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435B1 -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435B1
KR101249435B1 KR1020110065968A KR20110065968A KR101249435B1 KR 101249435 B1 KR101249435 B1 KR 101249435B1 KR 1020110065968 A KR1020110065968 A KR 1020110065968A KR 20110065968 A KR20110065968 A KR 20110065968A KR 101249435 B1 KR101249435 B1 KR 10124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information
unit
cutting
identificat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729A (ko
Inventor
김삼윤
배영현
최진용
박나현
조경제
박경택
황선용
Original Assignee
성동조선해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동조선해양(주) filed Critical 성동조선해양(주)
Priority to KR102011006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4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에 필요한 강재 적치관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은 개별 강재에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강재식별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태그의 강재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식별태그관리부, 상기 식별태그관리부와 연결되어, 강재의 입고, 적치, 선별, 절단 및 출고 작업을 제어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강재이동부, 파일재정리부, 강재출고부, 사외이송부를 포함하여, 강재 입출고 정보를 바코드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신호수단말기, 상기 신호수단말기 및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강재 권상을 작업을 수행하는 크레인단말기 및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강재의 절단작업을 강재식별태그의 바코드 및 가공도면의 바코드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절단작업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plate piling}
본 발명은 선박 건조에 필요한 강재 적치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강재가 입고, 출고, 절단되는 과정에서 적치장의 강재 적치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적치된 강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에는 수많은 블록이 이용되며, 각 블록 당 다양한 사이즈, 수량 및 중량의 강재가 필요하며, 강재가 입고되고 절단 가공 후, 사용될 때까지 강재 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데, 강재의 무게 및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적치 관리 방법에 따라 강재의 입출고, 절단 작업의 속도 및 효율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종래 트레일러로 적치장에 이송되는 강재는 현장의 신호수가 강재의 현물 및 이송 리스트를 확인하고, 크레인으로 하역하게 된다. 계획된 파일(PILE)에 적치할 수 있도록 수기로 파일 번호를 표시하거나 무선으로 크레인 운전수에 강재 이송을 지시하게 된다. 적치된 강재는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고 전처리 과정을 거쳐 타 적치장 또는 절단처로 출고된다.
이러한 종래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은 수기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신호수가 잘못된 파일번호로 강재 이송을 지시하거나 신호수의 정확한 이송 지시에도 불구하고, 크레인 운전수의 실수로 계획된 위치에 강재를 적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계획된 위치에 현물이 없는 경우를 실종 강재라 하는데, 이러한 실종 강재가 발생 시, 신호수가 강재를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고, 실종 강재의 위치를 찾더라도 별도의 선별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라 작업 스케줄이 지연되거나 대체 강재를 긴급으로 투입하여 작업을 해야 함에 따라 불필요한 잉여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강재가 계획된 파일에 적치되더라도 그 적치 순서가 관리되지 않음에 따라 하단의 강재를 사용할 경우에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강재의 입출고 및 이송에 따른 적치 현황이 실시간으로 관리되지 않아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작업자의 실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작업관리가 난해하며, 원자재뿐만 아니라 원자재에서 부재가 절단된 후 발생하는 잔재를 재사용하기 위해 자재번호를 부여하여 등록하는 등록잔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실 강재가 절단 베이(bay)에 투입되었음에도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사용하기로 예정된 도면이 아닌 다른 도면의 절단가공에 사용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10450호(2010. 10. 13.) '강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강재를 파일별로 적치 작업을 수행하는 적치장에서 RFID 태그 및 강재 무게를 이용하여, 작치 작업을 관리할 수 있는 강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들 수 있다.
