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711B1 -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 Google Patents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711B1
KR101246711B1 KR1020110083243A KR20110083243A KR101246711B1 KR 101246711 B1 KR101246711 B1 KR 101246711B1 KR 1020110083243 A KR1020110083243 A KR 1020110083243A KR 20110083243 A KR20110083243 A KR 20110083243A KR 101246711 B1 KR101246711 B1 KR 10124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assembly
measuring instrument
tub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996A (ko
Inventor
오경옥
Original Assignee
오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옥 filed Critical 오경옥
Priority to KR102011008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7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예를 들어, 방화벽 또는 방화문)에 관통 설치되어, 양쪽 구역 간의 차압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는,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호 구역 간의 차압을 검사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로서, 벽체의 일면을 통해 삽입되는 제1몸체부를 포함하고,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제1조립체와, 벽체의 타면을 통해 삽입되고 제1몸체부와 결합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제2조립체 및 제2조립체의 끝단에 전후 양방으로 선택적인 탈착이 이루어지며,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연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연설비 차압측정구{DEVICE FOR TESTING DIFFERENTIAL PRESSURE OF SMOK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예: 방화벽 또는 방화문)에 관통 설치되어, 양쪽 구역 간의 차압을 신속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에 관한 것이다.
제연설비(制煙設備, smoke control system)는 소화수단과 더불어 건물 화재 시 주요한 안전 기능을 담당하는 설비 중 하나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급기가압 제연설비는 건물의 화재 시 내부의 피난로에 대해 화열 또는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거주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 '급기가압'은 가압하고자 하는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그 공간의 기압이 주위 공간의 기압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른바 양측 공간에 차압(差壓)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건물의 화재 시 피난로가 될 수 있도록 방화 구획된 공간이라면 이러한 급기가압 제연의 계획대상이 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서, 복도 또는 피난계단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본질적인 목적은 제연대상 공간(이하, '제연구역'이라 함)에 연기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는데 있으므로, 이 경우 중요한 요건으로서,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에 설정된 기압차가 유지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차압 측정을 위한 장치로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438563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통해 종래의 제연설비 압력측정장치를 소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연설비 압력측정장치는, 나사봉(12)을 형성하는 제1결합구(10)와, 내부 나사공(22)을 갖는 제2결합구(20)와, 제1 및 제2 결합구 사이로 양측에 나사공(32)과 나사부(33)를 형성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제연설비 압력측정장치는,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 간의 나사 회전 체결에 따라 전체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압력측정용 튜브와의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구(30)에는 별도의 니플부(35)가 구비된다.
특히,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결합구(10)의 중심에 구비된 통공(13)은 니플부(35)의 통공과 상호 연통되므로, 압력측정장치가 설치된 양쪽 구역 간의 차압을 측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니플부(35)는 제2결합구(2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캡(40)에 의해 미사용 시 밀폐 가능하여, 부품의 유지 관리에 이로움이 있으며, 나아가 정돈된 외관 미감을 부여해 줄 수 있었다.
