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705B1 -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 Google Patents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705B1
KR101247705B1 KR1020100105635A KR20100105635A KR101247705B1 KR 101247705 B1 KR101247705 B1 KR 101247705B1 KR 1020100105635 A KR1020100105635 A KR 1020100105635A KR 20100105635 A KR20100105635 A KR 20100105635A KR 101247705 B1 KR101247705 B1 KR 10124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interlocking
thumb
prosthet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200A (ko
Inventor
선동윤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선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선동윤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102010010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7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58Elbows; Wrists ; Other joints; Hands
    • A61F2/582Elbow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58Elbows; Wrists ; Other joints; Hands
    • A61F2/583Hands;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80Sockets, e.g. of suct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38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002/543Lower arms or fore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002/6854Operating or control means for locking or unlocking a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002/6872Operating or control means attached and mechanically operated by remaining muscle

Abstract

본 발명은 의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꿈치 이하 전박(前膊)부를 대체하는 의수로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의수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는 팔꿈치 윗쪽의 상박에 고정되는 상박 고정부(100); 팔꿈치 아랫쪽의 전박에 고정되는 전박 고정부(200); 상기 상박 고정부(100)의 하단과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상단을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절부(300);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하단에 결합하는 의수부(500);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엄지 부재(600); 상기 엄지 부재(600)와 상호 끝단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검지 부재(700);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유닛(400); 및 상기 연동 유닛(400)에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연동을 단락하는 연동 단속부(4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AN ARTIFICIAL ARM LINKED WITH AN ELBOW JOINT}
본 발명은 의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꿈치 이하 전박(前膊)부를 대체하는 의수로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의수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꿈치 이하 손 부위를 상실한 장애인이 사용하는 의수는 미관수와 기능수로 나누며, 일반적으로 미관수는 상박 케이스의 하단에 관절부와 골격을 설치하고 골격 외부에 합성 수지재로 살 붙임을 한 팔과 손 형상을 한 장갑을 끼워 맞춘 것이며, 기능수는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를 집게 형상으로 하여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고안된 의수를 말한다.
기능수에 있어서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손 부위를 쥐었다 펴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손 부위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부가되거나 평소에는 손 부위가 오무려져 있다가 물건을 집을 때에는 손부위를 벌려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기능수는 인체의 양쪽 어깨에 메어진 벨트와 손아귀의 구조를 끈이나 와이어로 연결하여 팔을 가슴 안쪽으로 오무려서 손바닥 부에 설치된 손가락 구조를 줄로 당겨주어 손아귀가 벌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능수는 어깨와 팔의 동작에 따라 손 부위의 모양을 변경하므로 전체적으로 크기가 크고 어깨에 걸쳐야하는 등 착용 및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의수의 손아귀 동작은 일반적으로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 중에서 어느 하나는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가 팔 동작과 연계하여 움직이게 되므로 손아귀를 크게 벌리기 위해서는 비교적 커다란 동작이 필요하므로 효율적인 사용이 불가한 어려움이 있다.