KR 10-2010-0110450 A 2010. 10. 13, 9쪽, [0061], [0072] 내지 [0079], 도면 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강재식별태그를 이용하여, 강재 적치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강재이동, 강재출고 및 절단 가공 작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강재 적치관리의 오류를 방지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강재식별태그를 포함하여, 사용도면 및 예약정보의 존재여부에 따라 태그의 글자 및 배경을 구분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식별성을 높여 강재의 특성에 따라 구분적치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선별지시번호와 바코드번호를 일대일 맵핑하여, 선별이 불필요한 다수의 강재가 이동되지 않고, 선별이 가장 쉬운 유일한 한 매의 강재만을 선별지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강재이동부 및 강재출고부를 포함하여, 강재 적치 계획에 따라 강재의 이동 지시 및 출고 지시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파일재정리부를 포함하여, 강재의 실제 적치 상태와 적치 현황의 오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외이송부를 포함하여, 타 적치장으로 이송할 강재 이송 리스트를 관리하고, 크레인단말기에 사외 이송을 지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크레인단말기를 포함하여, 다수의 강재를 이동 또는 권상하는 작업을 지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절단작업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강재의 태그 정보를 가공도면에 옮겨 형성 후, 도면 정보에 따라 절단 작업을 수행하여, 강재의 재고 소멸을 정확하게 관리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은 개별 강재에 유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강재식별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태그의 강재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식별태그관리부, 상기 식별태그관리부와 연결되어, 강재의 입고, 적치, 선별, 절단 및 출고 작업을 제어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강재이동부, 파일재정리부, 강재출고부, 사외이송부를 포함하여, 강재 입출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신호수단말기, 상기 신호수단말기 및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강재 권상 작업을 수행하는 크레인단말기 및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강재의 절단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절단작업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의 강재식별태그는 강재를 식별하는 바코드 및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글자배경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글자배경태그는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이 없는 강재,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된 강재, 사용도면이 확정된 강재의 정보를 글자와 배경의 반전을 이용하여 나타내되,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이 없는 강재의 경우, 모든 식별 정보의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여 출력하며,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된 강재는 사이즈, 재질, 선급, 자재호선, 자재코드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여 출력하며,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된 강재의 경우,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지 않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은 강재식별태그를 이용하여, 강재 적치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강재이동, 강재출고 및 절단 가공 작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강재 적치관리의 오류를 방지하고, 나아가 체계적인 강재 적치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적치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재식별태그를 포함함으로써, 사용도면 및 예약정보의 존재여부에 따라 태그의 글자 및 배경을 구분하여, 현장에서의 식별성을 높여 강재의 특성에 따라 구분적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별지시번호와 바코드번호를 일대일 맵핑함으로써, 선별이 불필요한 다수의 강재가 이동되지 않도록 선별이 가장 쉬운 유일한 한 매의 강재만을 선별지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재이동부 및 강재출고부를 포함함으로써, 강재 적치 계획에 따라 강재의 이동 지시 및 출고 지시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재정리부를 포함함으로써, 강재의 실제 적치 상태와 적치 현황의 오류를 수정하고, 실종 강재를 파악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외이송부를 포함함으로써, 타 적치장으로 이송할 강재 이송 리스트를 관리하고, 크레인단말기에 사외 이송을 지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레인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강재를 이동 또는 권상하는 작업을 지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작업자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강재의 태그 정보를 가공도면에 옮겨 형성 후, 도면 정보에 따라 절단 작업을 수행하여, 강재의 재고 소멸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의 중앙서버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의 상세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에 있어, 신호수단말기의 상세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에 있어, 크레인단말기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에 있어, 절단작업부의 상세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에 있어, 식별태그관리부의 상세구성도.