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711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711B1
KR101250711B1 KR1020110107025A KR20110107025A KR101250711B1 KR 101250711 B1 KR101250711 B1 KR 101250711B1 KR 1020110107025 A KR1020110107025 A KR 1020110107025A KR 20110107025 A KR20110107025 A KR 20110107025A KR 101250711 B1 KR101250711 B1 KR 10125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d
lamp
moistu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범
이진규
김철숙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60Heating of lighting devices, e.g. for demi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빛을 발생하는 램프;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차량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렌즈; 상기 램프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램프가 오프(OFF)되면 수분을 공급하고, 공급된 수분이 증발하여 자체 온도를 하강시켜 표면에 습기를 형성하는 응축부; 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의 렌즈 안쪽면에 습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N AUTOMOTIVE LAPM}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램프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는 전조등이라고 하여 차량의 전방, 좌우 양측으로 장착되어 야간에 어두운 도로를 주행하거나 우천시에 차량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차량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차량용 램프를 작동하게 되면 벌브의 발열로 인하여 그 주위의 내부 공기가 가열되고 온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차량 주행이 완료되면 램프 작동도 정지되면서 램프 주변의 온도도 하강하게 된다.
이때, 차량용 램프 내부의 공기는 램프에 남아 있는 잔열로 소정 시간은 고온으로 유지하지만, 렌즈 표면은 외부의 찬 공기가 직접적으로 닿아 램프의 온도 변화보다 빠른 속도로 그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그 결과, 렌즈 안쪽면과 바깥면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렌즈 안쪽면에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하우징 바닥면에 구비된 응축부에 공급된 수분이 증발하여 자체 온도가 하강되면 표면에 습기가 생성되어 렌즈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정지하면 응축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공급된 수분에 의해 자체 온도가 하강되는 응축부 표면에 생성된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냉각 원리를 이용하여 렌즈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발생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차량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렌즈와, 상기 램프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램프가 오프(OFF)되면 수분을 공급하고, 공급된 수분이 증발하여 자체 온도를 하강시켜 표면에 습기를 형성하는 응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응축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며, 수분이 공급되는 워터패드와, 상기 워터패드 하층에 위치하며 상기 워터패드에 형성된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패드와, 상기 워터패드를 수용하는 제1 수용층과, 상기 제습패드를 수용하는 제2 수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층의 저면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워터패드의 부피증가 대비를 위해 상기 제1 수용층과 제2 수용층 사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때 상기 응축부는 상기 램프의 오프를 판단하는 전원감지센서와, 상기 전원감지센서에서 상기 램프의 오프를 판단하면 상기 워터패드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및 상기 수분공급부에서 상기 워터패드로의 수분 공급을 차단하는 수분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습패드는 염화리튬, 부롬화리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워터패드를 제공하여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면 워터패드에 수분을 공급하고 공급된 수분이 워터패드 하층에 구비된 제습패드에 의하여 증발하여 워터패드에 잠열이 발생하고, 발생된 잠열에 의하여 워터패드의 온도가 낮아지고 표면에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워터패드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차량용 램프의 렌즈에는 수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램프의 응축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응축부가 작동한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램프의 응축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응축부가 작동한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는 램프(120), 렌즈(140), 하우징(160) 및 응축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60) 내에는 램프(120)가 구비되고, 전방의 렌즈(1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램프(120)에서 발생된 빛은 렌즈(140)를 통해 차량 전방으로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응축부(180)는 하우징(160)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이 운행을 정지하면 램프(120)가 오프(OFF)되고, 상기 응축부(180)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응축부(180)에 공급된 수분은 증발되고 수분이 증발되면서 응축부(180)의 자체 온도를 하강시켜 응축부(180) 표면에 습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응축부(18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응축부(180)는 하우징(160) 내측에 위치하며, 수분이 공급되는 워터패드(183) 및 워터패드(183) 하층에 위치하며 워터패드(183)에 형성된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패드(187)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부(180)는 흡습 냉각 원리에 의하여 냉각되는데, 흡습 냉각은 워터패드(183)에 수분을 공급시키고 워터패드(183) 하층에 구비된 제습패드(187)에서 워터패드(183)의 수분을 증발시켜 워터패드(183)에 증발 잠열이 발생하도록 하여 응축부(180)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원리이다. 상기 기술적 원리를 통해 응축부(180)의 온도가 하강되며 응축부(180)의 워터패드(183) 표면에는 습기가 형성되어 워터패드(183)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렌즈(140)에는 수분이 응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습패드(187)는 염화리튬, 부롬화리튬 등의 흡습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습패드(187)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응축부(180)는 워터패드(183)를 수용하는 제1 수용층(182)과 제습패드(187)를 수용하는 제2 수용층(188)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층(182)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수용층(182)에 수용된 워터패드(183)에는 수분이 공급되기 때문에 수분이 흐르지 않도록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해 제2 수용층(188)은 저면이 하우징(16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수용층(188)에 수용된 제습패드(187)를 탈습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2 수용층(188) 저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습패드(187)에 흡수된 수분이 하우징(160) 하부로 탈습되어 탈습된 수분을 수용하는 별도의 부재나, 별도의 탈습 과정을 요구하지 않고도 제습패드(187)를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층(182)과 제2 수용층(188)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층(182)과 제2 수용층(188) 사이에 이격된 간격은 워터패드(183)에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워터패드(183)의 부피가 증가하여 부피가 증가한 워터패드(183)가 채워지거나 공급되는 수분이 채워지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간격은 워터패드(183)의 수분이 제습패드(187)로 이동하는 이동로가 되어 워터패드(183)에서 제습패드(187)로 수분이 이동하는 별도의 이동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응축부(180)는 워터패드(183)로 수분 공급이 용이하기 위하여 전원감지센서(184), 수분공급부(185) 및 수분차단부(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감지센서(184)에 의하여 워터패드(183)에 수분이 공급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원감지센서(184)에서 램프(120)가 오프되었다고 판단하면 워터패드(183)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시점에 워터패드(183)에 수분을 공급하여 렌즈(140)에 습기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수분공급부(185)는 전원감지센서(184)에서 램프(120)의 오프를 판단하면 워터패드(183)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185)는 수분이 이동할 수 있는 파이프(pipe), 펌프,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패드(183)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응축부(180) 주변에 수분이 채워진 냉각수수용기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워터패드(183)로의 수분 공급을 중단해야 한다. 워터패드(183)로 수분이 계속해서 수분이 공급되면, 차량용 램프(100) 내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이로 인해 렌즈(140)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이가 발생하여 렌즈(140) 안쪽면에 수분이 응결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수분차단부(186)를 구비하여 소정 시간이 지나면 워터패드(183)로의 수분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수분차단부(186)는 타이머, 센서 등과 같은 장치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워터패드(183)로의 수분 차단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응축부(180)의 워터패드(183)의 온도가 렌즈(140) 안쪽면의 온도보다 낮음으로써, 렌즈(140) 안쪽면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램프 120: 램프
140: 램프 160: 하우징
180: 응축부 183: 워터패드
187: 제습패드