다만, 상기한 종래의 제연설비 압력측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구조적으로 4개의 부품이 나사 조립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부품 제작에 시간 및 비용이 크게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둘째, 압력측정장치의 미사용 시, 캡(40)의 사용에 따라 깔끔하게 마무리된 외관 미감을 부여해 줄 수는 있으나, 경우에 따라 캡(40)이 분실될 경우, 니플부(35)의 요철 돌기가 그대로 드러나 외관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종래의 제연설비 압력측정장치는 니플부(35)가 제2결합구(22)의 내부 나사공(22) 속에 들어가 있어서, 압력측정용 튜브를 끼워 연결하는 작업 시 불편함이 따랐다. 특히, 제연설비 압력측정 작업은, 통상 주기적(예: 한 달에 1회)으로 수행되므로, 작업이 수행될 때마다 일일이 튜브를 제2결합구(20)의 내부 나사공(22) 속으로 밀어 넣은 채 니플부(35)와 연결해야 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예: 방화벽 또는 방화문)에 관통 설치되어, 상호 구역 간의 차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압측정구의 미사용 시에는 깔끔한 외관 미감을 부여하고,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위를 전적으로 배제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차압 검사 시 구역 간의 밀폐 효과를 향상시켜 계측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압검사기의 튜브와의 연결 구조를 다양화시켜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조작 방식으로 설치 및 사용 가능한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호 구역 간의 차압을 검사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로서, 벽체의 일면을 통해 삽입되는 제1몸체부를 포함하고,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제1조립체; 벽체의 타면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결합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제2조립체; 및 상기 제2조립체의 끝단에 전후 양방으로 선택적인 탈착이 이루어지며,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연결체;를 포함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체는, 차압검사기의 튜브가 연결 고정되는 연결핀; 및 상기 제2조립체의 끝단에 전후 양방 중 선택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체는, 차압검사기의 튜브 연결 시, 벽체의 타면으로 상기 연결핀이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를 상기 제2조립체에 장착하여, 상기 돌출된 연결핀으로 튜브가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차압검사기의 튜브 연결 해제 시,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제2조립체의 중공으로 내장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를 상기 제2조립체에 장착하여, 벽체의 타면으로는 평탄한 외관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의 측면에는, 회전 조작 편의를 위한 드라이버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동일 외경을 갖는 환봉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립체의 측면에는, 회전 조작 편의를 위한 드라이버 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립체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중공은, 상기 연결체의 분리 또는 분실 시, 상기 연결체 없이도 차압검사기의 튜브를 직접 삽입하여 끼워 맞춤으로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예: 방화벽 또는 방화문)에 관통 설치되어, 상호 구역 간의 차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압측정구의 사용 시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핀에 튜브를 연결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차압측정구의 미사용 시에는 연결핀을 안쪽으로 내장시켜 깔끔한 외관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압검사공을 제외한 잔부 영역에서 기밀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며, 연결핀 전체가 튜브 내경으로 삽입되어 연결됨에 따라 차압 검사 시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압검사기의 튜브와의 연결 구조를 다양화시키되, 특히, 차압검사기의 튜브와 연결되는 부위가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지님에 따라, 튜브와의 연결 안정성이 향상되며, 튜브와의 연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고 조립에 필요한 부품 개수를 줄임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도 제품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연설비 압력측정장치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1 연결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2 연결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1 연결 상태를 구조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2 연결 상태를 구조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1 연결 상태를 통해 차압검사기의 튜브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2 연결 상태를 통해 차압검사기의 튜브를 연결 해제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에서 연결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압검사기의 튜브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서 주요 특징되는 부분만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제연설비 차압측정구(100)는,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양쪽 구역 간의 차압을 검사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100)는, 벽체의 일면을 통해 삽입되며, 제1몸체부(111)와 제1걸림턱부(115)를 구성으로 갖는 제1조립체(110)와, 벽체의 타면을 통해 삽입되어 제1조립체와 구조적으로 연결되며, 제2몸체부(121)와 제2걸림턱부(125)를 세부 구성으로 갖는 제2조립체(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조립체(120), 특히 제2조립체(120)의 제2걸림턱부(125)의 끝단을 통해 전후 양방으로 연결되어 탈착 가능한 연결체(130)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연결체(130)는 상기 제2조립체(120)에 대해 전, 후 양방 중 선택된 일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2가지 연결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100)의 사용 또는 미사용 여부와 관련하여, 연결체(130)의 연결 방향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실시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100)의 사용 시의 연결 상태(이하, '제1 연결 상태'라 함)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1 연결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연설비 차압측정구(100)는, 제1조립체(110)와, 상기 제1조립체와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제2조립체(120)와, 상기 제2조립체의 끝단(즉, 제2걸림턱부(125)의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체(130)를 포함한다.
