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895B1 -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895B1
KR101248895B1 KR1020110139123A KR20110139123A KR101248895B1 KR 101248895 B1 KR101248895 B1 KR 101248895B1 KR 1020110139123 A KR1020110139123 A KR 1020110139123A KR 20110139123 A KR20110139123 A KR 20110139123A KR 101248895 B1 KR101248895 B1 KR 10124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liner
winding beam
rol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수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2Core or mandrel insertion, e.g. means for loading core or mandrel in wind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93Tyres

Landscapes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권취빔 인출부를 통해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로부터 이탈시킨 면라이나 권취빔을 가교 형성부를 통해 압연물 권취부와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교 플레이트를 통해 구름 이동시켜 압연물 권취에 필요한 압연물 권취빔을 반자동으로 재장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 강도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device of transferring a winding beam of topping cord}
본 발명은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타이어 제조용 압연물을 면라이나와 함께 감아 보관하도록 하는 압연물 권취빔을 반자동으로 이동시켜 압연물 권취부에 재장전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타이어 제조용 압연물을 생산하는 카렌다 설비에서는 압연물 권취 장치를 이용해 압연물을 이형재 역할을 하는 면라이나와 함께 압연물 권취빔에 감아 이를 이송 및 적재 보관하도록 한다.
상기한 이러한 압연물 권취 장치는 크게 면라이나 공급부와 압연물 권취부로 이루어진다.
면라이나 공급부는 장전된 면라이나 권취빔에 권취된 면라이나를 풀어 상기한 압연물 권취부로 공급하도록 하고, 압연물 권취부는 상기한 면라이나와 함께 이송되는 압연물을 압연물 권취빔에 감도록 한다.
따라서, 압연물 권취부에서는 압연물 권취빔에 필요로 하는 압연물이 길이로 권취가 완료되면 새로운 압연물 권취빔으로 교체하여 재장전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때, 면라이나 권취부에서 다 사용한 공 상태의 면라이나 권취빔을 압연물 권취부로 이송시켜 새로운 압연물 권취빔으로 재장전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압연물 권취빔 재장전 작업은 작업자가 들고 이동하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작업 강도 및 안전사고 위협을 높이게 된다.
또한, 공 상태의 압연물 권취빔의 자체 중량이 대략 80kg 정도로 작업자 혼자서 수행하기에는 과도한 중량이어서 두 명이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물 권취에 필요한 압연물 권취빔을 반자동으로 이동시켜 재장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 강도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는, 면라이나 공급부로부터 다사용된 공 상태의 면라이나 권취빔을 압연물 권취부로 이동시켜 압연물을 권취하기 위한 새로운 압연물 권취빔으로 재장전해 사용하도록 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의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로부터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을 밀어 올려 이탈시키는 권취빔 인출부; 및 상기 면라이나 권취부와 상기 압연물 권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로부터 이탈된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을 상기 압연물 권취부의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로 이동시키도록 가교를 형성하는 가교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빔 인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면라이나 권취부의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일측 단부에 면라이나 권취빔의 회전축 단부가 걸리도록 걸림 고리가 형성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 고리에 걸린 면라이나 권취빔을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연결되는 제1 가동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 형성부는 펼쳐져 상기 압연물 권취부와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압연물 권취부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교 플레이트; 상기 가교 플레이트와 상기 압연물 권취부의 축 고정부 하측에 각각 접힘 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2절 링크; 및 상기 2절 링크의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2절 링크와 연동하며 상기 가교가 접힘 또는 펼쳐지게 가동시키는 제2 가동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 플레이트 상측 이송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레일에 대응되게 외주 상에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원통형 이송구가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의 회동축 상에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의 이송 레일에 연속하며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의 상면에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까지 제1 연장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교의 이송 레일에 연속하며 상기 압연물 권취부의 상기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까지 제2 연장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의 이송 레일과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의 제1 연장 레일이 일치하도록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인출 위치를 조절하는 제3 가동 레일; 및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의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인출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에 따르면, 권취빔 인출부를 통해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로부터 이탈시킨 면라이나 권취빔을 가교 형성부를 통해 압연물 권취부와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는 가교 플레이트를 통해 구름 이동시켜 압연물 권취에 필요한 압연물 권취빔을 반자동으로 재장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 강도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권취빔 인출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락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교 형성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1)는 면라이나 공급부(10), 압연물 권취부(20), 권취빔 인출부(30) 및 가교 형성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라이나 공급부(10)는 장전된 면라이나 권취빔(15)의 회전축부(15b)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잡아 고정하여, 면라이나 권취빔(15)에 권취된 면라이나(미도시)를 압연물 권취부(20)로 공급하도록한다.