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의 작업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중앙서버(100), 신호수단말기(110), 크레인단말기(120), 절단작업부(130) 및 식별태그관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100)는 강재의 입고, 적치, 선별, 절단 및 출고 작업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앙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위치데이터베이스(101), 강재맵핑데이터베이스(102),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 작업이력데이터베이스(104), 설계도면/NC 데이터베이스(105)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로 강재 적치에 따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통신수단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 강재가 최종적으로 적치되는 파일(PILE)을 목적파일(200)이라하며, 강재가 적치장으로 입고되기 이전에 상기 강재위치데이터베이스(101)에 입력되어야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파일(200)을 등록하는 실시예 화면으로, 이 화면으로부터 파일에 적치될 강재의 수량, 적치높이, 중량 정보를 안내받아, 호선, 블록, 계열별로 상기 목적파일(200) 번호를 강재에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치된 강재의 사용시점이 다가오면 강재의 사용을 확정하고 선별지시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강재맵핑데이터베이스(102)를 이용하여, 강재재맵핑(300)을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이러한 강재재맵핑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며, 선별지시번호(310)와 바코드번호(330)를 일대일 맵핑함으로써 선별이 불필요한 다수의 강재(320)가 이동되지 않도록 유일한 한 매의 강재만을 지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동일 자재명의 다수의 강재 중에서 선별이 가장 쉬운 최적의 강재를 안내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상기 식별태그관리부(140)는 상기 중앙서버(100)와 연결되어, 개별 강재에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강재식별태그(400)를 생성하고, 상기 강재식별태그(400)의 강재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별태그관리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정보송수신부(141), 식별태그구성부(142) 및 식별태그인쇄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정보송수신부(141)는 상기 중앙서버(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강재의 식별정보 구성에 따른 적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태그구성부(142)는 상기 적치 정보에 따라 강재식별태그(400)를 생성하며, 상기 식별태그인쇄부(143)는 생성된 상기 강재식별태그(400)를 인쇄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강재식별태그(4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강재를 식별하는 바코드 및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글자배경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글자배경태그는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이 없는 강재(410),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된 강재(420), 사용도면이 확정된 강재(430)의 정보를 글자와 배경의 반전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즉,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이 없는 강재(410)의 경우, 모든 식별 정보의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여 출력하며,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된 강재(420)는 사이즈, 재질, 선급, 자재호선, 자재코드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여 출력하며,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된 강재의 경우(430),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지 않고 출력하는 것이다.
더불어, 등록잔재의 강재(440)인 경우, 사용강재의 변경에 따른 구분적치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도면이 확정된 강재(430)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수단말기(110)는 상기 중앙서버(100)와 연결되어, 강재 입출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신호수단말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인식부(111), 강재이동부(112), 파일재정리부(113), 강재출고부(114) 및 사외이송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인식부(111)는 강재 외부에 형성되어, 각 강재를 식별할 수 있는 강재식별태그(400)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재이동부(112)는 여러 장의 강재의 바코드(450)를 스캔 후, 상기 크레인단말기에 각각 목적 파일로 이동지시하거나, 적치된 강재를 동일한 특정 파일로 강제적으로 이동지시할 수 있으며, 강재 이동 후, 각 파일의 적치순번오류를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이동부(112)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태그인식부(111)를 이용하여, 상단부의 강재부터 순서대로 상기 강재식별태그(400)에 포함된 바코드(450)를 스캔하면, 한번에 여러장의 강재를 이동지시할 수 있으며, 이때 예정된 강재의 목적파일(200)이 아닌 임시 적치파일을 입력하여, 강제적으로 이동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재 이동 지시는 상기 크레인단말기(120)에 전달되고, 강재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중앙서버(100)의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 및 작업이력데이터베이스(104)에 실시간으로 작업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상기 강재이동부(112)의 작업 수행에 의한 상기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현물과 전산의 적치순번(610)에 오류가 있는 강재를 이동할 경우, 상기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를 수정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의 위치(620) 항목은 해당 강재 상부에 적치되어 있는 강재의 수량을 나타낸다.
