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249B1 - 치과용품 - Google Patents

치과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249B1
KR101248249B1 KR1020120124982A KR20120124982A KR101248249B1 KR 101248249 B1 KR101248249 B1 KR 101248249B1 KR 1020120124982 A KR1020120124982 A KR 1020120124982A KR 20120124982 A KR20120124982 A KR 20120124982A KR 101248249 B1 KR101248249 B1 KR 10124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arboxy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licyclic diamine
acid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탁규
전광수
곽한호
채홍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249B1/ko
Priority to PCT/KR2013/009885 priority patent/WO20140738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용 의치(denture), 국소의치, 마우스피스, 스플린트(splint), 나이트 가드(night guard)(마우스 가드) 등의 치과용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치 등에 있어서 잇몸에 탈착하는 부분인 의치상(denture base) 등의 물성이 개선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착용감이 좋고, 피로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미적 외관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치과용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품{Dental products}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용 의치(denture), 국소의치, 마우스피스, 스플린트(splint), 나이트 가드(night guard)(마우스 가드) 등의 치과용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치 등에 있어서 잇몸에 탈착하는 부분인 의치상(denture base) 등의 물성이 개선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착용감이 좋고, 피로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미적 외관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치과용품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품으로서 의치가 처음 등장한 1930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기능적인 의치, 이와 유사한 국소의치, 스플린트, 나이트 가드(마우스 가드) 등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고분자를 상기 의치 등의 의치상 등에 적용하면서, 더욱 강하고 가벼우며 사용이 간편화된 의치 등을 개발하여 상용화하고 있다.
종래 상기 의치상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고분자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고분자들은 분자의 중합시 고온에서 부피가 팽창되었다가 중합 후 온도가 내려가면 팽창되었던 전체부피가 다시 회복하려는 성질 때문에 전체 체적의 수축현상을 동반하게 되고 이를 '중합수축'이라 한다. 상기 중합수축 현상은 사용되고 있는 의치의 의치상 등과 환자의 구강과의 불일치를 야기하며, 이는 환자의 고통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의치상 등은 환자의 치아 및/또는 잇몸에 고정시 충분한 탄성력으로 그 강도를 유지해야 하고, 사용에 따라 치아 및/또는 잇몸에 반복적으로 탈착될 때 그 탄성과 강성을 유지해야 하는 특성, 즉 피로강도(fatigue strength)가 우수해야 하며, 사용시 떨어뜨리는 등에 의한 외부충격이 가해질 때 깨어지지 않는 특성, 즉 내충격성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상기 의치상 등은 인접한 치아 사이를 형성하는 얇은 박육부를 다수 포함하므로, 상기 내충격성 확보가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상기 의치상 등의 소재로 사용되어 온 고분자들은 상기 피로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불충분하다.
한편, 상기 의치상 등의 소재인 고분자들의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금속 보강재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금속 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제품의 외적 심미감 및 상품성을 현저히 떨어뜨려 적절하지 않다. 또한, 상기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가교 형태의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탄성이 현저히 떨어져 착용감 등의 저하 및 착용시 환자의 고통을 유발하여 적절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결정형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수축률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소재 자체가 불투명해져 미적 외관이 요구되는 의치상 등의 소재로 사용하기엔 부적절하다.
