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495B1 -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495B1
KR101249495B1 KR1020100069740A KR20100069740A KR101249495B1 KR 101249495 B1 KR101249495 B1 KR 101249495B1 KR 1020100069740 A KR1020100069740 A KR 1020100069740A KR 20100069740 A KR20100069740 A KR 20100069740A KR 101249495 B1 KR101249495 B1 KR 101249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display panel
receiving groove
elastic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592A (ko
Inventor
정형복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4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널부의 테두리측으로 개방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수용하는 수용홈부, 이 수용홈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 및 이 캡이 수용홈부를 덮으면서 자연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의 전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에 삽입 후 캡으로써 막아 조립 완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에 볼트로 볼팅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DISPLAY PANEL UNIT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에 삽입 후 캡으로써 막아 조립 완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에 볼트로 볼팅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나 김치저장고의 컨트롤 패널은 통상적으로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PCB에 전달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모드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컨트롤 패널은 전면을 이루는 컨트롤 패널 커버와 각종 조작버튼이 마련된 터치패널과 이 터치패널 중에서 조작버튼만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가려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컨트롤 패널 윈도우와 터치패널의 부품보호를 위해 터치패널의 후면을 덮어주는 터치패널 커버로 구성되었다.
이때, 터치패널을 컨트롤 패널 윈도우의 후면에 양면접착 테이프로 고정, 부착하였다. 또한, 터치패널의 부품 보호를 위하여 터치패널 커버로 터치패널을 덮은 다음 스크류를 통해 최종적으로 결합하였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컨트롤 패널은 전면패널에 삽입되어 컨트롤 패널 윈도우에 접착되고, 전면패널에 볼팅되는 터치패널 커버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저감되고,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에 삽입 후 캡으로써 막아 조립 완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에 볼트로 볼팅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캡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 전측으로 탄성적으로 밀도록 형성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이 패널부의 전측에 밀착되는 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는: 패널부의 테두리측으로 개방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수용하는 수용홈부,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이 상기 수용홈부를 덮으면서 자연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상기 패널부의 전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패널부의 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전측에 대응되는 전측패널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측패널은 상기 패널부의 테두리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캡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부는 상기 전측패널을 슬라이드 삽입하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전측패널의 상기 패널부 전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은, 상기 수용홈부를 덮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전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부의 전측 가장자리를 이루는 상기 패널부의 외측에 접하는 전측리브,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후측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상기 패널부를 끼우는 끼움홈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설정간격만큼 상기 전측리브와 유격되는 격벽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슬리브,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상기 패널부의 전측으로 밀기 위해 상기 탄성슬리브에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상기 캡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탄성푸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에 위치설정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은 상기 위치설정돌기를 수용하여 정위치 조립되도록 위치설정홈을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은 하측으로 탄성지지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에 지지리브를 돌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에 탄성서포트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은 상기 수용홈부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양측에 사이드탄성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사이드탄성부재의 삽입깊이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부의 내부 양측에 스토퍼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에 삽입 후 캡으로써 막아 조립 완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에 볼트로 볼팅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캡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패널부 전측으로 탄성적으로 밀도록 형성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이 패널부의 전측에 밀착되는 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를 구비한 패널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유닛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유닛 확대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캡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캡 확대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내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를 구비한 패널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유닛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유닛 확대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캡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캡 확대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내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는 수용홈부(100)와 캡(200) 및 밀착부(450)를 포함한다.
수용홈부(100)는 패널부(10)의 테두리측으로 개방되도록 함몰 형성된다.
그래서, 수용홈부(100)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누르게 되면,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누르는 위치에 해당되는 메뉴에 대한 실행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전측(前側)에 액정디스플레이패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패널부(10)의 전측으로 노출될 수도 있고, 패널부(10)의 전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직접적으로 누를 수도 있고, 패널부(10)의 전측을 통해 간접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누를 수도 있다. 물론, 수용홈부(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수용홈부(100)를 형성하는 패널부(10)는 냉장고나 김치저장고 등의 전면패널 등으로 한다.
