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437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437B1
KR101252437B1 KR1020117026391A KR20117026391A KR101252437B1 KR 101252437 B1 KR101252437 B1 KR 101252437B1 KR 1020117026391 A KR1020117026391 A KR 1020117026391A KR 20117026391 A KR20117026391 A KR 20117026391A KR 101252437 B1 KR101252437 B1 KR 10125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leaning
washing
hot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870A (ko
Inventor
요시코 구리모토
다츠야 미키
노보루 오쿠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50)는, 세정 기능의 사용 편의성을 손상하지 않고, 저비용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노즐 세정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작부(52)의 조작에 의해, 온수 히터에의 통전을 일정 시간 정지시키는 「보온 중단」의 상태에 있으면, 그 동안에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 등의 노즐 세정 수단으로부터 온수 탱크(20)내의 온수를 분출시켜서, 노즐 장치(100)를 세정한다.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20)내의 온수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노즐 장치(100)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다음의 국부 세정시에 사용하는 온수가 없다라는 사용 편의성을 손상시킬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노즐 세정 기능을 갖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 세정 장치에는,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노즐 자체를 청결하게 보지하기 위해서 노즐 세정 기능(혹은 세정과 함께 제균도 실행하는 노즐 제균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이 종래부터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체 국부를 세정할 경우보다도 높은 온도의 세정수를 사용후의 노즐에 토출하는 것에 의해, 노즐에 부착된 오물이나 잡균을 제거하고 있는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고온수가 아니고,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경우와 동등한 온도의 세정수(편의상, 표준 온도수라고 칭함)로 노즐 세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노즐 장치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고 있는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표준 온도수를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소정의 사이클로 정기적으로, 또는 일정한 비사용 시간 경과후에 노즐 세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노즐 장치에 부착된 오물이 건조해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노즐 장치를 위생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311078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2-356896 호 공보
그러나, 상기 고온수를 이용하는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노즐 장치에 부착된 잡균을 세정에 의해 제거(이하, 「노즐 제균 세정」이라고 표현함)하기 위해서는,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경우보다도 높은 온도의 세정수를 필요로 한다.
특히, 탱크내에 세정용 온수를 저류하여 세정을 실행하는 소위 「저탕식(貯湯式)」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세정수를 급속하게 승온하는 히터를 마련하거나, 혹은 온수 탱크내의 온수를 고온으로 보지하고, 인체 국부의 세정시 혹은 노즐 세정시 등에 요구되는 수온에 따라서, 탕수(湯水)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는 탕수 혼합 밸브를 마련하는 등, 많은 구성부품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세정 기구 전체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든다는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또, 상기 표준 온도수를 이용하는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경우와 동등한 온도의 세정수로 노즐의 세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노즐의 형상에 따라서는, 잡균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것이 걱정된다. 더욱이 잡균을 제거할 때까지 노즐의 세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온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저탕식」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노즐 세정의 직후에는 탱크내의 온수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노즐 세정의 직후에는 온수로 인체의 국부 세정을 실행할 수 없게 되어, 이러한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체 국부의 세정 기능의 사용 편의성을 손상하지 않고, 저비용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노즐 세정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체의 국부 세정을 실행하는 노즐 장치와, 상기 노즐 장치를 세정하는 노즐 세정부와, 세정용의 온수를 저류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내의 세정수를 가온(加溫)하는 온수 히터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온수 히터에의 통전의 정지를 설정하는 보온 중단 설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 중단 설정부에 의해, 상기 온수 히터에의 통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노즐 세정부에 의한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호적한 실시 태양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체 국부의 세정 기능의 사용 편의성을 손상하지 않고, 저비용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노즐 세정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 내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본체 내부의 수납 위치에 있는 노즐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노즐 장치의 길이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노즐 장치의 AA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6의 (a)는 도 4에 도시하는 노즐 장치가 비데 세정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b)는 (a)에 도시하는 노즐 장치의 선단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의 (a)는 도 4에 도시하는 노즐 장치가 둔부 세정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b)는 (a)에 도시하는 노즐 장치의 선단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의 (a)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노즐 장치가 구비하는 노즐 유닛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b)는 (a)의 길이방향의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구비하는 조작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구성의 주요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제어부에 의한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가 구비하는 제어부의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가 구비하는 제어부의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인체의 국부 세정을 실행하는 노즐 장치와, 상기 노즐 장치를 세정하는 노즐 세정부와, 세정용의 온수를 저류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내의 세정수를 가온하는 온수 히터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온수 히터에의 통전의 정지를 설정하는 보온 중단 설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 중단 설정부에 의해, 상기 온수 히터에의 통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노즐 세정부에 의한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 자신이 보온 중단 설정부에 의해 온수 히터에의 통전 정지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을 의사가 명확하게 되고, 그 동안에 온수 탱크내의 온수를 사용하여 노즐 장치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충분한 양의 온수를 노즐 장치 세정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온수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가 아니더라도 충분한 노즐 장치의 세정의 실시가 가능해진다. 