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680B1 -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680B1
KR101248680B1 KR1020060083983A KR20060083983A KR101248680B1 KR 101248680 B1 KR101248680 B1 KR 101248680B1 KR 1020060083983 A KR1020060083983 A KR 1020060083983A KR 20060083983 A KR20060083983 A KR 20060083983A KR 101248680 B1 KR101248680 B1 KR 10124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lycarbonate
formula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225A (ko
Inventor
클라우스 뤼디게르
프랑크 버켈
피터 슈바르츠
위르겐 뢰너
타냐 그뤼테르-리츠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7002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6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UV 흡수 화합물을 함유한 열가소성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개선된 내후성을 나타내는 다층 물품을 비롯한 성형물 또는 압출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63326752-pat00001
(식 중, R은 4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킬기임.)
폴리카르보네이트, UV 흡수 화합물, 열가소성 조성물, 내후성

Description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NOVEL UV ABSORBERS}
EP A 0 110 221
EP A 0 320 632
본 발명은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및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제조된 성형품은 공지되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는 예를 들어 EP A 0 110 221에 공지되고, 다수의 응용분야를 위해 제조된다. 상기 시트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한 조성물을 예를 들어 압출함으로써 제조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추가로 비교적 높은 비율의 UV 흡수제를 함유한 다른 조성물과 공압출이 임의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본래 그 자체로 UV-안정적이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비스페놀 A 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의 감응도(sensitivity) 곡선은 320 ㎚ 내지 330 ㎚에서 가장 높은 감응도를 나타낸다. 300 ㎚ 이하의 임의의 태양 복사선은 거의 지구에 도달하지 않으며, 350 ㎚ 이상에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감응도가 너무 낮아서 황변(yellowing)이 더 이상 임의의 유의한 정도로 일어나지 않는다.
대기 중 UV 광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폴리카르보네이트를 보호하기 위해서, UV 광선을 흡수하여 이를 무해한 열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UV 안정화제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지속된 보호를 위해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유해한 UV 광선을 효과적으로 여과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상의 UV 보호층, 예를 들어 UV 흡수제 함유 공압출층, UV 흡수제 함유 필름 또는 UV 흡수제 함유 페인트를 사용하여 가능하다.
또 다른 매우 중요한 특성은 옥외 응용에서 UV 광선으로부터 폴리카르보네이트 제품,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의 보호이다. 이 목적을 위해, 비교적 고농도의 UV 흡수제, 통상적으로 0.5 내지 15 중량%의 UV 흡수제를 함유한 1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 두께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외층이 공압출 공정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주름진 고형 다중-벽 시트) 상에 적용된다.
EP A 0 320 632는 UV 흡수제를 함유하고 윤활제를 함유할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공압출 시트를 기재한다. 장기간의 압출로 인하여 특히 공압출의 경우에서 조성물 용융물로부터 증발에 의해 시트의 표면이 악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시트의 압출 중 반복되는 문제점은 보정(calibrating) 장치(다중-벽 시 트의 경우) 또는 롤러(고형 시트의 경우) 상에 조성물의 휘발성 성분이 침전하여 시트 상에 표면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휘발성 성분은 예를 들어 UV 흡수제, 몰드 이형제 및 조성물의 다른 저분자량 성분이다. 공압출층의 용융물로부터 UV 흡수제의 증가된 증발은 보정 장치 또는 롤러 상에 침착물의 형성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는 시트 표면 상에 결함(예를 들어, 백색 반점, 파형 등)을 형성시킨다. 또한, 보정 장치 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마모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 상에 분말 침착물을 생성한다.
사용된 통상적인 UV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스[2-히드록시-5-tert-옥틸-3-(벤조트리아졸-2-일)페닐]메탄),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 페놀 및 2-시아노-3,3-디페닐프로펜산 2,2-비스[(2-시아노-1-옥소-3,3-디페닐-2-프로페닐)옥시]-메틸-1,3-프로판디일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한편으론 보정 플레이트(다중-벽 시트 압출) 및 롤러(고형 시트 압출)를 위한 세정 간격이 가능한 큰 방식으로 기재된 다-층 제품 공압출 제조방법을 개선하고; 다른 한편으론, 제조된 다-층 제품의 내후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후성의 향상은 인위적인 에이징(ageing) 후 황변 지수(YI)의 더 적은 증가로 나타난다.
<발명의 요약>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UV 흡수 화합물 함유 열가소성 조성물이 개시된다.
Figure 112006063326752-pat00002
(식 중, R은 4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킬기임.)
