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692B1 -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7692B1 KR101247692B1 KR1020060033937A KR20060033937A KR101247692B1 KR 101247692 B1 KR101247692 B1 KR 101247692B1 KR 1020060033937 A KR1020060033937 A KR 1020060033937A KR 20060033937 A KR20060033937 A KR 20060033937A KR 101247692 B1 KR101247692 B1 KR 1012476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ster sheet
- moles
- formula
- transparency
- polyes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에틸렌글리콜, 특정의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 및 인계 난연제를 함유하여, 상기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이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과 에틸렌글리콜에 의해 형성된 분자의 규칙성을 파괴하여 결정성 부분에 의한 빛의 산란 및 백화현상을 방지하므로 특히 두께 1 mm 이상의 시트에 적용 시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 투명성,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마찰식 표면 결정화 설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에틸렌글리콜, 특정의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 및 인계 난연제를 함유하여, 상기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이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과 에틸렌글리콜에 의해 형성된 분자의 규칙성을 파괴하여 결정성 부분에 의한 빛의 산란 및 백화현상을 방지하므로 특히 두께 1 mm 이상의 시트에 적용 시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는 열적 성질, 기계적 성질,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 및 성형성 등이 우수하여 섬유, 필름 또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 으며, 여러 가지 화합물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성형성을 개선하고 사용 용도에 적합한 물성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 폴리에스테르는 난연성에 있어서 착화 후에는 급속히 연소하기 쉽고, 두께가 1 mm 이상의 시트로 제조할 경우 결정화 속도가 빨라 성형성이 떨어지고 결정화에 의해 백화현상이 발생하며 투명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건축용 채광창, 방음벽 등의 내·외장재나 농업용 온실하우스, 비가림 시설 및 산업용인 공중전화 부스, 간판 등의 용도로 종래에 사용하던 유리를 대체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강도와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 뿐만 아니라 높은 투명성과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난연성, 특히 자기 소화성을 부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개발이 시장으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공지의 방법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중합 시에 원료와 함께 반응형 난연제를 투입하여 난연성을 부여하거나, 성형시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첨가형 난연제를 혼합하여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난연제로는 할로겐함유화합물, 금속산화물의 혼합물, 질소함유화합물 및 인함유화합물 등으로 크게 나누어지는 바, 이들 난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제품 물성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으므로 반응조건에 따라 난연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난연제의 종류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바, 할로겐계난연제를 사용하면 난연성이 발현된다 하더라도 공중합체가 착색이 되고, 내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인계난연제를 사용하면 난연제 자체의 열적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공중합체가 변색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본특허공개공보 소 57-212251호와 특허공개공보 소 59-191716호 등에서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 시 중축합 반응이 어느 정도 진행된 뒤에 난연제와 중축합 촉매를 넣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는 못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기존의 일반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경우 높은 결정화도로 인해 두께가 두꺼운 성형품의 제조 시 투명도와 내충격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성형성 또한 우수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1 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압출 시트를 연속해서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요구되므로 고상중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결정화 속도가 느린 공중합체의 특징상 고상중합 공정 중에 칩의 융착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한국특허공개 제2002-0062058호에서는 고상중합 시 온도제어를 이용한 표면결정화를 통해 융착을 방지하고 있으나, 인계 난연제 외에 투명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중합체의 함량이 높아지게 되면 표면결정화 단계에서 융착의 위험성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두께 1 mm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시트 제조 시, 투명도 및 내충격성 등이 물성 향상을 위한 난연제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 선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에틸렌글리콜 및 인계 난연제에, 특정의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을 일정 성분비로 함유하면, 종래 폴리에스테르 시트와 동등 이상의 난연성, 기계적 물성은 유지하면서, 상기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이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과 에틸렌글리콜에 의해 형성된 분자의 규칙성을 파괴하여 결정성 부분에 의한 빛의 산란 및 백화현상을 방지하여 두께 1 mm 이상의 시트에서 높은 투명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의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에 의해 종래와 동등 이상의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은 유지하면서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100 몰, 2) 에틸렌글리콜 70 ∼ 97 몰, 3)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 3 ∼ 30 몰, 및 4)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 0.65 ∼ 6.5 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에 그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m, n 및 q는 각각 1 ∼ 4의 정수이고, R1, R2, R3 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 ∼ C6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 ∼ C6의 하이드록시알킬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와 동등 이상의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은 유지하면서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시트에 관한 