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397B1 - 무동력 의수 - Google Patents

무동력 의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397B1
KR100610397B1 KR1020030056274A KR20030056274A KR100610397B1 KR 100610397 B1 KR100610397 B1 KR 100610397B1 KR 1020030056274 A KR1020030056274 A KR 1020030056274A KR 20030056274 A KR20030056274 A KR 20030056274A KR 100610397 B1 KR100610397 B1 KR 10061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rist
finger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531A (ko
Inventor
박상석
Original Assignee
박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석 filed Critical 박상석
Priority to KR102003005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3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58Elbows; Wrists ; Other joints; Hands
    • A61F2/583Hands;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58Elbows; Wrists ; Other joints; Hands
    • A61F2/583Hands; Wrist joints
    • A61F2/586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61F2002/303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with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of the rib within the groove
    • A61F2002/30392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518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with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rosthetic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6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spring elements
    • A61F2002/30566Helic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7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using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16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adjustable
    • A61F2002/5018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adjustable for adjusting angula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의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동력 의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목 회전 절곡 수단 및 손가락 절곡 수단으로 이루어진 의수로서 손목회전수단은 제 1와이어가 손목회전원판과 다른 손의 손가락에 연결되어 있고, 손목절곡수단은 제 2와이어가 손목프레임의 제 1고리 제 2고리 및 다른 손의 손가락에 연결되어 있고, 세 가지 방식의 손가락절곡수단은 첫째, 제 3와이어가 제 1동력전달부재에 움직임에 의해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둘째, 제 4와이어가 제 1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과 제 1걸림쇠부에 연결되어 있고, 셋째, 제 5와이어가 제 2동력전달부재에 의해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제 2걸림쇠부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의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동력 없이 자신의 건강한 다른 손과 절단된 손목의 끝부분 회전력을 이용하여 다른 에너지원 없이 의수를 동작하고자 한다.
무동력, 의수, 동력전달, 와이어

Description

무동력 의수{An artificial limb of non-pow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의수의 와이어 조절부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의수의 와이어조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의수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의 손목회전을 나타낸 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의 손목절곡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의 손가락 전부의 절곡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의 움직임을 나타낸 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전부의 움직임을 나타낸 상태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손가락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손목회전에 따른 동력전달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2, 13은 본 발명인 팔목이상이 절단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의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어조절부재 10A: 제 1와이어조절부재
10B: 제 2와이어조절부재 12: 제 1안내구
13: 제 2안내구 14: 제 3안내구
16: 고정구 18: 회동결합구
20: 제 1와이어 30: 제 2와이어
40: 제 3와이어 50: 제 4와이어
60: 제 5와이어 80: 제 6와이어
22: 손목회전원판부 32: 손목프레임 제 2고리
34: 손목프레임 제 1고리 42: 제 1동력전달부재
44: 제 2동력전달부재 48: 손목프레임
49: 제 3동력전달부재 52: 제 1걸림쇠
54: 제 1걸림쇠의 제 1걸림부 56: 손목 제 1고리
57: 손목지지대 58: 연접관
59: 탄지구 62: 제 2걸림쇠
64: 제 2걸림쇠의 제 1걸림부 66: 손목 제 2고리
68: 손바닥프레임 70: 하박보호대