상기 조성물은 개선된 내후성을 나타내는 다층 물품을 비롯한 성형물 또는 압출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놀랍게도 상기 기재된 목적은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함유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63326752-pat00003
(식 중, R은 4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킬기 임.)
R은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알킬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스-1-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각 경우에 폴리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화학식 1의 UV 흡수제 0.0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 더 특히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3.5 중량부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이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광 산란에 의해 보정된 디클로로메탄 또는 동일한 중량의 페놀/o-디클로로벤젠 혼합물 중 상대적인 용액 점도를 측정하여 결정된 18,000 내지 40,000 g/몰, 더 바람직하게는 26,000 내지 36,000 g/몰 및 특히 28,000 내지 35,000 g/몰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를 갖는다.
다-층 생성물을 제조할 때 조성물의 용융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이 적용되는 기판의 용융 점도보다 더 낮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해, 예로서 문헌["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문헌[D.C. PREVORSEK, B.T. DEBONA and Y. KESTEN, Corporate Research Center,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oristown, New Jersey 07960, "Synthesis of Poly(ester)carbonate Copolymers" in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Chemistry Edition, vol. 19, 75-90 (1980)], 문헌[D. Freitag, U. Grigo, P.R. Mueller, N. Nouvertne, BAYER AG, "Polycarbonate"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1, second edition, 1988, pp. 648-718], 및 마지막으로 문헌[Drs. U, Grigo, K. Kircher and P.R. Mueller, "Polycarbonate"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p. 117-299]이 언급된다. 바람직하게는 계면 중축합 방법 또는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방법에 의해 제조가 수행된다.
시작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화합물은 화학식 HO-Z-OH의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이며, 여기서 Z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기를 함유한 6 내지 3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2가 유기 잔기이다. 상기 화합물의 예는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인단비스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 디이소프로필벤젠의 군에 속하는 비스페놀이다.
특히 바람직한 상기 기재된 화합물의 군에 속하는 비스페놀은 비스페놀 A, 테트라알킬비스페놀 A, 4,4-(메타-페닐렌디이소프로필)디페놀(비스페놀 M), 4,4-(파라-페닐렌디이소프로필)디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BP-TMC) 및 임의로 이들의 혼합물이다. 비스페놀 A 기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단량체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기재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비스페놀 화 합물은 카르복실산 화합물, 특히 포스젠 또는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방법에서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 카르보네이트와 반응된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앞서 기재한 비스페놀,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카르복실산 등가물을 반응시켜 획득된다. 적합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3,3'- 또는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카르보네이트기 중 일부, 8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몰%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로 대체될 수 있다.
계면 중축합 방법에서 사용된 불활성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다양한 디클로로에탄 및 클로로프로판 화합물, 테트라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톨루엔이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벤젠 또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클로로벤젠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계면 중축합 반응은 촉매, 예를 들어 3급 아민, 특히 N-알킬피페리딘 또는 오늄 염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N-에틸피페리딘이 사용된다.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방법의 경우에, DE-A 42 38 123에 기재된 촉매가 사용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소량의 분지화제를 사용하여 제어된 방식으로 분지화될 수 있다. 적합한 분지화제는 플로로글루신올,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텐-2;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 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 오르소-테레프탈레이트;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α,α',α"-트리스(4-히드록시페닐)-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및 특히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및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사용된 디페놀을 기준으로 임의로 도입된 0.05 내지 2 몰%의 분지화제 또는 분지화제 혼합물이 디페놀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또한 합성의 후반부 단계에서 첨가될 수도 있다.
사슬 종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페놀, 예를 들어 페놀, 알킬페놀, 예를 들어 크레졸 및 4-tert-부틸페놀, 클로로페놀, 브로모페놀, 쿠밀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슬 종결제로서 비스페놀 1 몰당 1 내지 20 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페놀, 4-tert-부틸페놀 및 쿠밀페놀이 바람직하다.
사슬 종결제 및 분지화제는 별도로 또는 비스페놀과 함께 합성에 첨가될 수 있다.
비스페놀 A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 이트이다.
사용될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UV 흡수제의 혼입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CH2Cl2, 할로겐 알칸, 할로겐 방향족, 클로로벤젠 및 크실렌 중 플라스틱의 용액과 UV 흡수제의 용액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물질 혼합물은 압출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균질화되고; 용액 혼합물은 용매의 증발 및 후속 압출, 예를 들어 컴파운딩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통상적인 가공 보조제, 특히 다른 몰드 이형제 및 자유-유동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몰드 이형제(윤활제)는 특히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의 물질이다.