그리고, 수용홈부(100)는 패널부(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데,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널부(10)의 상측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테두리'는 패널부(10)의 둘레면을 말한다.
한편, 캡(200)은 수용홈부(100)의 개방된 일측 특히, 개방된 상측을 막아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캡(200)은 수용홈부(100)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유지 보수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부(10)는 비교적 경질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널부(10)를 통해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조작하기 어렵다.
그래서, 패널부(10)는 제작 중에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이 전측으로 노출되도록 홀을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패널부(10)는 금형 제작이나 사출시 홀을 통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용홈부(100)는 패널부(10)의 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 패널부(10)의 개방된 전측은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보호를 위해 전측패널(300)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전측패널(300)은 플렉시블한 연질로 이루어지거나,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홀을 통공한다.
편의상, 전측패널(300)은 연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누름력을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에 전달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전측패널(30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전측패널(300)은 패널부(10)의 전측에 고정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전측패널(300)은 패널부(10)의 테두리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캡(200)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측패널(300)은 수용홈부(100)를 막고 있는 캡(200)에 걸려 수용홈부(100)의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측패널(300)은 패널부(10)의 전측에 용이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패널부(10)는 전측패널(300)을 슬라이드 삽입하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가이드부재(402)를 형성하고, 가이드부재(402)는 전측패널(300)의 패널부(10) 전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재(40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전측패널(300)은 패널부(10)의 가이드부재(402)에 양측이 지지되고, 이탈방지부재(404)에 걸림으로써 패널부(10)의 전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편의상, 가이드부재(402)는 패널부(10)의 전측에 턱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전측패널(300)은 양측을 패널부(10)에 슬라이딩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수용홈부(100) 내부에 정위치 조립되도록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패널부(10)는 수용홈부(100)의 바닥에 위치설정돌기(412)를 돌출 형성하고,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위치설정돌기(412)를 수용하여 정위치 조립되도록 위치설정홈(414)을 함몰 형성한다.
즉, 위치설정홈(414)이 위치설정돌기(412)를 수용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수용홈부(100) 내부에 정위치 설정된다.
물론, 위치설정홈(414)이 수용홈부(100)의 바닥에 형성되고, 위치설정돌기(412)가 디스플레이패널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위치설정홈(414)과 위치설정돌기(412)는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고, 개수 및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수용홈부(100)에 삽입되어 패널부(10)의 흔들림 발생시 수용홈부(100) 내부 바닥과 반복적으로 부딪히게 되면 작동 오류를 발생하거나 파손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수용홈부(100) 내측 바닥에 대해 완충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하측으로 탄성지지부재(42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탄성지지부재(422)가 수용홈부(100)의 바닥에 대해 탄성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지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이때, 탄성지지부재(422)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탄성지지부재(422)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편의상, 탄성지지부재(422)는 굴곡진 판 스프링으로 도시한다.
또한, 탄성지지부재(422)가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굴곡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탄성지지부재(422)에 의해 패널부(10)의 전후측으로 흔들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패널부(10)는 탄성지지부재(42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탄성지지부재(422)를 고정하기 위해 수용홈부(100)의 바닥에 지지리브(424)를 돌출함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리브(424)는 패널부(10) 전후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부재(42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지지부재(42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리브(4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패널부(1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지지리브(424)는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어 탄성지지리브(424)의 하부 후측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이 전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작용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상부 전측은 전측패널(30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패널부(10)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수용홈부(100)의 바닥에 탄성서포트부재(43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탄성서포트부재(432)는 수용홈부(100)의 바닥에 해당되는 패널부(1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 탄성서포트부재(43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편의상, 탄성지지부재(422)와 탄성서포트부재(432)가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탄성지지부재(422)와 탄성서포트부재(43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수용홈부(100)에 장착되어 패널부(10)의 양측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수용홈부(100)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양측에 사이드탄성부재(43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이드탄성부재(434)가 각각 대응되는 수용홈부(100)의 내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양측 방향으로 완충 지지된다.
