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079B1 - 기능의수 - Google Patents

기능의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079B1
KR100638079B1 KR1020050030574A KR20050030574A KR100638079B1 KR 100638079 B1 KR100638079 B1 KR 100638079B1 KR 1020050030574 A KR1020050030574 A KR 1020050030574A KR 20050030574 A KR20050030574 A KR 20050030574A KR 100638079 B1 KR100638079 B1 KR 10063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otor
wrist
finge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033A (ko
Inventor
박상석
Original Assignee
박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석 filed Critical 박상석
Priority to KR102005003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0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61F2/58Elbows; Wrists ; Other joints; Hands
    • A61F2/583Hands;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A61F2002/701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operated by electrically 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or torque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A61F2002/707Remote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무동력은 물론 유선 또는 무선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방식의 의수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격 조종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되는 음성인식조종기와 스위치 조절부재와 그물장갑형 조절부재와 팔꿈치굽힘방식에 의해 손목회전 및 절곡수단과 손가락절곡수단과 팔꿈치 절곡 수단으로 이루어진 의수로서 손목회전수단은 제 7와이어가 손목회전원판과 제 2모터에 연결되어있고, 손목절곡수단은 제 8와이어가 손목프레임 고정고리와 제 3모터에 연결되어있고, 다섯 가지 방식에서 택일하여 선택하는 손가락절곡 및 전개의 수단은 첫째, 엄지와 검지의 절곡이 될 수 있게 제 6와이어가 제 1모터와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어있고, 둘째, 제 1와이어와 제 2와이어가 의수의 다섯 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그물 장갑형 조절부재가 있는 자신의 다른 손의 손가락에 연결되게 되어있고, 셋째, 제 6와이어가 엄지와 검지가 전개될 수 있게 제 1모터와 제 1연결고리에 연결되어 있고, 넷째, 제 12와이어가 팔꿈치의 굽힘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절곡될 수 있게 제 2연결고리와 밴드고정고리에 연결되어 있고, 다섯째, 제 1모터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절곡될 수 있게 제 12와이어가 밴드고정고리와 제 6스위치에 연결되어 있고,
팔꿈치절곡수단은 제 11와이어가 제 5모터에 연결되어 제 2롤러를 경유하여 하박 보호대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의수의 장갑손가락 관절자리부분에는 주름을 형성하고, 장갑의 내면 윗부분에는 돌기(突起)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의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switch), 원격조종, 음성인식조종, 건전지, 모터(motor), 의수, 와이어(wire), 그물장갑형 조절부재, 동력전달, 주름, 돌기(突起)

Description

기능의수{An artificial limb of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이용한 손가락 절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의수의 스위치 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의수의 와이어 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장갑형조절부재의 모양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회전과 동력전달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섯손가락 절곡수단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기의 모양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와 동력전달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9의 다른 방법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엄지와 검지가 전개되는 모양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손가락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의 회전을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절곡과 장갑의 주름과 돌기를 나타낸 모양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 굽힘과 손목회전에 의한 기능의 모양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5방식의 무동력 기능의 모양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 이상이 절단된 경우에 사용하는 의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음성인식조종기 12: 제 1와이어