70A: 하박프레임 72: 팔꿈치 제 1프레임
74: 팔꿈치 제 2프레임 76: 팔꿈치 절곡부재
82: 두개의 걸림부 83: 제 3걸림쇠
84: 제 3걸림쇠의 걸림부 85: 연결와이어
86: 연결구 88: 롤러
90: 상박보호대 92: 안내구
100: 의수
본 발명은 무동력 의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동력 의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목 회전 절곡 수단 및 손가락 절곡 수단으로 이루어진 의수로서 손목회전수단은 제 1와이어가 손목회전원판과 다른 손의 손가락에 연결되어 있고, 손목절곡수단은 제 2와이어가 손목프레임의 제 1고리 제 2고리 및 다른 손의 손가락에 연결되어 있고, 세 가지 방식의 손가락절곡수단은 첫째, 제 3와이어가 제 1동력전달부재에 움직임에 의해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둘째, 제 4와이어가 제 1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과 제 1걸림쇠부에 연결되어 있고, 셋째, 제 5와이어가 제 2동력전달부재에 의해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제 2걸림쇠부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의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수는 미관수와 기능수로 나누어지는데 미관수는 움직임이 없고, 기능수는 외부 동력이 없는 경우는 단순한 동작 밖에 연출되지 않으며, 화학에너지나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기능수는 사용하기가 불편하며, 잦은 고장과 까다로운 수리 문제로 인한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불편함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건강한 다른 손을 이용하거나 자신의 절단된 손목 끝부분의 회전에 의하여 손가락의 쥠의 강약조절과 손목의 회전과 굽힘을 원활하게 하고 모터나 엔진을 사용하여 외부의 동력을 이용한 의수의 잦은 고장과 이로 인하여 수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외부의 동력 없이 자신의 건강한 다른 손과 자신의 절단된 손목의 끝부분의 회전을 이용하여 다른 에너지원 없이 의수를 동작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동력 의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목회전, 손목절곡수단 및 손가락절곡수단으로 이루어진 의수로서, 손목회전수단은 제 1와이어가 손목회전원판과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손목절곡수단은 제 2와이어가 손목프레임의 제 1고리 제 2고리 및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세 가지 방식의 손가락절곡수단은 첫째, 제 3와이어가 제 1동력전달부재의 움직임에 의해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둘째, 제 4와이어가 제 1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제 1걸림쇠부에 연결되어 있고, 셋째, 제 5와이어가 제 2동력전달부재의 움직임에 의해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제 2걸림쇠부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의수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작동시 필요한 제 1, 2, 3와이어의 끝부분을 고리형으로 처리하여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될 수 있게 하여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100)를 사용할 수 있게 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의수의 와이어조절부재(10)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정상인 다른 손의 손가락에 와이어조절부재(10)를 삽입한 후 손을 파지하면 원하는 각각의 제 1, 2, 3와이어(20,30,40)가 당겨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의수의 와이어조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시시도로서, 손목회전, 절곡, 손가락절곡과 후술할 팔꿈치를 절곡시키기 위해 제 6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고 검지,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 각각에 삽입될 수 있게 제 1와이어조절부재(10A)와 제 2와이어조절부재(10B)가 회동결합구(18)에의해 연결되어 각 손가락의 두 마디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2, 3, 6와이어(20, 30, 40, 80)는 건강한 다른 손의 와이어 조절부재에 연결될 수 있게 고리형으로 되어 있다.
제 2와어어조절부재(10B)의 고정구(16)에 연결된 와이어는 제 1, 2, 3안내구를 통하여 제 1, 2, 3, 6와이어(20, 30, 40, 80)에 연결되어 있다.
도3의 와이어조절부재는 후술할 팔꿈치의 절곡시 힘이 많이 소모되므로 힘의 작용점을 여러곳에 두었고, 와이어가 보다 많이 움직이도록 하여 손목회전, 절곡, 손가락절곡, 팔꿈치절곡을 원활히 하도록 하였다.
또한 도2, 3와이어조절부재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제 1, 2, 3, 6와 이어의 고리와 와이어조절부재와의 결합도 선택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의수의 정면단면도로서 손목회전, 손목절곡수단 및 손가락절곡수단으로 이루어진 의수로서,
손목회전수단은, 제 1와이어(20)가 다른 손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와이어조절부재에 근접해서 어깨를 경유하여 손목회전원판부(22)와 연결되게 되어있고,
손목절곡수단은, 제 2와이어(30)가 다른 손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와이어조절부재(10)에 근접해서 어깨를 경유하여 손목프레임에 설치된 제 2고리(34)를 통과한 후 제 1고리(32)에 연결되어 있다.
손가락절곡수단은, 첫째, 제 3와이어(40)가 다른 손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와이어조절부재(10)에 근접해서 어깨를 경유하여 손목회전원판부(22)를 통과한 후 제 1동력전달부재(42)의 고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둘째, 제 4와이어(50)는 제 1걸림쇠(52)의 제 1걸림부(54)에 연결되어 탄성부재에 연결된 후 손목회전원판부(22) 및 손목 제 1고리(56)를 통과 한 후 제 1동력전달부재(42)에 연결되어 있다.