나아가, 손을 오므리고 있는 탄성력이 팔의 움직임에 반발력으로 작용하므로 별도의 손아귀 동작을 해제하는 등 별도의 제어 장치가 없으면 팔 동작에 연계한 손아귀의 동작이 항상 이루어지므로 팔에 부담이 되며, 손 부위의 동작이 필요없는 경우에도 팔 동작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작동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어색한 동작이 반복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깨부위의 착용부가 없더라도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손아귀의 동작이 가능하고, 비교적 작은 팔 동작에도 효율적으로 손아귀 동작이 수행되며, 필요에 따라 팔꿈치 연동에 의한 손아귀 동작을 단속할 수 있는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는 팔꿈치 윗쪽의 상박에 고정되는 상박 고정부(100); 팔꿈치 아랫쪽의 전박에 고정되는 전박 고정부(200); 상기 상박 고정부(100)의 하단과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상단을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절부(300);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하단에 결합하는 의수부(500);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엄지 부재(600); 상기 엄지 부재(600)와 상호 끝단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검지 부재(700);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유닛(400); 및 상기 연동 유닛(400)에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연동을 단락하는 연동 단속부(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는 탄성적으로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동 유닛(400)은 일단이 상기 상박 고정부(100)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엄지 부재(600) 및 검지 부재(7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의수부(500)에 연결된 연동 와이어(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수부(500)는 상기 의수부(500)의 손목 부위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연동 와이어(41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510), 상기 제1 링크 부재(510)의 타단과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엄지 부재(600)의 내측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52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일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검지 부재(7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부재(5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 와이어(410)가 팔꿈치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엄지 부재(600)는 상기 검지 부재(700)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링크 부재(530)는 상기 엄지 부재(600)의 회절에 따라 상기 검지 부재(700)를 엄지 부재(6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는 팔의 상박 및 전박부에만 결합하여 착용이 간편하고 팔꿈치 관절운동에 연동하여 손아귀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팔꿈치 관절의 동작과 연동하여 엄지 부재 및 검지 부재가 동시에 동작하므로 비교적 적은 움직임에도 손아귀 동작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팔꿈치 관절과 연동유닛 동작의 단속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손아귀의 동작을 온 오프 할 수 있어 오동작이나 팔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의 전박부 및 의수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의 구조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를 착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가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의수의 손아귀 부분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의 연동 유닛의 작동 및 해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는 팔꿈치 윗쪽의 상박에 고정되는 상박 고정부(100), 팔꿈치 아랫쪽의 전박에 고정되는 전박 고정부(200), 상기 상박 고정부(100)의 하단과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상단을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절부(300),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하단에 결합하는 의수부(500),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엄지 부재(600), 상기 엄지 부재(600)와 상호 끝단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검지 부재(700) 및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상박 고정부(100)는 팔꿈치 윗쪽의 상박(上膊)에 고정되는 부위로서 일반적으로 팔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고 탈착이 편리하도록 벨크로나 밴드와 같은 결합부재가 마련되며 사용자의 연령 체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박 고정부(200)는 팔꿈치 아랫쪽의 전박(前膊)에 고정되는 부위로서 일반적으로 팔꿈치 아랫부분을 상실한 사용자의 상실부위를 감싸는 팔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실부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박 고정부(100) 및 전박 고정부(200)는 팔꿈치 관절을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착용이 되므로, 상기 상박 고정부(100)의 하단과 상기 전박 고정부부의 상단()은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절부(300)에 의하여 회절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회절부(300)는 별도의 회전가능한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상박 고정부(100)의 하단과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상단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회전부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의수부(500)는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하단에 결합하여 팔과 손가락이 이어지는 손부위의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손목부위가 돌아가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수부(500)는 후술할 손가락 역할을 하는 엄지 부재(600) 및 검지 부재(7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 본체가 되며 나아가, 손 형상의 외부 형성물과 결합하면 손모양을 형성하는 미관수의 골격이 될 수 있다.