이때, 사이드탄성부재(4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이드탄성부재(434)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래서, 패널부(10)는 수용홈부(100)의 내부 양측에 스토퍼(436)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토퍼(436)는 사이드탄성부재(434)의 삽입깊이를 한정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위치설정돌기(412)가 위치설정홈(414)에 안착됨과 동시에 스토퍼(436)가 사이드탄성부재(434)의 하측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토퍼(43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패널부(1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캡(200)은 플레이트(210), 전측리브(220) 및 끼움홈부(23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10)는 수용홈부(100)를 덮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플레이트(210)는 수용홈부(10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전측리브(220)는 플레이트(210)의 전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수용홈부(100)의 테두리 외측에 접하게 된다. 즉, 전측리브(220)는 패널부(10)의 전측을 향하는 수용홈부(10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패널부(10)의 전측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플레이트(210)의 전측 하부는 패널부(10)에 고정된다.
여기서, 패널부(10)의 전측은 전측패널(300)이 된다.
그리고, 끼움홈부(230)는 플레이트(210)의 하부 후측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패널부(10)를 끼우는 역할을 한다. 즉, 끼움홈부(230)는 패널부(10)의 후측을 향하는 수용홈부(10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패널부(10)를 끼우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플레이트(210)의 후측 하부는 패널부(10)에 고정된다.
이때, 끼움홈부(230)는 플레이트(210)의 하측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한 쌍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자연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캡(200)은 전측리브(220)와 끼움홈부(230)에 의해 패널부(10)에 장착되는데, 전측리브(220)의 탄성 지지력 약화로 쉽게 빠질 수 있어 패널부(10)에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플레이트(210)는 하측으로 탄성후크돌부(442)를 돌출 형성하고, 패널부(10)는 탄성후크돌부(442)를 탄성적으로 끼우기 위해 수용홈부(100)의 내측에 후크홈부(444)를 형성한다.
즉, 탄성후크돌부(442)가 후크홈부(444)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캡(200)은 패널부(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더욱 상세히, 작업자는 전측리브(220)를 전측패널(300)의 전측에 접학게 한 상태로 탄성후크돌부(442)를 수용홈부(100) 내부로 삽입하면, 이 탄성후크돌부(442)가 후크홈부(444)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캡(200)은 수용홈부(100)의 개방된 상측을 막게 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수용홈부(100)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최대한 전측패널(300)로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 누름 조작에 따른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밀착부(450)는 캡(200)이 수용홈부(100)를 덮으면서 자연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패널부(10)의 전측(前側)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밀착부(450)는 탄성슬리브(452) 및 탄성푸쉬리브(45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상측에 탄성슬리브(452)를 돌출 형성하고, 캡(200)의 플레이트(210)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을 패널부(10)의 전측으로 밀기 위해 탄성슬리브(452)에 탄성적으로 접하는 탄성푸쉬리브(454)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패널부(10)의 후측으로 소정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탄성슬리브(452)를 상측에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플레이트(210)가 탄성푸쉬리브(454)를 하측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캡(200)이 수용홈부(100)의 개방된 상측을 막게 되면, 탄성푸쉬리브(454)가 탄성슬리브(452)를 패널부(10)의 전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유닛(20)은 전측패널(3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측리브(220)가 전측패널(300)의 외측에 단순히 접해 있기 때문에 전측패널(300)과 떨어질 수 있다.
