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106B1 -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 Google Patents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106B1
KR101248106B1 KR1020110050878A KR20110050878A KR101248106B1 KR 101248106 B1 KR101248106 B1 KR 101248106B1 KR 1020110050878 A KR1020110050878 A KR 1020110050878A KR 20110050878 A KR20110050878 A KR 20110050878A KR 101248106 B1 KR101248106 B1 KR 101248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capacitance
unit
group connec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195A (ko
Inventor
홍보현
Original Assignee
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10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안정기의 공진용 인덕터를 거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되는 방전식 형광램프 구동용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에 접속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된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접속되며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1차 코일에 인가된 전력을 2차 코일로 유기되게 커플링시키는 트랜스 포머와, 공진용 인덕터에 대응한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선택조정할 수 있게 상호 다른 커패시턴스를 갖는 다수의 커패시터가 1차 코일의 일단과 접속되고 1차 코일의 타단과는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된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와, 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을 통해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는 메인 정류부를 구비하고,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메인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메인 정류부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이러한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에 의하면, 형광등기구에 장착된 안정기의 공진용 인덕터에 따라 적절한 커패시턴스를 조정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 구동용 직류 전원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발광 효율 및 구동조건을 최적화 할 수 있고, 상호 다른 형광등 기구의 안정기에 대해서도 적용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LED lamp unit}
본 발명은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형광등 기구에 마련된 접속단에 접속하여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된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형광등 기구는 방전에 의해 발광되는 형광램프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안정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안정기는 크게 자기식 방식과 전자식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재는 대부분 전자식 안정기가 적용되어 있다.
통상적인 전자식 안정기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고, 하프 브리지 방식에 의해 스위치 소자를 교대로 스위칭 하면서 공진용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통해 고주파 공진 전원을 형광램프의 접속단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형광램프에 비해 수명 및 전력절감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은 발광다이오드를 형광램프 대신 적용하는 엘이디 형광램프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엘이디 형광램프는 직류 전원에 의해 동작되기 때문에 기존의 형광등기구의 접속단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엘이디 형광램프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그런데, 기존의 전자식 안정기가 적용된 형광등 기구의 접속단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단순히 정류하여 발광다이오드에 인가하는 경우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모듈에 적합한 전압 및 전류가 도통되게 하기 위해서는 공진용 인덕터에 대응한 공진용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자식 안정기의 경우 적용되는 형광램프의 와트수 및 제조사에 따라 공진용 인덕터 및 커패시터의 사양이 제각각이므로 각 전자식 안정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형광등 기구의 접속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대해 발광다이오드모듈의 구동조건에 저합한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조정할 수 있는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는 전자식 안정기의 공진용 인덕터를 거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되는 방전식 형광램프 구동용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에 접속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된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1차 코일에 인가된 전력을 2차 코일로 유기되게 커플링시키는 트랜스 포머와; 상기 공진용 인덕터에 대응한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선택조정할 수 있게 상호 다른 커패시턴스를 갖는 다수의 커패시터가 상기 1차 코일의 일단과 접속되고 상기 1차 코일의 타단과는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된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을 통해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는 메인 정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메인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정류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는 사용자가 상기 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1차 코일의 타단과 선택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1차 코일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패시터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된 