압연물 권취부(20)는 장전된 압연물 권취빔(25)쪽으로 이송 공급되는 압연물(미도시)과 함께 상기한 면라이나 공급부(10)로부터 풀려 공급되는 면라이나를 함께 롤 상태로 감아 후속 공정을 위한 이송 및 적재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면라이나는 권취되는 압연물들 사이에 함께 감겨 압연물들이 서로 늘러 붙지 않도록 일종의 이형지 역할을 한다.
한편, 면라이나 공급부(1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2 이송 레일(17)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면라이나 권취빔(15)으로부터 풀려 압연물과 함께 압연물 권취빔(25)에 감길 때 면라이나의 감긴 끝단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면라이나 권취빔(15)은 상기한 압연물 권취빔(25)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면라이나 권취빔(15)과 압연물 권취빔(25)은 모두 면라이나 또는 면라이나와 압연물이 권취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권취빔부(15a)와, 이 권취빔부(15a)을 관통하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 또는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21)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도록 하는 회전축부(1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축부(15b)의 양단에는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 및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21)에 회전 가능하게 걸려 고정되게 고정단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면라이나 공급부(10) 및 압연물 권취부(20)의 구동 모터(12, 22)들 연결되는 회동축(13, 23)과 커플러(14, 24)를 통해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권취빔 인출부(30)는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에 설치되어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로부터 면라이나가 다 풀린 공 상태의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15)을 밀어 올려 이탈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도 1의 권취빔 인출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락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권취빔 인출부(30)는 회동바(31) 및 제1 가동 실린더(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회동바(31)는 일측 단부가 상기 면라이나 권취부(10)의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33) 고정되고, 타일측 단부에 면라이나 권취빔(15)의 회전축(15b) 단부가 걸리도록 걸림 고리(34)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다.
제1 가동 실린더(32)는 면라이나 공급부(10)에서 상기 회동바(31)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31)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 고리(34)에 걸린 면라이나 권취빔(15)을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가동 로드가 회동바(31) 중심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가동 실린더(32)를 작동시켜 회동바(31)를 축(3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동바(31)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고리(34)가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에 고정된 면라이나 권취빔(15)의 회전축(15b) 단부를 걸고 상측으로 들어올려 면라이나 공급부(10)의 상측으로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면라이나 권취빔(15)의 회전축(15b)에 형성되는 원통형 이송구(15c)에 형성된 가이드 홈(15d)에 후술하는 제1 연장 레일(16)이 끼워지며 그 선상에 올려지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교 형성부(40)는 상기 면라이나 권취부(10)와 상기 압연물 권취부(20)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로부터 이탈된 공 상태의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15)을 상기 압연물 권취부(20)의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21)로 이동시켜 새로운 압연물 권취빔(25)으로 사용하도록 이동 가교를 형성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4는 도 2의 가교 형성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가교 형성부(40)는 가교 플레이트(41), 2절 링크(42) 및 제2 가동 실린더(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교 플레이트(41)는 펼쳐져 상기 압연물 권취부(20)와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를 연결하도록 상기 압연물 권취부(10) 상부의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설치된다.
2절 링크(42)는 상기 가교 플레이트(41)와 상기 압연물 권취부(20)의 축 고정부 하측에 각각 접힘 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42a, 42b)들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다.