Figure 112006063326752-pat00004
(식 중, a = 0 내지 20, b = 1 내지 25, c = 10 내지 40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에 대해 통상적인 안정화제, 특히 통상적인 열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적합한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포스핀, 포스파이트 또는 Si-함유 안정화제 및 EP-A 0 500 496에 기재된 다른 화합물이다.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및 트리아릴 포스파이트가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트리페닐포스핀 및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정전기 방지제의 예는 양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4급 암모늄, 포스포늄 또는 술포늄 염, 음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형태의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카르복실레이트, 비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및 에톡시화 지방 아민이다. 바람직한 정전기 방지제는 비이온성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합성에 사용된 모든 공급 물질 및 용매는 이의 제조 및 저장으로부터 상응하는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목표는 가능한한 오염물질이 없는 시작 물질로 작업하는 것이다.
개별 성분은 공지된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및 동시에, 및 주변 온도 및 승온 모두에서 혼합될 수 있다.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장치, 예를 들어 내부 혼합기, 싱글-스크류 압출기 및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약 200 ℃ 내지 330 ℃의 온도로 중합체 펠렛을 첨가제와 혼합하거나, 용융 컴파운딩 또는 용융 압출하거나, 또는 중합체 용액을 첨가제의 용액과 혼합하고 후속으로 공지 방식으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공지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혼입된다. 조성물 내 첨가제의 비율은 넓은 한계 내에서 변경될 수 있고 성형 조성물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라 좌우된다. 조성물 내 첨가제의 총 비율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 게는 0.2 내지 12 중량%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층을 함유하는 다-층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의 한 가지 가능한 실시양태는 제1 층(A) 및 제2 층(B)를 포함하는 다-층 제품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제1 층(A)은 화학식 1에 따른 UV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제조된 UV 보호 층이고 제2 층(B)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한다. UV 보호 층(A)은 필름 또는 공압출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3층 이상의 다-층 시트로 형성되며, 외층, 즉 광원을 향하는 층 중 하나 또는 둘다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A)로 구성된다.
상기 다-층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공압출은 그 자체로 공지된다 (예를 들어 EP-A 0 110 221 및 EP-A 0 110 238 참고). 본 발명의 경우에서, 바람직한 절차는 하기와 같다:
코어 층 및 외층(들)의 제조를 위한 압출기가 공압출 어댑터에 연결된다. 어댑터는 외층(들)을 형성하는 용융물이 코어 층의 용융물에 접착하는 박층으로서 적용되도록 디자인된다.
이어서 생성된 다-층 용융물 스트랜드는 하류에 연결된 다이에서 바람직한 형태(다중-벽 또는 고형 시트)가 된다. 이어서 용융물은 캘린더링(고형 시트) 또는 진공 보정(다중-벽 시트)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제어된 조건 하에서 냉각되고 이어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다. 응력을 해소시키기 위해 컨디셔닝 오븐이 임의로 보정의 하류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이의 상류에 연결된 어댑터 대신에, 다이 자체는 또한 용융물이 다이에 수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이의 장기간 공압출 특성에서 특히 유리함이 입증되었다. 이들은 임의의 문제 없이 가공되고 제조하는 동안 보정 플레이트(다중-벽 시트 압출) 또는 롤러(고형 시트 압출) 상에 더 적은 침착물 형성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또한 풍화 시험에서 특히 유리함이 입증되었다. 이들은 제조로 획득된 제품에서 임의의 결함을 나타내지 않는다. 심지어 비교적 적은 농도의 화학식 1의 UV 흡수제를 사용하여도 공압출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의 내후성은 표준 UV 흡수제, 티누빈(Tinuvin) 360?이 사용된 경우보다 명백하게 더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임의로 다-층) 제품으로 성형물, 특히 시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예를 들어 온실, 건물 부속물, 및 버스 정류소, 광고판, 표지판, 안전 스크린, 자동차용 유리, 창, 및 지붕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코팅된 제품의 후속 처리, 예를 들어 열성형, 또는 표면 처리, 예컨대 내스크래치성 코팅, 물-확산 층 및 유사물의 적용이 가능하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
예를 들어 EP-A 0 110 238(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US 4707393)에 기재된, A-B 층 구조를 갖는 10 ㎜ 트윈-벽 시트를 하기 조성물로부터 획득하였다: 베이스 물질 B로서 마크롤론(Makrolon)? 1243 폴리카르보네이트(300 ℃ 및 1.2 ㎏ 하중에서 6.5 g/10 분의 ISO 1133에 따른 용융 유동 지수(MFR)를 갖는 레버쿠젠 소재 바이엘 아게(Bayer AG)의 분지형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였다. 이를 표 1에 주어진 마크롤론? 3108 폴리카르보네이트(300 ℃ 및 1.2 ㎏ 하중에서 6.5 g/10 분의 ISO 1133에 따른 용융 유동 지수(MFR)를 갖는 레버쿠젠 소재 바이엘 아게의 선형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화합물과 공압출하였다. 각 경우 공압출된 층의 두께는 약 50 ㎛이었다.