셋째, 제 5와이어(60)는 제 2걸림쇠(62)의 제 1걸림부(64)에 연결되어 탄성부재에 연결된 후 손목회전원판부(22), 손목 제 2고리(66) 및 제 1동력전달부재(42)를 통과 한 후 제 2동력전달부재(44)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의 손목회전, 손목절곡 및 손가락 절곡을 예시한 도면을 보면서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의 손목회전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제 1와이어(20)가 다른 손의 손가락에 끼여진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된 후 다른 손의 손가락을 구부리면 손목회전원판부(22)가 왼쪽으로 돌면서 손목회전원판부(22)에 일체결합된 손은 제 1와이어(20)가 당겨진 만큼 왼쪽으로 돌게 된다.
하박보호대 연결부는 손목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손목회전원판부(22)와 하박 보호대에 같은 크기의 홈을 두어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손목회전원판부의 중앙부는 손목결합부와 일체결합된 제 3동력전달부재(49)에는 손목지지대(57)의 연접관(58)이 삽입되어 있고, 손목회전원판부(22)와 하박보호대(70)는 탄성부재로 연결되어 있어 제 1와이어가 당겨진 만큼 손목의 회전이 유지되어 진다.
도 6은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의 손목절곡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제2와이어(30)가 다른 손의 손가락에 끼여진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된 후 당겨지면 하박보호대의 설치된 고리를 통과하여 제 3동력전달부재(49)의 하단부분에 연결된 손목프레임(48)을 당겨 손목이 앞으로 절곡되어 진다.
이때 연접관은 탄성부재로 처리하여 손목의 절곡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의 손가락 전부의 절곡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제 3와이어(40)가 다른 손가락에 끼여진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된 후 당겨지면 제 2동력전달부재(44)를 통하여 연결된 제 1동력전달부재(42)가 당겨진다.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의 끝부분과 제 1동력전달부재(40)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어, 제 1동력전달부재가 당겨질 때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은 굽혀지게 된다.
또한, 제 1동력전달부재(42)는 제 2동력전달부재(4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1동력전달부재(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 2동력전달부재(44)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제 2동력전달부재(44)와 엄지, 검지의 손가락의 끝부분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어, 제 2동력전달부재(44)가 움직일 때 엄지, 검지 손가락도 같이 굽혀지게 된다.
제 1, 2, 3와이어를 하박보호대(70)와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제 1, 2, 3와이어를 당기지 않으면 손목의 회전, 손목의 절곡, 손가락의 절곡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의 움직임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제 4와이어(50)를 다른 손으로 당겨 제 1걸림쇠(52)의 제 1고리부(54)에서 다른 고리부에 걸면 제 4와이어의 연결된 제 1동력전달부재(42)가 반시계방향으로 당겨지고 제 1동력전달부재(42)에 연결된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의 와이어가 당겨져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은 굽혀지게 된다.
제 1걸림쇠의 각 고리부에 제 4와이어(50)을 걸어 손가락의 굽힘의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의 전부의 움직임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제 5와이어(60)를 다른 손으로 당겨 제 2걸림쇠(62)의 다른 고리부에 걸면 제 1동력전달부재(42)를 통하여 제 2동력전달부재(44)를 시계방향으로 당겨 이에 연결된 엄지, 검지손가락의 와이어가 당겨져 엄지, 검지의 손가락은 굽혀지게 된다.
제 1동력전달부재(42)를 통하여 제 2동력전달부재(44)에 연결되어 있어 제 1 동력전달부재(42)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여 제 1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져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은 굽혀진다.
엄지손가락의 하단부의 연결부위에 두개의 걸림부(82)를 두어 엄지의 굽힘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제 4, 5와이어(50,60)는 제 1, 2걸림쇠(52,62)의 걸림부의 위치를 달리하여 조절함에 따라 손가락의 굽혀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굽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상기 제 1, 2, 3와이어(20,30,40)는 와이어조절부재(10)와 분리한 후 결속함으로써 작동상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손가락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로서 각 관절마다 탄성부재를 두며, 와이어가 연결된 손가락 끝부분에도 탄성부재를 두었다.
관절에 있는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이 바람직하며, 손가락 끝부분의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이 바람직하다.
각 관절은 힌지결합되어 있고, 손가락이 굽혀지게 일정한 각을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힌지결합부의 일측은 서로 맞다을 수 있도록 대접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하여 손가락관절의 회동범위가 다르게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손목회전에 따른 동력전달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제 3동력전달부재(49)와 손바닥프레임(48)은 일정구간 회동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어져 있다. 팔목의 회전에 의한 연접관(58)의 회전이 제 3동력전달부재(49)를 회전시켜 손가락의 굽힘에 영향을 미쳐 손에 든 물체를 움켜지게 한다.