그리고 제2 가동 실린더(43)는 상기 2절 링크(42)의 링크 연결부에 로더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2절 링크(42)와 연동하며 상기 가교 플레이트(41)가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가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교 플레이트(41)는 압연물을 권취하는 기간에는 하측으로 접힌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다 풀어 사용한 공 상태 면라이나 권취빔(15)을 압연물 권취부(20)로 이동시켜 새로운 압연물 권취빔(25)으로 사용하도록 재장전하는 동안은 연물 권취부(20)와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를 연결하도록 펼쳐져 면라이나 권취빔(15)의 이동을 위한 가교 역할을 하도록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면라이나 권취빔(15)의 이동을 위해 상기 가교 플레이트(41)의 상측에는 이송 레일(46)이 형성되고,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15)의 회동축(15b) 상에는 이송 레일(46)에 대응되게 외주면 상에 가이드 홈(15d)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이송구(15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교 플레이트(41)의 이송 레일(46)에 연속하며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의 상면에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까지 제1 연장 레일(16)이 형성되고, 상기 가교 플레이트(40)의 이송 레일(46)에 연속하며 상기 압연물 권취부(20)의 상기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21)까지 제2 연장 레일(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권취빔 인출부(30)에 의해 면라이나 공급부(10)의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로부터 인출된 면라이나 권취빔(15)은 이송구(15c)의 가이드 홈(15d)이 면라이나 공급부(10)의 제1 연장 레일(16)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제1 연장 레일(16) 상에 올려지게 인출된 면라이나 권취빔(15)은 제1 연장 레일(16)과 연속하게 면라이나 공급부(10) 및 압연물 권취부(20)를 연결하는 가교 플레이트(41)의 이송 레일(46) 및 제2 연장 레일(26)을 따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구름 이동시켜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21)로 재장전되어 새로운 압연물 권취빔(25)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교 플레이트(41)의 이송 레일(46)과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의 제1 연장 레일(16)이 일치하도록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를 제2 이송 레일(17)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15) 인출 위치를 조절하는 제3 가동 실린더(18)와,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의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15) 인출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 가동 실린더(18)는 면라이나 권취롤(15)로부터 풀려 압연물과 함께 압연물 권취빔(25)에 감길 때 면라이나의 감긴 끝단을 일정하게 조절된 면라이나 공급부(10)의 위치를 최초 상태로 복귀시켜 상기한 공 상태의 면라이나 권취빔(15)의 이송을 위해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의 제1 연장 레일(16)과 상기 가교 플레이트(41)의 이송 레일(46)을 일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위치 감지 센서(19)는 제3 가동 실린더(18)에 의해 면라이나 공급부(10)가 이송된 위치를 감시하여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15)의 인출 가능 위치를 감시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1)는 권취빔 인출부(30)를 통해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11)로부터 이탈시킨 면라이나 권취빔(15)을 가교 형성부(40)를 통해 압연물 권취부(20)와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10) 사이를 연결하는 가교 플레이트(41)의 이송 레일(46)로 구름 이동시켜 압연물 권취에 필요한 새로운 압연물 권취빔(25)으로 사용하도록 반자동으로 재장전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 강도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10: 면라이나 공급부
11: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 12, 22: 구동 모터
13, 23: 회동축 14, 24: 커플러
15: 면라이나 권취빔 15a: 권취빔
15b: 회전축 15c: 이송구
15d: 가이드 홈 16: 제1 연장 레일
17: 제2 이송 레일 18: 제3 가동 실린더
19: 위치 감지 센서 20: 압연물 권취부
21: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 25: 압연물 권취빔
26: 제2 연장 레일 30: 권취빔 인출부
31: 회동바 32: 제1 가동 실린더
33: 걸름 고리 40: 가교 형성부
41: 가교 플레이트 42: 2절 링크
43: 제2 가동 실린더 46: 이송 레일

Claims (6)

  1. 면라이나 공급부로부터 다사용된 공 상태의 면라이나 권취빔을 압연물 권취부로 이동시켜 압연물을 권취하기 위한 새로운 압연물 권취빔으로 재장전해 사용하도록 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에 설치되어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로부터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을 밀어 올려 이탈시키는 권취빔 인출부; 및