5A: 음성송신기 13: 제 2와이어
5B: 음성인식제어용 제 1스위치 14: 제 3와이어
5C: 음성인식제어용 제 2스위치 15: 제 4와이어
5D: 음성인식제어용 제 3스위치 16: 제 5와이어
5E: 음성인식제어용 제 4스위치 17: 제 6와이어
6: 원격조종기 18: 제 7와이어
6A: 원격제어용 제 1스위치 19: 제 8와이어
6B: 원격제어용 제 2스위치 20: 제 9와이어
6C: 원격제어용 제 3스위치 21: 제 10와이어
6D: 원격제어용 제 4스위치 22: 제 11와이어
7: 휴대원격조종기 23: 제 12와이어
10: 와이어조절부재 24: 밴드고정고리
10A: 제 1와이어조절부재 25: 고정고리
10B: 제 2와이어 조절부재 26: 제 1안내구
26A: 제 2안내구 44: 제 4스위치
26B: 제 3안내구 45: 제 1건전지
27: 회동결합구 46: 제 2건전지
28: 손바닥 제 1고리 47: 제 3건전지
28A: 손바닥 제 2고리 48: 제 4건전지
30: 제 1그물장갑형조절부재 49: 제 5건전지
31: 제 2그물장갑형조절부재 49A: 제 6건전지
32: 주름 50: 제 1모터
33: 돌기 51: 제 2모터
37: 제 1탄성부재 53: 제 3모터
38: 제 2탄성부재 54: 제 5모터
40: 스위치조절부재 55: 제 1전선
41: 제 1스위치 56: 제 2전선
41A: 제 1스위치와이어 57: 제 3전선
42: 제 2스위치 58: 제 4전선
42A: 제 2스위치와이어 65: 제 1걸림쇠
43: 제 3스위치 65A: 제 1걸림쇠의 걸림부
43A: 제 3스위치 와이어 66: 제 2걸림쇠
66A: 제 2걸림쇠의 걸림부 82A: 제 2손목프레임
67: 제 3걸림쇠 83: 고정나사
67A: 제 3걸림쇠의 걸림부 84: 손목프레임 고정고리
70: 손목지지대 85: 손목프레임 제 1고리
71: 절단된 손목끝부분 85A: 손목프레임 제 2고리
72: 동력전달부재 85B: 손목프레임 제 3고리
72A: 동력전달부재고리 86: 하박 제 1고리
73: 하박보호대 하단부 86A: 하박 제 2고리
73A: 하박보호대 상단부 87: 제 1연결고리
74: 상박보호대 88: 제 2연결고리
75: 두개의 걸림부 89: 제 3연결고리
76: 손목회전원판 90: 제 4연결고리
77: 회전공간부 91: 제 5연결고리
78: 회전고리부 92: 고정용밴드
79: 공간부 93: 제 6스위치
80: 손바닥프레임 95 제 1롤러
81: 연접관 95A: 제 2롤러
82: 손목프레임 96: 안내관
96A: 제 2안내관 98: 팔꿈치절곡부재
96B: 제 3안내관 99: 탄성부재
96C: 제 4안내관 100: 의수
97: 제 6연결고리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실용신안 등록 제 304835호와 관련된 무동력 의수를 착용한 손목절단 장애인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의수로서 무동력은 물론 유선 또는 무선으로 건전지에서 전달된 전원으로 모터가 작동되어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방식을 수용하는 휴대원격 조종기 또는 원격조종기의 조종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종하는 음성인식 조종기의 조종과 스위치 조절부재의 조절과 그물장갑형 조절부재 또는 팔꿈치절곡방식을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이용하고 손목회전 및 절곡수단과 손가락 절곡 및 전개수단과 팔꿈치 절곡수단으로 이루어진 의수이다.
두가지 방식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팔꿈치절곡수단은 첫째, 팔꿈치가 절곡될 수 있게 제 9와이어가 제 6연결고리와 제 3걸림쇠부에 연결되어 제 1그물장갑형 조절부재 또는 제 2그물장갑형 조절부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자신의 다른 손의 손가락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둘째, 제 11와이어가 제 5모터에 연결되어 제 2롤러를 경유하여 하박보호대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의수의 장갑손가락 관절자리부분에는 주름이 형성되고 장갑의 내면 윗부분에는 돌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실용신안 제 304835호의 무동력의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팔목 절단 장애인들의 장애유형에 따라 택일 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수단이 없어서 의수를 착용하는 장애인들에게 단순한 도움만 주었다.
일반적으로 의수는 미관수와 기능수로 나누어지는데 미관수는 움직임이 없고, 기능수는 외부의 동력이 없는 경우에는 단순한 동작밖에 연출되지 않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자의수도 단순한 동작은 물론 잦은 고장과 까다로운 수리 문제로 인한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도 불편함이 많고 너무나 무거워서 팔목절단장애인들은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가벼운 재료를 이용해서 제작하며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그물장갑형 조절부재 또는 제 2그물장갑형 조절부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자신의 건강한 다른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자신의 절단된 손목끝부분의 회전에 의해 손가락 절곡 및 전개의 강약조절과 손목의 회전과 절곡이 이루어진다.
