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580B1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580B1
KR101250580B1 KR1020060138883A KR20060138883A KR101250580B1 KR 101250580 B1 KR101250580 B1 KR 101250580B1 KR 1020060138883 A KR1020060138883 A KR 1020060138883A KR 20060138883 A KR20060138883 A KR 20060138883A KR 101250580 B1 KR101250580 B1 KR 10125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oven
mounting member
cavit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2780A (ko
Inventor
권정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58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6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electric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후면의 일부가 개구되면서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도록 벤딩되는 컨트롤 패널이 장착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은, 가열체; 상기 가열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장착되는 컨트롤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후면과 양 측면이 개방되는 판형 부재이며, 상기 장착부재에 의해 양 측면 외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다수 제공되면서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장착부재는 간격을 가지도록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은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오븐, 컨트롤 패널, 전면부재, 상부부재, 하부부재, 장착부재

Description

오븐 {ove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을 나타낸 후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전면플레이트
120. 상면플레이트 130. 측면플레이트
140. 오븐도어 142. 투시창
144. 도어핸들 150. 조작부
160. 흡입구 200. 캐비티
300. 컨트롤 패널 310. 전면부재
320. 상부부재 330. 하부부재
340. 장착부재 350. 조작부홀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후면의 일부가 개구되면서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도록 벤딩되는 컨트롤 패널이 장착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수납하여 음식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이 수납되는 공간의 공기가 데워지게 되고, 데워진 공기가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오븐은 제공되는 열원에 따라 전기오븐과 가스오븐으로 구분된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공간의 공기를 데우기 위한 원료에 따라 전기오븐과 가스오븐으로 구분되고, 전기오븐은,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고, 가스오븐은,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가스가 타면서 발생하게 되는 불꽃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최근에는 안정적이며, 음식물이 요리되는 시간이 빠르고, 음식물의 안과 밖이 골고루 익는 전기오븐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오븐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인 캐비티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수납한 다음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로써 가열하여 데워진 공기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음식물의 종류와 양에 딸 음식물의 요리에 적당한 온도로 캐비티의 내부를 가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한 다음 음식물을 요리하 기 위한 캐비티의 내부 온도와 히터의 가열 시간을 임의로 선택하게 되고, 캐비티의 내부 온도는 캐비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등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아 일정 온도가 되면, 히터를 오프(off)하고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다시 히터를 온(on)시켜, 캐비티 내부의 온도를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적정한 톤도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상기 캐비티의 내부 온도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면서, 가열되는 공기가 캐비티의 내부에서 대류하여 캐비티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하게 되고, 골고루 가열되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익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오븐의 전면에 다양한 형상으로 장착되는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오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부는 버튼 또는 노브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조작부의 전면에는 조작부를 전면을 형성하면서 오븐의 외형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컨트롤 패널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에는 다양한 형태로 장착되는 조작부를 보호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 오븐의 전면에 장착되어 오븐의 외형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오븐의 외형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컨트롤 패널은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되며, 이러한 압출 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컨트롤 패널은 두께가 두꺼워지며, 내부 공간이 채워지는 형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부품이 무거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부품이 무거워짐 에 따라 제품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제품의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면서 제품의 운반에 따른 운반 비용 등이 증가하게 되어 제품의 가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됨으로써 컨트롤 패널에 장착되는 조작부가 관통되는 다수의 홀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수작업으로 인한 생산성의 감소 및 제품의 질적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해 가공되는 컨트롤 패널은 각각의 컨트롤 패널이 서로 다른 치수 및 형태를 나타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각각의 컨트롤 패널에는 각각 다른 편차를 나타내게 됨으로써 각각의 제품에 동일한 부품이 채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동일한 제품에 서로 다른 편차를 가지는 상기 컨트롤 패널이 장착되면, 제품의 서비스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는 컨트롤 패널의 편차에 의해 동일한 제품 간에도 장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컨트롤 패널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오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안은, 조작부가 장착되는 다수의 홀이 기계적인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는 오븐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은, 가열체; 상기 가열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장착되는 컨트롤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후면과 양 측면이 개방되는 판형 부재이며, 상기 장착부재에 의해 양 측면 외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다수 제공되면서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장착부재는 간격을 가지도록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다른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다수의 부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벤딩되는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컨트롤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컨트롤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은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의 