    상기 면라이나 권취부와 상기 압연물 권취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로부터 이탈된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을 상기 압연물 권취부의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로 이동시키도록 가교를 형성하는 가교 형성부;를 포함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권취빔 인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면라이나 권취부의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타일측 단부에 면라이나 권취빔의 회전축 단부가 걸리도록 걸림 고리가 형성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 고리에 걸린 면라이나 권취빔을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연결되는 제1 가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가교 형성부는,
    펼쳐져 상기 압연물 권취부와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압연물 권취부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교 플레이트;
    상기 가교 플레이트와 상기 압연물 권취부의 축 고정부 하측에 각각 접힘 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2절 링크; 및
    상기 2절 링크의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2절 링크와 연동하며 상기 가교가 접힘 또는 펼쳐지게 가동시키는 제2 가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가교 플레이트 상측 이송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레일에 대응되게 외주 상에 가이드 홈이 구비되는 원통형 이송구가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의 회동축 상에서 구비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가교의 이송 레일에 연속하며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의 상면에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고정부까지 제1 연장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교의 이송 레일에 연속하며 상기 압연물 권취부의 상기 압연물 권취빔 고정부까지 제2 연장 레일이 형성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가교의 이송 레일과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의 제1 연장 레일이 일치하도록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인출 위치를 조절하는 제3 가동 실린더; 및
    상기 면라이나 공급부의 상기 면라이나 권취빔 인출 위치를 감시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KR1020110139123A 2011-12-21 2011-12-21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KR10124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23A KR101248895B1 (ko) 2011-12-21 2011-12-21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23A KR101248895B1 (ko) 2011-12-21 2011-12-21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895B1 true KR101248895B1 (ko) 2013-04-01

Family

ID=4844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123A KR101248895B1 (ko) 2011-12-21 2011-12-21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8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7419A (ja) * 2001-08-08 2004-12-16 エス・エム・エス・デマ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高温の金属から成る熱間圧延された粗ストリップの巻取り及び巻戻しをする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7419A (ja) * 2001-08-08 2004-12-16 エス・エム・エス・デマーク・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高温の金属から成る熱間圧延された粗ストリップの巻取り及び巻戻しをするため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0177B (zh) 管理细长元件到轮胎构造站的供给的方法
CN104528273B (zh) 折叠式带式输送机及输送车
ITBO990598A1 (it) Apparecchiatura per il cambio automatico di bobine di film .
JP4452411B2 (ja) ウェブ材料のリールを巻き戻す装置ならびに方法
CN101613041B (zh) 用于更换拆卷机的卷轴的设备
JP2017528391A (ja) ペーパー加工プラントにおける親リールの取扱方法
CN107032175A (zh) 铺布装置和铺布机
ITVI20110250A1 (it) Macchina etichettatrice, particolarmente del tipo alimentato a bobina.
US1930074A (en) Means of handling web rolls
KR101248895B1 (ko) 압연물 권취빔 이송 장치
KR20090044626A (ko) 원단 권취기의 초기 원단 권취부
CN206328618U (zh) 一种验布机
KR101373158B1 (ko) 스트립 가이드용 벨트랩퍼
US9211680B2 (en)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loading rolls of fibre based sheet material to an application unit
US2755028A (en) Apparatus for handling sheet material
US11472581B2 (en) Wrapping machine
US2734405A (en) Cozzo
CN207957260U (zh) 一种方便上料和下料的塑料膜验品机
WO2019159077A1 (en) Wrapping machine
ITFI20070216A1 (it) "dispositivo avvolgitore con bracci di sollevamento delle aste di avvolgi- mento"
SE530607C2 (sv) Sätt och anordning vid av- och/eller upprullning av en materialbana
CN107758399B (zh) 一种包装袋检品机
CN109311615A (zh) 具有用于装载以及卸载卷筒的系统的卷筒退卷机
US2681721A (en) Wire stringing device for paper machinery
CN106715303A (zh) 用于在纸加工设备中支撑母卷轴的可展开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