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252B1 -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252B1
KR101251252B1 KR1020120084388A KR20120084388A KR101251252B1 KR 101251252 B1 KR101251252 B1 KR 101251252B1 KR 1020120084388 A KR1020120084388 A KR 1020120084388A KR 20120084388 A KR20120084388 A KR 20120084388A KR 101251252 B1 KR101251252 B1 KR 10125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fabric
gear
rubber coating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지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지에스
Priority to KR102012008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pouring or allowing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texti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원단의 양면으로 고무코팅 처리를 하기 위해 고무 원액을 직물원단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한 두께로 고무가 자동적으로 코팅 및 건조되도록 함으로서, 인력낭비와 시간단축에 따른 경비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도록 한 직물원단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로,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는 자동 고무공급장치(400)로부터 고무 원액을 공급받는 호퍼(310)와, 상기 호퍼(310) 하부에 설치되어 고무원액을 직물 상단에 일정한 량으로 도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정량유지부와, 상기 정량유지부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330)로, 상기 간격조절장치(330)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1기어(G1)와, 상기 제1 기어(G1)와 이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2 기어(G2)와, 상기 제2 기어(G2)의 축 일단에는 제1 수동핸들(331)이 설치되고, 타 측에는 베어링(B)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기어(G2)에는 제 3기어(G3)가 이맞물림되고, 상기 제 3기어(G3)의 일측에는 제2 수동핸들(332)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웜기어(W1)가 형성되고, 상기 웜기어(W)에는 제4기어(G4)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 2기어(G2)와 베어링(B) 사이에는 제 2웜기어(W2)가 설치되어 제5기어(G5))와 이맞물리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4 및 제5 기어(G4,G5)의 각각 축 일단에는 두께조절판(340)와, 상기 두께조절판(340)은 상기 제4 및 제5 기어(G4,G5)의 각각 축 일단에 고정되어 승강되며 하부가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341)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고무원액이 투여되는 하판(342)과; 상기 상, 하판(341,342)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고무원액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판(343)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Supply auto rubber fabric rubber thickness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직물원단의 양면으로 고무코팅 처리를 하기 위해 고무액에 침지상태로 직물원단을 진행되게 하면서 고무코팅두께를 제어하고 건조공정으로 건조처리하여 고무 코팅한 직물원단을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한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원단 고무코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원단의 양면으로 고무코팅 처리한 후, 이를 권회하기 위한 처리장치는, 고무코팅된 직물원단에 대해 어떠한 후처리작업(파우더공급, 격리지와 권회하여줌 등)도 부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감김로울러 상에 권회하여 줌으로서 직물원단의 고무코팅면이 상호접촉에 의한 접착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고무코팅면에 서로 접착되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제품(다이아프램 등)을 제조하기 위해 풀어주는 과정에서 어느 한쪽의 고무코팅면이 직물원단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현상으로 인해 불량발생의 요인이 되었으며,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 제003843호 직물원단 고무코팅시스템에서 고무코팅된 직물원단의 처리장치와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944-21793호(직물원단의 고무코팅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한 바가 있다.
즉, 전자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원단의 양면에 대해 고무코팅처리를 하기 위해 직물원단을 고무액공급수단에 침지 상태로 이송케 하면서 고무코팅두께조절수단으로 고무코팅두께를 조절하고 건조수단으로 건조처리하여 고무 코팅된 직물원단을 제조하게 되는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에 있어서, 1차 이송로울러(1)의 이송력에 의해 이송되는 고무코딩된 직물원단(S)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로울러(2)를 프레임(3)상에 자유자재로 회전되게 배치하고, 파우더분사노즐(41), 직물원단안내부(42), 파우더회수수단(43)이 부설구비되며, 상, 하부체(44)(45)로 조합된 분사통(4)으로된 파우더공급수단(D)를 배치하면서, 직물원단에 대해 이송력을 부여하기 위한 2차 이송로울러(10)를 배치하고, 구동수단(E)에 의해 회전되면서 직물원단을 권회하게 되는 감김로울러(5)를 배치하여서된 구성하였으며,
후자는 종래의 직물원단 양면에 대한 고무코팅방식은 준비된 직물원단의 일면에 대해 고무코팅 처리한 후, 타 면을 동일한 방식으로 고무코팅처리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면, 직물원단의 양면을 고무코팅하기 위해서는 2번의 코팅공정을 거쳐 실시하였다.