팔꿈치굽힘과 그물장갑형조절부재와 스위치조절부재와 휴대원격 조종 또는 원격조종기의 조종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하는 음성인식조종방식을 택일적으로 선택하고, 건전지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하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손가락 굽힘 및 전개와 손목의 절곡 및 회전, 팔꿈치의 절곡이 다양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상기 수단들은 의수를 착용할 장애인의 장애유형에 따라서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통풍이 되는 그물형 장갑조절부재의 사용으로 장갑의 착용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진다.
의수의 장갑 또한 손가락 관절자리부분에는 주름이 형성되고 장갑의 내면 윗부분에는 돌기가 있어서 의수의 손가락 움직임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무동력은 물론 유선 또는 무선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방식의 의수로서 원격 조종 또는 휴대 원격 조종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되는 음성인식조종기와 건전지의 전원을 이용한 스위치 조절부재와 그물장갑형 조절부재와 팔꿈치 절곡방식을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손목회전 및 절곡수단과 손가락 절곡 및 전개 수단과 팔꿈치 절곡 수단을 이루고, 의수의 손가락이 절곡 및 전개 될 수 있게 신축력이 있는 그물 장갑형 조절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팔꿈치의 절곡에 의해서 엄지와 검지가 절곡된다.
팔꿈치가 절곡될 수 있게 제 11와이어가 제 5모터에 연결되어 제 2롤러를 경유하여 하박보호대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수의 장갑손가락 관절자리부분에는 주름을 형성하고, 장갑의 내면 윗부분에는 돌기(突起)가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의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이용한 손가락절곡 사시도로서, 스위치조절부재(40)에 다른 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하면 제 1스위치와이어(41A)가 당겨지면서 제 1스위치(41)가 연결되어 제 2전선(56)을 통해 제 2건전지(46)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의 동력으로 제 2연결고리(88)가 당겨지면서 엄지와 검지가 절곡되게 된다.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조종기(5)에 의해 조종되는 음성인식제어용 제 1스위치(5B)와 원격조종기(6)또는 휴대원격조종기(7)에 의해 조종되는 원격제어용 제 1스위치(6A)에 의해 제 2건전지(46)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의 동력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절곡되며, 음성인식제어용 제 1스위치(5B)와 원격제어용 제 1스위치(6A)를 의수(100)의 손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절단된 손목의 남아있는 팔꿈치 아래 손목의 길이가 짧아서 손목지지대(70)에 손목을 끼울 수가 없어서 동력전달부재(72)의 회전을 기대할 수가 없다.
이에 도 7의 방식인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굽혀서 고정시켜 놓고 엄지와 검지의 절곡수단만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작동 시 필요한 스위치조절부재(40)로서, 전선이 어깨를 경유해서 의수(100)에 전달되며, 스위치조절부재(40)의 와이어끝부분은 고리형으로 되어 있다.
음성송신기(5A)를 자신의 입 가까이 장착하고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 조종기(5)를 의수(100)와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의수의 스위치조절부재의 사시도로서, 자신의 다른 손의 손가락을 외가락지형인 스위치조절부재(40)에 삽입한 후 파지하면 제 1, 2, 3스위치와이어(41A, 42A, 43A)가 당겨지면서 제 1, 2, 3스위치(41, 42, 43)가 연결되어 제 2, 3, 4전선(56, 57, 58)에 전원이 전달된다.
제 1그물장갑형조절부재(30)를 선택하여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의수의 와이어조절부재의 사시도로서, 자신의 다른 손의 손가락을 쌍가락지형인 와이어조절부재(10)에 삽입한 후 파지하면 제 1, 2와이어조절부재(10A, 10B)는 회동결합구(27)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고 절곡되어 고정고리(25)에 연결된 와이어가 제 1, 2, 3안내구(26, 26A, 26B)를 통과한 뒤에 제 1, 2, 3, 4와이어(12, 13, 14, 15)가 앞쪽으로 당겨진다.
이 동작으로 의수의 손목의 회전과 절곡은 물론 손가락절곡과 팔꿈치절곡수단 등이 전기나 전자의 동력에 의한 도움 없이도 쉽게 이루어진다.
제 2그물장갑형조절부재(31)를 선택하여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장갑형조절부재의 모양도로서, 도 4의 쌍가락지형 와이어조절부재(10)를 신축성이 있고 통풍이 되는 그물형장갑 속에 삽입시켜 사용이 편리하게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의 회전과 동력전달부재의 분리 사시도로서, 손목 지지대(70)와 연접관(81)과 손목프레임(82)과 동력전달부재(72)와 손바닥프레임(8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접관(81)과 손목프레임(82)은 착탈이 가능하다.