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코일로부터 탭에 의해 분기되게 접속되어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는 서브 정류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상기 서브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게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정류부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로 이어지는 전력공급계통상에 설치된 전류 제한용 인덕터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2차 코일의 일단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와; 일단이 상기 제너다이오드와 직렬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2차 코일의 타단에 접속된 보호용 저항소자와; 상기 2차 코일의 양단에 접속되되 상기 보호용 저항소자의 도통에 의해 상기 2차 코일의 양단을 쇼트시킬 수 있게 접속된 트라이악;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서브 정류부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기동되면 설정된 순번으로 상기 커패시터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상기 1차 코일의 타단과 접속되게 상기 제어스위치를 제어하면서 상기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이 설정된 기준값에 가장 근접한 조건에 해당하는 커패시터를 구동 커패시터로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스위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에 의하면, 형광등기구에 장착된 안정기의 공진용 인덕터에 따라 적절한 커패시턴스를 조정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 구동용 직류 전원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발광 효율 및 구동조건을 최적화 할 수 있고, 상호 다른 형광등 기구의 안정기에 대해서도 적용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100)는 전자식 안정기(10)의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제1군 출력단(20)과 제2군 출력단(30)을 통해 접속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식 안정기(10)는 상용 교류전원(11)을 브리지 다이오드(12)를 통해 정류하고, 하프 브리지 방식으로 브리지 다이오드(12) 출력단에 대해 직렬연결된 스위칭 소자(13a)(13b)가 스위칭부(15)에 의해 교대로 스위칭 하여 공진용 인덕터(Lr)와 공진용 커패시터(Cr)을 통해 생성한 공진전압을 제1군 접속단(20)과 제2군 접속단(3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식 안정기(10)는 공진용 인덕터(Lr)가 마련되어 있고, 스위칭 방식은 자려식 또는 타려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제1군 접속단(20)에는 두 개의 접속단자(21)(22)가 마련되어 있고, 제2군 접속단(30)에도 두개의 접속단자(31)(3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식 안정기의 제1군 접속단(20)과 제2군 접속단(30)에 대해 본 발명의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100)는 공진용 인덕터(Lr)와 접속될 수 있는 제1군 접속단(20) 중 하나의 접속단자(21) 및 제2군 접속단(30) 중 하나의 접속단(31)과 접속시키거나, 제1군 접속단(20) 모두에 대해 쇼트되게 접속하고, 제2군 접속단(30) 모두에 대해 쇼트되게 접속시키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11)가 접속되어 후술되는 메인 정류부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원에 의해 발광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포머(140)는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군 접속단(20)(30)을 통해 접속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101)(102)에 접속되며 제1 및 제2군 접속단(20)(30)을 통해 1차 코일(141)에 인가된 전력을 2차 코일(142)로 유기되게 커플링시킨다.
여기서 제1 및 제2 커넥터(101)(102)는 1차 코일(141)의 양단으로부터 제1 및 제2군 접속단(20)(30)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 형태로 형성되면 된다.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150)는 공진용 인덕터(Lr)에 대응한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선택조정할 수 있게 상호 다른 커패시턴스를 갖는 다수의 커패시터(151a 내지 151e)가 1차 코일(141)의 일단과 접속되고 1차 코일(141)의 타단과는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150)는 사용자가 커패시터(151a 내지 151e) 중 어느 하나를 1차 코일(141)의 타단과 선택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선택 스위치(15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선택 스위치(153)를 조작하여 커패시터(151a 내지 151e)들 중 발광다이오드모듈(110)의 구동에 적합한 커패시턴스를 갖는 것을 선택하여 제1 및 제2군 접속단(20)(30)과 병렬 연결되게 조작하면 된다.
메인 정류부로서 적용된 브리지 다이오드(131)는 트랜스포머(140)의 2차 코일(142)을 통해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110)로 공급한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은 메인 정류부로 적용된 브리지 다이오드(131)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브리지 다이오드(13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제한용 인덕터(161)는 메인 정류부로 적용된 브리지 다이오드(131)로부터 발광다이오드모듈(110)로 이어지는 전력공급계통상에 설치되어 피크 전류를 억제시킨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일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250)는 제어신호에 의해 커패시터(151a 내지 151d) 중 어느 하나를 1차 코일(141)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커패시터(151a 내지 151d) 각각에 대응되게 제어스위치(255)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스위치(255)는 커패시터(151a 내지 151d)의 각각과 직렬접속된 트라이악과, 트라이악(256)을 트리거 시킬 수 있도록 접속된 저항소자(257) 및 양방향성 포토 다이오드(258a 내지 258d)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스위치(255)는 포토 다이오드(258a 내지 258d))가 턴온되면 대응되는 트라이악(256)도 턴온됨으로써 해당 커패시터(151a 내지 151d)가 1차 코일(141)과 병렬 접속된다.
여기서, 포토다이오드(258) 각각은 후술되는 구동제어부(270)에 각각 대응되게 각각 마련된 발광다이오드(271a 내지 271d)의 발광 유무에 의해 턴 온/오프 된다.