그래서, 플레이트(210)는 설정간격만큼 전측리브(220)와 유격되는 격벽(46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전측패널(300)은 전측리브(220)와 격벽(460) 사이에 억지 끼워짐에 따라, 캡(200)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설정간격'은 전측패널(300)의 두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패널부 20: 디스플레이패널유닛
100: 수용홈부 200: 캡
210: 플레이트 220: 전측리브
230: 끼움홈부 300: 전측패널
402: 가이드부재 404: 이탈방지부재
412: 위치설정돌기 414: 위치설정홈
422: 탄성지지부재 424: 지지리브
432: 탄성서포트부재 434: 사이드탄성부재
436: 스토퍼 442: 탄성후크돌부
444: 후크홈부 452: 탄성슬리브
454: 탄성푸쉬리브 460: 격벽

Claims (12)

  1. 패널부의 테두리측으로 개방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수용하는 수용홈부;
    상기 수용홈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 및
    상기 캡이 상기 수용홈부를 덮으면서 자연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상기 패널부의 전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슬리브;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상기 패널부의 전측으로 밀기 위해 상기 탄성슬리브에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상기 캡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탄성푸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패널부의 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의 전측에 대응되는 전측패널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패널은 상기 패널부의 테두리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전측패널을 슬라이드 삽입하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전측패널의 상기 패널부 전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수용홈부를 덮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전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부의 전측 가장자리를 이루는 상기 패널부의 외측에 접하는 전측리브;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후측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상기 패널부를 끼우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설정간격만큼 상기 전측리브와 유격되는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에 위치설정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은 상기 위치설정돌기를 수용하여 정위치 조립되도록 위치설정홈을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은 하측으로 탄성지지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에 지지리브를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부의 바닥에 탄성서포트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유닛은 상기 수용홈부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양측에 사이드탄성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사이드탄성부재의 삽입깊이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부의 내부 양측에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KR1020100069740A 2010-07-19 2010-07-19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KR10124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740A KR101249495B1 (ko) 2010-07-19 2010-07-19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740A KR101249495B1 (ko) 2010-07-19 2010-07-19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592A KR20120010592A (ko) 2012-02-06
KR101249495B1 true KR101249495B1 (ko) 2013-04-01

Family

ID=4583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740A KR101249495B1 (ko) 2010-07-19 2010-07-19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4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5351A (zh) * 2014-12-30 2015-04-1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门体及具有该门体的冰箱
JP2017133798A (ja) * 2016-01-29 2017-08-03 青島海爾股▲フン▼有限公司 冷蔵庫
JPWO2016208072A1 (ja) * 2015-06-26 2018-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1119B2 (ja) * 2012-08-28 2018-01-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2470037B1 (ko) 2015-09-01 202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6091526A (zh) * 2016-06-23 2016-11-09 南京创维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门体显示组件及冰箱
JP6704952B2 (ja) * 2018-04-23 2020-06-0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030890B2 (ja) * 2020-05-13 2022-03-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830A (ko) * 2005-09-28 2007-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고정구조
KR20070082360A (ko) * 2006-02-16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웹패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90090518A (ko) * 2008-02-21 200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착방법
KR20100050190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830A (ko) * 2005-09-28 2007-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고정구조
KR20070082360A (ko) * 2006-02-16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웹패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90090518A (ko) * 2008-02-21 200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착방법
KR20100050190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5351A (zh) * 2014-12-30 2015-04-1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门体及具有该门体的冰箱
JPWO2016208072A1 (ja) * 2015-06-26 2018-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2017133798A (ja) * 2016-01-29 2017-08-03 青島海爾股▲フン▼有限公司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592A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495B1 (ko)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US8220204B2 (en)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RU2540766C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дверной ручкой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8979171B2 (en) Vehicular door trim
US8887355B2 (en) Fastening assembly for built-in refrigerator on a side wall of a furniture body
US10107017B2 (en) In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JP2020033685A (ja) バイザー用昇降機構付き保護ヘルメット
JP5955346B2 (ja) 弾球遊技機
KR20120011516A (ko) 디스플레이유닛 장착장치
CN209343686U (zh) 一种家用电器的显示屏装配结构
JP2020037760A (ja) バイザー用昇降機構付き保護ヘルメット
CN107447454B (zh) 洗衣机
US20110154617A1 (en) Door handle apparatus
JP5713767B2 (ja) 換気装置
EP2589890B1 (en) A unit for a system
JP2004221121A (ja) フック取付構造およびこのフック取付構造を用いた筐体構造
KR101597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02755772U (zh) 一种扣合组件
CN216735544U (zh) 一种盖子
KR200452871Y1 (ko) 안전대가 구비된 유리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용 브래킷
JPH10335851A (ja) ユニット品の固定構造
KR100811613B1 (ko)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구조
JP4166538B2 (ja) エンドピース装着機構
KR101985484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KR20070022922A (ko) Tv 조작부 도어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