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380B1 - 스프링 내장의수 - Google Patents

스프링 내장의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380B1
KR100912380B1 KR1020070077929A KR20070077929A KR100912380B1 KR 100912380 B1 KR100912380 B1 KR 100912380B1 KR 1020070077929 A KR1020070077929 A KR 1020070077929A KR 20070077929 A KR20070077929 A KR 20070077929A KR 100912380 B1 KR100912380 B1 KR 100912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elbow
finger
spr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635A (ko
Inventor
박상석
Original Assignee
박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석 filed Critical 박상석
Priority to KR102007007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3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58Elbows; Wrists ; Other joints; Hands
    • A61F2/583Hands;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93Tendon- or ligament-replac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A61F2002/701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operated by electrically 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or torque mo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는 모터에 의해 손가락이 오므려지고, 팔꿈치가 절곡되고, 와이어 조절부재에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팔꿈치가 회전되고, 팔꿈치가 절곡되는 상박보호대와 하박보호대를 가지는 의수에 있어서,
의수의 손가락과 하박보호대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손가락의 내면에 손가락 스프링과 하박보호대의 내면에 하박보호대 스프링이 내장(內藏)되며, 팔꿈치가 절곡되는 상박보호대와 하박보호대가 이어진 팔꿈치 부분에 팔꿈치 주름이 형성되며, 합성고분자 화합물의 해면질(海綿質)인 스펀지 의수를 구성하고, 스펀지 의수의 하박보호대의 외면에 돌기(突起)가 형성되어 팔꿈치 회전보호대에 삽입되어 있고, 제 1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절곡될 수 있게 엄지에 있는 제 2연결고리에 연결된 제 2와이어와 검지에 있는 제 3연결고리에 연결된 제 3와이어가 손가락 스프링에 부착된 손가락 안내구를 각각 통과하여 제 1연결고리에 연결되어 제 1연결고리에 연결된 제 1와이어가 하박보호대 스프링에 부착된 하박보호대 안내구와 안내관을 통과하여 제 7연결고리에 연결되고, 제 4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상박보호대에 대응되는 하박보호대가 회전될 수 있게 하박보호대 하단에 부착된 제 4연결고리에 연결된 제 4와이어가 팔꿈치 회전보호대에 부착된 팔꿈치 안내구를 통과하여 제 8연결고리에 연결되고, 회전된 하박보호대는 하박보호대에 부착된 제 5연결고리와 팔꿈치 회전보호대에 부착된 제 6연결고리에 결합된 회전복귀용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내장된 의수이다.
손가락 스프링, 하박보호대 스프링, 팔꿈치 주름, 돌기(突起), 장갑형 의수 팔꿈치회전 보호대, 스펀지(sponge)의수