이로 인하여 작업공정이 번거롭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으며, 제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2와 같이, 우대(1a), 좌대(1b) 및 중대(1c)로 구분되는 프레임(1)과, 상기 우대(1a)의 상부에 자유자재로 회전되는 구조로 위치되며, 고무코팅 전상태의 직물원단(2)이 권취되어진 보빈(3)과, 상기 우대(1a)와 좌대(1b)에 자유자재로 회전되는 구조로 각각 고정배치되며, 이송되어지는 직물원단을 안내하여 주는 안내로울러(4)(40)와, 중대(1c)에 장착위치되며 고무액이 채워지는 고무액조(5)와, 지지부재(6)를 통해 고무액조(5)내로 부설된 로울러(7)로 이루어져 직물원단이 로울러(7)에 안내되면서 고무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고무액 공급수단과, 상기 프레임 좌대(1b)에 직물원단의 양면에 대하여 고무코팅두께를 제어토록 사이 간격의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직물원단이 사이 간격의 중심부를 통과할 수 있게 사이 간격의 높이조절에 의한 중심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대한 두께를 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고무코팅두께 조절수단(C)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양자의 경우 코무 코팅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 출 한 것으로, 직물원단의 양면으로 고무코팅 처리를 하기 위해 고무액에 침지 상태로 직물원단을 진행되게 하면서 고무코팅두께를 제어하고 건조공정으로 건조처리함으로써, 고무가 코팅된 직물원단을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한 코팅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1)는 감긴 롤 원단(10)을 거치함과 동시에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 쪽으로 원단을 공급하기 위한 원단공급수단(100)과, 상기 원단공급수단(100)으로부터 공급받은 원단을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200)과, 상기 이송된 원단에 일정한 두께로 고무를 코팅하기 위한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와,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로 고무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 고무공급장치(400)와,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를 통과한 가공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500)와, 상기 건조장치(500)를 통과한 가공직물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더도포장치(600)와, 상기 파우더가 도포된 가공직물(20)을 권취하여 완성하기 위한 권취장치(700)으로 구성되는 고무코팅장치(1)에 있어서,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는;
자동 고무공급장치(400)로부터 고무 원액을 공급받는 호퍼(310)와, 상기 호퍼(310) 하부에 설치되어 고무원액을 직물 상단에 일정한 량으로 도포하기 위한 정량유지부와, 상기 정량유지부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330)로 구성된다.
상기 간격조절장치(330)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1기어(G1)와,
상기 제1 기어(G1)와 이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2 기어(G2)와,
상기 제2 기어(G2)의 축 일단에는 제1 수동핸들(331)이 설치되고, 타 측에는 베어링(B)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기어(G2)에는 제 3기어(G3)가 이맞물림되고, 상기 제 3기어(G3)의 일측에는 제2 수동핸들(332)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웜기어(W1)가 형성되고, 상기 웜기어(W)에는 제4기어(G4)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 2기어(G2)와 베어링(B) 사이에는 제 2웜기어(W2)가 설치되어 제5기어(G5))와 이맞물리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4 및 제5 기어(G4,G5)의 각각 축 일단에는 두께조절판(340)이 설치된다.
