상기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이 접속하는 처리수 배출관 ;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 각각에 마련되어 처리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처리수 배출용 밸브 ;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에 각각 연결되는 고압역세수 공급관 ; 상기 고압역세수 공급관 각각에 마련되어 고압역세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고압역세수 공급용 밸브 ; 상부 중앙 커버부와 상기 상부 중앙 커버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연장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중앙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면서 그 사이에 처리수 유입용 개구부를 형성하며 그 내측에 처리수 유입용 관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내측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내측 지지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상부 연장 커버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연장 커버부와, 상기 상부 연장 커버부의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연장 커버부의 가장자리 사이마다 마련되는 복수의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하부 연장 커버부의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여과용 포트가 결합되기 위한 분기관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여과막 지지체 ;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내측 지지부에 교대로 지지되어 상기 여과막 지지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막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과막을 이용하여 처리대상인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여과 장치는 처리 대상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물 여과 장치는 통상 하나의 여과부재에 의하여 여과를 수행하므로, 여과부재를 역세하는 경우에는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여과부재를 보수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마다 다수의 여과막이 장착되도록 하여 보다 여과효율이 높으면서도, 역세 효율이 우수하며, 그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아울러 여과와 동시에 여과막의 역세를 수행할 수 있는 여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과조 ; 상기 여과조에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유입관 ;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다수의 여과용 포트가 마련되는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 ; 상기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이 접속하는 처리수 배출관 ;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 각각에 마련되어 처리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처리수 배출용 밸브 ;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에 각각 연결되는 고압역세수 공급관 ; 상기 고압역세수 공급관 각각에 마련되어 고압역세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고압역세수 공급용 밸브 ; 상부 중앙 커버부와 상기 상부 중앙 커버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연장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중앙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면서 그 사이에 처리수 유입용 개구부를 형성하며 그 내측에 처리수 유입용 관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내측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내측 지지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상부 연장 커버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연장 커버부와, 상기 상부 연장 커버부의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연장 커버부의 가장자리 사이마다 마련되는 복수의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하부 연장 커버부의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여과용 포트가 결합되기 위한 분기관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여과막 지지체 ;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내측 지지부에 교대로 지지되어 상기 여과막 지지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막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장 커버부의 길이는, 상기 분기관 결합부의 중심이 이웃한 분기관 결합부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의 1/2 ~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관은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은 상기 원수 유입관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관과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 사이의 상기 여과조의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용 포트마다,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여과용 포트를 닫도록 마련되는 여과 포트 개폐판과, 상기 여과 포트 개폐판이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여과 포트 개폐판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여과막 지지체의 분기관 결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여과 포트 개폐판이 열기 위한 개폐판 개구용 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압역세수 공급관과 연결되며 고압역세수가 저장되는 고압역세수 탱크와,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고압역세수 탱크에 고압역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고압역세수 형성관과, 상기 고압역세수 형성관에 마련되는 고압형성용 펌프와, 상기 고압역세수 형성관에 마련되는 개폐 밸브와, 상기 고압역세수 탱크에 마련되는 압력센서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마다 다수의 여과막이 장착되도록 하여 보다 여과효율이 높으면서도, 역세 효율이 우수하며, 그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아울러 여과와 동시에 여과막의 역세를 수행할 수 있는 여과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여과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여과막 지지체와 여과막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여과막 지지체가 각 처리수 배출 분기관의 여과용 포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 기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여과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여과막 지지체와 여과막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여과막 지지체가 각 처리수 배출 분기관의 여과용 포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 기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여과 장치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여과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여과막 지지체와 여과막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여과막 지지체가 각 처리수 배출 분기관의 여과용 포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 기준 단면도이다.
본 여과 장치는 크게 여과조(100), 원수 유입관(200), 처리수 배출관(300), 여과막 지지체(400), 여과막(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과조(100)는 그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는 호퍼 형태로 형성된다.
여과조(100)의 호퍼 형태의 하부에는 침전물들이 쌓이게 되며, 여과조(100)의 하단에는 침전물 배출용 밸브(101)가 마련되어 있다. 즉 침전물 배출용 밸브(101)를 열면 여과조(100)의 하부에 쌓인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과조(100)에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원수 유입관(200)이 마련된다.