구체적인 실시예 를 전기오븐을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오븐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0)에 의해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10)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120),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130) 및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는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 하반부에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200)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200)는 본체(100)를 형성하는 각각의 플레이트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캐비티(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시트(sheet)가 서로 체결되면서 형성되거나, 각각의 시트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과 상기 본체(100)의 내면 사이는 일정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게 되고, 그러한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가열체(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며, 캐비티(200)의 열기가 본체(100)를 형성하는 각각의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 등이 구비된다.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되는 다수의 가열체는 캐비티(20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시트의 하측과,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시트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체의 위치는 캐비티(200)의 상측과 하측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양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며, 오븐의 사양에 따라 캐비티(200)의 어느 일측에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체에서 발산하게 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은 고온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가열체에서 발산하게 되는 열에 의해 캐비티(200)를 형성하게 되는 각각의 시트가 가열되고, 이러한 시트의 가열에 의해 시트에서 전달되는 전도열이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어 캐비티(200)의 내부 공기가 가열되며, 가열체에서 발산하게 되는 열기가 캐비티(200)를 형성하는 각각의 시트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해 캐비티(200)의 내부 공기가 가열된다.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은 상기 가열체에서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각각의 시트에서 전달되는 전도열과, 각각의 시트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복사열에 의해 요리된다. 이처럼, 전도열과 복사열에 의해 요리되는 음식물은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골고루 익게 되며, 빠르게 익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상기 캐비티(20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140)가 장착되며, 상기 오븐도어(140)는 후면 하단부가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 하단부에 힌지로 체결되어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오븐도어(1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븐도어(14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에서 요리되는 음식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142)이 구비된다.
상기 투시창(142)은 일반적으로 고온의 열에 잘 견디는 열 강화유리로 형성되며, 이러한 열 강화유리는 내면에 열기를 반사시키게 되는 열 반사 물질이 코팅되거나, 열 반사 도료가 도포되기도 한다. 상세하게는, 열 강화유리의 내면 즉,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를 향하게 되는 면에 캐비티(20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달되는 열기를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으로 반사하게 되는 열 반사 필름이 코팅되거나, 열 반사 물질이 도포된다.
이처럼, 상기 투시창(142)을 통해 사용자는 외부에서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오븐의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도어(140)의 전면 상부, 상세하게는 상기 투시창(142)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14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는 도어핸들(144)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핸들(144)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도어핸들(144)은 다양한 향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어핸들(144)이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오븐도어(140)를 회동시켜 상기 캐비티(200)의 전면을 개구하기 용이한 형상이면 그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0)는 상기 캐비 티(200)의 개구된 전면만큼 절제되어 사용자가 상기 오븐도어(140)를 회동시키게 되면, 절제된 전면플레이트(110)를 통과하여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144)을 파지하여 상기 오븐도어(14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오븐의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로 음식물을 인출/입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전장실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장실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되는 상기 가열체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고, 캐비티(200)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이 장착된다.
상기 냉각팬은 회전 운동함으로써 외부 공간의 찬 공기를 오븐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여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과, 상기 본체(100)의 내면 사이 공간으로 유동시켜 주게 된다. 이처럼, 본체(100)의 내면과 캐비티(200)의 외면 사이 공간을 유동하게 되는 외부의 찬 공기가 공기층을 형성하게 되어 캐비티(200)의 내부 열기가 본체(100)를 형성하는 각각의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냉각팬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오븐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면과 상기 캐비티(200)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의한 공기층이 단열층을 형성하게 되어,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전장부의 전방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상기 오 븐도어(14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오븐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가열체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50)가 장착되는 컨트롤패널(300)이 체결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하단부와 상기 오븐도어(140)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냉각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흡입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60)는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가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도록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60)는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입구(160)가 다수 형성되기도 하며, 하나의 흡입구(160)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구(160)는 외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게 된다.