나아가, 상기 의치상 등은 표면이 실제 잇몸과 같은 매끄러운 촉감을 갖도록 연삭, 연마, 폴리싱(polishing) 등의 표면 가공을 필수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종래 상기 의치상 등의 소재로 사용되어 온 결정형 고분자들은 연삭, 폴리싱 등의 가공시 표면에 스크래치, 보플 등이 발생하여 최종 완제품을 만드는데 가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는 제조비용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수축률 및 비중이 낮아 환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피로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하면서 목적한 다양한 색채를 갖는 등 미적 외관을 가지며,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이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한, 의치, 국소의치, 마우스피스, 스플린트, 나이트 가드(마우스 가드) 등의 치과용품 재료,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상기 치과용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의치 등의 치과용품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 및/또는 잇몸에 탈착되는 부분, 예를 들어, 의치의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의 수축률 및 비중이 낮아 환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의치 등의 치과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치 등의 치과용품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재료의 피로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의치 등의 치과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의치 등의 치과용품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 및/또는 잇몸에 탈착되는 부분, 예를 들어, 의치의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가 투명하면서 목적한 다양한 색채를 갖는 등 미적 외관을 갖는 의치 등의 치과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이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한 의치 등의 치과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의 치아 및/또는 잇몸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갖는 치과용품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지환족 디아민의 중축합으로 형성되는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를 기재 수지로 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탄소수 17 내지 18의 디카르복실산이고, 상기 지환족 디아민은 디알킬-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알칸, 비스(아미노-사이클로헥실)알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옥타데칸이산이고, 상기 지환족 디아민은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상기 지환족 디아민의 총 몰 수를 기준으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함량은 30 내지 70 몰%이고, 상기 지환족 디아민의 함량은 70 내지 30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상기 지환족 디아민의 총 몰 수를 기준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25 내지 45 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t-부틸이소프탈산, 1,1,3-트리메틸-3-페닐인단-4',5-디카르복실산,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안정화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연화제, 내충격재, 강화재, 충전재, 형광 증백제, 윤활제, 함입 감소제, 중축합 촉매, 소포제,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한편, 의치, 국소의치, 마우스피스, 스플린트(splint) 또는 나이트 가드(night guard)(마우스 가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치 등의 치과용품은 환자의 치아 및/또는 잇몸에 탈착되는 부분, 예를 들어, 의치의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로서 수축률 및 비중이 종래의 치과용품 등에 사용되어 온 다른 고분자에 비해 낮은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환자가 더욱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치 등의 치과용품은 치아 및/또는 잇몸에 탈착되는 부분, 예를 들어, 의치의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로서 피로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제품의 외관상 심미감을 손상시키는 금속 보강재 등의 사용을 피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의치 등의 치과용품은 치아 및/또는 잇몸에 탈착되는 부분, 예를 들어, 의치의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로서 투명하고 착색이 용이한 비결정형(무정형) 고분자를 채택함으로써 뛰어난 미적 외관을 갖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의치 등의 치과용품은 치아 및/또는 잇몸에 탈착되는 부분, 예를 들어, 의치의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로서 폴리싱 등의 표면 가공 작업이 용이하고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이로써 제조비용이 저렴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결정형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치아 및/또는 잇몸 탈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품의 연삭 가공후의 SEM(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결정형 나일론12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치아 및/또는 잇몸 탈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품의 연삭 가공후의 SEM(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결정형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치아 및/또는 잇몸 탈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품의 폴리싱 가공후의 SEM(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결정형 나일론12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치아 및/또는 잇몸 탈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품의 폴리싱 가공후의 SEM(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치 등의 치과용품은 치아 및/또는 잇몸에 탈착되는 부분, 예를 들어, 의치의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를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서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를 사용한다.
상기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지환족 디아민의 중축합(polycondensa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환족 디아민은 디알킬-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알칸, 바람직하게는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MACM), 비스(아미노-사이클로헥실)알칸, 바람직하게는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환족 디아민은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MACM)이다.