상기 UV 흡수제 이외에, 모든 실시예는 0.25%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시판 PETS, 독일 뒤셀도르프 소재 코그니스(Cognis)의 록시올(Loxiol)? VPG 861 가소제)를 함유한다.
Figure 112006063326752-pat00005
<화학식 1b>
시바(Ciba) CGX UVA 006?
Figure 112006063326752-pat00006
다-층 다중-벽 시트 제조에 사용되는 기계 및 기구는 하기에 기재된다.
장치는
- 환기되는, 33 D 길이 및 70 ㎜ 직경의 스크류를 갖는 주 압출기
- 공압출기 어댑터(피드블록(feedblock) 시스템)
- 외층에 적용하기 위한 25 D 길이 및 30 ㎜ 직경의 스크류를 갖는 공압출기
- 350 ㎜ 너비의 특수 시트 다이
- 보정 장치
- 롤러 테이블
- 테이크-오프 장치
- 절단 장치(톱)
- 스태킹 테이블
로 구성된다.
주 압출기의 공급 호퍼로 베이스 물질 폴리카르보네이트 펠렛을 공급하고 공압출기의 공급 호퍼로 UV 공압출 물질을 공급하였다. 상기 물질을 용융시켜 각 배럴/스크류 가소 시스템에 전달하였다. 공압출기 어댑터에서 두 가지 물질 용융물이 합쳐지고, 다이를 떠나 보정 장치에서 냉각된 후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나머지 장치는 압출된 시트를 수송, 절단 및 스태킹한다.
공압출 특성의 평가
A를 사용한 공압출 :
- 5 시간 후 보정 플레이트 상에 침착물 형성이 적음
- 5 시간 후 유의하지 않은 손상과 매우 낮은 횡 파형
- 평점: 매우 우수
B를 사용한 공압출 :
- 5 시간 후 보정 플레이트 상에 침착물 형성이 적음
- 5 시간 후 유의하지 않은 손상과 매우 낮은 횡 파형
- 평점: 매우 우수
C를 사용한 공압출 :
- 5 시간 후 보정 플레이트 상에 침착물 형성이 적음
- 5 시간 후 유의하지 않은 손상과 매우 낮은 횡 파형
- 평점: 매우 우수
D를 사용한 공압출 :
- 5 시간 후 보정 플레이트 상에 매우 두꺼운 침착물 형성, 단지 45 분 후 보정 플레이트 상에 침착물 형성
- 2 시간 후 시트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발생한 횡 파형
- 평점: 불량
E를 사용한 공압출 :
- 5 시간 후 보정 플레이트 상에 침착물 형성
- 5 시간 시험 기간에 걸쳐 시트 품질에 약간의 악영향을 미치는 횡 파형의 증가
- 평점: 보통
F를 사용한 공압출 :
- 5 시간 후 보정 플레이트 상에 침착물 형성
- 5 시간 시험 기간에 걸쳐 시트 품질에 약간의 악영향을 미치는 횡 파형의 증가
- 평점: 보통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시트 A 내지 F의 풍화는 340 ㎚에서 0.5 W/㎡의 조사 강도 및 102:18 분의 건조/분무 사이클로 아틀라스 Ci(Atlas Ci) 65 A 내후성측정기(Weatherometer)에서 수행되었다. 흑색 패널 온도는 65 ℃이고, 샘플 챔버 온도는 42 ℃이며 상대 습도는 65 ± 5 %이다.
풍화 기간의 함수로서 황변 지수의 변화(ΔYI)가 하기 표 2에 제시된다.