즉,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 또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원형 홀로 이루어는 것도 가능하며, 다수의 사각 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160)에는 외부의 공기와 동시에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 들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단 이러한 필터는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컨트롤 패널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을 나타낸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서 보면,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부와 하부는 다수 벤딩되도록 형성되며, 후면은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개구되는 형상의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븐의 전면 상반부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전면부재(310)와 상기 전면부재(3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부재(320) 그리고, 전면부재(3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부재(330)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전면부재(310)에는 다수의 조작부(150)가 장착되기 위한 조작부홀(350)이 전면부재(31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상부부재(320)는 상기 전면부재(310)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고 일정 지점에 이르러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중앙부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우 측방에서 볼 때 대략 거꾸로 된 브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하단부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하부부재(330)는 상기 전면부재(310)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 성되고, 일정 지점에 이르러 후방으로 갈수록 상항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중앙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우 측방에서 볼 때 대략 브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상하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재(320)의 후단부와 상기 하부부재(330)의 후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컨트롤 패널(300)의 후면은 상부부재(320)의 후단부와 하부부재(330)의 후단부를 제외한 다른 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부재(310)와 상부부재(320) 및 하부부재(330)는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부재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3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나, 상부부재(320)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곡선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부부재(330)는 중앙부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곡선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상부부재(320)를 우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하부부재(330)를 우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형성하게 되는 내부 공간에는 컨트롤 패널(300)을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34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재(3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외면 다시 말해, 전면과 상면 및 하 면의 형상의 컨트롤 패널(300)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재(340)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도 2에서 볼 때,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좌측 단부에 위치하게 되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좌측 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장착부재(340)와 대응되는 부재는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우측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중앙부 내부 공간에는 컨트롤 패널(300)의 좌우 측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장착부재(340)보다 다소 작은 크기의 장착부재(34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장착부재(340)는 상기 전면부재(3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조작부홀(350)의 사이 간격에 위치하여야 함에 따라 컨트롤 패널(300)의 중앙부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장착부재(340)는 좌우 측 단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재(34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의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부재(310)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조작부홀(350)에는 각각 상기 조작부(150)가 관통되면서 체결된다. 이러한 조작부(150)는 다수의 조작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오븐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노브(knob)의 형태로 장착되거나, 사용자가 누름 동작으로 오븐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튼의 형태로 장착되기도 한다. 그리고, 어느 일 부분에 대한 스위치의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150)가 노브와 버튼의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그 어떠한 형태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체결되는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컨트롤 패널(300)의 체결 상태는 먼저, 컨트롤 패널(300)의 후방 공간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장착부재(340)를 컨트롤 패널(300)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서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재(340)는 외면의 형상이 컨트롤 패널(300)의 내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에 일 측방(우측 또는 좌측)에서 컨트롤 패널(300)의 내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중앙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장착되기 위한 상기 장착부재(340)는 컨트롤 패널(300)의 상기 전면부재(310)의 후면과 상기 상부부재(320)의 하면 및 상기 하부부재(330)의 상면에 접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면,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장착부재(340)는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좌측방과 우측방에서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좌측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장착부재(340)의 좌측면은 컨트롤 패널(300)의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고,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 우측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장착부재(340)의 우측면은 컨트롤 패널(300)의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부재(340)가 세 개의 부재로 구성되나, 장착부재(340)가 하나의 긴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세 개가 아닌 그 이상의 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장착부재(340)가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장착부재(340)의 후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3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즉,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부재(320)는 후단부가 하방으로 벤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33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벤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340)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장착부재(340)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부재(340)의 후면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부부재(320)의 벤딩된 부분과 하부부재(330)의 벤딩된 부분에 스크류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30)의 벤딩 면에 상기 장착부재(340)가 체결되면서 고정됨에 따라 상부부재(320)와 하부부재(330) 및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장착부재(3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장착부재(340)들이 장착되면,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면서 장착된다.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 상단부에 컨트롤 패널(300)이 장착된 다음 상기 조작부(150)가 컨트롤 패널(3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조작부홀(350)에 삽입되면서, 컨트롤 패널(300)에 장착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컨트롤 패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전면 상단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상단부가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패널(300)의 위치보다 상측에서 오븐을 조작하게 될 때 사용자가 오븐을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서 본체(100)를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5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몸을 낮추거나 본체(10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몸을 낮추어 본체(100)를 조작하게 된다.
이는 상기 본체(10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설치하게 되면, 주방 공간에 설치되는 다른 주방 가구와 어울리지 못하게 되어 주방 공간이 조화롭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일정 정도의 기울기를 가지게 되면, 그 상단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상기 컨트롤 패널(300)도 동일한 기울 기를 가지게 된다. 컨트롤 패널(300)의 후면이 전면플레이트(110)의 상단부 전면에 접하게 되면, 컨트롤 패널(300)은 전면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체결부재가 전면플레이트(11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재(340)에 체결된다.