제1조립체(110)는,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 일면을 통해 삽입되는 부재로서, 이어서 설명될 제2조립체(120)와의 서로 마주한 대향 단부에서 나사 결합되어 일련의 몸체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제1조립체(110)는 내주면에 암나사(113)를 구비하는 나사공이 형성된 제1몸체부(111)와, 제1몸체부의 삽입방향 후단에 형성되어 벽체의 일면에 걸림 고정되는 제1걸림턱부(115)를 세부 구성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도 3에서는 구체적으로 표현되지 않았으나, 제1조립체(110)의 내부 중심에는 일정한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차압검사공(도 4의 도면부호 H 참조)이 마련된다. 이러한 차압검사공은, 제연구역과 옥내 구역 간에 설치된 경계 벽체를 관통하는 유일한 통기공으로써, 상호 구역 간의 차압 검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차압검사공의 직경 및 전체 길이는 굳이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설계 조건(예: 제연구역 상의 설정 기압 조건, 각 구역의 공간 체적 등)에 따라 합리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제1몸체부(111)는, 내부 중공을 따라 암나사(113)가 구비된 나사공이 형성된 환봉 부재로서, 그 길이(L1)는 후술될 제2몸체부(121)의 수나사(123) 길이(L2)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몸체부(111)의 암나사(113) 직경은 후술될 제2몸체부(121)의 수나사(123)의 직경에 대해 상호 나사 체결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몸체부(111)의 암나사(113)와 후술될 제2몸체부(121)의 수나사(123)가 상호 나사 체결되어 제1몸체부(111) 및 제2몸체부(121)가 일련의 몸체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암나사(113)와 수나사(123) 간의 치합 구간 상에 소정의 유격 틈새가 존재할 경우,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된 제1몸체부(111) 및 제2몸체부(121)는 자연 풀림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암나사(113)와 수나사(123) 간의 치합 관계가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 형태일 경우에는, 나사 체결 시 비교적 큰 회전력을 요구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암나사(113)와 수나사(123)는 나사 체결 후 유격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끼움 맞춤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걸림턱부(115)는, 제1몸체부(111)의 삽입방향 후단에 형성되며, 외경이 더 확장된 단차 부위를 지칭한다. 즉, 제1걸림턱부(115)는 제1몸체부(111)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관계에 따라 제1몸체부(111)와 구분될 수 있는 구성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 및 형상에 따라 구분한 구성이다.
제1걸림턱부(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헤드 모양 또는 플랜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기능으로는 제1몸체부(111)가 벽체의 일면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때, 삽입방향의 후단에서 걸림 고정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제1걸림턱부(115)의 측면(도 4의 도면부호 115a 참조)에는, 나사 체결 시에 필요한 회전력을 손쉽게 가해줄 수 있도록 드라이버 홈(117)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준비된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여 제1조립체(1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조립체(12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2조립체(120)는,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 타면을 통해 삽입되어, 경계 벽체의 일면을 통해 삽입된 제1조립체(110)와 나사 체결되어 연결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제2조립체(120)는 제1몸체부(111)의 암나사(113)에 대응하는 수나사(123)를 구비하는 제2몸체부(121)와, 제2몸체부의 삽입방향 후단에 형성되어 벽체의 타면에 걸림 고정되는 제2걸림턱부(125)를 세부 구성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제2조립체(120)의 내부 중심에는 일정한 직경으로 관통 형성되는 차압검사공이 구비되는데, 이는 전술한 제1조립체(110)의 차압검사공과 연통되기 위하여 이와 동일한 위치(더 구체적으로는 내부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부(121)는, 삽입방향 선단 쪽에서 제1몸체부(111)와 연결되기 위하여, 제1몸체부(111)의 암나사(113)와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123)가 구비된다. 그리고 그 전체적인 외형은 제1몸체부(111)의 외형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좋다. 즉 제1몸체부(111)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환봉 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걸림턱부(125)는, 제2몸체부(121)의 삽입방향 후단에 형성되며, 외경이 더 확장된 단차 영역을 지칭한다. 즉, 제2걸림턱부(125)는 앞서 제1걸림턱부(121)와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으로서, 제2몸체부(121)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관계에 따라 제2몸체부(121)와 구분될 수 있는 구성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 및 형상에 따라 구분한 구성이다.
제2걸림턱부(125)는, 제2몸체부(121)가 벽체의 타면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때, 삽입방향의 후단에서 걸림 고정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로써, 제2몸체부(12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제1몸체부(111)와 제2몸체부(121) 간의 나사 체결 후 풀림 방지에 도움이 되는 프리 스트레스(pre stress)를 제공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제1걸림턱부(115) 및 제2걸림턱부(125)는 벽체의 양면에 걸림 고정되되, 제1몸체부(111) 및 제2몸체부(121) 간의 연결 시, 벽체의 양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대면 부위에서 가해진 긴장력은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억제한다.