절단된 손목끝부분(71)을 손목지지대(70)에 밀접되게 삽입한 후에 절단된 손목끝부분(71)을 회전시키면 손목지지대(70)와 손목프레임(82)과 동력전달부재(72)가 한꺼번에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 손바닥프레임(80)이 삽입된 관에 공간부(79)가 있어 동력전달부재(72)의 회전을 한정되게 제공한다.
이때에 절단된 손목끝부분(71)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하박보호대상단부(73A) 부분에 접해있는 손목의 윗부분은 절대로 회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섯손가락 절곡수단 사시도로서, 도 4의 와이어조절부재(10)에 삽입한 손가락을 파지하면 도 2를 참고로 하여 어깨를 경유한 제 1와이어(12)와 제 2와이어(13)가 당겨지면서 다섯손가락의 절곡이 이루어진다.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의 절곡만을 필요로 할 때에는 제 1와이어(12)를 당길 수도 있고, 제 1걸림쇠(65)에 제 1걸림쇠의 걸림부(65A)를 이동하여 걸게되면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은 굽혀진 채로 계속 유지된다.
엄지와 검지의 지속적인 굽힘을 필요로 할 때에는 제 2와이어(13)를 당길 수도 있고, 제 2 걸림쇠(66)에 제 2걸림쇠의 걸림부(66A)를 이동하여 걸게 되면 엄지와 검지는 굽혀진 채로 계속 유지된다. 의수의 엄지손가락에 있는 두 개의 걸림부 (75)의 걸림 위치를 바깥쪽으로 당겨서 걸어두면 엄지와 검지의 절곡상태가 넓게 형성되면서 둥글게 물체를 잡을 수 있다.
상기의수는 실제적으로 신경이 없기 때문에 한꺼번에 다섯손가락을 움직여서 사용하는 것보다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당겨서 고정시켜 놓고 제 2와이어(13)를 당겨서 엄지와 검지만 절곡되게 하여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엄지와 검지의 와이어는 제 2연결고리(88)에 모여져서 제 2와이어(13)를 통하여 어깨를 경유해서 와이어조절부재(10)에 연결되며,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은 제3연결고리(89)에 모여져서 제 1와이어(12)를 통하여 어깨를 경유해서 와이어전달부재(10)에 연결된다.
이후 모든 손가락의 절곡수단에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굽혀서 고정시켜놓고 엄지와 검지만 절곡하여 사용하면 만족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기의 모양도로서, 그물장갑형조절부재(30)에 원격조종기(6)를 삽입시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일명 리모콘(remote control)이라는 휴대원격조종기(7)의 활용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와 동력전달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절단된 손목끝부분(71)을 손목지지대(70)에 밀접하게 삽입시킨 뒤에 절단된 손목끝부분(71)을 회전시키면 동력전달부재(72)가 회전하면서 동력전달부재고리(72A)가 반대편으로 이동하여 제 4스위치(44)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전원이 연결되어 제 1건전지(45)의 전원이 제 1전선(55)을 통하여 제 1모터(50)에 전달되어져서 제 1모터(50)가 작동하여 제 6와이어(17)와 제 2연결고리(88)를 당겨서 엄지와 검 지의 절곡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때에 동력전달부재(72)의 동력전달부재고리(72A)에 연결된 제 5와이어(16)도 손바닥 제 1고리(28)와 손바닥 제 2고리(28A)를 통해 제 2연결고리(88)를 당겨서 엄지와 검지의 절곡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절단된 손목의 남아있는 팔꿈치 아래손목의 길이가 길어서 손목지지대(70)를 활용하면 엄지와 검지의 절곡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에 도 7의 방식인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굽혀서 고정시켜 놓고 엄지와 검지의 절곡수단만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9의 다른 방법의 사시도로서, 작동 상의 방법은 도 9의 방법과 동일하나 엄지와 검지가 절곡된 상태에서 제 6와이어(17)가 제 1건전지(45)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의 동력에 의해 제 1연결고리(87)가 당겨져서 엄지와 검지가 전개되는 수단으로 도 9의 손가락절곡수단과는 반대로 이루어진다.