이때, 양측이 고정된 탄지구(59)가 제 3동력전달부재의 뒷면과 밀착되어져 제 3동력전달부재가 회동 및 복귀시 정지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손목지지대(57)는 손목과의 결합부와 긴밀하게 결착되도록 하여 손목과 연결된 제 3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동력전달부재(49)는 손목프레임(48)과 결합되고 상기 손목프레임(48)은 손목지지대(57)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다.
제 1, 2, 3(20, 30, 40)와이어를 와이어조절부재(10)에서 분리한 후 팔목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손목지지대(57)를 회전시켜면, 제 3동력전달부재(4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3동력전달부재(49)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1동력전달부재(42)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제 2동력전달부재(44)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제 4, 5와이어(50, 60)의 각걸림쇠의 각고리부의 연결에 따라 손가락의 굽힘정도를 달리하여 손목지지대(57)를 회전시키면 다섯손가락의 절곡을 달리할 수 있어, 의수의 쥠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12와 13은 본 발명인 팔목이상이 절단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의수의 측면도로서 팔목이 절단된 경우에 쓰는 하박보호대(70) 대신 하박프레임(70A)과 이에 연결된 팔꿈치 프레임(72, 74), 팔꿈치절곡부재(76), 잘려진 팔 부분과 결합할 수 있는 상박보호대(90)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와이어(85)가 제 3걸림쇠의 걸림부(84)에 연결되어, 두개의 롤러을 통하 여 상박보호대(90)의 일측에 부착된 안내구(92)를 통하여 연결구(86)에 연결되어 있다
팔꿈치를 절곡시키고자 할 때는 연결와이어(85)를 제 3걸림쇠(83)의 다른 걸림부에 걸면 연결와이어(85)는 연결구(86)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의 연결구(86)는 안내구(92)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도 13과 같이 팔꿈치 절곡부재는 굽혀지게 된다.
또한, 제 6와이어(80)가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되어 있어, 와이어조절부재(10)을 삽입한 다른 손을 파지하면 연결구(86)에 연결된 연결와이어(85)를 당기게 되며, 따라서 팔꿈치 절곡 부재는 굽혀지게 된다.
이때 팔꿈치관절의 절곡각도는 필요한 만큼만 한정된다.
상박보호대(90)와 하박보호대(70)의 팔꿈치관절부분은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보호할 수 있다.
팔꿈치 절곡부재(76)는 양측에 탄성부재가 팔꿈치 제 1, 2프레임(72, 74)에 결합되어 있고, 팔꿈치 제 1프레임과 2프레임(72, 74)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팔꿈치 제 1프레임(72)와 팔꿈치 제 2프레임(74)를 대접하는 대접면은 힌지부의 일측은 서로 맞다을 수 있도록 대접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하여 팔꿈치의 회동범위가 다르게 이루어 진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발명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 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발명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동력 의수는 자신의 한쪽 손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양쪽 손의 공조역활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외출시에나 휴식시에나 취침시에는 필요한 부분만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분리가 용이하다.
일상생활시 또는 다른 작업시에는 원하는 손가락을 강약 조절하여 쉽게 움직이며 손목의 회전과 굽힘도 부드럽게 동작 할 수 있다.

Claims (7)

  1. 무동력 의수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목회전, 손목절곡수단 및 손가락절곡수단으로 이루어진 의수로서 손목회전수단은 제 1와이어(20)가 손목회전원판(22)과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손목절곡수단은 제 2와이어(30)가 손목프레임 제 1고리(34)와 손목프레임 제 2고리(32)및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있고,
    세 가지 방식의 손가락절곡수단은 첫째, 제 3와이어(40)가 제 2동력전달부재(44)를 통하여 제 1동력전달부재(42)에 연결되어 당겨지면 제 1동력전달부재(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동력전달부재(4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1동력전달부재(42)와 제 2동력전달부재(44)에 와이어로 연결된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있고,
    둘째, 제 4와이어(50)가 제 1동력전달부재(42)의 회전에 의해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제 1걸림쇠의 제 1걸림부(54)에 연결되고,
    셋째, 제 5와이어(60)가 제 2동력전달부재(44)의 회전에 의해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제 2걸림쇠의 제 1걸림부(64)에 연결되며,
    제 3동력전달부재(49)는 손목프레임(48)과 결합되고, 손목프레임(48)은 손목지지대(57)와 결합되어 장애인의 절단된 팔목을 손목지지대(57)에 삽입하여 회전하면 제 3동력전달부재(49)가 회전되고,
    팔꿈치 제 1프레임(72)과 팔꿈치 제 2프레임(74)은 힌지결합되고, 연결와이어(85)가 제 6와이어(80)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의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2, 3와이어 각각에 탄성부재가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의수.