게다가 다음의 국부 세정시에 사용하는 온수가 없다라는, 사용 편의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의 실시를 설정하는 노즐 세정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 세정 설정부에 의한 노즐 장치의 세정의 실시가 설정되고, 또한 상기 보온 중단 설정부에 의한 상기 온수 히터에의 통전 정지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쓸데없는 온수를 사용하는 일없이, 더욱 사용 편의성이 양호하고, 필요할 때에만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전회의 국부 세정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온수 탱크내의 세정수는 국부 세정에 사용되는 온도까지 승온되기 때문에, 노즐 장치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수량 및 온도를 확보하고 나서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 장치의 피세정부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국부 세정에 사용하는 온수와 동일 온도 혹은 그 근방의 온도로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인체 국부 세정시보다도 고온으로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예를 들어 세정수를 급속하게 승온하는 히터, 고온으로 보지한 온수 탱크내의 온수를 혼합하는 탕수 혼합 밸브와 같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인체 국부의 세정 기능의 사용 편의성을 손상하지 않고, 저비용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노즐 장치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 장치는, 선단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구를 갖는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통형상의 노즐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1개의 분출구에 대응하는 분출 개구를 갖고, 상기 세정수는 상기 분출 개구를 거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구성이면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노즐 장치의 표면은 오물 및 잡균이 부착하기 어렵고, 온수로 씻어내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된 잡균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 장치는, 선단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원통형의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를 수납 가능하게 하는 노즐 케이싱과, 상기 노즐 케이싱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수납된 상기 노즐 본체의 외주에 세정수를 토출 가능하게 하는 노즐 세정수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세정부가 상기 노즐 세정수 토출구인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노즐 세정부가 원통형의 노즐 본체의 외주에 세정수가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정수는 노즐 본체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흐르게 된다. 그 때문에, 노즐 본체의 이면측까지 세정수를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부착물을 세정수로 양호하게 씻어낼 수 있다. 그 결과,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온수 온도와 동등한 온도의 세정수를 이용하여도, 고온의 온수를 사용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노즐 장치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노즐 장치의 세정뿐만 아니라 노즐 제균 세정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위생 세정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체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위생 세정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50)는 본체부(51), 조작부(52), 변좌부(53), 변좌 덮개(5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위생 세정 장치(50)의 본체부(51), 변좌부(53) 및 변좌 덮개(54)는 일체적으로 조립되어서 도시되지 않은 변기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하, 위생 세정 장치(5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변좌부(53)에 착석한 사용자로부터 보아서 전방을 전방방향 또는 전방측, 후방을 후방방향 또는 후방측, 좌측방을 좌측방향 또는 좌측, 우측방을 우측방향 또는 우측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변좌부(53)와 변좌 덮개(54)는, 각각 기립 위치와 도복(倒伏; 쓰러짐) 위치 사이에서, 각각 별개로 또한 양자 함께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지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이것들이 도복 위치로부터 기립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는 것을 「개방한다」라고 하고, 기립 위치로부터 도복 위치를 향해서 회동하는 것을 「폐쇄한다」라고 말한다.
본체부(51)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부(5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로 긴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이 변기의 후방측에서 좌우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해당 변기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51)에는, 조작부(52)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변좌부(53) 및 변좌 덮개(54)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51)에 있어서의 변좌부(53)의 하측이 되는 위치에는, 본체부(51)내에 수용되어 있는 노즐 장치(100)가 선단면만 노출되어 있다.
노즐 장치(100)의 노즐 유닛(200)이 변기의 중앙을 향해서 진출하고, 노즐 유닛(200)의 선단에 마련한 분출구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출하여, 사용자의 국부를 세정한다. 또한, 본체부(51)의 내부 구성 및 노즐 장치(1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조작부(52)는, 본체부(51)의 우측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신하도록 마련되고, 그 형상은 예를 들어 기둥형상이고, 그 상면이 조작면으로 되어 있다. 조작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50)가 갖는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스위치, 조작 상황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 등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51)의 좌우의 측면은 변좌 덮개 지지 측면(51a)으로 되어 있고, 변좌 덮개(54)의 회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변좌 덮개(54)가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51)의 좌우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방은, 변좌 덮개 지지 측면(51a)에서 보아 본체부(51)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를 향해서 움푹 들어간 것과 같은 단차면인 변좌 지지 측면(51b)으로 되어 있고, 변좌부(53)의 회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변좌부(53)가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변좌부(53)는, 본체부(51)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립 위치 및 도복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복 위치(폐쇄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석한다. 변좌 덮개(54)도, 본체부(51)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립 위치 및 도복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기립 위치(개방 상태)로 하고, 미사용시에는 도복 위치(폐쇄 상태)로 한다. 변좌부(53) 및 변좌 덮개(54)는 모두 수동으로 개폐되는 구성이어도 좋고, 본체부(51)내에 마련되는 변좌ㅇ변좌 개폐 유닛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변좌부(53)는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변좌 히터를 구비하고, 해당 변좌부(53)를 가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50)는 난방 변좌 기능을 갖추고 있다.
본체부(5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의 본체 하우징(511)내에, 온수 탱크(20), 노즐 장치(100), 도시되지 않은 건조 유닛, 및 제어부 등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부(51)는, 본체 하우징(511)의 하측이 되고, 상기 각 기능 유닛을 탑재한 상태에서 수용하는 하부 본체 하우징(511a)과, 이 하부 본체 하우징(511a)의 상측을 덮는 상태로 장착되는 도시되지 않은 상부 본체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온수 탱크(20) 및 노즐 장치(100)를 설명하는 편의상, 본체부(51)를 구성하는 본체 하우징(511)에 대해서는, 하부 본체 하우징(511a)만 도시하고, 다른 기능 유닛 및 제어부 등에 대해서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온수 탱크(20) 및 노즐 장치(100)는 합쳐서 하나의 세정 유닛을 구성해도 좋다.
온수 탱크(20)는 본체부(51)의 우하측에 위치하는 급수 접속부(34)로부터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입수구부를 거쳐서 내부에 세정수가 도입되고, 해당 세정수를 저장하는 동시에,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온수 히터에 의해 소정의 온도 범위로 가온한다. 급수 접속부(34)는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상수도 배관 등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급수 접속부(34)와 입수구부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분기한 유로가 마련되고, 이러한 분기된 유로에는 압력 릴리프 밸브(34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 릴리프 밸브(341)는 온수 탱크(20)에 일정한 압력 이상의 수압이 걸리지 않도록 수압을 완화하기 위한 밸브이다. 급수원으로부터 통상의 수압으로 급수가 행해지고 있으면, 이 압력 릴리프 밸브(341)는 개방되지 않지만, 급수원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수압으로 급수가 행해지면, 이 압력 릴리프 밸브(341)가 개방되어, 발생하는 잉여수를 바이패스하여 배관(342)으로부터 출수한다. 급수 접속부(34)로서는, 니플(nipple), 배관 및 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으로서는 연질의 수지제 튜브가 이용되고 있다.