상기 두께조절판(340)은 상기 제4 및 제5 기어(G4,G5)의 각각 축 일단에 고정되어 승강되며 하부가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상판(341)과; 상기 상판(341)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고무원액이 투여되는 하판(342)과; 상기 상, 하판(341,342)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고무원액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판(343)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 고무공급장치(400)는;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의 입구 측면에 설치되며, 고무원액을 저장하기 위한 여러 개의 저장탱크(410)와;
상기 고무저장탱크(410) 내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420)를 가지는 원액 공급파이프(430)와,
상기 원액 공급파이프(430) 중간에는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에 설치된 호퍼(310)로 고무 원액을 이송하기 위한 펌프(440)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440)에 의해 저장탱크(410)가 비워짐에 따라 상기 원액 공급파이프(430)를 점차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직물원단의 양면으로 고무코팅 처리를 하기 위해 고무 원액을 직물원단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한 두께로 고무가 자동적으로 코팅 및 건조되도록 함으로서, 인력낭비와 시간단축에 따른 경비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직물원단 고무코팅된 직물원단의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직물원단의 고무코팅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중 간격조절장치만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조절판만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공급장치와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를 일부 절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1)는 기본적으로, 감긴 롤 원단(10)을 거치함과 동시에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 쪽으로 원단을 공급하기 위한 원단공급수단(100)과, 상기 원단공급수단(100)으로부터 공급받은 원단을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200)과, 상기 이송된 원단에 일정한 두께로 고무를 코팅하기 위한 고무코팅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와,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로 고무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 고무공급장치(400)와, 상기 고무코팅장치(300)를 통과한 가공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500)와, 상기 건조장치(500)를 통과한 가공직물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더도포장치(600)와, 상기 파우더가 도포된 가공직물(20)을 권취하여 완성하기 위한 권취장치(7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단공급수단(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프레임(110,120)에 의해 사각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프레임(110) 양측 상단에는 한 쌍의 구동모터(M)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세로프레임(120,120)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13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M)의 축에는 제1 스프로킷(140)이 설치되고, 이 제1 스프로킷(140)에는 체인(C)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스프로킷(150)이 대략 세로프레임(120)의 중간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스프로킷(150)에는 핸들(160)이 설치되어 구동모터(M)가 동작을 하지 않을 때, 수동으로 이송롤(1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세로프레임(120)과 세로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걸치게 하는 원단 지지롤(1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200)은,
상기 원단공급수단(100)으로부터 이송되는 원단의 구김 방지 및 원활한 이송을 위해 이송대(210) 양측에 각각 브러시장치(220)가 설치되고, 이 브러시장치(220)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230)가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장치(220)는 직물원단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이송대 (210)상에 설치되는 대략 "ㄷ"형상의 고정브래킷(221)과, 이 고정브래킷(221)의 하단에 힌지(P)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편(222)과, 상기 회전편(222)의 일단과 고정브래킷(22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편(222)을 상하로 움직이도록한 실린더장치(223)와, 상기 회전편(222)의 일단에 설치되며 작은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시(2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 고무공급장치(400)는;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 입구 측면에 설치되며, 고무원액을 저장하기 위한 여러 개의 저장탱크(410)가 설치된다.
상기 고무저장탱크(410) 내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420)를 가지는 원액 공급파이프(430)가 설치되며, 상기 원액 공급파이프(430)에는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4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펌프(440)에 의해 저장탱크(410)가 비워짐에 따라 상기 원액 공급파이프(430)가 점차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도록 승강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저장탱크(410) 주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4개의 승강 바(440)와 상기 승강 바(440)를 동작하기 위한 공압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는 직물원단의 양면에 대해 고무코팅처리를 하기 위해 직물원단 상에 고무액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410)로부터 불순물이 걸러진 깨끗한 고무원액이 공급되는 호퍼(310)와, 상기 호퍼(310) 하부에 설치되어 고무원액을 직물 상단에 일정한 량으로 도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정량유지부와, 상기 정량유지부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330)로 구성된다.
즉, 가로 및 세로프레임에 의해 사각 틀체로 구성되며, 이 사각 틀체 중앙 상단에는 호퍼(3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퍼(310)의 하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원액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311)가 설치된다.
상기 호퍼(310) 아래쪽에는 간격조절장치(330)가 설치되는 데, 이 간격조절장치(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1기어(G1)와, 상기 제1 기어(G1)와 이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2 기어(G2)와, 상기 제2 기어(G2)의 축 일단에는 제1 수동핸들(331)이 설치되고, 타 측에는 베어링(B)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기어(G2)에는 제 3기어(G3)가 이맞물림되고, 상기 제 3기어(G3)의 일측에는 제2 수동핸들(332)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웜기어(W1)가 형성되고, 상기 웜기어(W)에는 제4기어(G4)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 2기어(G2)와 베어링(B) 사이에는 제 2웜기어(W2)가 설치되어 제5기어(G5))와 이맞물리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4 및 제5 기어(G4,G5)의 각각 축 일단에는 두께조절판(340)이 설치된다.