상기 엄지 부재(600)는 의수에 있어서 엄지에 해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수부(500)에 엄지에 해당하는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손가락 끝에 해당하며 후술할 검지 부재(700)의 끝단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검지 부재(700)는 의수에 있어서 검지에 해당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수부(500)에 손등에 해당하는 부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손가락 끝에 해당하여 상기 엄지 부재(600)의 끝단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엄지 부재(600)와 검지 부재(700)는 평소에는 상호 끝단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손에 비교하면 물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오므려진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는 탄성적으로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엄지 부재(600)와 검지 부재는 끝단이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오므려진 형태가 유지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엄지 부재(600) 및 검지 부재(700)가 탄성적으로 상호 밀착되어 오므려진 형태로 유지되는 것은 별도의 탄성 부재를 부가할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의수부(5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인 엄지 부재 회전결합부(610) 및 검지 부재 회전결합부(710)에 코일과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지 부재(700)는 중지, 약지 등 나머지 손가락을 형상화할 수 있는 부재가 더 결합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손 모양의 형상을 하는 미관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연동 유닛(400)은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절부(300)와 연결되는 링크 구조로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밖의 다양한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엄지 부재(600) 및 검지 부재(700)가 탄성적으로 상호 밀착되어 오므려진 형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동 유닛(400)은 연동 와이어(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동 와이어(410)는 일단이 상기 상박 고정부(100)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엄지 부재(600) 및 검지 부재(7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연동 와이어(410)에 의하여 상기 엄지 부재(600) 및 검지 부재(700)를 동작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연동 와이어(410)를 팔꿈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동 와이어(410)가 상기 상박 고정부(100)에 고정되면 팔꿈치 관절을 펴게 되면 상박 고정부(100)와 의수부(500)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며 상박 고정부(100)에 일단 고정되는 상기 연동 와이어(410)는 의수부(500)에 대해서는 팔꿈치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므로 연동 와이어(410)에 의하여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가 연동된다.
나아가, 상기 연동 유닛(400)은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의 연동을 단락하는 연동 단속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동 유닛(4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동 유닛(400)이 링크 구조라면 링크 구조의 해제를 단속하는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술한 연동 와이어(410)를 포함하는 구조라면 상기 연동 와이어(410)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연동 와이어(410)의 결합부위를 신장하여 연동을 단락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엄지 부재(600) 및 검지 부재(700)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의수부(500)는 상기 의수부(500)의 손목 부위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연동 와이어(41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510), 상기 제1 링크 부재(510)의 타단과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엄지 부재(600)의 내측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52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일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검지 부재(7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 부재(510)는 상기 의수부(500)의 손목 부위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연동 와이어(410)가 연결되어 연동 와이어(410)가 팔꿈치 방향으로 잡아당겨 지면 타단은 손끝 부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링크 부재(510)의 타단은 상기 제2 링크 부재(5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 부재(520)의 타단은 상기 엄지 부재(600)의 내측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제1 링크 부재(510)의 타단이 손끝 방향으로 전진하면 링크 구조에 의해 엄지 부재(600)의 끝단은 상기 검지 부재(700)의 끝단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엄지 부재(600)와 상기 검지 부재(700) 사이에는 상기 엄지 부재(600)의 일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검지 부재(7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부재(530)가 마련된다.