또, 온수 탱크(20)의 바닥부에는, 온수 탱크(20)내에 저류된 물을 배수하는 도시되지 않은 물 빼기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고, 온수 탱크(20)내의 물이 동결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혹은 온수 탱크(20)가 장기간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온수 탱크(20)내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또, 온수 탱크(20)의 출수구부(252)는 급수 배관(331)으로부터 노즐 장치(100)의 유로와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급수 배관(332), 급수 배관(333), 급수 배관(334)에 접속되고, 각 급수 배관(332, 333, 334)이 각각 노즐 장치(100)에 접속되고, 가온된 세정수(온수)를 노즐 장치(100)에 공급한다.
또, 온수 탱크(2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파괴 밸브(253)가 마련되어 있다. 진공 파괴 밸브(253)는 노즐 장치(100)로부터 오수가 들어왔을 때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이다. 진공 파괴 밸브(253)에는 팽창수 유출 배관(254)이 접속되고, 세정수의 가열시에, 온수 탱크(20)로부터 팽창수가 유출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상정하여, 팽창수 유출 배관(254)으로부터 하부 본체 하우징(511a)을 거쳐서 팽창수를 변기내로 흘려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온수 탱크(20)는 도시되지 않은 온수 히터 등과 함께 온수 생성부를 구성하여, 노즐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내부의 세정수의 수온을 소정의 온도 범위로 조절하여 보지한다. 부가하여, 온수 탱크(20)에는 도시되지 않은 서미스터(thermistor)로 이루어지는 온수 온도 측정부와, 보안기가 설치되어 있다. 보안기로서는, 응답 속도가 빠른 서모스탯(thermostat)을 사용하고, 이상 온도가 된 것을 순간적으로 검지하여 온수 히터를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온수 히터, 온수 온도 측정부 및 제어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의 설명에 따라, 제어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노즐 장치의 구성 및 노즐 세정 동작]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50)가 구비하는 노즐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8의 (a), (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체부(51)의 내부에서 수납 위치에 있는 노즐 장치(100)의 외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노즐 장치(100)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노즐 장치(100)의 도 3에 있어서의 AA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의 (a)는 본체부(51)의 내부에서 노즐 장치(100)가 비데 세정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이때의 노즐 장치(100)의 선단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의 (a)는 본체부(51)의 내부에서 노즐 장치(100)가 둔부 세정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이때의 노즐 장치(100)의 선단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더욱이, 도 8의 (a)는 노즐 장치(100)가 구비하는 노즐 유닛(2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도 8의 (b)는 노즐 유닛(200)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노즐 장치(100)의 세정을 「노즐 세정」으로 약칭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장치(100)는 수지 재료로 성형한 노즐 케이싱(110)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노즐 케이싱(110)은 상하로 분리 가능한 노즐상측 케이스(120) 및 노즐 하측 케이스(130)를 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노즐 케이싱(110)의 중앙부에는, 도 6의 (a) 또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노즐 가이드(111)가 형성되어 있고, 노즐 가이드(111)의 일단부에는 선단 개구(112)가 마련되어 있다.
노즐 가이드(111)의 선단 개구(112)의 상부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한 노즐 셔터(140)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노즐 유닛(200)을 노즐 가이드(111)에 수납한 상태로 선단 개구(112)를 폐쇄한다. 노즐 셔터(140)는, 노즐 유닛(200)이 세정 위치로 진출할 때에는, 노즐 유닛(200)의 선단이 밀고나감으로써 상방으로 개방되고, 노즐 유닛(200)을 수납 위치에 수납했을 때에는 노즐 셔터(140)의 자중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폐쇄된다.
노즐 가이드(111)내에는 원통형의 노즐 유닛(2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노즐 유닛(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가이드(111)내에 수용된 위치(수납 위치)와,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개구(112)보다 돌출하여 비데 세정을 실행하는 위치(비데 세정 위치)와,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개구(112)보다 돌출하여 둔부 세정을 실행하는 위치(둔부 세정 위치)를 취하도록,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개구(112)보다 노즐 유닛(200)이 돌출한 위치, 즉 세정 위치로서는, 비데 세정 위치 및 둔부 세정 위치의 2개소의 세정 위치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 유닛(200)은 다른 세정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유닛(200)은 대략 원통형의 노즐 본체(300)와, 노즐 본체(300)를 수용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노즐 커버(400)와, 노즐 커버(400)에서 노즐 본체(300)를 견인하는 연결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400)는 노즐 커버 본체(410)와 노즐 랙 블록(420; nozzle rack block)이 일체로 되어 구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 본체(410)는 스테인리스의 박판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그 선단면은 폐쇄면이고 후단면은 개방면이다. 이러한 후단면은 노즐 본체(300)가 삽입 가능한 형상을 하고 있다.
노즐 본체(300)와 노즐 커버(400)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성을 하고 있고, 비데 세정 위치와 둔부 세정 위치에 있어서, 노즐 본체(300)와 노즐 커버(400)는 연결부(500)에 의해 소정의 상대 위치에 정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의 (b) 및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커버 본체(410)의 상면에는 1개의 분출 개구(411)가 마련되어 있다.