한편,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탄소수 17 내지 21의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와 성질은 문헌(참조: Empol Dimer-Polybasic Acids Techn. Bull. 11; Henkel-Emery/Gouda(NL))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의 옥타데칸이산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상기 지환족 디아민과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전체 몰합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상기 지환족 디아민과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전체 몰 수를 기준으로 25 내지 45 몰%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t-부틸이소프탈산, 1,1,3-트리메틸-3-페닐인단-4',5-디카르복실산,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 수지인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는 상기 단량체 이외에 폴리아미드 제조시 사용되는 일반적인 단량체, 벤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같은 모노카르복실산; 스테아릴아민 같은 모노아민; 디카르복실산; 디아민; 트리아세톤 디아민, 이소프탈산-디트리아세톤 디아민, 이들의 유도체; m-크실리덴디아민, p-크실리덴디아민; 탄소수 4 내지 14의 아미노산, 락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는 상기 기재 수지 이외에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경우 가교제, 광변색성 착색제는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서 열안정화제(예를 들어, IRGANOX 1098 또는 IRGANOX 1010), UV 안정화제(예를 들어, TINUVIN 312 또는 770, 또는 NYLOSTAB SEED) 같은 안정화제, 난연제(flameretardant),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 연화제(softner), 내충격재(impact modifier), 강화재(reinforcing material), 충전재, 바람직하게는, 나노스케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충전재, 형광 증백제(optical brighter)(예를 들어, TINOPAL DMSX 또는 UNIVEX OB), 윤활제 또는 함입감소제(inclusion reducer)(예를 들어, VERSAPOL), 중축합 촉매(예를 들어, H3PO2, H3PO3, H3PO4), 소포제(defoamer)(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첨가제는 상기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5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는 종래의 의치상 등의 소재로 사용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에 비해 수축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비중이 1로서 상기 PMMA 1.19, PC 1.20, PET 1.38에 비해 낮아 완제품이 가볍기 때문에, 환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는 상기 PMMA, PC, PET 등에 비해 피로강도,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결정형(무정형)으로서 투명도가 높으며 목적한 착색이 용이한 등 심미감이 뛰어난 외관을 갖는 의치 등의 치과용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결정형 고분자 등은 의치의 의치상 제조시 필수 공정인 표면 폴리싱(polishing) 등의 공정에서 보플이 발생하는 등 완제품을 만드는데 평균 2 시간의 가공시간을 요하나, 상기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의 경우 단 30분만에 폴리싱 공정을 완료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상기 기재 수지인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는 수용 용기(receiving vessel)와 반응 용기(reaction vessel)가 구비된 공지된 교반가능 압력압열 멸균기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이온수(deionised water)를 상기 수용 용기에 넣고 상기 지환족 디아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의 단량체와 상기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은 질소로 수회 비활성화시키며, 교반하면서 조정 압력(adjusting pressure) 하에 180 내지 230℃로 가열하여 균질성 용액을 수득한다. 그 후, 상기 수득 용액을 체를 통하여 상기 반응 용기 내로 주입하고, 최대 30 bar의 압력하에서 270 내지 310℃의 목적한 반응 온도로 가열하며, 2 내지 4시간 동안 가압가열을 유지한 다음, 압력을 1 내지 2 시간 이내에 대기압으로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270 내지 340℃의 온도에서 0.5 내지 1 시간 동안 대기압으로 유지시킨 후, 중합체 용융물을 가닥 형태로 방출하고, 수조 내에서 15 내지 80℃에서 냉각시켜, 고체 분말 형태로 수득한다. 상기 고체 분말은 0.06 중량% 미만의 수분함량을 가질 때까지 수소하에서 그리고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이로써, 상기 기재 수지인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의치상 등을 이루는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의치 등의 치과용품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치상 등을 이루는 고체 분말 형태의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한 뒤, 이를 환자의 구강구조를 본 떠 만든 석고 플라스크 등의 내부로 주입한 후 냉각/경화시키거나 경화 후 연삭을 통해 환자의 구강구조와 일치하는 형상을 제작 후 폴리싱 등의 가공을 수행하여 상기 의치상 등을 제조할 수 있고, 접착제 등을 이용해 상기 제조된 의치상 등에 의치용 치아를 고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목적한 의치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130ℓ의 압력압열 멸균기의 수용 플라스크 내에 탈이온수 19.24 ㎏을 주입하고, 지환족 디아민으로서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MACM) 0.10 ㎏,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옥타데칸이산 39.81 ㎏, 벤조산 0.10 ㎏, H3PO2 15.5 ㎏을 첨가했다.
10회 불활성화 이후, 230℃로 가열하고, 균질성 용액은 체를 통하여 반응 용기 내로 주입했다. 그 후, 교반하면서 295℃로 가열하고, 20 bar에서 4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1.5 시간 내에 대기압으로 감압하며, 40분 동안 탈기시켰다.
중합체 용융물을 방출하고, 65℃의 수조 내에서 냉각시켜, 고체 분말 형태로 수득했다. 상기 분말은 수분 함량이 0.06 중량% 미만이 되도록 수소하에서 그리고 100℃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최종 생성물인 의치상용 조성물(실시예 1)을 고체 분말 형태로 수득했고, 핫 프레스(hot press)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의 시편을 제조했다.
비교예 1 내지 3은 각각 아래와 같은 수지 조성물로부터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의 시편을 제조했다.
비교예 1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조성물(제조사 : 엘지엠엠에이; 제품명 : HP202)
비교예 2 :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제조사 : 엘지화학; 제품명 : LUPOY PC 1201-22)
비교예 3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제조사 : 호남석유화학; 제품명 : TB-180)
2. 물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의치상용 조성물로부터 각각 제조된 시편은 아래 표 1에 나타난 규격에 따라 인장강도, 인장신율, 파단강도, 파단신율,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충격강도, 수축률을 측정했다.