원수 유입관(200)은 여과조(100)의 하부에 마련되며, 아울러 원수 유입관(200)은 하부를 향하여 다수의 원수 유입구(20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수 유입관(200)을 따라 유입된 원수는 원수 유입구(201)를 따라 하부를 향하여 여과조(100) 내부로 배출된다.
한편, 여과조(100)의 상부에는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이 마련되며,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은 하나의 처리수 배출관(300)에 접속된다.
또한 각각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에는 다수의 여과용 포트(31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마다 4개의 여과용 포트(311)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여과용 포트(311)에는, 여과막(500)이 장착된 여과막 지지체(400)가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마다 4개의 여과막 지지체(400)가 마련되어, 총 16개의 여과막 지지체(400)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원수 유입관(200)을 따라 유입된 처리 대상인 원수는 상부를 향하여 유동한 후 여과막(500)에서 이물질들이 여과된 후 여과막 지지체(4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 및 처리수 배출관(300)을 따라 여과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 각각에는 처리수 배출용 밸브(312)가 마련되어 있다. 즉 처리수 배출용 밸브(312)를 열면 처리수가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으로부터 처리수 배출관(300)으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 각각에는 고압역세수 공급관(320)이 연결되어 있다. 고압역세수 공급관(320)은 고압의 역세수를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에 공급하게 된다.
고압역세수 공급관(320) 각각에는 고압역세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고압역세수 공급용 밸브(321)가 마련되어 있다. 고압역세수 공급용 밸브(321)를 열면 해당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으로 고압의 역세수가 공급된다.
고압역세수 공급관(320)은 고압역세수 탱크(322)에 연결되며, 고압역세수 탱크(322)에는 고압의 역세수가 저장되어 있다.
아울러 고압역세수 탱크(322)는 처리수 배출관(300)과 고압역세수 형성관(330)으로 연결되어, 고압역세수 형성관(330)에 마련된 고압형성용 펌프(331)와 개폐 밸브(332)에 의하여 항상 고압의 역세수를 저장하게 된다.
즉 고압역세수 탱크(322)에는 압력센서(미도시)가 마련되며, 압력센서가 일정 이하의 압력을 감지하면 개폐 밸브(332)가 열리고 고압형성용 펌프(331)가 처리수 배출관(300)의 처리수를 가압하여 고압역세수 탱크(322)로 이송한다.
또한 압력센서가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면 개폐 밸브(332)가 닫히고 고압형성용 펌프(331)가 그 가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여과막 지지체(400)의 구조와 여과용 포트(311)의 구조를 설명하낟.
각 여과용 포트(311)마다 여과막 지지체(400)가 마련된다.
여과막 지지체(400)는 상부 중앙 커버부(410)와, 상부 연장 커버부(420)와, 내측 지지부(430)와, 하부 연장 커버부(440)와, 분기관 결합부(450), 외측 지지부(460)로 형성된다.
상부 중앙 커버부(410)와 상부 연장 커버부(420)가 함께 상부 커버를 형성하며, 상부 연장 커버부(420)는 상부 중앙 커버부(41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상부 연장 커버부(420)는 적어도 셋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6개의 상부 여장 커버부(420)가 형성된다.
상부 중앙 커버부(410)는, 본 실시예의 경우 원형판 형태이지만,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중앙 커버부(4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면서 복수의 내측 지지부(430)가 형성된다.
내측 지지부(430) 사이에는 처리수 유입용 개구부(431)가 형성되며, 아울러 복수의 내측 지지부(430)의 내측에는 처리수 유입용 관로(432)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 연장 커버부(440)는 복수의 내측 지지부(43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 연장 커버부(4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각각의 상부 연장 커버부(410)의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하부 연장 커버부(440)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외측 지지부(46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측 지지부(460)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기둥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하부 연장 커버부(440)의 하부에는 여과용 포트(311)와 결합되기 위한 분기관 결합부(450)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분기관 결합부(45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여과 포트 개폐판(311a)를 열기 위한 개폐판 개구용 부재(45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개폐판 개구용 부재(451)는 분기관 결합부(45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바 형태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여과막 지지체(400)에 여과막(500)이 장착되어 있다.