분출 개구(411)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데 세정 위치에 있어서는 노즐 본체(300)의 비데 세정 분출구(340)에 중첩되고,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둔부 세정 위치에 있어서는 둔부 세정 분출구(320)에 중첩되도록, 노즐 커버 본체(410)에 마련되어 있다. 분출 개구(411)는 비데 세정 분출구(340) 및 둔부 세정 분출구(320)보다 개구가 크게 되어 있어, 세정수가 분출 개구(411)에 부딪쳐서 분출에 지장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본체(300)에는, 둔부 세정 기능과 비데 세정 기능의 2가지의 기능을 구비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둔부 세정 또는 비데 세정의 단독의 기능만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노즐 본체(300)와 노즐 커버(400)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성으로 할 필요는 없고, 분출 개구(411)에 중첩하는 구성의 비데 세정 분출구(340) 및 둔부 세정 분출구(320)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노즐 케이싱(11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싸서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가이드(111)의 선단 개구(112)(도 3 및 도 4에는 부호는 표시되지 않음)의 근방은 다른 부위보다도 내경이 큰 세정 확대부(113)로 되어 있고, 이러한 세정 확대부(113)는 노즐 유닛(200)의 수납 위치에서 노즐 커버 본체(410) 상면의 분출 개구(411) 및 그 주변을 충분히 커버하는 깊이를 갖고 있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있어서의 AA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로서 세정 확대부(113)의 횡단면에 상당하지만, 이러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 확대부(113)의 상부에는, 해당 세정 확대부(113)의 외주의 접선방향을 따라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가 개구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선단 개구(112)로부터 보아서 좌측의 접선방향을 따라 (좌측 횡방향으로)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가 개구되어 있다.
노즐 케이싱(110)의 외측에는,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와 연통하는 노즐 세정 유로(150)가 마련되어 있고, 이 노즐 세정 유로(150)는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은 호스를 거쳐서 급수 접속부(34)(도 2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세정 확대부(113)의 내경은 노즐 커버 본체(410)의 외면과 대략 전체 원주에 걸쳐서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어,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로부터 도입된 노즐 세정용의 세정수는 이 간극으로 유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노즐 유닛(200)의 수납 상태에서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비데 세정 위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노즐 커버 본체(410)의 분출 개구(411)와 노즐 본체(300)의 비데 세정 분출구(340)는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는 노즐 가이드(111)의 외주의 접선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정수는 노즐 커버 본체(410)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흘려지게 된다. 그 결과, 노즐 커버 본체(410) 이면측까지 세정수를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노즐 커버(400) 및 분출 개구(411)의 부착물을 세정수로 씻어낼 수 있다. 또한, 세정 확대부(113)의 하부에는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구(41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노즐 커버(400) 및 분출 개구(411)를 세정한 후의 세정수를 변기내로 배출할 수 있다.
또, 노즐 유닛(200)을 수납 위치로부터 전진시킨 상태에서,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로부터 세정수를 공급하면, 분출 개구(411)의 부근뿐만 아니라, 노즐 커버(400) 전체를 세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커버(400)를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하고 있다. 스테인리스강은 수지와 비교했을 경우, 그 계면의 자유에너지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제의 노즐 커버(400)의 표면은 친수성이 높아진다. 노즐 커버(400)의 구성은 스테인리스강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구리, 이들과 스테인리스의 합금 등, 금속제로 방식 가공이 이루어진 것이면, 노즐 커버(400)로서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노즐 커버(400)의 형상을, 요철을 가능한 한 없앤 대략 원통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노즐 커버(400)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이나 잡균을 씻어내기 쉽게 할 수 있어, 세정 오수가 노즐 커버(400)에 튀었다하더라도 녹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노즐 장치(100)[특히 노즐 커버(400)의 표면]를 단지 세정할 뿐만 아니라, 노즐 장치(100)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수(노즐 제균 세정용의 세정수)는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온수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구성에서는, 약 70℃)의 온수인 것이 필요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장치(100)가 상기 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부터,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온수 온도와 동등한 온도의 세정수를 이용하여도, 고온의 온수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노즐 장치(100)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자 및 제 3 자 기관의 실험에서는, 온수 탱크(20)에 저류되어 있는 온수(세정수)의 온도는 약 30℃ 내지 40℃의 범위내이며, 적어도 38℃ 내지 40℃의 범위내의 온수(표준 온도의 세정수)로 소정 시간, 소정의 유량으로 스테인리스제의 노즐 커버(400)의 표면을 세정하는 것에 의해, 99% 이상의 잡균을 제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38℃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노즐 커버(400)[혹은 노즐 본체(300)의 표면]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이면 노즐의 세정 및 잡균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50)의 구성에 따라서는 38℃ 미만의 온도에서도 양호한 세정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38℃ 내지 40℃의 노즐 세정수를 국부 세정에 사용하는 온수와 동일 온도로 간주하고, 예를 들면 30℃ 내지 42℃의 범위내를 국부 세정에 사용하는 온수의 근방의 온도로 간주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체 국부를 세정할 때보다도 고온으로 노즐 세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노즐 세정중 및 전후에서의 인체 국부 세정에의 조작 절환시 등에, 고온수가 인체에 튈 위험성이 없이 보다 안전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를 급속하게 승온하는 히터, 고온으로 보지한 온수 탱크내의 온수를 혼합하는 탕수 혼합 밸브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 국부의 세정 기능의 사용 편의성을 손상하지 않고, 저비용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노즐 장치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는 노즐 커버(400)의 세정 확대부(113)[노즐 커버(400)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수납된 노즐 본체(300)[혹은 노즐 유닛(200)]의 외주의 접선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해당 노즐 본체(300)에 세정수를 도입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노즐 본체(300) 위에 세정수의 유로를 마련하는 동시에, 해당 유로가 노즐 본체(300)의 바로 상부에서 외측이 되는 부위에 개구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면, 상기 개구로부터 세정수가 떨어지도록 토출되는 것에 의해, 노즐 본체(300)를 노즐 세정수로 세정할 수 있다.