상기 파일재정리부(113)는 강재의 적치 순서에 따라 상기 바코드(450)를 스캔하여, 추가 강재의 바코드(450) 정보가 스캔될 경우, 현재 파일의 위치 정보 및 적치순서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강재의 적치 순서에 따라 상기 바코드(450)를 스캔하여, 강재의 바코드 정보가 누락된 경우, 상기 중앙서버(100)에 실종 강재(700)로 등록하여, 강재의 실제 적치상태와 적치현황 정보의 오류를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파일재정리부(113)는 강재 이동 작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강재의 실제 적치 상태와 상기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의 오차를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그인식부(111)를 이용하여, 특정파일의 강재식별태그(400)에 포함된 바코드(450)를 바닥부터 순서대로 스캔하고, 이러한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현물과 전산의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를 일체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일재정리부(113)의 작업 수행에 의해 상기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의 변화를 나타내는 일실시예로, 다른 파일에 적치되어 있던 강재(701)의 강재식별태그(400)를 인식할 경우, 해당 파일의 현 위치파일(600) 및 적치순번(610)을 자동으로 갱신하며, 이와 반대로, 해당 파일에 적치되어 있던 강재의 바코드가 스캔되지 않는 경우에는 적치순번(610)을 잃게 되어, 적치순번(610)이 ‘0’으로 입력되며, 이를 실종강재(700)로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일재정리부(113)는 실종강재(700)의 발생 시, 예상 적치 파일을 탐색하거나 강재의 재고조사를 실시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 빈 파일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파일재정리부(113)를 구동하여, 실종강재(700)의 유무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강재출고부(114)는 상기 태그인식부(111)에 의해, 특정 파일의 강재의 바코드(450)를 스캔 후, 전처리 쇼트(SHOT)리스트(900)를 작성하며, 상기 전처리 쇼트 리스트에 타각번호(910)를 표현하여, 상기 크레인단말기(120)에 강재 출고 지시와 함께 전처리 작업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처리 쇼트 리스트(900)의 일실시예를 타나내는 도면으로, 상기 태그인식부(111)를 이용하여, 파일의 바닥에 있는 강재식별태그(400)에 포함된 바코드(450)를 순서대로 스캔 후, 상기 크레인단말기(120)에 출고 작업 지시를 전달한다. 이때 강재출고부(114)의 작업으로 지시된 강재의 이송위치 즉 목적파일(200)은 롤러 컨베이어를 지정하는 특정파일로 고정되어, 상기 크레인단말기(120)에 안내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출고 작업은 이전의 강재 출고 작업과 연계되어, 추가로 전처리 작업을 지시하는 것으로써, 추가된 전처리 쇼트 리스트(900)의 출력과 함께 강재식별태그(400)도 전처리 작업 순서대로 출력되는데, 전처리 작업의 완료 후, 강재를 확인하며, 재 적치하는 신호수에게 인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처리 쇼트 리스트(900)에는 타각번호(910)를 표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전처리 라인을 통과하는 강재는 각종 센서 및 엔코더에 의해 폭과 길이가 측정되며, 재 적치 시, 두께 및 상기 타각번호(910)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실 강재 여부를 재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실 강재 여부를 확인 후, 손상된 강재식별태그(400)는 제거하고, 새로운 강재식별태그(400)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외이송부(115)는 타 적치장으로 이송할 강재 이송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크레인단말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외이송부(115)는 상기 크레인단말기(120)에 이동해야할 강재의 위치를 안내하고, 상차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중앙서버(100)의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103) 및 작업이력데이터베이스(104)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크레인단말기(120)는 상기 신호수단말기(110) 및 상기 중앙서버(100)와 연결되어, 강재 권상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센서부(121), 로드셀부(122) 및 디스플레이부(1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크레인단말기(120)는 작업 순서가 첫 번째인 강재를 상기 위치센서(121) 및 상기 로드셀부(122)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및 중량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23)에 작업 과정을 표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크레인단말기(120)는 강재 이동 작업을 표시하고, 강재를 권상하여, 이동 중에는 상기 로드셀부(122)에서 측정된 중량과 해당 강재 중량(800)의 오차 범위에 따른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이를 외부에 표시하며, 마지막으로 이동하려는 목적파일(200)과 크레인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해당 강재의 이동 작업 완료를 외부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2매 이상의 강재를 한 번에 권상할 경우, 작업순서가 선택된 강재부터 역순으로 이동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상기 크레인단말기(120)는 강재 이동 중에 선택된 강재의 중량(800)의 합과 로드셀부(122)에서 측정한 중량의 오차범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게 된다.