여과막(500)은 여과막 지지체(400)의 외측 지지부(460)와 내측 지지부(430)에 교대로 지지되면서 상기 여과막 지지체(400)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여과막(500)은 초극세섬유 혹은 나노섬유를 이용한 여과막, 부직포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처리 대상인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면 충분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막(500)은 단지 각각의 내측 지지부(430)에 고정되는 것만으로 여과막 지지체(400)에 고정되며, 아울러 외측 지지부(460)와 내측 지지부(430)에 의하여 여과막 지지체(400)를 지그재그 형태로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과막(500)의 구조는 여과 면적을 대폭 확대시켜 여과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여과용 포트(311)에는 여과 포트 개폐판(311a)과, 스프링(311b)이 마련된다.
여과 포트 개폐판(311a)은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 내부에 마련되어 여과용 포트(311)를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스프링(311b)은 여과 포트 개폐판(311a)이 닫히는 방향으로 여과 포트 개폐판(311a)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없다면 여과 포트 개폐판(311a)은 여과용 포트(311)를 닫게 된다.
한편, 여과 포트 개폐판(311a)에는 여과 포트 개폐판(311a)을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가압기둥(311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압기둥(311c)은 여과막 지지체(400)가 여과용 포트(311)에 결합될 때, 개폐판 개구용 부재(451)와 간섭된다.
즉 여과막 지지체(400)의 분기관 결합부(450)가 여과용 포트(311)에 결합될 때, 개폐판 개구용 부재(451)가 가압기둥(311c)을 하방향으로 밀게 되며, 이에 의하여 여과 포트 개폐판(311a)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여과용 포트(311)가 열리게 된다.
한편, 여과막 지지체(400)가 분기관 결합부(450)에 결합된 후 여과막 지지체(400)가 분기관 결합부(4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조(100)의 상부에 고정볼트용 바(103)가 설치되며, 고정볼트용 바(103)에 형성된 암나사에 고정볼트(102)가 결합된다. 이후 고정볼트(102)의 하단이 여과막 지지체(400)의 상부 중앙 커버부(410)를 아래로 밀어주게 되면 여과막 지지체(400)가 분기관 결합부(4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원수 유입관(200)을 통하여 처리 대상인 원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원수는 상부로 이동한 후 여과막(500)에서 이물질이 여과된 후 여과막 지지체(400)의 내부, 즉 처리수 유입용 개구부(431)를 지나 처리수 유입용 관로(432)로 유입된다.
이후 처리수는 여과용 포트(311)를 지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으로 유입되며, 처리수 배출관(3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처리 대상인 원수에 대하여 여과가 발생하는 과정 중에 각각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에 일정 주기로 고압역세수가 공급된다.
즉 4개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에 대하여 3개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이 처리수를 배출하게 되며, 1개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에 대하여는 처리수 배출용 밸브(312)가 닫히고 고압역세수 공급용 밸브(321)가 열리면서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에 고압역세수가 공급된다.
고압역세수는 여과용 포트(311), 여과막 지지체(400)를 지나 여과막(500)을 내부에서 외부로 지나게 되면서 여과막(500)의 외부에 집적된 이물질을 털어내게 된다. 이에 의하여 1개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에 결합된 여과막(500) 4개에 대한 역세가 가능하며, 아울러 이러한 역세 과정중에도 3개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에 결합된 여과막(500) 12개에서는 여전히 여과 과정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부 연장 커버부(420)의 길이는, 분기관 결합부(450)의 중심이 이웃한 분기관 결합부(450)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의 1/2 ~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연장 커버부(420)의 길이가, 분기관 결합부(450)의 중심이 이웃한 분기관 결합부(450)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의 1/2 이하인 경우 상부 연장 커버부(420)과 이웃하는 여과막 지지체(400)의 상부 연장 커버부(420)와 겹쳐지는 형태가 되지 않으며, 분기관 결합부(450)의 중심이 이웃한 분기관 결합부(450)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의 4/5 이상인 경우 상부 연장 커버부(420)과 이웃하는 여과막 지지체(400)의 내측 지지부(430)와 간섭될 위험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다수의 상부 연장 커버부(420)가 이웃하는 여과막 지지체(400)의 상부 연장 커버부(420)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가 된다. 즉, 각 여과막(500)의 돌출된 부위는 이웃하는 여과막(500)의 돌출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는 하나의 여과막(500)이 역세될 때, 즉 고압역세수가 여과막(5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갈 때 해당 여과막(500)의 이물질을 털어내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웃한 여과막(500)을 흔들어 주게 되어 이웃한 여과막(500)의 이물질 또한 털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특정 여과막(500) 내지 여과막 지지체(400)의 보수가 필요할 경우 특정 여과막 지지체(400)를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으로부터 분리하여도, 해당 여과막 지지체(400)가 분리된 여과용 포트(311)는 여과 포트 개폐판(311a)에 의하여 막히게 되므로, 본 여과 장치 전체가 작동함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여과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원수 유입관(200)과 처리수 배출 분기관(310) 사이의 상기 여과조(100)의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판(600)이 배치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경사판(600)은 처리 대상인 원수가 상부로 이동할 때 체류 시간을 연장시키면서 이물질이 침강하도록 한다.