  3. 제 1항에 있어서,
    손가락 절곡수단의 엄지 손가락 하단부의 연결부위에 두개의 걸림부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의수.
  4. 제 1항에 있어서,
    제 3동력전달부재의 회전 움직임에 의해 다섯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의수.
  5. 제 4항에 있어서,
    제 3동력전달부재는 손목지지대와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무동력 의수.
  6. 제 1항에 있어서,
    연결 와이어가 제 3걸림쇠에 연결되어 롤러, 안내구, 연결구와 연결되어 있고, 제 6와이어가 상기의 연결구와 다른 손의 손가락의 와이어조절부재에 연결된, 팔꿈치 절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의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각 손가락 관절, 팔꿈치관절의 양면 절곡 각도를 정하여 제한할 수 있게 힌지부의 일측은 서로 맞다을 수 있도록 대접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하여 회동범위를 다르게 한 것을 포함하는 무동력 의수.
KR1020030056274A 2003-08-13 2003-08-13 무동력 의수 KR10061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274A KR100610397B1 (ko) 2003-08-13 2003-08-13 무동력 의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274A KR100610397B1 (ko) 2003-08-13 2003-08-13 무동력 의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330U Division KR200304835Y1 (ko) 2002-10-24 2002-11-18 무동력 의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31A KR20040036531A (ko) 2004-04-30
KR100610397B1 true KR100610397B1 (ko) 2006-08-11

Family

ID=3733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274A KR100610397B1 (ko) 2003-08-13 2003-08-13 무동력 의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80B1 (ko) * 2007-08-01 2009-08-17 박상석 스프링 내장의수
KR200457844Y1 (ko) * 2009-12-09 2012-01-05 김의철 모발처리장치
RU2472469C1 (ru) * 2011-07-06 2013-0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НАУЧНО-ПРАКТИЧЕСКИЙ ЦЕНТР МЕДИКО-СОЦИАЛЬНОЙ ЭКСПЕРТИЗЫ, ПРОТЕЗИРОВАНИЯ И РЕАБИЛИТАЦИИ ИНВАЛИДОВ ИМ. Г.А. АЛЬБРЕХТА ФЕДЕРАЛЬНОГО МЕДИКО-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АГЕНТСТВА" (ФГУ "СПбНЦЭПР им. Альбрехта ФМБА России") Искусственная кисть
DE102013111161B4 (de) * 2013-10-09 2015-10-15 Dominik Hepp Handprothe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31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5051B2 (en) Artificial hand
JP3793785B2 (ja) 多指可動ロボットハンド及びその把持制御方法
EP1204380B1 (en) Laparoscopic forceps
EP2653137B1 (en) Self-contained multifunctional hand prosthesis
US20150230941A1 (en) Gripping device
MXPA02006236A (es) Mango para limpieza dental interproximal.
US7087092B1 (en) Artificial hand for grasping an object
WO2003017878A1 (en) Mechanical hand with the gripping ability of the human hand
US11627978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mechanically operable lever
KR100610397B1 (ko) 무동력 의수
JP2009022577A (ja) 能動把持装具
JP5754835B2 (ja) 電動把持部材
KR200304835Y1 (ko) 무동력 의수
US9717485B1 (en) Ergonomic multi-functional handle for use with a medical instrument
KR100638079B1 (ko) 기능의수
KR20180125145A (ko) 손 재활 디바이스
US20110270416A1 (en) Gripping mechanism
RU160806U1 (ru) Протез кисти руки
TWI650158B (zh) 手腕驅動之輔具
KR200349089Y1 (ko) 기능의수
CN210061162U (zh) 一种两自由度多模式仿人机械手
KR100741656B1 (ko) 장애인용 의수
US20100299855A1 (en) Control apparatus
US10058311B1 (en) Ergonomic multi-functional handle for use with a medical instrument
DK0865880T3 (da) Multifunktionsta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