Claims (5)

  1. 빛을 발생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차량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렌즈와, 상기 램프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램프가 오프(OFF)되면 수분을 공급하고, 공급된 수분이 증발하여 자체 온도를 하강시켜 표면에 습기를 형성하는 응축부가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며, 수분이 공급되는 워터패드;
    상기 워터패드 하층에 위치하며 상기 워터패드에 형성된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패드;
    상기 워터패드를 수용하는 제1 수용층;
    상기 제습패드를 수용하는 제2 수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층의 저면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워터패드의 부피증가 대비를 위해 상기 제1 수용층과 제2 수용층 사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램프의 오프를 판단하는 전원감지센서;
    상기 전원감지센서에서 상기 램프의 오프를 판단하면 상기 워터패드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및
    상기 수분공급부에서 상기 워터패드로의 수분 공급을 차단하는 수분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패드는 염화리튬, 부롬화리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차량용 램프.
KR1020110107025A 2011-10-19 2011-10-19 차량용 램프 KR10125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025A KR101250711B1 (ko) 2011-10-19 2011-10-1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025A KR101250711B1 (ko) 2011-10-19 2011-10-1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711B1 true KR101250711B1 (ko) 2013-04-03

Family

ID=4844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025A KR101250711B1 (ko) 2011-10-19 2011-10-1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9788B2 (en) 2015-09-10 2018-03-06 Hyundai Motor Company Dehumidifier for a vehicle la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654A (ja) * 2005-01-10 2008-07-24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照明アセンブリ内部における凝縮を最少化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換気システム
JP2009021245A (ja) * 2007-07-13 2009-01-29 Valeo Vision 自動車用前照灯システムの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前照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654A (ja) * 2005-01-10 2008-07-24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照明アセンブリ内部における凝縮を最少化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換気システム
JP2009021245A (ja) * 2007-07-13 2009-01-29 Valeo Vision 自動車用前照灯システムの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前照灯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9788B2 (en) 2015-09-10 2018-03-06 Hyundai Motor Company Dehumidifier for a vehicle 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359B1 (ko) 습기제거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헤드램프
JP4270153B2 (ja) 車両用灯具
US10627073B2 (en) Vehicle headlamp de-condensation
JP2009021245A (ja) 自動車用前照灯システムの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前照灯システム
WO2017104603A1 (ja) 通気調湿ユニットおよび機器
CA2593800C (en) Improved venting system for minimizing condensation in a lighting assembly
KR20130031114A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습기발생 방지 장치
US20110242499A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AR053609A1 (es) Sistema hibrido de compresion -absorsion de vapor
CN105814359B (zh) 车辆用灯具
CN103574562B (zh) 车辆前照灯的阻止水汽生成的结构
CN108916818A (zh) 防起雾装置、车灯、汽车及防起雾控制方法
KR101786198B1 (ko) 차량용 램프의 제습장치
CN106838762A (zh) 一种汽车前照灯
KR101250711B1 (ko) 차량용 램프
JP6751398B2 (ja) 水加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灯具
KR20120043556A (ko) 헤드램프용 습기제거 장치
KR20120018995A (ko) 헤드램프용 흡습제 장착 구조
KR101072715B1 (ko) 램프용 습기제거장치
KR20120050268A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제습 방법
KR100391316B1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전조등의 냉각 및 제습장치
CN111197731A (zh) 一种用于防止车辆前大灯产生雾气的系统和方法
JP5443333B2 (ja) 吸着ヒートポンプ
TWM546927U (zh) 車燈燈室之通電排濕吸濕裝置
KR20160050278A (ko) 차량용 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