절단된 손목의 남아있는 팔꿈치 아래손목의 길이가 길어서 손목지지대(70)를 활용하면 엄지와 검지의 절곡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에 도 7의 방식인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굽혀서 고정시키고 엄지와 검지의 전개수단만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엄지와 검지가 전개되는 모양도로서, 도 10의 실제 모양도이며 엄지와 검지의 내부 바깥쪽에 와이어를 삽입시켜 당기면 절곡된 엄지와 검지가 전개된다.
엄지와 검지는 언제나 물체를 잡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손가락이 절곡되어 유지되어 있다.
이에 도 7의 방식인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굽혀서 고정시키고 엄지와 검지의 전개수단만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손가락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손가락과 손가락의 관절사이에 탄성부재를 두며 손가락 끝부분의 와이어에 탄성부재를 두었다.
손가락관절은 힌지결합이 되어있고 힌지결합부의 일측은 서로 대접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하여 손가락의 회동 범위가 다르게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의 회전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스위치조절부재(40)를 다른 손의 손가락에 삽입하여 손가락을 파지하면 제 2스위치와이어(42A)가 당겨지고 제 2스위치(42)가 연결되면서 제 3전선(57)을 통해 제 3건전지(47)에 전원이 전달되면서 제 2모터(51)가 작동하게 되어 손목회전원판(76)에 연결된 제 7와이어(18)가 하박 제 1, 2고리(86, 86A)를 통과하여 당겨지면서 손목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와이어전달부재(10)의 손가락절곡수단을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손목회전원판(76)과 하박보호대하단부(73)에는 회전공간부(77)가 형성되고 회전고리부(78)에 의해서 조립된다.
손목의 회전은 회전공간부(77)의 정도만큼만 회전되며, 제 1탄성부재(37)에 의해서 다시 제자지로 돌아온다.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조종기(5)와 음성인식제어용 제 2스위치(5C)와 원격조종기(6)와 원격제어용 제 2스위치(6B)를 활용할 수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절곡과 장갑의 주름과 돌기를 나타낸 모양도로서, 스위치조절부재(40)를 다른 손의 손가락에 삽입하여 손가락을 파지하면 제 3스위치와이어(43A)가 당겨지고 제 3스위치(43)가 연결되면서 제 4전선(58)을 통해 제 4건전지(48)에 전원이 전달되면서 제 3모터(53)가 작동하게 되어 손목프레임고리(84)에 연결된 제 8와이어(19)가 손목프레임 제 1, 2, 3고리(85, 85A, 85B)를 통과하여 당겨지면서 손목의 절곡이 이루어진다.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조종기(5)와 원격조종기(6) 또는 휴대원격조종기(7)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손목프레임(82)안의 연접관(81)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의수의 장갑손가락관절자리 부분에는 주름(32)을 형성하여 의수의 손가락이 굴절될 때에 주름의 신축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굴절이 이루어진다.
또한, 의수의 내면 위쪽부분에는 돌기(33)가 있게 하여 손가락이 굽혀질 때에는 손가락 위쪽부분이 장갑과의 마찰 때문에 일어나는 불편함이 없게 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굽힘과 손목회전에 의한 기능의 모양도로서, 의수(100)를 착용한 팔의 팔꿈치를 굽히면 밴드고정고리(24)에 연결된 제 12와이어(23)가 제 2, 3안내관(96A,96B)를 통과하여 제 6스위치(93)를 연결시키고, 제 6건전지(49A)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의 동력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절곡된다.
제 2안내관(96A)은 고정용밴드(92)에 결합되어 있다.
팔꿈치굽힘을 과도하게 할 때에도 제 2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손가락절곡과 폄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손목회전원판(76)과 하박보호대하단부(73)에는 회전공간부(77)가 형성되고 회전고리부(78)에 의해 조립된다.