Figure 112006063326752-pat00007
실시예 A 내지 F는 표준 티누빈 360?에 비해서 화학식 1의 UV 흡수제 함유 UV 배치(batch)가 유의하게 더 쉽게 가공되고 개선된 광학 품질의 다중-벽 시트가 제조된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티누빈 360? 함유 UV 배치에 비해 보정 플레이트 상의 침착물 형성이 명백히 감소된다. 이것은 실시예 F와 실시예 A를 비교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풍화 시험에서 특히 유리함이 입증되었다. 공압출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의 풍화 안정성은 심지어 비교적 적은 농도의 화학식 1의 UV 흡수제를 사용할 경우에도 명백하게 표준 UV 흡수제 티누빈 360?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은 설명을 목적으로 앞서 상세하게 기재되지만, 이와 같은 상세설명 이 단지 상기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4)

  1.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단일 UV 흡수제로 폴리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2.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04175825-pat00008
    (식 중, R은 2-에틸헥실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폴리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25 중량부로 존재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폴리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로 존재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열 안정화제 10 내지 3000 ppm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열 안정화제가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포스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윤활제 200 내지 3000 ppm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에 따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인 조성물.
    Figure 112013004175825-pat00009
    (식 중, a = 0 내지 20, b = 1 내지 25, c = 10 내지 40임.)
  8. 폴리카르보네이트,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200 내지 3000 ppm의 윤활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04175825-pat00010
    (식 중, R은 2-에틸헥실임.)
  9. 제8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에 따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인 조성물.
    Figure 112013004175825-pat00011
    (식 중, a = 0 내지 20, b = 1 내지 25, c = 10 내지 40임.)
  10. 제1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성형품.
  11. 제1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12. 제11항에 있어서, 3 이상의 층을 함유하는 다층 시트의 형태이며, 하나 이상의 외층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단일 UV 흡수제로 폴리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2.5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인 성형품.
    [화학식 1]
    Figure 112013004175825-pat00012
    (식 중, R은 2-에틸헥실임.)
  13. 제10항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UV 흡수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A) 및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층(B)을 포함하는 성형품.
    [화학식 1]
    Figure 112013004175825-pat00013
    (식 중, R은 2-에틸헥실임.)
  14. 제10항에 있어서, 유리, 온실, 건물 부속물, 버스 정류소, 광고판, 표지판, 안전 스크린, 자동차용 유리, 창, 지붕재, 고형 시트, 주름진 시트, 다중-벽 시트 및 다중-벽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성형품.
KR1020060083983A 2005-09-03 2006-09-01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 KR101248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1952.6 2005-09-03
DE200510041952 DE102005041952A1 (de) 2005-09-03 2005-09-03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Polycarbonat und neuartige UV-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25A KR20070026225A (ko) 2007-03-08
KR101248680B1 true KR101248680B1 (ko) 2013-03-29

Family

ID=3739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983A KR101248680B1 (ko) 2005-09-03 2006-09-01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52082B2 (ko)
EP (1) EP1762591B1 (ko)
JP (1) JP5295489B2 (ko)
KR (1) KR101248680B1 (ko)
CN (1) CN1923893B (ko)
CA (1) CA2558119C (ko)
DE (1) DE102005041952A1 (ko)
ES (1) ES2647104T3 (ko)
IL (1) IL177797A (ko)
MX (1) MXPA06009789A (ko)
PL (1) PL1762591T3 (ko)
PT (1) PT1762591T (ko)
RU (1) RU2415161C2 (ko)
TW (1) TWI453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1070A1 (de) * 2007-03-07 2008-09-11 Bayer Materialscience Ag Erzeugnis mit verbesserter Lackhaftung
DE102007011069A1 (de) * 2007-03-07 2008-09-11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carbonatzusammensetzung enthaltend UV-Absorber
DE102007017936A1 (de) * 2007-04-13 2008-10-16 Bayer Materialscience Ag Erzeugnisse mit verbesserter Flammwidrigkeit
WO2009071475A1 (en) * 2007-12-03 2009-06-11 Basf Se Crystalline form of 2-(4,6-bis-biphenyl-4-yl-1,3,5-triazin-2-yl)-5-(2-ethyl-(n)-hexyloxy)phenol
JP5230363B2 (ja) * 2008-11-05 2013-07-10 株式会社日本触媒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DE102009019493B4 (de) * 2009-05-04 2013-02-07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Polar lösliche UV-Absorber
DE102009043511A1 (de) * 2009-09-30 2011-03-31 Bayer Materialscience Ag UV-stabile Polycarbonat-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AU2012270055A1 (en) 2011-06-17 2013-11-07 Colormatrix Holdings, Inc. Polymeric materials