Description

스프링 내장의수{An artificial limb with a built-in spring}
도 1은 본 발명의 스프링이 내장된 장갑형 의수의 바람직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 의수가 팔꿈치에서 회전되는 모양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이 내장된 의수의 손가락 모양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수에 내장된 스프링과 안내구의 모양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박보호대 15: 돌기
20: 상박보호대 30: 팔꿈치 주름
35: 팔꿈치 회전보호대 50: 스펀지 의수
51: 손가락 스프링 52: 하박보호대 스프링
53: 회전복귀용 스프링 60: 제 1와이어
61: 제 2와이어 62: 제 3와이어
63: 제 4와이어 70: 제 1연결고리
71: 제 2연결고리 72: 제 3연결고리
73: 제 4연결고리 74: 제 5연결고리
75: 제 6연결고리 76: 제 7연결고리
77: 제 8연결고리 81: 하박보호대 안내구
82: 손가락 안내구 83: 팔꿈치 안내구
85: 안내관 90: 조절판
92: 건전지 94: 모터
96: 스위치 98: 와이어 조절부재
100: 장갑형 의수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특허 제10-0741656호와 관련된 장애인용 의수를 착용한 손목 절단장애인이 더욱 가볍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의수로서, 자신의 절단된 팔에 착용한 의수만으로도 손가락을 오므려지게도 하고, 팔꿈치가 절곡되게도 하며, 팔꿈치를 회전되게도 하여 생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목이 절단된 장애인은 의수를 착용하는데 의수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품들이 무거워서 부담이 되어 의수의 착용을 기피하였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의수들은 의수의 장갑과 하박보호대가 외부와 접촉했을 때 형태가 변하거나 견고함이 없어서 이용하기가 불편했으나, 본 발명인 스프링 내장의수는 변형된 의수가 본래대로의 형태의 복구가 빨라서 형태의 변형에 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팔목 절단 장애인이의수를 착용하여 팔꿈치를 굽힐때 하박보호대와 상박보호대가 이어지는 팔꿈치 부분에서 팔꿈치 주름이 오므렸다 폈다를 하면서 팔꿈치 절곡을 부드럽게 하며, 손가락에 손가락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실제 사람의 손가락처럼 보인다.
합성고분자 화합물의 해면질(海綿質)인 스펀지(sponge)의수를 이용하여 무게를 가볍게 하였기 때문에 의수가 무거워서 착용을 거부하는 문제가 해결되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의수의 손가락에는 손가락 스프링이 내장(內藏)되며, 하박보호대에는 하박보호대 스프링이 내장(內藏)되어 있어서 손가락과 하박보호대의 형태가 계속 유지되며, 혹시 형태가 변형되어도 손가락 스프링과 하박보호대 스프링에 의해서 본래의 형태로 돌아온다.
또한 의수의 팔꿈치에서 하박보호대가 회전되고, 회전된 하박보호대는 회전복귀용 스프링에 의해 바로 복귀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프링이 내장된 장갑형 의수의 바람직한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손목이 절단된 장애인이 장갑형 의수(100)를 착용하고 조절판(90)을 누르게 되면 스위치(96)가 연결되어 건전지(92)의 전원이 전달된 모터(94)가 작동하여 제 7연결고리(76)에 연결된 제 1와이어(60)가 안내관(85)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하박보호대 안내구(81)을 통과하여 당겨지면 엄지에 있는 제 2연결고리(71)에 연결된 제 2와이어(61)와 검지에 있는 제 3연결고리(72)에 연결된 제 3와이어(62)가 손가락 스프링(51)에 부착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손가락 안내구(82)를 각각 통과하여 제 1연결고리(70)에 연결되어 제 1연결고리(70)에 연결된 제 2와이어(61)와 제 3와이어(62)가 당겨져서 엄지와 검지가 절곡된다.
각 손가락에는 손가락 안내구(82)가 부착된 손가락 스프링(51)이 내장되어 있다.
하박보호대(10)와 상박보호대(20)가 이어지는 팔꿈치에는 팔꿈치 주름(30)이 있어서 손목 절단장애인이 의수를 착용하고 팔꿈치를 굽힐때 용이하게 이용된다.
의수의 손가락에는 손가락 스프링(51)이 있고, 하박보호대(10)에는 하박보호대 스프링(52)이 있어서 손가락과 하박보호대(10)의 형태가 변형되어도 즉시 형태가 본래대로 복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 의수가 팔꿈치에서 회전 되는 모양의 사시도로서, 하박보호대(10)의 외측 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15)가 부착되어 팔꿈치가 회전할 때 하박 보호대(10)의 외측 면과 팔꿈치회전 보호대(35)의 내측 면의 서로 닿는 면이 작아진다.
조절판(90)의 눌림에 의해 와이어 조절부재(98)에 와이어로 연결된 제 8연결고리(77)에 연결된 제 4와이어(63)가 팔꿈치 안내구(83)를 통과하여 하박보호대 (10)하단에 부착된 제 4연결고리(73)에 연결되어 당겨지면 하박보호대(10)가 회전된다.
회전된 하박보호대(10)는 팔꿈치회전 보호대(35)에 부착된 제 6연결고리(75)와 하박보호대(10)에 부착된 제 5연결고리(74)에 결합된 회전복귀용 스프링(53)에 의해서 복귀된다.
합성고분자 화합물의 해면질(海綿質)인 스펀지 의수(50)를 이용하여 의수의 무게를 가볍게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이 내장된 의수의 손가락 모양도로서, 실제 사람의 손가락이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낸 것으로서, 다섯 손가락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손가락 안내구(82)가 부착된 손가락 스프링(51)이 내장되고, 손가락 안내구(82)는 손가락 스프링(51)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엄지에 있는 제 2연결고리(71)에 연결된 제 2와이어(61)와 검지에 있는 제 3연결고리(72)에 연결된 제 3와이어(62)가 제 1연결고리(71)에 연결되어 제 1연결고리(70)에 연결된 제 1와이어(60)에 의해 당겨져서 엄지와 검지가 절곡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수에 내장된 스프링과 안내구의 모양도로서, 의수의 각 손가락과 하박보호대(10)에 안내구가 부착된 스프링이 내장되며, 각 스프링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안내구가 부착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링이 내장된 의수는 장갑형 의수 또는 합성고분자 화합물의 해면질(海綿質)인 스펀지(sponge)의수로서, 손목 절단장애인이 무거운 기존의 의수의 착용을 기피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벼운 재료를 이용하여 재작을 하기 때문에 의수의 착용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진다,

Claims (4)