이는 본 여과 장치가 여과 역할 뿐만 아니라 침전조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여과조 101 : 침전물 배출용 밸브
102 : 고정볼트 103 : 고정볼트용 바
200 : 원수 유입관 201 : 원수 유입구
300 : 처리수 배출관 310 : 처리수 배출 분기관
311 : 여과용 포트 311a : 여과 포트 개폐판
311b : 스프링 311c : 가압기둥
312 : 처리수 배출용 밸브 320 : 고압역세수 공급관
321 : 고압역세수 공급용 밸브 322 : 고압역세수 탱크
330 : 고압역세수 형성관 331 : 고압형성용 펌프
332 : 개폐 밸브
400 : 여과막 지지체
410 : 상부 중앙 커버부 420 : 상부 연장 커버부
430 : 내측 지지부 431 : 처리수 유입용 개구부
432 : 처리수 유입용 관로 440 : 하부 연장 커버부
450 : 분기관 결합부 451 : 개폐판 개구용 부재
460 : 외측 지지부
500 : 여과막 600 : 경사판
102 : 고정볼트 103 : 고정볼트용 바
200 : 원수 유입관 201 : 원수 유입구
300 : 처리수 배출관 310 : 처리수 배출 분기관
311 : 여과용 포트 311a : 여과 포트 개폐판
311b : 스프링 311c : 가압기둥
312 : 처리수 배출용 밸브 320 : 고압역세수 공급관
321 : 고압역세수 공급용 밸브 322 : 고압역세수 탱크
330 : 고압역세수 형성관 331 : 고압형성용 펌프
332 : 개폐 밸브
400 : 여과막 지지체
410 : 상부 중앙 커버부 420 : 상부 연장 커버부
430 : 내측 지지부 431 : 처리수 유입용 개구부
432 : 처리수 유입용 관로 440 : 하부 연장 커버부
450 : 분기관 결합부 451 : 개폐판 개구용 부재
460 : 외측 지지부
500 : 여과막 600 : 경사판
Claims (6)
- 여과조 ;
상기 여과조에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유입관 ;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다수의 여과용 포트가 마련되는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 ;
상기 다수의 처리수 배출 분기관이 접속하는 처리수 배출관 ;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 각각에 마련되어 처리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처리수 배출용 밸브 ;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에 각각 연결되는 고압역세수 공급관 ;
상기 고압역세수 공급관 각각에 마련되어 고압역세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고압역세수 공급용 밸브 ;
상부 중앙 커버부와 상기 상부 중앙 커버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연장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중앙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면서 그 사이에 처리수 유입용 개구부를 형성하며 그 내측에 처리수 유입용 관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내측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내측 지지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상부 연장 커버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연장 커버부와, 상기 상부 연장 커버부의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하부 연장 커버부의 가장자리 사이마다 마련되는 복수의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하부 연장 커버부의 하부에 마련되되 상기 여과용 포트가 결합되기 위한 분기관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여과막 지지체 ;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내측 지지부에 교대로 지지되어 상기 여과막 지지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막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연장 커버부의 길이는, 상기 분기관 결합부의 중심이 이웃한 분기관 결합부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의 1/2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관은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은 상기 원수 유입관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관과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 사이의 상기 여과조의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용 포트마다, 상기 처리수 배출 분기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여과용 포트를 닫도록 마련되는 여과 포트 개폐판과, 상기 여과 포트 개폐판이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여과 포트 개폐판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여과막 지지체의 분기관 결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여과 포트 개폐판이 열기 위한 개폐판 개구용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역세수 공급관과 연결되며 고압역세수가 저장되는 고압역세수 탱크와,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고압역세수 