절단된 손목끝부분(71)을 손목지지대(70)에 밀접하게 삽입하여 회전하면 손목지지대(70)와 고정나사(83)에 의해서 결합된 손바닥프레임(80)과 제 2손목프레임(82A)과 손목회전원판(76)이 한꺼번에 회전하면서 손목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손목의 회전은 회전공간부(77)만큼만 회전되며, 제 1탄성부재(37)에 의해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절단된 손목끝부분(71)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하박보호대 상단부(73A)에 접해있는 손목의 윗부분은 절대로 회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조종기(5)와 원격조종기(6) 또는 휴대원격조종기(7)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5방식의 무동력 기능의 모양도로서, 팔꿈치를 굽히면 밴드고정고리(24)에 연결된 제 12와이어(23)가 제 2안내관(96A)와 제 4안내관(96C)을 통과하여 제 2연결고리(88)를 당겨서 엄지와 검지의 절곡이 이루어진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 이상이 절단된 경우에 사용하는 의수의 측면도로서, 도 1의 방식에 응용되고 팔꿈치절곡부재(98)에 의해 팔꿈치가 절곡되고, 팔꿈치절곡부재(98)는 힌지결합된 양면 절곡각도를 정하여 제한할 수 있게 힌지부의 일측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대접되게 하고 타측은 경사지게 하여 회동범위를 다르게 한다.
제 6연결고리(97)에 고정된 제 9와이어(20)는 안내관 (96)을 지나서 두개의 롤러(95)를 경유해서 제 3걸림쇠의 걸림부(67A)에 연결하여 당겨서 제 3걸림쇠(67) 이 고리에 걸면 제 9와이어(20)가 당겨진 만큼 팔꿈치도 절곡된다.
이때 제 6연결고리는 안내관(96)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팔꿈치는 절곡되게 된다.
엄지와 검지의 절곡수단은 도 4의 쌍가락지형 와이어조절부재(10)에 활용하면 된다.
제 5건전지(49)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5모터(54)의 동력으로 제 11와이어(22)가 제 2롤러(95A)를 경유하여 하박보호대상단부(73A)에 연결된다.
팔꿈치절곡부재(98)는 힌지결합되어 탄성부재(99)로 보호되고, 상박보호대(74)와 하박보호대하단부(73)에 연결된다.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인식조종기(5)와 원격조종기(6) 또는 휴대원격조종기(7)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의수는 자신의 한쪽 손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양쪽 손의 공조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외출 시에나 휴식 시에나 취침 시에는 손목지지대의 활용만으로도 의수의 동작이 가능하다.
일상생활 시 또는 다른 작업 시에는 의수의 손목 절곡 및 회전과 다섯손가락의 절곡 및 전개와 팔꿈치절곡수단을 팔목절단 장애인의 장애유형에 따라서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자신의 건강한 다른 손에 장치된 와이어조절부재를 이용한 무동력 기능과 스위치조절부재를 이용한 모터에 의한 동력기능이 함께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손목회전절곡수단 및 손가락절곡수단과 팔꿈치절곡수단들을 한, 두 가지의 기술적인 방식으로는 불편함이 있을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수단들의 기술적 발명인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되는 음성인식조종기와 원격조종기 또는 휴대원격조종기와 그물장갑형 스위치조절부재와 그물형 와이어 조절부재, 그리고 절단된 손목끝부분의 회전에 의한 방식과 팔꿈치굽힘에 의한 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 중에서 편리한대로 선택적으로 이용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

Claims (8)

  1. 손목회전 및 절곡수단과 손가락절곡수단과 팔꿈치절곡수단으로 이루어진 의수에 있어서,
    손목회전수단은 제 7와이어(18)가 제 3건전지(47)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2모터(51)와 손목회전원판(76)에 연결되어 있고,
    손목절곡수단은 제 8와이어(19)가 제 4건전지(48)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하는 제 3모터(53)와 손목프레임 고정고리(84)에 연결되어 있고,
    다섯 가지 방식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손가락절곡 및 전개의 수단은 첫째, 제 6와이어(17)가 엄지와 검지가 절곡될 수 있게 제 2건전지(46)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와 제 2연결고리(88)에 연결되어 있고,
    둘째, 제 2연결고리(88)에 연결된 제 1와이어(12)와 제 3연결고리(89)에 연결된 제 2와이어(13)가 다섯 손가락이 절곡될 수 있게 제 1그물 장갑형조절부재(30) 또는 제 2그물 장갑형조절부재(31)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다른 손의 손가락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셋째, 제 6와이어(17)가 엄지와 검지가 전개될 수 있게 제 1건전지(45)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와 제 1연결고리(87)에 연결되어 있고,
    넷째, 제 12와이어(23)가 팔꿈치 굽힘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절곡될 수 있게 밴드 고정고리(24)에 연결되어 제 2안내관(96A)과 제 4안내관(96C)을 통하여 제 2연결고리(88)에 연결되어 있고,
    다섯째, 제 12와이어(23)가 제 6건전지(49)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절곡될 수 있게 밴드 고정고리(24)에 연결되어 제 2안내관(96A)과 제 3안내관(96B)을 통하여 제 6스위치(93)에 연결되어 있고,