구분 규격 단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인장강도 ISO527


MPa 60 75 62 72
인장신율 % 7.7 3.7 5.9 4.8
파단강도 MPa 63 75 65 72
파단신율 % 133 3.7 103 4.3
굴곡강도 ISO178
MPa 78 67 95 120
굴곡탄성률 MPa 1550 3100 2200 2800
충격강도 ISO179 kJ/㎡ 10.5 1.6 12.8 2.5
수축률
(수직방향)
ISO294-4 % 0.76 0.6 0.7 1.6
투명도 % 94 92 89 8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및 2(폴리카보네이트, PC)에 따른 각각의 조성물은 강도는 양호하나, 이로 인해 굴곡탄성률이 각각 3100 MPa와 2200 MPa로 본 발명에 따른 의치상용 조성물인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굴곡탄성률인 1550 MPa에 비해 매우 높아 유연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아 및/또는 잇몸에 반복적으로 탈착되는 의치상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조성물은 유연성이 좋아야 소비자가 편리하게 의치 등을 탈착할 수 있으므로, 유연성이 낮은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조성물은 의치상용 조성물로서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비교예 3(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에 따른 조성물은 수축률이 1.6%로 본 발명에 따른 의치상용 조성물인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수축률인 0.76%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아 및/또는 잇몸에 반복적으로 탈착되는 의치상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조성물은 수축률이 낮아야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느 의치상 등을 포함하는 치과용품이 사용될 때 상기 의치상 등과 환자의 구강구조와의 일치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수축률이 높아 환자의 구강구조와의 불일치를 유발할 수 있는 비교예 3에 따른 조성물은 의치상용 조성물로서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비교예 1(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및 3(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에 따른 각각의 조성물은 충격강도가 각각 1.6 kJ/㎡ 및 2.5 kJ/㎡로 본 발명에 따른 의치상용 조성물인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충격강도인 10.5 kJ/㎡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치상 등은 충격강도가 낮은 경우 소비자의 부주위로 떨어져 깨질 수 있고, 수리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충격강도가 낮은 비교예 1 및 3에 따른 조성물은 의치상용 조성물로서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치상용 조성물인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은 서로 상충되는 물성인 강도와 유연성이 모두 의치상용 조성물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수축률이 낮아 이로부터 제조되는 의치상과 환자의 구강구조와의 불일치를 회피할 수 있으며, 충격강도가 높아 이로부터 제조되는 의치상 및 이를 포함하는 의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의치상 등의 소재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로부터 두께 0.40mm의 시트를 제조한 후 UV UV visible spectro-photometer(제조사 : (주)매카시스, 한국)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투과율 측정 파장인 660nm에서 각각의 광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치상용 조성물은 우수한 투명도를 가지므로, 이로부터 투명한 미적 외관을 갖는 의치 등의 치과용품을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3. 가공성 평가
실시예 1에 따르는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 및 비교예 4에 따르는 결정형 나일론 12(제조사 : Valplast)를 포함하는 조성물 각각의 용융/경화에 의해 수득된 고형물을 연삭함으로써, 의치상의 형상으로 가공한 후, 폴리싱을 통해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연삭 공정 개시 1분 후 및 폴리싱 공정 개시 1분 후 각각의 SEM(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연삭 공정 개시 1분 후 실시예 1에 따르는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의치상의 부분 표면 SEM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서, 보풀 등이 발견되지 않았고 단지 미세한 표면 스크래치가 관찰되는 반면, 도 2는 연삭 공정 개시 1분 후 비교예 4에 따르는 결정형 나일론 12(제조사 : Valplast)로부터 제조된 의치상의 부분 표면 SEM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서, 다수의 보풀 및 스크래치가 발견되었다.
또한, 도 3은 폴리싱 공정 개시 1분 후 실시예 1에 따르는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의치상의 부분 표면 SEM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서, 연삭 공정시 발생한 스크래치가 모두 사라진 것으로 관찰되는 반면, 도 4는 폴리싱 공정 개시 1분 후 비교예 4에 따르는 결정형 나일론 12(제조사 : Valplast)로부터 제조된 의치상의 부분 표면 SEM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서, 연삭 공정시 발생한 스크래치가 사라지지 않았고 심지어 작은 보풀도 발견되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결정형(무정형)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의치상 등은 연삭, 폴리싱 가공시 표면 보풀,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지 않거나 최소화됨으로써 종래 결정형 나일론 12로부터 제조된 의치상 등에 비해 가공성이 탁월한 것으로 증명되었고, 이로써 상기 연삭, 폴리싱 등의 가공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제조비용의 절감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9)

  1. 인간 또는 동물의 치아, 잇몸 또는 이들 모두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갖는 치과용품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탄소수 17 내지 18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알킬-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알칸, 비스(아미노-사이클로헥실)알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지환족 디아민의 중축합으로 형성되는 비결정형 폴리아미드를 기재 수지로 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옥타데칸이산이고, 상기 지환족 디아민은 비스(3-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상기 지환족 디아민의 총 몰 수를 기준으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함량은 30 내지 70 몰%이고, 상기 지환족 디아민의 함량은 70 내지 30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상기 지환족 디아민의 총 몰 수를 기준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25 내지 45 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t-부틸이소프탈산, 1,1,3-트리메틸-3-페닐인단-4',5-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정화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연화제, 내충격재, 강화재, 충전재, 형광 증백제, 윤활제, 함입 감소제, 중축합 촉매, 소포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의치, 국소의치, 마우스피스, 스플린트(splint) 또는 나이트 가드(night guard)(마우스 가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9. 제8항에 있어서,
    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품.