상기 절단작업부(130)는 상기 중앙서버(100)와 연결되어, 강재의 절단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작업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작업자단말기(131), 바코드스캐너(132) 및 절단장비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작업자단말기(131)는 상기 중앙서버(100)로부터 절단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절단 작업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바코드스캐너(132)는 상기 절단작업자단말기(131)와 연결되어, 상기 강재식별태그(400)의 바코드(450)를 스캔하여,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절단장비부(133)는 상기 절단작업자단말기(131)와 연결되어, 강재에서부터 가공도면에 옮겨 형성된 강재식별태그(400)가 바코드스캐너(132)로 스캔되면, 강재에 형성된 상기 강재식별태그(400) 정보를 가공도면에 옮겨 형성하고, 도면 정보에 따른 강재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단작업부(130)의 구동 시 이용되는 가공도면을 나타내는 일실시예로, 절단 베이(bay)에 입고된 강재는 절단가공을 위해 절단정반 위에 놓이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작업부(130)는 강재식별태그(400)를 가공도면에 옮겨 붙이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바코드스캐너(132)를 이용하여, 도면에 부착된 상기 강재식별태그(400)의 바코드(450)를 스캔 후, 상기 절단작업자단말기(131)는 상기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서버(100)의 설계도면/NC데이터베이스(105)를 검색하여, 도면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절단장비부(133)에 전달하게 되며, 상기 절단장비부(133)에 의해 절단 작업이 진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작업부(130)는 현장 잔재를 사용하는 도면에 도면번호(1000)의 바코드(1100) 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며, 강재의 바코드(450)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도면의 바코드(1100)를 스캔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강재식별태그(400)의 바코드(450)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등록잔재의 경우 강재 재맵핑을 제외한 모든 작업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등록 잔재는 2매 이상으로 동일한 자재코드가 부여되지 않음에 따라 고유 식별력을 가질 수 있으며, 등록잔재를 재사용할 경우, 맵핑하는 단계가 필요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을 적용 시, 강재식별태그를 이용하여, 강재 적치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강재이동, 강재출고 및 절단 가공 작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강재 적치관리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체계적인 강재 적치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적치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0 : 중앙서버 101 : 강재위치데이터베이스
102 : 강재맵핑데이터베이스 103 : 적치현황데이터베이스
104 : 작업이력데이터베이스 105 : 설계도면/NC 데이터베이스
110 : 신호수단말기 111 : 태그인식부
112 : 강재이동부 113 : 파일재정리부
114 : 강재출고부 115 : 사외이송부
120 : 크레인단말기 121 : 위치센서부
122 : 로드셀부 123 : 디스플레이부
130 : 절단작업부 131 : 절단작업자단말기
132 : 바코드스캐너 133 : 절단장비부
140 : 식별태그관리부 141 : 태그정보송수신부
142 : 식별태그구성부 143 : 식별태그인쇄부

Claims (8)

  1. 개별 강재에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강재식별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태그의 강재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식별태그관리부;
    상기 식별태그관리부와 연결되어, 강재의 입고, 적치, 선별, 절단 및 출고 작업을 제어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강재이동부, 파일재정리부, 강재출고부 및 사외이송부를 포함하여, 강재 입출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신호수단말기;
    상기 신호수단말기 및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강재 권상 작업을 수행하는 크레인단말기 및
    상기 중앙서버와 연결되어, 강재의 절단작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절단작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재이동부는,
    여러 장의 강재의 바코드를 스캔 후, 상기 크레인단말기에 각각 목적 파일로 이동지시하거나, 적치된 강재를 동일한 특정 파일로 강제적으로 이동지시할 수 있으며, 강재 이동 후 각 파일의 적치순번오류를 수정하며,
    상기 강재출고부는,
    특정 파일의 강재의 바코드를 스캔 후, 전처리 쇼트(SHOT)리스트를 작성하며, 상기 쇼트 리스트에 타각 번호를 표현하여, 상기 크레인단말기에 강재 출고 지시와 함께 전처리 작업을 지시하며,
    상기 강재식별태그는,
    강재를 식별하는 바코드 및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글자배경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글자배경태그는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이 없는 강재,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된 강재, 사용도면이 확정된 강재의 정보를 글자와 배경의 반전을 이용하여 나타내되,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이 없는 강재의 경우, 모든 식별 정보의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여 출력하며,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되지 않고 예약정보가 변경된 강재는 사이즈, 재질, 선급, 자재호선, 자재코드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여 출력하며,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된 강재의 경우, 글자와 배경을 반전하지 않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도면이 확정된 강재의 경우,
    선별지시번호와 바코드번호를 일대일 맵핑하여 선별이 불필요한 다수의 강재가 이동되지 않도록 한 매의 강재만을 선별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재정리부는,