상기 제3 링크 부재(530)는 상기 엄지 부재(600)가 상기 검지 부재(700)와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절하면 상기 검지 부재(700)를 엄지 부재(6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제2 링크 부재(520)는 상기 엄지 부재(600)와 의수부(5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엄지 부재 회전결합부(610)를 중심으로 엄지 부재(600)의 끝단과 반대인 엄지 부재(6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내측에 상기 제3 링크 부재(53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 와이어(410)를 팔꿈치 쪽으로 당기면 제1 링크 부재(510)를 통하여 제2 링크 부재(520)는 상기 엄지 부재(600)의 끝단이 상기 검지 부재(700)의 끝단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엄지 부재 회전결합부(610)를 축으로 엄지 부재 내측을 움직이게 되며 엄지 부재 내측에 결합된 제3 링크 부재(530)는 상기 검지 부재(700)를 밀게 되므로 검지 부재(700)의 끝단도 검지 부재 회전결합부(710)를 축으로 엄지 부재(600)의 끝단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링크(510)(520)(530)의 구조는 상기 엄지 부재(600)와 검지 부재(700)가 동시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의수 전체의 크기에 따라 각 요소의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연동 와이어(410)가 팔꿈치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엄지 부재(600) 및 상기 검지 부재(700)는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비교적 적은 연동 와이어(410)의 움직임에 의하여도 상기 엄지 부재(600) 및 검지 부재(700)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상박 고정부(100)는 착용자의 팔꿈치 윗쪽 상박에 고정되며 상기 전박 고정부(200)는 착용자의 상실부분에 착용되며 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전박 고정부(200)의 내부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에 있어서 손부분의 작동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상박 고정부(1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의수부(500)와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410)가 마련되고 팔꿈치 관절이 펴지게 되면 상박 고정부(100)와 의수부(500)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연결 와이어(410)에 팔꿈치 관절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므로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와이어(410)에 의하여 엄지 부재(600)와 검지 부재(7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소에 오므리고 있는 손 모양을 팔꿈치를 펴서 손 부위를 펼칠 수 있으며 손아귀에 잡으려고 하는 물체를 근접시킨 후 팔꿈치를 구부려 다시 손 부위를 오므릴 수 있으므로 팔꿈치의 동작만으로 손 부위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에 있어서 연동 단속부(420)의 작동 예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연동 유닛(400)이 연동 와이어(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연동 단속부(420)는 상기 연동 와이어(410)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연동 와이어(410)의 결합부위를 신장하여 연동을 단락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의 경우 연동 와이어(410)는 팔꿈치가 굽혀진 상태에서 비교적 팽팽하게 상박 고정부(100)와 의수부(500)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팔꿈치가 펴지면 연동 와이어(410)는 팔꿈치 쪽으로 당겨지나, 도 6(b)와 같이 연동 와이어(410)가 느슨하게 연결되도록 단속하면 팔꿈치가 펴지더라도 연동 와이어가 당겨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연동 유닛(400)의 연동을 단속하여 팔꿈치 연동 의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연동 유닛(400)의 형태에 따라 연동을 단속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단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상박 고정부 200; 전박 고정부
300; 회절부 400; 연동 유닛
410; 연동 와이어 420; 연동 단속부
500; 의수부 510; 제1 링크 부재
511; 제1 링크 부재 회전결합부 520; 제2 링크 부재
530; 제3 링크 부재 600; 엄지 부재
610; 엄지 부재 회전결합부 700; 검지 부재
710; 검지 부재 회전결합부

Claims (4)

  1. 팔꿈치 윗쪽의 상박에 고정되는 상박 고정부(100);
    팔꿈치 아랫쪽의 전박에 고정되는 전박 고정부(200);
    상기 상박 고정부(100)의 하단과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상단을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회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절부(300);
    상기 전박 고정부(200)의 하단에 결합하는 의수부(500);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엄지 부재(600);
    상기 엄지 부재(600)와 상호 끝단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검지 부재(700);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유닛(400); 및
    상기 연동 유닛(400)에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연동을 단락하는 연동 단속부(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부재(700) 및 엄지 부재(600)는 탄성적으로 상기 의수부(500)에 회절 가능하도록 결합 되고,
    상기 연동 유닛(400)은 일단이 상기 상박 고정부(100)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엄지 부재(600) 및 상기 검지 부재(70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의수부(500)에 연결된 연동 와이어(4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의수부(500)는,
    상기 의수부(500)의 손목 부위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연동 와이어(41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510);
    상기 제1 링크 부재(510)의 타단과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엄지 부재(600)의 내측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520) 및