탱크에 고압역세수를 공급하기 위한 고압역세수 형성관과, 상기 고압역세수 형성관에 마련되는 고압형성용 펌프와, 상기 고압역세수 형성관에 마련되는 개폐 밸브와, 상기 고압역세수 탱크에 마련되는 압력센서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여과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3496A KR101253318B1 (ko) | 2011-03-16 | 2011-03-16 | 물 여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3496A KR101253318B1 (ko) | 2011-03-16 | 2011-03-16 | 물 여과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5825A KR20120105825A (ko) | 2012-09-26 |
KR101253318B1 true KR101253318B1 (ko) | 2013-04-10 |
Family
ID=4711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3496A KR101253318B1 (ko) | 2011-03-16 | 2011-03-16 | 물 여과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33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71369B (zh) * | 2016-05-13 | 2018-08-07 | 青岛海德威科技有限公司 | 低背压全自动反冲吸多筒过滤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0210A (ja) * | 1993-09-09 | 1995-03-28 | Ngk Insulators Ltd | 傾斜板式沈殿槽の洗浄方法 |
JPH11503963A (ja) * | 1995-04-21 | 1999-04-06 |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ひだ付き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7537037A (ja) * | 2004-05-18 | 2007-12-20 | スンシ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重力式繊維ろ過器 |
KR20100001423A (ko) * | 2008-06-27 | 2010-01-06 |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 다중 스트로 여과막을 구비한 복합 수처리 장치 |
-
2011
- 2011-03-16 KR KR1020110023496A patent/KR1012533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0210A (ja) * | 1993-09-09 | 1995-03-28 | Ngk Insulators Ltd | 傾斜板式沈殿槽の洗浄方法 |
JPH11503963A (ja) * | 1995-04-21 | 1999-04-06 |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ひだ付き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7537037A (ja) * | 2004-05-18 | 2007-12-20 | スンシ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重力式繊維ろ過器 |
KR20100001423A (ko) * | 2008-06-27 | 2010-01-06 | 유네코개발 주식회사 | 다중 스트로 여과막을 구비한 복합 수처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5825A (ko) | 201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682766A (zh) | 过滤装置 | |
KR101434825B1 (ko) | 상향류식 모래여과기 | |
CN207545923U (zh) | 多级纤维过滤装置 | |
KR101253318B1 (ko) | 물 여과 장치 | |
CN208177056U (zh) | 一种工业污水过滤器 | |
CN103432820A (zh) | 高效抽滤式沉淀池 | |
KR20100102881A (ko) | 멀티 여과층을 구비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 |
CN205495079U (zh) | 自动交替过滤器 | |
CN106881058B (zh) | 一种全自动固液分离过滤系统及其清洗方法 | |
JP5896681B2 (ja) | サイクロン式濾過装置 | |
KR101509015B1 (ko) | 극세사 필터를 사용하는 산업용 정수기 | |
CN201030254Y (zh) | 高效滤网过滤器 | |
CN209005340U (zh) | 一种反冲洗微滤水处理装置 | |
CN201356993Y (zh) | 自清式流砂过滤器 | |
CN102642938A (zh) | 高浊度塔形净水器 | |
KR100884825B1 (ko) |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RU2511366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фильтрирования жидкой среды | |
CN202410327U (zh) | 大流量篮式过滤器 | |
CN206355664U (zh) | 一种v型滤池 | |
CN211595244U (zh) | 一种沉淀膜过滤式水处理装置 | |
CN107261601A (zh) | 水垂过滤器 | |
RU2620439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их сред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 |
CN209123494U (zh) |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 |
ES2547286B1 (es) | Cartucho filtrante | |
CN211546142U (zh) | 一种用于净水设备的过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