상기 두께조절판(3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및 제5 기어(G4,G5)의 각각 축 일단에 고정되어 승강되며 하부가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상판(341)과, 상기 상판(341)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고무원액이 투여되는 하판(3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 하판(341,342)의 양측면에는 측판(343)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고무원액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상판(341)과 하판(3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대략 0~15°각도를 주어서 고무원액이 일정한 량을 배출하여 직물원단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함과 동시에, 원액이 공극(S)을 통하여 배출될 때, 상, 하판에서 정체되어 기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하판(342)은 고정되어 있고, 상판(341)은 제4 및 제5 기어(G4,G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여 일정한 공극(S)을 형성하여 고무원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4 및 제5 기어(G4.G5) 각각의 축(G)의 일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와 이맞물림되는 암나사가 상기 상판(341)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보(344)와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를 통과한 가공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함체(510)로 이루어지며, 이 각각의 함체(510) 내측 상, 하부에는 히터(511)가 설치되고, 이 각각의 함체 내 하부에는 송풍기(5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함체의 전면과 후면은 개구되어 직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이송수단(200)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230)가 통과 되게 설치된다.
상기 켄베이어벨트(230)에는 직물원단이 컨베이어벨트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핀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500)를 통과한 가공직물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더도포장치(600) 및 상기 파우더가 도포된 가공직물(20)을 권취하여 완성하기 위한 권취장치(700)는 일반적인 파우더도포장치 및 권취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1)는 작업자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온"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공급수단(100)에 의해 감긴 롤 원단(10)이 이송수단(200)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수단(200)의 이송대(210)에 설치된 브러시(224)가 하강과 동시에 회전되면서 직물원단을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 쪽으로 이송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로 이송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고무공급장치(400)가 동작하여 펌프(440)와 원액 공급파이프(430)에 의해 불순물이 걸러진 고무원액이 호퍼(310)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호퍼(310) 내의 고무 원액이 노즐을 통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떨어지게 되고, 이 고무원액은 두께조절판(340)에 의해 직물 상에 고무액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게 된다.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의 동작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인가받은 구동모터(M)가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M) 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1기어(G1)가 회전하게 되고, 이 제1 기어(G1)와 이맞물림되는 제2 기어(G2)와 제3 기어(G3)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력은 상기 제 2 기어(G2)와 제 3기어(G3) 측면에 설치되어 이맞물림되는 제 4 및 제5 기어(G4,G5)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 4 및 제5 기어(G5,G6)의 축에 가각 설치되는 웜기어(W1,W2)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웜기어(W1,W2)의 회전력은 각각의 축(G,G)에 설치되는 두께조절판(340)으로 전달되어 상기 두께 조절판(340) 중 상판(341)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어 미리 제어부에 세팅된 값만큼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고무 원액은 두께조절판(340)의 공극(S)을 통하여 일정한 량으로 직물지 위로 도포하게 된다.
이때, 고무원액이 공극(S)을 통과 시 압력에 의해 직물지의 양면에 코팅이 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M)가 이상이 생기게 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에어 컴프레이서가 동작을 하게 되고, 그러면 에어가 상기 구동모터(M)를 지지하고 있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구동모터(M)를 하강시켜, 제 2 기어(G2)와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기어(G2) 또는 제 3 기어(G3)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수동핸들(331,332)을 회전시켜 두께를 조절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300)를 통하여 고무코팅이 된 직물(이하 가공직물이라 칭함)은 건조장치(500)를 통과함으로써, 건조되고, 상기 건조장치(500)를 통과한 가공직물은 파우더도포장치(600)를 통과함에 따라 고무의 성질상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우더가 도포된 가공직물(20)은 권취장치(700)에 의해 권취되어 완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 10 : 직물원단
20 : 가공직물 100 : 원단공급수단
200 : 이송수단 210 :이송대
220 : 브러시장치 221 : 고정브래킷
222 : 회전편 223 : 실린더장치
224 : 브러시 230 : 컨베이어 벨트
300 :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 400 : 자동 고무공급장치
410 : 저장탱크 420 : 필터
430 : 원액 공급파이프 440 : 펌프
500 : 건조장치 600 : 파우더도포장치
700 : 권취장치 G1~G5 : 기어
W1,W2 : 워엄기어 M : 구동모터

Claims (5)