여기서 발광다이오드(271a 내지 271d)는 조명용이 아니며 구동신호 발생용으로 적용된 구동신호 발생부(271)로서, 아라비아숫자 뒤에 부여된 영문 첨자 a 내지 d로 표기된 발광다이오드(271a 내지 271d) 각각은 동일 영문 첨자 a 내지 d로 표기된 양방향성 포토 다이오드(258a 내지 258d) 각각을 대응되게 턴온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면에서는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이격되어 있다.
서브 정류부(260)는 트랜스포머(140)의 2차코일(142)로부터 탭(145)(146)에 의해 분기되게 접속되어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여 구동 제어부(27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서브 정류부(260)는 브리지 다이오드(261)와, 브리지 다이오드(261)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구동 제어부(270)에서 요구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265)가 적용되었다.
센싱부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10)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여 구동 제어부(270)에 제공한다.
센싱부로서 적용된 전압검출부(281)는 메인 정류부의 브리지 다이오드(131)의 출력단에 접속된 두개의 분압저항소자(282)(28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구동제어부(270)에 출력한다.
구동 제어부(270)는 서브 정류부(260)에 의해 정류된 전압에 의해 구동되며 센싱부로 적용된 전압검출부(281)에 의해 센싱된 전압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스위치(255)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게 양방향 포터 다이오드(258a 내지 258d) 구동용으로 마련된 발광다이오드(271a 내지 271d) 중 어느 하나를 발광시켜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제어부(270)는 서브 정류부(26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기동되면 설정된 순번으로 커패시터(151a 내지 151d)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1차 코일(141a)의 양단과 제어스위치(255)를 제어하면서 센싱부로 적용된 전압검출부(281)를 통해 수신되는 전압이 설정된 기준값에 가장 근접한 조건에 해당하는 커패시터(151a 내지 151d)를 구동 커패시터로서 접속될 수 있도록 제어스위치(256)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의 발광다이오드(111)의 수에 대응하여 결정된 구동전압이며 구동제어부(2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센싱부로서 전류검출부가 적용될 수 있고, 그 예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전류검출부(350)는 발광다이오드모듈(110)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발광다이오드 모듈(110)로부터 분기되게 접속된 다이오드를 통해 구동 제어부(270)로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전류 검출부(360)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10)의 전류도통경로상에 설치된 커런트 트랜스포머를 통해 유기된 전류를 구동 제어부(270)로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싱부로서 전류검출부(350)(360)가 마련된 경우 구동 제어부(270)는 센싱부로 적용된 전류검출부(350)(360)에 의해 센싱된 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류검출부(350)(360)를 통해 수신되는 전류가 설정된 기준값에 가장 근접한 조건에 해당하는 커패시터(151a 내지 151d)를 구동 커패시터로서 접속될 수 있도록 제어스위치(256)를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구동 제어부(270)는 센싱부로 적용된 전압검출부(281)와 전류검출부(350)(360)에 의해 센싱된 전압 및 전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압 및 전류검출부(281)(350)(360)를 통해 수신되는 전류가 설정된 기준값에 가장 근접한 조건에 해당하는 커패시터(151a 내지 151d)를 구동 커패시터로서 접속될 수 있도록 제어스위치(256)를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한편, 발광다이오드모듈(110)로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발광다이오드 모둘(110)로의 전원 공급을 자동 차단하는 과전압 보호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그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과전압보호부(450)는 제너다이오드(451), 보호용 저항소자(452) 및 트라이악(453)을 구비한다.
제너다이오드(451)는 2차 코일(142)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보호용 저항소자(452)는 일단이 제너다이오드(451)와 직렬접속되고 타단은 2차 코일(142)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부호 455는 보호용 저항소자(452)와 병렬접속된 커패시터이다.