한편, 제2몸체부(121)에는, 제1몸체부(111)와 달리 제2걸림턱부(125)까지 이어진 내부 중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122)은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먼저, 제2몸체부(121)의 중공(122)으로는 차압검사기의 튜브가 직접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중공(122)의 직경은 차압검사기의 튜브의 외주면이 삽입된 후 연결 고정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즉, 중공(122)의 직경은 튜브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억지 끼워 맞춤 될 수 있도록 조금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기능은 만일 연결체(130)의 분실 시 매우 유용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결체(130)에 구비된 연결핀(131)을 통해 튜브를 연결하거나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몸체부(121)의 중공(122)으로 튜브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121)의 중공(122)은 후술될 연결핀(131)의 내장하는 공간으로서도 활용된다. 이에 관한 내용은 연결체(130)의 설명 시 구체적으로 하기로 한다.
연결체(130)는, 제2걸림턱부(125)의 끝단을 통해 탈착되는 부재로서, 앞서 살펴본 제1조립체(110) 및 제2조립체(120)와 동일하게 내부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H)이 마련된다. 즉, 제1조립체(110)의 차압검사공은, 제2조립체(120)의 차압검사공과 연결되며, 이는 다시 연결체(130)의 차압검사공까지 연장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연결체(130)는, 차압검사기의 튜브가 연결되는 연결핀(131)과, 제2조립체(120)와 나사 체결 방식으로 탈착 연결되는 연결몸체(135)의 구성을 포함한다.
연결핀(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H)이 마련되어 있으며, 튜브의 내경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핀(131)의 선단(132)에는 튜브와의 연결 편의를 고려하여 안쪽으로 테이퍼 처리 되어 있다. 또한, 연결핀(131)의 길이는 본 발명에서 굳이 제한할 필요가 없으나, 연결핀(131)은 제2몸체부(121)의 중공(122)에 내장될 수 있어야 하므로, 중공(122)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져야 한다.
연결몸체(133)는 연결핀(131)의 두부에 형성되며, 제2걸림턱부(125)의 끝단에 구비된 나사홈(126)을 통해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연결몸체(133)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나사홈(126)으로 회전 체결되기 위한 나사돌기(136)가 구비된다.
특히, 이러한 연결몸체(133)는 전후 양방으로 상기 나사홈(126)으로 체결될 수 있는데, 차압검사기의 튜브와 연결이 필요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핀(131)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즉, 제1 연결 상태를 취한다.
그리고 연결몸체(135)의 측면에는 나사 체결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드라이버 홈(137)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립체(110), 제2조립체(120) 및 연결체(130)의 재질은 내연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구체적인 예로서, 스틸이나 스테인리스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SUS)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2 연결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각각의 구성 및 이들의 결합관계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 3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앞서 도 3의 제1 연결 상태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2 연결 상태는 차압검사기의 튜브와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 즉 본 발명의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연결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연결핀(131)은 제2몸체부(121)의 중공(122)으로 내장되는데, 연결몸체(135)를 도 3과 반대 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이러한 제2 연결 상태가 가능해 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 상태는 외측으로 돌출된 모양을 전적으로 배제하여 정돈된 외관 미감을 구현한다. 그리고 외측으로 돌출된 부재로 인한 안전사고(예: 거주자 신체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1 연결 상태를 구조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2 연결 상태를 구조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체(110)의 암나사(113)를 통해, 제2조립체(120)의 수나사(123)가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조립체(120)의 중공(122) 끝단에 형성된 나사홈(126)을 통해 연결몸체(133)의 나사돌기(136)가 체결된다.