것으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에틸렌글리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일정성분비로 혼합 사용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분자의 규칙성을 파괴하여 결정성 부분에 의한 빛의 산란 및 백화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성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투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산 성분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 로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디페닐디카르복시산, 아디핀산, 세바틴산, 아제라인산과, 이소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복시산, 5-t-부틸이소프탈산, 2,2,6,6-테트라메틸비페닐-4,4-디카르복시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및 1,1,3-트리메틸-3-페닐인덴-4,5-디카르복시산 등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글리콜계 화합물로 에틸렌글리콜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바, 본 발명은 종래의 에틸렌글리콜을 단독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특정의 지방족 글리콜계 화합물을 혼합 사용한 것에 특징이 있다. 통상적으로 글리콜계 화합물은 상기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과 1:1의 몰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서도 글리콜계 화합물의 총량은 이를 유지하며, 에틸렌글리콜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은 각각 70 ∼ 97 몰과 3 ∼ 30 몰을 유지하여 상기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과의 바람직한 비율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올계 화합물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의 분자 규칙성을 파괴하여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바, 이러한 디올계 화합물은 상기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100 몰에 대하여 3 ∼ 30 몰 범위로 사용되며, 상기 사용량이 3 몰 미만이면 분자의 규칙성을 효과적으로 파괴하기 어려우며 30 몰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인 폴리에스테르 중합이 어려우며 제조 시에도 내열성 및 강도 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글리콜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올계 화합물 이외에 이종의 다른 디올 화합물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디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펜탄디올, 프로판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및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가되는 디올 화합물은 투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용도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100 몰에 대하여 15 몰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바,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적 특성 및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바, 구체적으로 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카르본산, (2'-히드록시메틸)-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 에스테르 등의 아릴포시피닐-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계 난연제는 상기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100 몰에 대하여 0.65 ∼ 6.5 몰 범위로 사용되는 바, 사용량이 0.65 몰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의 난연 성능이 떨어지고 6.5 몰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의 열적, 기계적 물성 등의 저하를 가져온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형광증백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등의 첨가제가 일정량 함유할 수 있다. 특히 UV 안정성을 위해 중합 시 또는 압출과정에서 UV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압출공정을 거친 뒤 UV 코팅제를 이용한 처리를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또 한 색상의 개선을 위해 코발트화합물 또는 게르마늄화합물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두께가 1 mm 이상의 압출 시트를 제조하는 바, 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은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용융, 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한다.
먼저, 고분자량의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2단계 고유점도의 조절을 수행하는 바, 1차적으로 0.50 ∼ 0.75 범위의 고유점도(IV, dl/g)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2차적으로 고상중합법을 통해 0.76 ∼ 1.3 범위의 고유점도(IV, dl/g)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는다. 상기 고상중합을 이용하지 않고 고유점도가 높은 고분자 수지를 직접 생산하여도 무방하나, 고온에서 장시간 중합시 부반응이 우려되며 건조공정에서 충분한 열유도 결정화를 거치지 않고 70 ∼ 100 ℃의 낮은 온도에서 제습 과정만 거칠 경우 압출공정에서 폴리머 수지의 피딩 시에 투입구에서 온도에 의한 융착이 발생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또한, 고상중합 시에도 공중합체의 특징으로 인해 결정화 속도가 느리며 일반 폴리에스테르보다 건조 및 결정화 단계에서 수지의 융착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폴리머의 표면결정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칩의 표면 결정화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마찰을 통한 결정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공중합 함량이 낮을 경우 온도 제어에 의한 표면결정화 방법도 가능하나 디올 성분의 공중합 함량이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100 몰에 대하여 15 몰 을 초과할 경우 융착의 위험성이 매우 커지므로 마찰식 표면 결정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다. 특히 대량생산 시 중량에 의한 수지의 융착현상이 보다 심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칠식 표면 결정화 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다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찰식 표면 결정화 설비를 이용하여 고상 중합전에 표면 결정화를 수행하는 바, 수지간의 마찰정도에 따라 고상중합시 융착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융착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마찰이 필요하다. 