WO2015017564A1 (en) * 2013-07-31 2015-02-0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kiln dust and wollastonite and methods of use in subterranean formations
JPWO2020203956A1 (ko) * 2019-03-29 2020-10-08
EP3910015A4 (en) 2019-12-04 2022-05-04 LG Chem, Ltd.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OPTICAL PRODUCT MAD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0745A (en) * 1994-07-01 1996-01-10 Ciba Geigy Ag Coextruded stabilised laminated thermolastics
JPH11503112A (ja) * 1995-03-15 1999-03-23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安定剤としてのビフェニル基で置換されたトリアジン
WO2004031294A1 (en) * 2002-10-02 2004-04-15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Synergistic uv absorber combination
US20050031855A1 (en) * 2003-07-25 2005-02-10 Helmut-Werner Heuer Polyformals as a coextrusion protective layer on polycarbonat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33007U1 (de) 1982-11-25 1983-03-24 Röhm GmbH, 6100 Darmstadt Polycarbonat-kunststofftafel
DE3244953C2 (de) 1982-12-04 1984-11-29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ohlkammerkunststofftafel
DE3739765A1 (de) 1987-11-24 1989-06-08 Bayer Ag Beschichtete formkoerper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6255483B1 (en) * 1995-03-15 2001-07-03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Biphenyl-substituted triazines
US5726309A (en) * 1996-08-27 1998-03-10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Tris-aryls-triazines substituted with biphenylyl groups
DE19739781A1 (de) * 1996-09-13 1998-03-19 Ciba Geigy Ag Hydroxyphenyltriazine
BE1012529A3 (fr) * 1996-09-13 2000-12-05 Ciba Sc Holding Ag Melange de triaryltriazines et son utilisation pour la stabilisation de materiaux organiques.
JP4094164B2 (ja) * 1999-03-16 2008-06-0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製波板
US6265072B1 (en) * 1999-04-27 2001-07-24 Eastman Chemical Company UV-stabilized polymeric structures
JP4211136B2 (ja) * 1999-05-12 2009-01-2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透明複層樹脂積層体
DE10028412A1 (de) * 2000-06-08 2001-12-13 Bayer Ag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Polycarbonat
CO5231248A1 (es) * 2000-07-26 2002-12-27 Ciba Sc Holding Ag Articulos transparentes de polimero de baja consistencia
US6811841B1 (en) * 2003-04-15 2004-1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stable structures
MY149850A (en) * 2003-09-29 2013-10-31 Ciba Holding Inc Stabilization of photochromic systems
EP1687375B1 (de) * 2003-11-18 2009-10-07 Bayer MaterialScience AG Homogen durchgefärbte, bewitterungsstabile zusammensetzungen auf basis schlazähmodifizierter polyakylenterephthalat/polycarbonat blends
US8661420B2 (en) * 2004-08-03 2014-02-2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untime interface versio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0745A (en) * 1994-07-01 1996-01-10 Ciba Geigy Ag Coextruded stabilised laminated thermolastics
JPH11503112A (ja) * 1995-03-15 1999-03-23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安定剤としてのビフェニル基で置換されたトリアジン
WO2004031294A1 (en) * 2002-10-02 2004-04-15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Synergistic uv absorber combination
US20050031855A1 (en) * 2003-07-25 2005-02-10 Helmut-Werner Heuer Polyformals as a coextrusion protective layer on polycarbo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41952A1 (de) 2007-03-08
RU2006131446A (ru) 2008-03-10
TW200728376A (en) 2007-08-01
PL1762591T3 (pl) 2018-01-31
IL177797A0 (en) 2006-12-31
MXPA06009789A (es) 2007-03-02
JP2007070630A (ja) 2007-03-22
CA2558119C (en) 2014-10-28
TWI453242B (zh) 2014-09-21
ES2647104T3 (es) 2017-12-19
PT1762591T (pt) 2017-11-15
KR20070026225A (ko) 2007-03-08
EP1762591B1 (de) 2017-08-09
IL177797A (en) 2013-08-29
US20070054991A1 (en) 2007-03-08
CA2558119A1 (en) 2007-03-03
RU2415161C2 (ru) 2011-03-27
EP1762591A1 (de) 2007-03-14
US7652082B2 (en) 2010-01-26
JP5295489B2 (ja) 2013-09-18
CN1923893B (zh) 2013-04-24
CN1923893A (zh)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680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
KR100658548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97328B1 (ko)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40068181A (ko) 다층 생성물
AU774115B2 (en) Polycarbonate moulding compounds
KR100684225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
US6713181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KR100792093B1 (ko) 열가소성 합성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