    팔꿈치절곡수단은 제 11와이어(22)가 제 5건전지(49)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5모터(54)에 연결되어 제 2롤러(95A)를 경유하여 하박보호대 상단부(73A)에 연결되며,
    상기의수의 장갑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의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원격조종기(6) 또는 휴대 원격조종기(7)의 조정으로 건전지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 제 2모터(51), 제 3모터(53), 제 5모터(54)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능의수
  4. 제 1항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작동되는 음성 인식조종기(5)의 조종으로 건전지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 1모터(50), 제 2모터(51), 제 3모터(53), 제 5모터(54)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의수
  5. 제 1항에 있어서,
    스위치 조절부재(40)의 조절에 의해 건전지의 전원이 전달되어 작동되는 제1모터(50), 제 2모터(51), 제 3모터(53)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의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의수의 장갑손가락 관절자리에 주름(32)이 있고, 장갑의 내면 윗부분에 돌기(3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의수
KR1020050030574A 2005-04-11 2005-04-11 기능의수 KR10063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574A KR100638079B1 (ko) 2005-04-11 2005-04-11 기능의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574A KR100638079B1 (ko) 2005-04-11 2005-04-11 기능의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441U Division KR200349089Y1 (ko) 2003-09-22 2003-10-30 기능의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033A KR20050053033A (ko) 2005-06-07
KR100638079B1 true KR100638079B1 (ko) 2006-10-25

Family

ID=3724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574A KR100638079B1 (ko) 2005-04-11 2005-04-11 기능의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4164A (zh) * 2020-05-13 2020-08-18 西安交通大学 一种单向拉线式柔性假肢手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6086B (zh) * 2014-09-30 2016-04-20 东北大学 一种新型无外部动力假肢手
KR101645698B1 (ko) * 2014-10-13 2016-08-05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칭적 동작을 기반으로 한 전자의수 및 그 제어방법
KR102179368B1 (ko) * 2018-11-02 2020-11-16 하성준 손가락 의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4164A (zh) * 2020-05-13 2020-08-18 西安交通大学 一种单向拉线式柔性假肢手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033A (ko) 200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6824B1 (en) Aid device for the movement and/or rehabilitation of one or more fingers of a hand
KR101247705B1 (ko) 팔꿈치 연동 기계식 의수
JP3793785B2 (ja) 多指可動ロボットハンド及びその把持制御方法
US8348810B2 (en) Low profile hand-extension/flexion device
KR100638079B1 (ko) 기능의수
US20200345575A1 (en) Hand exoskeleton device
KR101738098B1 (ko) 근전도 방식의 전동 의수 및 그 제어 장치
US20210052399A1 (en) A device for enhancing a subject's grasping capability
JP2010502266A (ja) 強化グローブ
KR102032052B1 (ko) 로봇핸드
JP6033073B2 (ja) 橈骨神経麻痺に使用されるリハビリ装具
WO2017062755A1 (en) Wearable and functional hand orthotic
WO2003017878A1 (en) Mechanical hand with the gripping ability of the human hand
JPWO2018055812A1 (ja) 動作支援装置
WO2019016809A1 (en) APPARATUS FOR INCREASING HAND STRENGTH
KR20070080319A (ko) 손가락의 개별제어가 가능한 근전의수 및 그 제어장치
KR200349089Y1 (ko) 기능의수
KR100649892B1 (ko) 의수의 팔꿈치
KR20000016854A (ko) 인공기능의수
KR102326552B1 (ko) 근전 전동의수의 엄지와 검지기반 손동작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10397B1 (ko) 무동력 의수
KR200304835Y1 (ko) 무동력 의수
KR102316536B1 (ko) 로봇 의수 및 그 작동 방법
KR100912380B1 (ko) 스프링 내장의수
CN108608445B (zh) 机器人手臂以及智能服务助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