혹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는 노즐 세정을 위해 노즐 세정 유로(150) 및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를 마련한 구성으로 했지만, 분출 개구(411)의 부근만의 세정이면, 노즐 세정 유로(150) 및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노즐 유닛(200)이 수납 위치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분출 개구(411)에 중첩되는 비데 세정 분출구(340)로부터 세정수를 분출하는 구성으로 하면, 분출된 세정수는 분출 개구(411)의 상부를 덮고 있는 노즐 가이드(111)의 내면으로 반사하여 노즐 커버(400)에 분무되므로, 노즐 커버(400)의 표면의 부착물을 씻어내는 것도 가능해진다.
[조작부의 구성]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50)가 구비하는 조작부(52)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조작부(52)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52)에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와 표시부(표시 수단)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둔부 세정 스위치(60), 비데 세정 스위치(61), 정지 스위치(62),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 노즐 청소 스위치(65), 세정 동작 절환부(66), 세정 강도 절환부(67), 온도 설정 절환부(68), 누전 테스트부(69), 보온 중단 설정 표시부(63a), 노즐 세정 설정 표시부(64a), 전원 표시부(52a) 등이 배치되어 있다.
세정 기능을 조작하는 스위치로서는, 둔부 세정 스위치(60), 비데 세정 스위치(61), 정지 스위치(62)가 마련되어 있다. 둔부 세정 스위치(60)는 둔부 세정을 개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이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수납 위치로부터 도 7의 (a)에 도시하는 둔부 세정 위치까지 노즐 유닛(200)이 전진하여, 둔부 세정 분출구(320)로부터 세정수가 분출한다. 비데 세정 스위치(61)는 비데 세정을 개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이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납 위치로부터 도 6의 (a)에 도시하는 비데 세정 위치까지 노즐 유닛(200)이 전진하여, 비데 세정 분출구(340)로부터 세정수가 분출한다. 정지 스위치(62)는 이들 둔부 세정 동작 또는 비데 세정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이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세정수의 분출이 정지하고, 노즐 유닛(200)은 비데 세정 위치 또는 둔부 세정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복귀한다.
세정 기능의 각종 조건을 설정하는 스위치 등으로서는, 세정 동작 절환부(66), 세정 강도 절환부(67), 온도 설정 절환부(68)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 동작 절환부(66)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유닛(200)의 주기적인 진퇴 이동인 「무브」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 및 세정 강도의 강과 약을 자동으로 반복하는 「리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로 구성된다. 세정 강도 절환부(67)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강도를 강하게 하는 스위치, 약하게 하는 스위치, 및 현재의 세정 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어 있다. 온도 설정 절환부(68)는, 세정수의 온도 설정을 절환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변좌부(53)의 온도 설정을 절환 가능하게 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온수)의 온도를 절환하는 스위치, 변좌부(53)의 온도를 절환하는 스위치, 세정수의 현재의 온도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변좌부(53)의 현재의 온도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스위치중, 정지 스위치(62), 둔부 세정 스위치(60), 세정 동작 절환부(66), 비데 세정 스위치(61) 및 세정 강도 절환부(67)는 이 순서로 조작부(52)의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 각종 기능의 설정을 실행하는 스위치로서는,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 노즐 청소 스위치(65) 등이 마련되어 있다.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는 예를 들어 야간 등 온수 세정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온수 히터에의 통전을 정지하는 소정 시간을 설정하는 스위치이며, 그 근방에는, 설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보온 중단 설정 표시부(63a)가 마련되어 있다. 「보온 중단」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보온 중단 설정 표시부(63a)가 점등되고, 보온 중단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보온 중단」의 설정은 해제되고, 보온 중단 설정 표시부(63a)는 소등된다. 그 후, 온수 히터는 통전을 재개하고, 온수 탱크(20)내의 온수는 인체 세정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로 보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온 중단」의 설정 시간은 야간 등을 상정하여, 약 8시간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시간으로 해도 좋다. 또, 조작부(52)에 의해 사용자가 중단 시간을 설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는 변좌부(53)의 가온 정지 기능을 겸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는 노즐 세정을 허가하는 스위치이며, 그 근방에는, 노즐 세정 허가 설정시에 점등하는 노즐 세정 설정 표시부(64a)가 마련되어 있다.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에서 「노즐 세정」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보온 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노즐 세정이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노즐 청소 스위치(65)는 사용자가 노즐을 청소하기 위해서 세정시가 아니더라도 노즐 유닛(200)을 수납 위치로부터 진출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조작부(52)에는, 전원이 들어오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부(52a), 누전 테스트를 실행하기 위한 누전 테스트부(69)가 마련되어 있다. 누전 테스트부(69)는 누전 테스트를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와, 누전 테스트중인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종 기능의 설정을 실행하는 스위치는 조작부(52)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강도 절환부(67)로부터 더 후방에 온도 설정 절환부(68)가 배치되고, 더욱더 그 후방에,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및 보온 중단 설정 표시부(63a)],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및 노즐 세정 설정 표시부(64a)], 노즐 청소 스위치(65)가 배치된다. 또한, 전원 표시부(52a) 및 누전 테스트부(69)는 조작부(52)의 후방에 있어서 본체부(51)로의 부근측에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 및 표시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는 모두 공지의 멤브레인 스위치이며, 그 표면에는, 스위치의 종류가 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정지 스위치(62), 둔부 세정 스위치(60) 및 비데 세정 스위치(61)에는, 시각 장애자용의 점자가 근방에 부착되고, 정지 스위치(62) 및 둔부 세정 스위치(60)의 표면에는, 시각 장애자용의 요철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로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등의 소형 광원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즐 세정의 제어 및 동작]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50)에 있어서, 제어 구성의 주요부의 일례와, 제어부에 의한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50)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의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55)는 조작부(52)가 구비하는 각종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지령에 의해 전술한 각 기능 유닛 또는 동작 기구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0에서는, 제어부(55)는, 온수 탱크(20)내(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세정수를 가온하는 온수 히터(21)의 통전 제어와, 노즐 장치(100)의 동작 제어와, 온수 탱크(20)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수 온도 측정부(22)의 제어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주요부 구성에서는, 조작부(52)에 포함되는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가 조작되면, 「보온 중단」의 지령 신호가 제어부(55)로 출력되므로, 제어부(55)는 보통 상태로부터 「보온 중단」의 상태에 절환하는 제어, 즉 온수 히터(21)에의 통전을 소정 시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가 조작되면, 「노즐 세정」의 지령 신호가 제어부(55)로 출력되므로, 제어부(55)는 노즐 장치(100)에 노즐 세정을 실시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한다.