수지간의 마찰 정도의 차이는 쉽게 판단하기 어려우나 간단하게 마찰전후 수지의 색상 측정, 즉 백색도 L치(Nippon Denshoku Model No. SE-2000 이용 측정)를 통해 그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융착방지를 위해서는 마찰 전 수지의 L치(A)와 마찰 후 수지의 L치(B)가 다음 수학식 1을 만족하여야 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마찰 후 수지의 L치와 마찰 전 수지의 L치의 차이가 0.02A 미만인 경우 고상중합 시 융착의 위험이 있으며, 0.1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찰결정화시 설비내에서 수지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에 의해 융착 발생의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고분자량의 폴리에스터 조성물을 압출기의 특성에 따라 220 ∼ 280 ℃에서 용융시켜 압출하고 캐스팅 롤에서 냉각시킨 후, 1 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시트의 두께는 1 mm 이상이나, 사용용도에 따라 1 ∼ 10 mm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 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염기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100 몰,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90몰와, 상기 화학식 1에서 m=1, n=1, q=1이고 R1, R2, R3, 및 R4=CH3인 지방족 디올을 10 몰, 보색제로 게르마늄 화합물(게르마늄(Ⅳ) 옥사이드)을 0.03 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인 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카르본산 4 몰을 사용하여, 285 ℃, 0.001 기압 이하의 고온 및 고진공의 통상적인 PET 반응조건 및 삼산화안티몬의 존재하에 중축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중합반응으로 백색도 L치가 47이고 고유점도(IV)가 0.65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를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수학식 1에 적합한 마찰식 표면결정화 방법을 이용하여 백색도 L치가 48.8인 수지를 얻은 후 200 ℃에서 고상중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고유점도(IV)가 0.90인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270 ℃에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3 mm의 폴리에스터 시트를 얻었다. 이때, 시트 제조 시 캐스팅 드럼의 온도는 30 ℃를 넘지 않도록 제어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2염기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100 몰,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85 몰, 상기 화학식 1에서 m=1, n=1, q=1이고 R1, R2, R3, 및 R4=CH3인 지방족 디올 15 몰, 게르마늄 화합물(게르마늄(Ⅳ) 옥사이드)을 0.03 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난연제인 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카르본산 4 몰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상중합 시 온도는 190 ℃이고, 압출 시 온도는 265 ℃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2염기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100몰,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80 몰, 상기 화학식 1에서 m=1, n=1, q=1이고 R1, R2, R3, 및 R4=CH3인 지방족 디올 20 몰, 게르마늄 화합물(게르마늄(Ⅳ) 옥사이드)을 0.03 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난연제인 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카르본산 3.5 몰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상중합 시 온도는 180 ℃이고 압출 시 온도는 265 ℃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2염기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95 몰, 이소프탈산을 5 몰,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80 몰, 상기 화학식 1에서 m=1, n=1, q=1이고 R1, R2, R3, 및 R4=CH3인 지방족 디올 20 몰, 게르마늄 화합물(게르마늄(Ⅳ) 옥사이드)을 0.03 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난연제인 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카르본산 4 몰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상중합 시 온도는 190 ℃이고, 압출 시 온도는 265 ℃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2염기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100 몰,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100 몰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상중합 시 온도는 220 ℃이고, 압출 시 온도는 285 ℃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2염기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100 몰,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80 몰, 상기 화학식 1에서 m=1, n=1, q=1이고 R1, R2, R3, 및 R4=CH3인 지방족 디올 20 몰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상중합 시 온도는 180 ℃이고, 압출 시 온도는 265 ℃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2염기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100 몰, 글리콜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100 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난연제인 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카르본산 4 몰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상중합 시 온도는 220 ℃이고, 압출 시 온도는 285 ℃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성분 및 사용량으로 수행하되, 고유점도(IV) 0.65의 수지를 얻은 후, 마찰결정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180 ℃에서 고상중합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성분 및 사용량으로 수행하되, 고유점도(IV)가 0.65이고, 백색도인 L치가 47인 수지를 마찰결정화 과정을 통해 백색도인 L치가 47.5인 수지을 얻은 후, 180 ℃에서 고상중합을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성분 및 사용량으로 수행하되, 고유점도(IV)가 0.65이고, 백색도인 L치가 47인 수지를 마찰결정화 과정을 통해 백색도인 L치가 52인 수지를 얻어,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6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법]
1. 투명도 : 제조한 시트를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
2. 한계산소지수(LOI) : ASTM D2863-87 에 의거한 산소계수 가연성 게이지로 측정
3. 프라스틱 난연성 측정 규격(UL94): 두께 0.8 mm의 시료를 제조하여 UL94의 수직 연소방법에 의거 측정
4. 수지의 백색도 L치: Nippon Denshoku Model No. SE-2000 이용 측정
구 분 | 고상중합 시 융착발생 | 투과도 (%) |
한계산소지수 (LOI, %) |
UL 94 | |
실시예 | 1 | 없음 | 82.2 | 31 | V-1 |
2 | 없음 | 83.1 | 30 | V-1 | |
3 | 없음 | 84.2 | 30 | V-1 | |
4 | 없음 | 84.5 | 30 | V-1 | |
비교예 | 1 | 없음 | 불투명 | 20 | HB |
2 | 없음 | 88.5 | 30 | HB | |
3 | 없음 | 불투명 | 31 | V-1 | |
4 | 있음 | - | - | - | |
5 | 있음 | - | - | - | |
6 | 있음 | - | - | -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4는 투과도가 82 %이상이고, 난연성을 나타내는 한계산소지수(LOI)는 30 이상이고, 또 다른 난연성 측정 기준인 프라스틱 난연성 측정 규격(UL94)이 V-1 이상을 나타낸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고유점도 및 백색도 수치를 조절하지 않은 비교예 1 ∼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 그 물성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에틸렌글리콜, 특정의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 및 인계 난연제를 함유하여, 결정성 부분에 의한 빛의 산란 및 백화현상을 방지하므로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내어 특히 두께 1 mm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시트에 적용 시 그 효율성이 기대된다.