    상기 엄지 부재(600)의 일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검지 부재(7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부재(5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 와이어(410)가 팔꿈치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엄지 부재(600)는 상기 검지 부재(700)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링크 부재(530)는 상기 엄지 부재(600)의 회절에 따라 상기 검지 부재(700)를 엄지 부재(6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4. 삭제
KR1020100105635A 2010-10-27 2010-10-27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KR101247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635A KR101247705B1 (ko) 2010-10-27 2010-10-27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635A KR101247705B1 (ko) 2010-10-27 2010-10-27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200A KR20120044200A (ko) 2012-05-07
KR101247705B1 true KR101247705B1 (ko) 2013-03-26

Family

ID=4626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635A KR101247705B1 (ko) 2010-10-27 2010-10-27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7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192A (ko) 2016-03-07 2017-09-15 만드로 주식회사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의수
WO2020081914A1 (en) * 2018-10-19 2020-04-23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Upper limb prostheses
KR20200082635A (ko) 2018-12-31 2020-07-08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의수의 팔꿈치 구조
KR20210028818A (ko) 2019-09-05 2021-03-15 고마노 주식회사 로봇 의수 및 그 작동 방법
KR20220000718A (ko) 2020-06-26 2022-01-04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 의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6080A (en) * 2016-01-06 2017-07-12 Bae Systems Plc Gripping device
KR101981426B1 (ko) 2017-07-10 2019-05-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인공 관절
KR102143700B1 (ko) 2017-12-08 2020-08-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식품 정보 관리 장치 및 식품 정보 관리 방법
CN108784891A (zh) * 2018-04-13 2018-11-13 长春市漫思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牵拉动力仿生假肢手臂
CN108784892B (zh) * 2018-05-21 2024-04-05 张烨 一种机械传动式假肢手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924A (en) 1985-10-04 1987-08-11 Massey Peyton L Prehensile thumb and finger prosthesis
US4792338A (en) 1985-10-15 1988-12-20 Centri Gummifabrik Ab Artificial hand
KR20050081880A (ko) * 2005-04-25 2005-08-19 박상석 의수의 팔꿈치
KR100741656B1 (ko) 2006-05-29 2007-07-24 박상석 장애인용 의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924A (en) 1985-10-04 1987-08-11 Massey Peyton L Prehensile thumb and finger prosthesis
US4792338A (en) 1985-10-15 1988-12-20 Centri Gummifabrik Ab Artificial hand
KR20050081880A (ko) * 2005-04-25 2005-08-19 박상석 의수의 팔꿈치
KR100741656B1 (ko) 2006-05-29 2007-07-24 박상석 장애인용 의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192A (ko) 2016-03-07 2017-09-15 만드로 주식회사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의수
WO2020081914A1 (en) * 2018-10-19 2020-04-23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Upper limb prostheses
KR20200082635A (ko) 2018-12-31 2020-07-08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의수의 팔꿈치 구조
KR20210028818A (ko) 2019-09-05 2021-03-15 고마노 주식회사 로봇 의수 및 그 작동 방법
KR20220000718A (ko) 2020-06-26 2022-01-04 만드로 주식회사 전자 의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200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705B1 (ko)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WO2018006722A1 (zh) 仿生假肢手
US10723016B2 (en) Wearable hand robot
US4258441A (en) Dual operated lateral thumb hand prosthesis
US10610399B2 (en) Upper extremity assistance device
US11712360B2 (en) Self-donning powered orthotic device
JP2013529937A (ja) 手リハビリ装置
US7833183B2 (en) Functional low-profile dynamic extension splint and methods for its use and manufacture
KR101864506B1 (ko) 착용형 손 로봇
JP2009219804A (ja) 手拇指運動支援装置
JP6479376B2 (ja) 可動義手
JP2012006133A (ja) 電動把持部材
CN206063263U (zh) 仿生假肢手
CN108415575A (zh) 一种可内嵌传感器的动作捕捉手套
KR100649892B1 (ko) 의수의 팔꿈치
KR100741656B1 (ko) 장애인용 의수
KR100638079B1 (ko) 기능의수
KR200351275Y1 (ko) 의수의 팔꿈치
RU156238U1 (ru) Активный протез кисти "левша"
KR100912380B1 (ko) 스프링 내장의수
CN213250073U (zh) 一种穿戴式仿生机械手指
JP6230177B2 (ja) 掌部残存機能を利用した摘み機構
CN202061196U (zh) 上肢固定架
KR200426486Y1 (ko) 장애인용 의수
JP3169404U (ja) ゴルフ用グロ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