온수 온도 측정부(22)는 제어부(55)의 제어에 의해 온수 탱크(20)내의 온수(세정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동시에, 측정한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55)로 출력한다. 제어부(55)는 얻어진 온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온수 히터(21)의 통전을 제어하거나, 해당 온도 데이터를 후술하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에 이용한다.
상기 제어 구성에 있어서의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55)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에 의해 「보온 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1). 「보온 중단」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단계 S11에서 예), 다음에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에 의해 「노즐 세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2).
「노즐 세정」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단계 S12에서 예), 제어부(55)는 금회의 「보온 중단」의 설정중에 이미 노즐 세정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지를 판정한다(단계 S13). 이러한 판정은 「보온 중단」의 설정중에, 노즐 세정 동작을 반복 실시하여 온수 탱크(20)내에 잔존하고 있는 온수를 다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행해진다.
다음에, 「보온 중단」의 설정중에 노즐 세정을 실행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13에서 예), 제어부(55)는 사용자가 변좌부(53)에 착석하고, 조작부(52)에 의해 인체 세정 개시 조작을 실행하는 등에 의해 인체 세정 요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지를 판정한다(단계 S14). 인체 세정 요구가 발생하고 있을 경우(단계 S14에서 예)에는, 노즐 세정을 개시하지 않고, 인체 세정을 실행한다. 인체 세정 요구가 없고, 전술한 각 판정(단계 S11, S12, S13)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제어부(55)는 노즐 세정을 개시하고(단계 S15),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전술한 각 판정(단계 S11 내지 S14)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 세정을 개시시키지 않고,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5)가 이러한 판정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에 의해 「보온 중단」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해당 위생 세정 장치(50)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의사가 명확해지고, 그 동안에 온수 탱크(20)내의 온수를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온수 히터(21)에의 통전을 정지할 수 있다.
또,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에서 「노즐 세정」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보온 중단」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온수 탱크(20)내에 남은 온수를 사용하여 노즐 세정을 실행하게 된다. 그 때문에, 충분한 양의 온수를 노즐 장치(100)의 세정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온수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가 아니어도 충분한 노즐 세정의 실시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온수 탱크(20)내의 온수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노즐 장치(100)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다음의 국부 세정시에 사용하는 온수가 없다라는, 사용 편의성을 손상시킬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를 마련하고, 「노즐 세정」의 설정이 되었을 경우에만 노즐 세정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를 마련하지 않고,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에서 「보온 중단」의 설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노즐 세정이 실시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단계 S12는 불필요하게 되어, 제어 흐름은 S11, S13, S14 및 S15의 순서대로 실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장치(100)를 세정하는 노즐 세정부는, 해당 노즐 장치(100)가 구비하는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 유닛(200)을 세정 가능한 공지의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확대부(113)의 외주의 접선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로부터 세정수(온수)가 도입되는 것에 의해, 수납 위치에 있는 노즐 유닛(200)이 세정되지만,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와는 상이한 전용의 세정 기구를 마련하여 세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본체(300) 및 노즐 커버(400)에 의해 노즐 유닛(200)이 구성되고, 이 노즐 유닛(200)은 노즐 케이싱(110)내에 마련되는 노즐 가이드(111)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노즐 세정부인 노즐 세정수 토출구(151)는 노즐 본체(300)뿐만 아니라, 노즐 유닛(200) 전체를 세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 장치(100)는 적어도 원통형의 노즐 본체(300)와 이것을 수납 가능하게 하는 노즐 케이싱(110)을 구비하고 있고, 노즐 세정부는 적어도 노즐 본체(300)를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세정부는 노즐 본체(300) 또는 노즐 유닛(200)에 부착된 오물 및 잡균 등을 제거하는 「노즐 제균 세정」을 실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노즐 세정」을 실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온 중단 설정부는 조작부(52)에 마련되는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보온 중단 설정부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이면, 전용의 스위치 등을 마련하지 않아도, 다른 스위치나 조작부 등을 조작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제어부에 의한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도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해당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전회의 노즐 세정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의 판정을 실행하는 점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한 판정 처리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부의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구성의 주요부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도 10 참조)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55)는 우선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에 의해 「보온 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1). 「보온 중단」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단계 S21에서 예), 다음에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에 의해 「노즐 세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2).