여기서, 연결핀(131)과 연결몸체(133)의 사이에는, 연결핀(131)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단부(1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돌기단부(139)는 연결체(130)의 회전 체결 시, 회전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보강부재로서, 이의 외주면에는 인위적으로 거칠게 표면 처리된 요철(凹凸)면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단부(139)에 의해, 연결체(130)의 조립 시 연결핀(131)은 직접적으로 파지되지 않으며, 또한 직접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결과 오랜 사용 시간이 경과하여도, 연결핀(131)은 초기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튜브와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도 5의 경우 전술한 제1 연결 상태의 구조로서, 차압검사기의 튜브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핀(13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달리, 도 6의 경우 전술한 제2 연결 상태의 구조로서 연결핀(131)이 제2조립체(120)의 중공(122)에 내장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1 연결 상태를 통해 차압검사기의 튜브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도이다.
제연구역((S2) 및 옥내구역(S1) 사이에는 서로의 구역을 구획하는 경계 벽체(G)(예를 들어, 방화문 또는 방화벽)가 존재한다. 이러한 벽체(G)를 관통시켜 구멍을 낸 후, 벽체(G)의 일면과 타면을 통해 제1조립체 및 제2조립체를 연결한다.
연결체(130)의 경우, 본 발명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연결 형태가 달라질 수 있는데, 도 7의 경우 차압검사 시 튜브(T)와의 연결을 위해 연결핀(131)이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의 제2 연결 상태를 통해 차압검사기의 튜브를 연결 해제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도이다.
이 경우, 앞서 도 7과 달리 차압검사를 하지 않는 평소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된 연결핀(131)을 장치 내로 숨겨 보관하는데, 정돈된 마감 미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충돌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에서 연결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압검사기의 튜브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사용도이다. 사용 시간이 지나면 탈착 가능한 부품은 분실되기 쉽다. 본 발명에서의 연결체가 바로 이러한 부품에 해당된다. 이 경우, 별도로 신품으로 교체하지 않아도, 차압검사기의 튜브(T)의 외경에 맞게 제2조립체의 중공 크기가 맞춰지므로, 직접 튜브(T)를 중공 내측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예: 방화벽 또는 방화문)에 관통 설치되어, 상호 구역 간의 차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특히, 차압측정구의 사용 시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핀에 튜브를 연결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차압측정구의 미사용 시에는 연결핀을 안쪽으로 내장시켜 깔끔한 외관 미감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압검사공을 제외한 잔부 영역에서 차압 유지를 위한 기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핀 전체가 튜브 내경으로 삽입되어 연결됨에 따라 차압 검사 시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는, 종래와 달리 차압검사기의 튜브와 연결되는 부위를 이중으로 채택하여, 연결체의 분실 시 또는 사용자 편의에 따라 튜브를 제2조립체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게다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적은 개수의 조립 부품을 적용하여 비용적인 측면의 부담을 해소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연설비 차압측정구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G: 벽체
H: 차압검사공
S1: 옥내구역
S2: 제연구역
T: 튜브
100: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110: 제1조립체
111: 제1몸체부 113: 암나사
115: 제1걸림턱부
120: 제2조립체
121: 제2몸체부 123: 수나사
125: 제2걸림턱부
130: 연결체
131: 연결핀 135: 연결몸체

Claims (7)

  1. 제연구역과 옥내구역 간의 경계 벽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호 구역 간의 차압을 검사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로서,
    벽체의 일면을 통해 삽입되는 제1몸체부를 포함하고,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제1조립체;
    벽체의 타면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결합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제2조립체; 및
    상기 제2조립체의 끝단에 전후 양방으로 선택적인 탈착이 이루어지며, 내측 중심을 따라 차압검사공이 연통된 연결체;를 포함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차압검사기의 튜브가 연결 고정되는 연결핀; 및
    상기 제2조립체의 끝단에 전후 양방 중 선택된 방향으로 장착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차압검사기의 튜브 연결 시, 벽체의 타면으로 상기 연결핀이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를 상기 제2조립체에 장착하여, 상기 돌출된 연결핀으로 튜브가 연결되며,