    강재의 적치 순서에 따라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여, 추가 강재의 바코드 정보가 스캔될 경우, 현재 파일의 위치 정보 및 적치순서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강재의 적치 순서에 따라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여, 강재의 바코드 정보가 누락된 경우, 상기 중앙서버에 실종 강재로 등록하여, 강재의 실제 적치상태와 적치현황 정보의 오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외이송부는,
    타 적치장으로 이송할 여러 장의 강재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강재 이송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크레인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단말기는,
    크레인 위치센서부 및 로드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수단말기에 의해 스캔된 여러 장의 강재를 이동 또는 권상 작업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2매 이상의 강재가 권상될 경우, 하단부터 상단의 강재 순으로 작업하며, 권상 중인 강재의 합으로 중량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작업부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절단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절단 작업 정보를 송신하는 절단작업자단말기;
    상기 절단작업자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강재식별태그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하는 바코드스캐너 및
    상기 절단작업자단말기와 연결되어, 강재에 형성된 상기 강재식별태그를 가공도면에 옮겨 형성하고, 상기 바코드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강재가 사용되는 도면 정보를 상기 절단작업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절단장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KR1020110065968A 2011-07-04 2011-07-04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KR10124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68A KR101249435B1 (ko) 2011-07-04 2011-07-04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68A KR101249435B1 (ko) 2011-07-04 2011-07-04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29A KR20130004729A (ko) 2013-01-14
KR101249435B1 true KR101249435B1 (ko) 2013-04-03

Family

ID=4783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968A KR101249435B1 (ko) 2011-07-04 2011-07-04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678B1 (ko) 2020-10-27 2021-07-21 김상엽 비정형 철판 잔재 관리 시스템
KR20220128142A (ko) 2021-03-12 2022-09-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강화학습을 이용한 입고물품의 적치순서 최적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488A (ko) * 2008-05-09 2009-11-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선박 건조 강재 적치처리시스템
KR20100115433A (ko) * 2009-04-20 2010-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강재 적치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7488A (ko) * 2008-05-09 2009-11-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선박 건조 강재 적치처리시스템
KR20100115433A (ko) * 2009-04-20 2010-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강재 적치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678B1 (ko) 2020-10-27 2021-07-21 김상엽 비정형 철판 잔재 관리 시스템
KR20220128142A (ko) 2021-03-12 2022-09-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강화학습을 이용한 입고물품의 적치순서 최적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29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4992B2 (en) Cross-doc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13998363A (zh) 一种智能分拣货物的系统、方法、仓储机器人及处理终端
KR101869896B1 (ko) 물품 자동분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140164B (zh) 出入库管理系统、出入库管理方法以及程序
JP5013142B2 (ja) 検品システムと検品方法
CN111784261A (zh) 一种可视化仓储管理方法
CN108053166A (zh) 物料出入库管理系统、入库管理方法及出库管理方法
KR101249435B1 (ko)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KR100657817B1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물류작업 자동 처리 시스템
KR20060055581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 로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20133595A (ko) 강재적치 계획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강재 적치 정보 제공방법
Dudziak et al. Flow of goods in the warehouse management systems-problem analysis
KR20100115433A (ko) 강재 적치 관리 방법
JP2005335870A (ja) 物流管理システム、物流管理方法、輸送体端末、及び物流管理プログラム
EP3115115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handling and sorting parcels
KR20140036563A (ko) 강재 적치 관리 시스템
KR101160002B1 (ko) Rfid를 이용한 후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6076758A (ja) 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物品管理方法
CN113095766A (zh) 物品分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5170582A (ja) 自動倉庫管理システム
KR102321654B1 (ko) 철근 입출고 자동화 시스템
JP2012171749A (ja) 入出庫管理システム
KR20090117488A (ko)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선박 건조 강재 적치처리시스템
JP2002160812A (ja) 物流管理方法、定置場所管理方法、定置場所管理システム、定置場所管理装置、及び記録媒体
KR20130008776A (ko) 강재 적치장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