「노즐 세정」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단계 S22에서 예), 제어부(55)는 전회의 국부 세정 등의 온수 사용으로부터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 이 소정 시간은 온수 탱크(20)내에 세정수가 충분히 보급되고, 이 세정수가 국부 세정에 사용되는 온도까지 충분히 승온할 수 있는 시간이면 좋다. 그 때문에, 온수 히터(21)의 가열 능력, 온수 탱크(20)에 의해 저류되는 수량, 온수 탱크(20)에의 세정수의 보급 능력 등의 제조건에 따라서 상기 소정 시간은 적당히 설정 가능한 것이므로, 제어부(55) 등에서 호적한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두면 좋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으면(단계 S23에서 예), 금회의 「보온 중단」의 설정중에 이미 노즐 세정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지를 판정한다(단계 S24).
「보온 중단」의 설정중에 노즐 세정을 실행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24에서 예), 사용자가 변좌부(53)에 착석하고, 조작부(52)에 의해 인체 세정 개시 조작을 실0행하는 등에 의해 인체 세정 요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지를 판정한다(단계 S25). 인체 세정 요구가 발생하고 있을 경우(단계 S25에서 예)에는, 노즐 세정을 개시하지 않고, 인체 세정을 실행한다. 인체 세정 요구가 없고, 전술한 각 판정(단계 S21 내지 S24)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제어부(55)는 노즐 세정을 개시하고(단계 S26),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전술한 각 판정(단계 S21 내지 S25)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 세정을 개시시키지 않고,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제어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온수 탱크(20)내의 세정수는 국부 세정에 사용되는 온도까지 승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노즐 장치(100)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수량 및 온도를 확보하고 나서 노즐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세정 설정부는 조작부(52)에 마련되는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노즐 세정 설정부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이면, 전용의 스위치 등을 마련하지 않아도, 다른 스위치나 조작부 등을 조작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는, 상기 실시형태 2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 처리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해당 판정 처리에 있어서, 온수(세정수)의 온도의 판정을 실행하는 점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한 판정 처리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부의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구성의 주요부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도 10 참조)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55)는 우선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63)에 의해 「보온 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31). 「보온 중단」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단계 S31에서 예), 다음에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64)에 의해 「노즐 세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32).
「노즐 세정」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단계 S32에서 예), 제어부(55)는 전회의 국부 세정 등의 온수 사용으로부터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3).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으면(단계 S33에서 예), 온수 탱크(20)내의 세정수의 온도를 온수 온도 측정부(22)에 의해 측정하고, 노즐 세정에 필요한 온도에 도달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34). 여기에서, 「노즐 세정에 필요한 온도」란, 국부 세정에 사용하는 온수와 대략 동일한 온도이면 좋고, 바꿔 말하면, 미리 설정되는, 국부 세정에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에 들어가는 온도이면 좋다.
통상, 노즐 커버(400)의 표면에 부착된 잡균을 씻어내기 위해서는, 온수의 온도는 약 40℃에 도달할 필요가 있다. 노즐 세정의 소정 시간중에 안정하게 약 40℃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노즐 세정중의 온수 탱크(20)내의 수온 저하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에서, 제어부(55)는 온수 온도 측정부(22)에서 측정된 온도가 약 40℃보다도 약 1℃ 내지 2℃ 높은 온도에 도달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도달하고 있지 않을 경우(단계 S34에서 아니오)에는, 상기 판정 온도까지 온수 히터(21)에 통전을 실행하여 가온한다.
온수 온도가 필요한 온도에 도달하면(단계 S34에서 예), 제어부(55)는 금회의 「보온 중단」의 설정중에 이미 노즐 세정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지를 판정한다(단계 S35). 「보온 중단」의 설정중에 노즐 세정을 실행하고 있지 않으면(단계 S35에서 예), 사용자가 변좌부(53)에 착석하고, 조작부(52)에 의해 인체 세정 개시 조작을 실행하는 등에 의해 인체 세정 요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지를 판정한다(단계 S36). 인체 세정 요구가 발생하고 있을 경우(단계 S36에서 예)에는, 노즐 세정을 개시하지 않고, 인체 세정을 실행한다. 인체 세정 요구가 없고, 전술한 각 판정(단계 S31 내지 S34)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제어부(55)는 노즐 세정을 개시하고(단계 S37), 노즐 세정 개시의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전술한 각 판정(단계 S31 내지 S36)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노즐 세정을 개시시키지 않고,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제어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인체 국부 세정시보다도 고온으로 노즐 세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정수를 급속하게 승온하는 히터, 고온으로 보지한 온수 탱크(20)내의 온수를 혼합하는 탕수 혼합 밸브와 같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인체 국부의 세정 기능의 사용 편의성을 손상하지 않고, 저비용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노즐 장치(100)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인체의 국부 세정을 실행하는 노즐 장치와, 노즐 장치를 세정하는 노즐 세정 수단과, 세정용의 온수를 저류 하는 온수 탱크와, 온수 탱크내의 세정수를 가온하는 온수 히터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온수 히터에의 통전을 일정 시간 정지시키는 보온 중단 설정 수단을 포함하며, 보온 중단 설정 수단에 의해 온수 히터에의 통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노즐 세정 수단에 의해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구성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자신이 보온 중단 설정 수단에 의해 온수 히터에의 통전 정지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의사가 명확해지고, 그 동안에 온수 탱크내의 온수를 사용하여 노즐 장치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다음의 국부 세정시에 사용하는 온수가 없다라는, 사용 편의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인체 국부의 세정 기능의 사용 편의성을 손상하지 않고, 저비용이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노즐 장치에 부착된 잡균을 제거하는 노즐 제균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많은 개량이나 다른 실시 형태가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선의 태양을 당업자에게 교시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는 일없이,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세정수를 온수 탱크에 저장하여 가온하는 저탕식의 위생 세정 장치의 분야에 널리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20 : 온수 탱크 50 : 위생 세정 장치