Claims (3)
- (1)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화물 100 몰,(2) 에틸렌글리콜 70 ∼ 97 몰,(3)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올계 화합물 3∼ 30 몰, 및(4)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 0.65 ∼ 6.5 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화학식 1]상기 화학식 1에서, m, n 및 q는 각각 1 ∼ 4의 정수이고, R1, R2, R3 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 ∼ C6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2]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C1 ∼ C6의 하이드록시알킬기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은 고유점도(IV)가 0.76 ∼ 1.3 범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의 백색도(L)는 다음 수학식 1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수학식 1]0.02A≤B-A≤0.1A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마찰 전 수지의 백색도이고, B는 마찰 후 수지의 백색도를 나타낸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3937A KR101247692B1 (ko) | 2006-04-14 | 2006-04-14 |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3937A KR101247692B1 (ko) | 2006-04-14 | 2006-04-14 |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2156A KR20070102156A (ko) | 2007-10-18 |
KR101247692B1 true KR101247692B1 (ko) | 2013-04-01 |
Family
ID=3881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3937A KR101247692B1 (ko) | 2006-04-14 | 2006-04-14 |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769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86227A (en) | 1975-12-03 | 1980-01-29 | Dynamit Nobel Aktiengesellschaft | Coating substances |
JPH0616796A (ja) * | 1992-07-03 | 1994-01-25 | Teijin Ltd |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法 |
JPH10279676A (ja) | 1997-04-04 | 1998-10-20 | Mitsubishi Rayon Co Ltd | 難燃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JP2000198857A (ja) | 1999-01-07 | 2000-07-18 | Toyobo Co Ltd | ポリエステル系樹脂グラフト体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水分散体 |
-
2006
- 2006-04-14 KR KR1020060033937A patent/KR1012476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86227A (en) | 1975-12-03 | 1980-01-29 | Dynamit Nobel Aktiengesellschaft | Coating substances |
JPH0616796A (ja) * | 1992-07-03 | 1994-01-25 | Teijin Ltd |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法 |
JPH10279676A (ja) | 1997-04-04 | 1998-10-20 | Mitsubishi Rayon Co Ltd | 難燃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
JP2000198857A (ja) | 1999-01-07 | 2000-07-18 | Toyobo Co Ltd | ポリエステル系樹脂グラフト体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水分散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2156A (ko) | 2007-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487918B1 (en) |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with reduced yellowness | |
US7582690B2 (en) | Stabilized aliphatic polyester compositions | |
TWI411626B (zh) | 難燃性聚酯組成物及其製造方法 | |
WO2009102071A1 (ja) |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シート | |
US8969443B2 (en) | Flame retardant copolyester compositions | |
US20190194448A1 (en) | Flame retardant copolyester compositions | |
US5095089A (en) | Polyester copolymer | |
US20230063699A1 (en) | Non-halogenated flame retardant copolyester compositions | |
KR101247692B1 (ko) |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 |
KR101083773B1 (ko) | 색상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262833B1 (ko)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 |
JPH07268193A (ja) |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 |
KR20140147804A (ko)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및 난연성 마스터 배치 | |
JPH0841302A (ja) |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 |
KR20180062606A (ko) |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 |
KR0150692B1 (ko) | 지방족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블로우 필름 | |
KR20000002226A (ko) | 투명성 코폴리에스터 후판 쉬트 | |
KR19980030465A (ko)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
KR100566910B1 (ko) |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 |
KR101334347B1 (ko) | 폴리카보네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플라스틱 다층벽 시트용 조성물, 시트 및 시트의 제조방법 | |
KR101334346B1 (ko) | 고용융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다층벽 시트용 조성물, 시트및 시트의 제조방법 | |
KR101165576B1 (ko) |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
KR101249577B1 (ko) | 고 고유점도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 |
JPH01256519A (ja) | 結晶性に優れた共重合ポリエステル | |
KR20060098121A (ko)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