  1. 감긴 롤 원단을 거치함과 동시에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 쪽으로 원단을 공급하기 위한 원단공급수단과, 상기 원단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받은 원단을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된 원단에 일정한 두께로 고무를 코팅하기 위한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와,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로 고무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 고무공급장치와,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를 통과한 가공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와, 상기 건조장치를 통과한 가공직물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더도포장치와, 상기 파우더가 도포된 가공직물을 권취하여 완성하기 위한 권취장치로 구성되는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는
    자동 고무공급장치로부터 고무 원액을 공급받는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설치되어 고무원액을 직물 상단에 일정한 량으로 도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정량유지부와, 상기 정량유지부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이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축 일단에는 제1 수동핸들(331)이 설치되고, 타 측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기어에는 제3기어가 이맞물림되고, 상기 제3기어의 일측에는 제2 수동핸들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웜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웜기어에는 제4기어가 이맞물림되며, 상기 제 2기어와 베어링(B) 사이에는 제 2웜기어가 설치되어 제5기어와 이맞물리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4 및 제5 기어의 각각 축 일단에는 두께조절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조절판은 상기 제4 및 제5 기어의 각각 축 일단에 고정되어 승강되며 하부가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상판보다 후단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고무원액이 투여되는 하판과; 상기 상, 하판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고무원액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판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를 통해 떨어지는 낙차와 상판과 하판의 공극을 통과하동안 고무원액이 직물원단 상, 하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고무공급장치는;
    상기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 입구 측면에 설치되며, 고무원액을 저장하기 위한 여러 개의 저장탱크와;
    상기 고무저장탱크 내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를 가지는 원액 공급파이프와,
    상기 원액 공급파이프 중간에는 고무코팅두께조절장치에 설치된 호퍼로 고무 원액을 이송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에 의해 저장탱크가 비워짐에 따라 상기 원액 공급파이프를 점차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KR1020120084388A 2012-08-01 2012-08-01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KR10125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88A KR101251252B1 (ko) 2012-08-01 2012-08-01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88A KR101251252B1 (ko) 2012-08-01 2012-08-01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252B1 true KR101251252B1 (ko) 2013-04-10

Family

ID=4844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88A KR101251252B1 (ko) 2012-08-01 2012-08-01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677A (en) 1972-06-12 1977-06-28 Ashimor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forming a coating of a rubber or a synthetic resin having an even thickness on the external surface of a tubular textile jacket
JPH05193021A (ja) * 1992-01-22 1993-08-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ゴム材料のダブルコーティングシートの成形方法及びカレンダ装置
KR940021793A (ko) * 1993-03-11 1994-10-19 김재기 직물원단의 고무코팅 방법 및 그 장치
KR950003843B1 (ko) * 1993-03-11 1995-04-20 김재기 직물원단 고무코팅시스템에서 고무코팅된 직물원단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2677A (en) 1972-06-12 1977-06-28 Ashimor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forming a coating of a rubber or a synthetic resin having an even thickness on the external surface of a tubular textile jacket
JPH05193021A (ja) * 1992-01-22 1993-08-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ゴム材料のダブルコーティングシートの成形方法及びカレンダ装置
KR940021793A (ko) * 1993-03-11 1994-10-19 김재기 직물원단의 고무코팅 방법 및 그 장치
KR950003843B1 (ko) * 1993-03-11 1995-04-20 김재기 직물원단 고무코팅시스템에서 고무코팅된 직물원단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50515B (zh) 一种医用无纺布制备装置
CN104711807B (zh) 一种纺织设备上的布料整平装置
CN108265428A (zh) 一种纺织布料的上浆装置
CN106004024A (zh) 一种纺织用织布印花压平装置
KR101251259B1 (ko)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
CN111114130A (zh) 一种扫描式纺织数码印花设备
KR101007517B1 (ko) 헤어라인 자동가공장치
KR101833456B1 (ko) 프로파일 세척장치
KR100927107B1 (ko) 원단 권취장치
US20160059258A1 (en) Device for coating and/or impregnating a textile material
KR101251252B1 (ko) 자동 고무공급장치가 설치된 직물원단 고무코팅장치
KR101109689B1 (ko) 펄프성형장치
KR101900486B1 (ko) 양면 코팅형 합지장치
CN116971121A (zh) 一种纺织布浸透漂染装置
CN111121405A (zh) 一种用于石英石板材烘干的蒸掩室
KR20150012111A (ko) 금속 헤어라인 형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헤어라인 형성방법
CN106004023A (zh) 一种去毛除尘的纺织用织布印花装置
KR101181500B1 (ko) 동직포 코팅시스템
CN207605933U (zh) 一种冷光片介电层的涂布装置
KR200447378Y1 (ko) 필름코팅장치
KR101454272B1 (ko) 세정 장치
JP7162264B2 (ja) 版胴洗浄装置
US1540417A (en) Glaze machine
CN209190527U (zh) 一种具有除尘装置的砂光机
CN108607708B (zh) 一种百粘布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