52 : 조작부
63 : 보온 중단 설정 스위치(보온 중단 설정부)
64 : 노즐 세정 설정 스위치(노즐 세정 설정부)
100 : 노즐 장치 110 : 노즐 케이싱
151 : 노즐 세정수 토출구(노즐 세정부)
200 : 노즐 유닛 300 : 노즐 본체
320 : 둔부 세정 분출구(분출구) 340 : 비데 세정 분출구(분출구)
400 : 노즐 커버 411 : 분출 개구

Claims (6)

  1. 인체의 국부 세정을 실행하는 노즐 장치와,
    상기 노즐 장치를 세정하는 노즐 세정부와,
    세정용의 온수를 저류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내의 세정수를 가온하는 온수 히터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온수 히터에의 통전의 정지를 설정하는 보온 중단 설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 중단 설정부에 의해 상기 온수 히터에의 통전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노즐 세정부에 의한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의 실시를 설정하는 노즐 세정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 세정 설정부에 의한 노즐 장치의 세정의 실시가 설정되고, 또한 상기 보온 중단 설정부에 의한 상기 온수 히터에의 통전 정지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회의 국부 세정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의 피세정부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국부 세정에 사용하는 온수와 동일 온도 혹은 그 근방의 온도로 상기 노즐 장치의 세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선단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구를 갖는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통형상의 노즐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커버는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1개의 분출구에 대응하는 분출 개구를 갖고,
    상기 세정수는 상기 분출 개구를 거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선단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원통형의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를 수납 가능하게 하는 노즐 케이싱과,
    상기 노즐 케이싱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수납된 상기 노즐 본체의 외주에 세정수를 토출 가능하게 하는 노즐 세정수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세정부가 상기 노즐 세정수 토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17026391A 2010-07-02 2011-06-30 위생 세정 장치 KR101252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1778A JP5649041B2 (ja) 2010-07-02 2010-07-02 衛生洗浄装置
JPJP-P-2010-151778 2010-07-02
PCT/JP2011/003748 WO2012001980A1 (ja) 2010-07-02 2011-06-30 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870A KR20120028870A (ko) 2012-03-23
KR101252437B1 true KR101252437B1 (ko) 2013-04-08

Family

ID=4540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391A KR101252437B1 (ko) 2010-07-02 2011-06-30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49041B2 (ko)
KR (1) KR101252437B1 (ko)
CN (1) CN102449242B (ko)
WO (1) WO2012001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00760T3 (pl) * 2012-08-20 2015-05-29 Geberit Int Ag Toaleta - bidet z wymontowalnym ramieniem natryskowym
CN105008628B (zh) * 2013-03-04 2018-10-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喷嘴装置以及使用该喷嘴装置的卫生清洗装置
JP6421340B2 (ja) * 2013-10-08 2018-1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AT515901B1 (de) * 2014-02-10 2019-04-15 Mochart Alois Wasserinstallation
JP7031215B2 (ja) * 2017-10-16 2022-03-08 株式会社アイシン 洗浄便座装置
CN109351699A (zh) * 2018-12-11 2019-02-19 乐清市隆强电气有限公司 清洗器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367A (ja) * 1998-07-30 2000-02-15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4116151A (ja) * 2002-09-26 2004-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10270483A (ja) * 2009-05-20 2010-12-02 Inax Corp 加熱水沸上げ装置
KR101104428B1 (ko) * 2006-04-28 2012-01-12 파나소닉 주식회사 위생 세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896A (ja) * 2001-03-27 2002-12-13 Toto Ltd ノズル洗浄機能を有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6144417A (ja) * 2004-11-22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JP4894463B2 (ja) * 2006-11-01 2012-03-14 株式会社Lixil 温水洗浄装置
JP4591540B2 (ja) * 2008-05-14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10007420A (ja) * 2008-06-30 2010-01-14 Aisin Seiki Co Ltd 便座装置
TW201010658A (en) * 2008-08-01 2010-03-16 Panasonic Corp Toilet sea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367A (ja) * 1998-07-30 2000-02-15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4116151A (ja) * 2002-09-26 2004-04-1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101104428B1 (ko) * 2006-04-28 2012-01-12 파나소닉 주식회사 위생 세정 장치
JP2010270483A (ja) * 2009-05-20 2010-12-02 Inax Corp 加熱水沸上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12873A (ja) 2012-01-19
JP5649041B2 (ja) 2015-01-07
CN102449242B (zh) 2014-07-23
CN102449242A (zh) 2012-05-09
WO2012001980A1 (ja) 2012-01-05
KR20120028870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437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1303449B1 (ko) 노즐 살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0642938B1 (ko) 전방에서 분사되는 세정노즐이 장착된 비데
JP200824040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882858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1089297A (ja) 還元機能付き混合水栓及びその給湯方法
JP2005083085A (ja) 水洗便器洗浄装置
JP2009189453A (ja) 浴室殺菌ユニット及び浴室の殺菌方法
US20070093777A1 (en) Water therapy apparatus for large intestine
JP2008231861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6274710A (ja) 洗浄装置
JP2007077715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2004263421A (ja) トイレ装置
JP2013032645A (ja) 温水洗浄装置及び便器装置
JP2009060984A (ja) 浴槽
JP7113174B2 (ja) 衛生洗浄装置
JP2004116151A (ja) 衛生洗浄装置
JP2010255365A (ja) 人体洗浄装置及び収納装置
JP2010275780A (ja) 温水洗浄装置
JP2010065406A (ja) 臀部内面の洗浄方法及びその実施のために用いる器具
JP2006016840A (ja) 汚損物洗浄装置
JP2000291106A (ja) 人体洗浄装置
JP2021143565A (ja) 便器装置
JP2001279781A (ja) 便座装置
JP2000096681A (ja) 局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