  1.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는 모터에 의해 손가락이 오므려지고, 팔꿈치가 절곡되고, 와이어 조절부재에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팔꿈치가 회전되고, 팔꿈치가 절곡되는 상박보호대와 하박보호대를 가지는 의수에 있어서,
    의수의 손가락과 하박보호대(1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손가락의 내면에 손가락 스프링(51)과 하박보호대(10)의 내면에 하박보호대 스프링(52)이 내장(內藏)되며, 팔꿈치가 절곡되는 상박보호대(20)와 하박보호대(10)가 이어진 팔꿈치 부분에 팔꿈치 주름(30)이 형성되며, 합성고분자 화합물의 해면질(海綿質)인 스펀지 의수(50)를 구성하고, 스펀지 의수(50)의 하박보호대(10) 외면에 돌기(15)가 형성되어 팔꿈치 회전보호대(35)에 삽입되어 있고, 제 1와이어(60)의 당김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절곡될 수 있게 엄지에 있는 제 2연결고리(71)에 연결된 제 2와이어(61)와 검지에 있는 제 3연결고리(72)에 연결된 제 3와이어(62)가 손가락 스프링(51)에 부착된 손가락 안내구(82)를 각각 통과하여 제 1연결고리(70)에 연결되어 제 1연결고리(70)에 연결된 제 1와이어(60)가 하박보호대 스프링(52)에 부착된 하박보호대 안내구(81)를 통과하여 제 7연결고리(76)에 연결되게 되어있고, 제 4와이어(63)의 당김에 의해 상박보호대(20)에 대응되는 하박보호대(10)가 회전될 수 있게 하박보호대(10)하단에 부착된 제 4연결고리(73)에 연결된 제 4와이어(63)가 팔꿈치회전 보호대(35)에 부착된 팔꿈치 안내구(83)를 통과하여 제 8연결고리(77)에 연결되게 되어있고, 회전된 의수의 하박보호대(10)는 하박보호대(10)에 부착된 제 5연결고리(74)와 팔꿈치회전 보호대(35)에 부착된 제 6연결고리(75)에 결합된 회전복귀용 스프링(53)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장의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박보호대 스프링(52)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하박보호대 안내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장의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스프링(51)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손가락 안내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장의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박보호대(10)외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내장의수
KR1020070077929A 2007-08-01 2007-08-01 스프링 내장의수 KR100912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29A KR100912380B1 (ko) 2007-08-01 2007-08-01 스프링 내장의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29A KR100912380B1 (ko) 2007-08-01 2007-08-01 스프링 내장의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35A KR20090013635A (ko) 2009-02-05
KR100912380B1 true KR100912380B1 (ko) 2009-08-17

Family

ID=4068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929A KR100912380B1 (ko) 2007-08-01 2007-08-01 스프링 내장의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128A (ko) * 2019-11-14 2021-05-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각 자유도의 완전 독립 구동이 가능한 손목­전완 부족구동 관절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924A (en) 1985-10-04 1987-08-11 Massey Peyton L Prehensile thumb and finger prosthesis
KR19980025245A (ko) * 1998-04-04 1998-07-06 이승호 실리콘 의수족 제조방법
KR20040036531A (ko) * 2003-08-13 2004-04-30 박상석 무동력 의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924A (en) 1985-10-04 1987-08-11 Massey Peyton L Prehensile thumb and finger prosthesis
KR19980025245A (ko) * 1998-04-04 1998-07-06 이승호 실리콘 의수족 제조방법
KR20040036531A (ko) * 2003-08-13 2004-04-30 박상석 무동력 의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128A (ko) * 2019-11-14 2021-05-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각 자유도의 완전 독립 구동이 가능한 손목­전완 부족구동 관절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345634B1 (ko) 2019-11-14 2021-12-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각 자유도의 완전 독립 구동이 가능한 손목­전완 부족구동 관절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35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705B1 (ko)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US20180098862A1 (en) Injection molded prosthetic limb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4572198B2 (ja) 関節式の人工指アセンブリ
EP3294229B1 (en) Bidirectional biomechanical prosthetic full finger configured for abduction and adduction with mcp pivot
US7833183B2 (en) Functional low-profile dynamic extension splint and methods for its use and manufacture
US20050234564A1 (en) Enhanced-functionality prosthetic limb
US20210052399A1 (en) A device for enhancing a subject's grasping capability
CN109223259B (zh) 假肢
GB2528049A (en) Underactuated prosthetic hand
EP3706702B1 (en) Hand exoskeleton device
KR100912380B1 (ko) 스프링 내장의수
CN206063263U (zh) 仿生假肢手
JP2012006133A (ja) 電動把持部材
KR100638079B1 (ko) 기능의수
KR100649892B1 (ko) 의수의 팔꿈치
KR100741656B1 (ko) 장애인용 의수
KR200349089Y1 (ko) 기능의수
JP6172651B2 (ja) 電動把持装置
KR20030008189A (ko) 자동 손가락 운동기
Klug et al. An Anthropomorphic Soft Exosuit for Hand Rehabilitation
KR100610397B1 (ko) 무동력 의수
Mühlbauer et al. Demonstrator of a Low-Cost Hand Prosthesis
Plettenburg et al. Voluntary closing: A promising opening in hand prosthetics
KR200351275Y1 (ko) 의수의 팔꿈치
WO2021061681A1 (en) Biomedical finger assembly with ratcheting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