상기 장착부재(340)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공에 상기 전면플레이트(110)를 관통하게 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면서, 상기 컨트롤 패널(300)은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된다.
이처럼, 상기 컨트롤 패널(300)에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재(340)가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컨트롤 패널(3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장착부재(340)에 상기 전면플레이트(11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면, 컨트롤 패널(300)은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300)이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되면, 컨트롤 패널(300)은 상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일정 정도 사용자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장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븐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먼저 상기 오븐도어(140)를 회동시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이 수납시킨 다음 상기 조작부(150)에 형성되는 조작노브(152)를 조작하여 오븐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오븐을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캐비티(200)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각각의 가열체들이 동작하여 열을 발산시키게 된다. 열을 발 산시키는 가열체에 의해 캐비티(200) 내부 공간이 데워지면서 음식물이 요리된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일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실시예에 의하면, 오븐의 컨트롤 패널은 일정 각도를 가지면서 전면이 상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장착되며, 컨트롤 패널의 내부가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에 장착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컨트롤 패널은 두께가 얇아지고 내부가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무게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부품 및 제품의 무게가 감소됨에 따라 제품 전체의 무게가 줄어들게 되어 운반성과 설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의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컨트롤 패널에 형성되는 조작부홀이 기계적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조작부홀을 기계적인 작업으로 가공하게 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각각의 컨트롤 패널에 대한 편차가 줄어들게 되어 각 제품에 동일한 컨트롤 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율이 감소하게 되는 이점도 있으며,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5)

  1. 가열체;
    상기 가열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장착되는 컨트롤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후면과 양 측면이 개방되는 판형 부재이며, 상기 장착부재에 의해 양 측면 외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다수 제공되면서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장착부재는 간격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오븐.
  2. 삭제
  3. 삭제
  4.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다수의 부품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벤딩되는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컨트롤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컨트롤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븐.
  5. 삭제
KR1020060138883A 2006-12-29 2006-12-29 오븐 KR10125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883A KR101250580B1 (ko) 2006-12-29 2006-12-29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883A KR101250580B1 (ko) 2006-12-29 2006-12-29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780A KR20080062780A (ko) 2008-07-03
KR101250580B1 true KR101250580B1 (ko) 2013-04-03

Family

ID=3981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883A KR101250580B1 (ko) 2006-12-29 2006-12-29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5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094Y1 (ko) * 1991-07-11 1995-07-29 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 그릴레인지의 콘트롤 패널 조립구조
JP2004286271A (ja) 2003-03-20 2004-10-14 Paloma Ind Ltd ビルトイン式コンロ
KR20060063146A (ko) * 2004-12-07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인쇄회로기판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094Y1 (ko) * 1991-07-11 1995-07-29 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 그릴레인지의 콘트롤 패널 조립구조
JP2004286271A (ja) 2003-03-20 2004-10-14 Paloma Ind Ltd ビルトイン式コンロ
KR20060063146A (ko) * 2004-12-07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인쇄회로기판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780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7756B1 (en) Oven
US10190783B2 (en) Convection cooking appliance with circular air flow system
KR10064144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US8820311B2 (en) Oven range
KR20080062783A (ko) 오븐
KR101250580B1 (ko) 오븐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US20220099305A1 (en) Cooking appliance
KR100487316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공냉 시스템
KR101656571B1 (ko) 조리기기
KR20110015784A (ko) 조리기기
JP2017142015A (ja) 加熱調理器
JP2903438B2 (ja) 加熱調理器
KR100826713B1 (ko) 가스오븐레인지
EP4317804A1 (en) Cooking appliance
KR100589768B1 (ko) 발열체가 내장된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
EP4317796A2 (en) Cooking appliance
EP4317806A1 (en) Cooking appliance
EP4317797A1 (en) Cooking appliance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60036997A (ko) 전기오븐레인지
JP4313250B2 (ja) 加熱調理器
KR101130350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0700758B1 (ko) 전기오븐의 사이드트림 결합구조
KR100678667B1 (ko)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