KR1020120124982A 2012-11-06 2012-11-06 치과용품 KR10124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82A KR101248249B1 (ko) 2012-11-06 2012-11-06 치과용품
PCT/KR2013/009885 WO2014073824A1 (ko) 2012-11-06 2013-11-04 치과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982A KR101248249B1 (ko) 2012-11-06 2012-11-06 치과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249B1 true KR101248249B1 (ko) 2013-03-27

Family

ID=4818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982A KR101248249B1 (ko) 2012-11-06 2012-11-06 치과용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8249B1 (ko)
WO (1) WO20140738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064B1 (ko) 2014-02-28 2015-09-07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치과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4869B (zh) * 2021-10-09 2023-04-14 上海恺皓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聚合物膜片及牙科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8398B2 (ja) 1995-02-01 1998-10-30 エムス−インヴエンタ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無色透明の非晶質ポリアミドおよびその成形品
WO2001008638A1 (en) * 1999-07-28 2001-02-08 Dentsply International Inc. Dental product, kit, system and method
JP2005325362A (ja) * 2004-05-14 2005-11-24 Arkema ジアミンとテトラデカンジオイック酸とをベースにした透明な非晶質ポリアミド
JP2009520853A (ja) 2005-12-23 2009-05-28 エーエムエス−ヒェミ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架橋性ポリアミド成形配合物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7911B1 (en) * 1995-02-01 2001-08-21 Ems Inventa Ag Transparent, colorless, amorphous copolyamides and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WO2012020810A1 (ja) * 2010-08-12 2012-02-16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ポリアミド製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8398B2 (ja) 1995-02-01 1998-10-30 エムス−インヴエンタ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無色透明の非晶質ポリアミドおよびその成形品
WO2001008638A1 (en) * 1999-07-28 2001-02-08 Dentsply International Inc. Dental product, kit, system and method
JP2005325362A (ja) * 2004-05-14 2005-11-24 Arkema ジアミンとテトラデカンジオイック酸とをベースにした透明な非晶質ポリアミド
JP2009520853A (ja) 2005-12-23 2009-05-28 エーエムエス−ヒェミ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架橋性ポリアミド成形配合物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成形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064B1 (ko) 2014-02-28 2015-09-07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치과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3824A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33805T1 (de)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transparenten, heissdampfsterilisierbaren formteilen und extrudaten
JP4015370B2 (ja) 耐応力き裂性を改善した無色の高透明性ポリアミドブレンド
Kohli et al. Polyamides in dentistry
KR101402829B1 (ko) 투명한 무정형 폴리아마이드 몰딩 화합물 및 이의 용도
JP5892518B2 (ja) 歯科用成形体
JP2009011621A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
TW201410741A (zh) 透明聚醯胺-醯亞胺
US11359091B2 (en) Polyamide molding compound
JP3488704B2 (ja) 歯科用成形体
KR101248249B1 (ko) 치과용품
US8933167B2 (en) Polyamide and polyamide composition
JP2006504833A (ja) ポリアミド成形材料、それから製造可能な成形品およびその用途
JP2022046525A (ja) Pebaベースの組成物、及び耐疲労性の透明な物体を製造するための、該組成物の使用
JP5844627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Polychronakis et al. The influence of thermocycling on the flexural strength of a polyamide denture base material
JP2022043041A (ja) Pebaベースの組成物、及び耐疲労性の透明な物体を製造するための、該組成物の使用
KR101551064B1 (ko) 치과용품
JPH1180542A (ja) 耐衝撃性を有する透明ポリアミドアロイ
US9403942B2 (en) Transparent, amorphous polyamide moulding compounds and use thereof
WO2020092761A1 (en) Clear polyamide resins, articles, and methods
JP2020158395A (ja) 歯科用成形体及び歯科用樹脂材料
JP2005060353A (ja) 歯科用成形体及び歯科用樹脂材料
KR20220131567A (ko) 3d 프린트용 필라멘트
BRANCH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TAMILNADU Dr. MGR MEDIC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DENTAL SURGERY
WO2023183553A1 (en) Filament containing a biobased polyamide (pa) polymer and its use for additive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