트라이악(453)은 2차 코일(142)의 양단에 접속되되 제너다이오드(451)의 정격전압을 초과한 전압이 유기되었을 때 보호용 저항소자(452)의 도통에 의해 2차 코일(142)의 양단을 쇼트시킬 수 있게 게이트 단자가 제너다이오드(451)와 보호용 저항소자(45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100)는 형광등 기구의 안정기에 마련된 공진용 인덕터에 대해 발광다이오드 모듈(110) 구동에 적합한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조정할 수 있어 전력효율 및 발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110: 발광다이오드 모듈 150: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

Claims (6)

  1. 삭제
  2. 전자식 안정기의 공진용 인덕터를 거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되는 방전식 형광램프 구동용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에 접속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된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1차 코일에 인가된 전력을 2차 코일로 유기되게 커플링시키는 트랜스 포머와;
    상기 공진용 인덕터에 대응한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선택조정할 수 있게 상호 다른 커패시턴스를 갖는 다수의 커패시터가 상기 1차 코일의 일단과 접속되고 상기 1차 코일의 타단과는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된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을 통해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는 메인 정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메인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정류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는 사용자가 상기 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1차 코일의 타단과 선택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3. 전자식 안정기의 공진용 인덕터를 거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되는 방전식 형광램프 구동용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에 접속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된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군 접속단을 통해 1차 코일에 인가된 전력을 2차 코일로 유기되게 커플링시키는 트랜스 포머와;
    상기 공진용 인덕터에 대응한 공진용 커패시턴스를 선택조정할 수 있게 상호 다른 커패시턴스를 갖는 다수의 커패시터가 상기 1차 코일의 일단과 접속되고 상기 1차 코일의 타단과는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마련된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코일을 통해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는 메인 정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메인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정류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커패시턴스 용량 선택부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1차 코일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패시터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된 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코일로부터 탭에 의해 분기되게 접속되어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는 서브 정류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상기 서브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게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정류부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로 이어지는 전력공급계통상에 설치된 전류 제한용 인덕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의 일단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와;
    일단이 상기 제너다이오드와 직렬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2차 코일의 타단에 접속된 보호용 저항소자와;
    상기 2차 코일의 양단에 접속되되 상기 보호용 저항소자의 도통에 의해 상기 2차 코일의 양단을 쇼트시킬 수 있게 접속된 트라이악;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서브 정류부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기동되면 설정된 순번으로 상기 커패시터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상기 1차 코일의 타단과 접속되게 상기 제어스위치를 제어하면서 상기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류 또는 전압이 설정된 기준값에 가장 근접한 조건에 해당하는 커패시터를 구동 커패시터로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KR1020110050878A 2011-05-27 2011-05-27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KR101248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878A KR101248106B1 (ko) 2011-05-27 2011-05-27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878A KR101248106B1 (ko) 2011-05-27 2011-05-27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195A KR20120132195A (ko) 2012-12-05
KR101248106B1 true KR101248106B1 (ko) 2013-03-27

Family

ID=4751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878A KR101248106B1 (ko) 2011-05-27 2011-05-27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1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639A (ko) * 2001-12-03 2005-05-12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Dc-dc 컨버터
KR100996670B1 (ko) * 2010-06-08 2010-11-25 이정항 전자식 안정기 타입의 엘이디 형광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639A (ko) * 2001-12-03 2005-05-12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Dc-dc 컨버터
KR100996670B1 (ko) * 2010-06-08 2010-11-25 이정항 전자식 안정기 타입의 엘이디 형광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195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038B1 (ko) 점등 제어 회로, 이 점등 제어 회로를 이용한 조명등 및 이 조명등을 이용한 조명 기구
US20110006703A1 (en)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current
JP2012216766A (ja) Led駆動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6403042B2 (ja) 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6087937B2 (ja) Ledを電子バラストに接続するためのドライバ
TW201249256A (en) Frequency-variable dimming control apparatus for light-emitting diod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602597B1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reduced temporal light artifact
CN1893754B (zh) 操作至少一个电灯和至少一个led的电路装置和方法
KR101307502B1 (ko) 안정기와 호환가능한 led 형광등용 컨트롤러
JP6278314B2 (ja) 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4968399B2 (ja) Led駆動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2010004734A (ja) 複数の直流負荷に電流を均等配分して駆動する電源回路
US11172551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driver controllable by a power-line dimmer
JP2010192267A (ja) 調光装置及び点灯装置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US20150137707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US8111015B2 (en) Brightness-adjustable illumination driving system
KR101248106B1 (ko) 엘이디 형광램프 유니트
KR101496819B1 (ko) 싱글 스테이지 포워드-플라이백 컨버터, 전원 공급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전원 공급 장치
JP5979535B2 (ja)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102428753B (zh) Led驱动电路
JP7122681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5429021B2 (ja) Led駆動装置
JP2016115515A (ja) 点灯用直流電源および照明器具
US11330688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reduced light flickering
US20210265859A1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n Emergency Dr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