    반대로, 차압검사기의 튜브 연결 해제 시,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제2조립체의 중공으로 내장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를 상기 제2조립체에 장착하여, 벽체의 타면으로는 평탄한 외관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의 측면에는, 회전 조작 편의를 위한 드라이버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동일 외경을 갖는 환봉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의 측면에는, 회전 조작 편의를 위한 드라이버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중공은, 상기 연결체의 분리 또는 분실 시, 상기 연결체 없이도 차압검사기의 튜브를 직접 삽입하여 끼워 맞춤으로서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KR1020110083243A 2011-08-22 2011-08-22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KR10124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243A KR101246711B1 (ko) 2011-08-22 2011-08-22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243A KR101246711B1 (ko) 2011-08-22 2011-08-22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996A KR20130020996A (ko) 2013-03-05
KR101246711B1 true KR101246711B1 (ko) 2013-03-25

Family

ID=4817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243A KR101246711B1 (ko) 2011-08-22 2011-08-22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9310A (zh) * 2013-12-21 2015-06-24 贵阳铝镁设计研究院有限公司 提高焙烧炉负压测量口检修效率的方法及测量接头
KR20160088646A (ko) * 2015-01-16 2016-07-26 이성엽 반자동식 차압측정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270B (zh) * 2018-12-27 2024-03-05 上海理工大学 取压器、取压装置以及压力测量设备、压差测量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478A (ja) 1999-09-29 2001-04-13 Nippon Techno:Kk 防火機能付差圧式給気口
KR20040097989A (ko) * 2002-01-17 2004-11-18 마리오프 코퍼레이션 오이 밸브 요소
KR20100060340A (ko) * 2008-11-27 2010-06-07 박재현 방화문 차압측정용 커넥터
KR20100138127A (ko) * 2009-06-24 2010-12-31 이엔피연구소 주식회사 방화문 차압측정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478A (ja) 1999-09-29 2001-04-13 Nippon Techno:Kk 防火機能付差圧式給気口
KR20040097989A (ko) * 2002-01-17 2004-11-18 마리오프 코퍼레이션 오이 밸브 요소
KR20100060340A (ko) * 2008-11-27 2010-06-07 박재현 방화문 차압측정용 커넥터
KR20100138127A (ko) * 2009-06-24 2010-12-31 이엔피연구소 주식회사 방화문 차압측정용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9310A (zh) * 2013-12-21 2015-06-24 贵阳铝镁设计研究院有限公司 提高焙烧炉负压测量口检修效率的方法及测量接头
KR20160088646A (ko) * 2015-01-16 2016-07-26 이성엽 반자동식 차압측정공
KR101702891B1 (ko) 2015-01-16 2017-02-08 주식회사 동일에이스 반자동식 차압측정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996A (ko)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711B1 (ko) 제연설비 차압측정구
JP2012057320A (ja) Alc防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施工方法
DE102009046556B4 (de) Brandmeldervorrichtung mit Prüfeinrichtung
BR112013033413B1 (pt) extintor de incêndio seco com múltiplas disposições de acoplamento, sistema para conectar um extintor de incêndio seco em um tubo de suprimento de fluído e método para acoplar um extintor de incêndio seco em um tubo de suprimento de fluído
US7665940B2 (en) Fastener assembly
ITMI950879U1 (it) Autorespiratore subacqueo
KR20100060340A (ko) 방화문 차압측정용 커넥터
KR20100138127A (ko) 방화문 차압측정용 커넥터
KR101365050B1 (ko) 차압 측정구
KR20110008901U (ko) 방화문용 차압 측정구
JP2008202341A (ja) 手すりブラケット
KR200474262Y1 (ko) 방화문용 차압 측정구
CN205778318U (zh) 设有柔性层裙边与锁的防火门
KR200480132Y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부재
WO2017067348A1 (zh) 一种燃气管的连接结构
CN219319927U (zh) 一种测试枪管内芯强度的治具
JP6250421B2 (ja) タイロッド連結具及びタイロッドの張力測定方法
CN205778319U (zh) 设有裙边与锁的防火门
CN205778322U (zh) 设有柔性层与锁的防火门
JP2002031284A (ja) 自在継手
KR20070076941A (ko) 스프링쿨러 헤드의 부착구조
IT201900006320A1 (it) Sistema di giunzione di elementi tubolari
KR200264536Y1 (ko) 딘식 및 요크식 압력검출기
ITAN20110130A1 (it) Sistema per l'appensione di apparecchi termosanitari
PL420325A1 (pl) Działko wodno-pianow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