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895B1 -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 - Google Patents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895B1
KR101245895B1 KR1020110062270A KR20110062270A KR101245895B1 KR 101245895 B1 KR101245895 B1 KR 101245895B1 KR 1020110062270 A KR1020110062270 A KR 1020110062270A KR 20110062270 A KR20110062270 A KR 20110062270A KR 101245895 B1 KR101245895 B1 KR 10124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unit
base frame
frame
locking pie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486A (ko
Inventor
이남원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8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시스템을 형성하는 전자회로유닛을 복수 개 결합하여 소형 모듈화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유닛 자체의 유지보수가 수월해질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가 절감되며, 전반적인 구조설계가 단순화됨은 물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틀; 상기 베이스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로유닛을 안착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로유닛 결속부; 및 상기 베이스틀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틀; 상기 베이스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로유닛을 안착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로유닛 결속부; 상기 회로유닛 결속부에 결합되는 회로유닛; 및 상기 베이스틀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이 구비된 회로유닛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COMBINATION OF FRAME FOR ELECTRONIC CIRCUIT UNIT AND ELECTRONIC CIRCUIT UNIT MODULE HAVING THE SAMR}
본 발명은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시스템을 형성하는 전자회로유닛(이하, '회로유닛'이라 함)을 복수 개 결합하여 소형 모듈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과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별 소자들을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며, 특정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회로들은 하나의 회로유닛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터미널을 형성하는 상기 회로유닛들은 별도의 고정부를 통해 PCB 등에 각각 연결되며,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 상기 회로유닛들 상호 간에 터미널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로유닛을 모듈화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복수 개의 회로유닛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을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은, 베이스틀; 상기 베이스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로유닛을 안착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로유닛 결속부; 및 상기 베이스틀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회로유닛 결속부는 안착턱 및 잠금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편은 제1잠금편 및 제2잠금편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에 회로유닛을 결합시킨 회로유닛모듈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유닛을 모듈화시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회로유닛 자체의 유지보수가 수월해질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가 절감되며, 전반적인 구조설계가 단순화됨은 물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유닛과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을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을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유닛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회로유닛의 회로도,
도 9는 Welding Inverter basic block Diagram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을 구비한 회로유닛모듈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미널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회로유닛(400)과 회로유닛(400)이 결합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회로유닛(400)이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에 결합되어 회로유닛모듈을 형성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인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이하, '결합프레임'이라 함) 및 회로유닛모듈은 결합프레임과 회로유닛(400)의 결합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며, 기본적으로 결합프레임에는 회로유닛(400)을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이하에서는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틀(100); 상기 베이스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로유닛(400)을 안착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로유닛 결속부(200); 및 상기 베이스틀(100)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프레임은 절연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상에는 베이스틀(100)을 사각 틀로 도시하였으나, 베이스틀(100)의 형상은 회로유닛(400)의 형상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틀(100)의 내부로는 회로유닛 결속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틀(100)을 도면상에는 하나의 사각 틀로만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회로유닛 결속부(200)를 내측에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는 3개의 회로유닛 결속부(200)와 하나의 베이스틀(100)로 구성하였으나, 이를 3개의 회로유닛 결속부(200) 및 각각의 회로유닛 결속부(200)를 내측에 형성하도록 3개의 베이스틀(100)로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회로유닛 결속부(200)는 회로유닛(400)의 형상에 대응되고 내측이 개방된 틀 형상이며, 회로유닛(400)의 하부 테두리부에만 접촉되어 회로유닛(400)을 지지하도록 베이스틀(100)의 내측 하단면과 안착턱(210)을 형성한다.
또한, 회로유닛 결속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턱(210)에 지지된 회로유닛(400)이 안착턱(2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턱(210)의 상부, 즉, 회로유닛 결합부(41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잠금편(220)을 구비한다.
한편, 베이스틀(100)의 바깥쪽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고정부(300)는 결합프레임을 PCB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 및 비율 등은 사용 용도 및 결합 대상의 특성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일실시예로 고정부(300)의 위치를 하나의 모서리부와 이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모서리부에 한정하여 형성하였으나, 그 형성위치는 달리할 수 있다.
고정부(300)의 내측에는 홀이 형성되며, 미도시 하였으나, 홀의 내측 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볼트 등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편(220)은 베이스틀(100)의 내측 좌우상하 방향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제1잠금편(221) 및 제1잠금편(22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잠금편(222)으로 구성된다.
제1잠금편(221)과 제2잠금편(222)은 회로유닛(40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안착턱(210)과 홈을 형성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편(221)은 하부에서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제2잠금편(222)은 상부에서 하부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로유닛(400)의 결합시 회로유닛(400)의 일측에 형성된 회로유닛 결합부(410)를 제1잠금편(221)과 안착턱(210)이 이루는 홈에 끼운 후 타측에 형성된 회로유닛 결합부(410)를 제2잠금편(222)의 만곡 부위에 슬라이딩시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잠금편(221) 및 제2잠금편(222)의 길이는, 너무 길면 회로유닛(400)의 결합시 간섭현상이 일어나고, 너무 짧으면 결합지지력이 와해 되므로 회로유닛(400)의 길이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잠금편(221) 및 제2잠금편(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회로유닛(400)의 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때, 제2잠금편(222)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종래에 사용되던 회로유닛(400)을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의 회로유닛(400)의 형상에 대응시켜 결합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도 7은 종래와는 달리 결합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회로유닛 결합부(410)의 형상만을 달리하여 제작한 것이다.
또한, 도면번호를 미기재 하였으나, 회로유닛(400)은 특정회로를 유닛으로 구성한 몸통(이하, '회로'라 함) 부분과 회로의 상하부에 형성된 회로유닛 결합부(410)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로의 상하부에 형성된 회로유닛 결합부(410)의 길이 d1, d2는 각각 동일하게 하거나 달리할 수 있다.
또한, 회로의 크기에 따라 d2는 d1의 길이보다 크거나 작게, 또는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로유닛(400)의 형상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합프레임을 제작하거나, 결합프레임의 형상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회로유닛(400)을 제작할 수 있으나, 회로유닛(400)의 형상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합프레임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 및 도 7의 회로는 도 8의 단일 FRD모듈(100A/600V)을 구성한 것이며, 일실시예로 회로유닛(400)의 회로는 도 9에 도시된 A부분을 모두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로의 상부에는 터미널이 형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는 회로유닛 결속부(200)를 3개로 도시하였으나, 두 개로 구성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합프레임,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틀(100)과 회로유닛 결속부(200)와 고정부(300)로 이루어진 결합프레임에 회로유닛(400)을 결합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유닛모듈이 형성된다.
도 11에는 도 8의 회로를 구성한 회로유닛(400)을 동일한 단자끼리 동판(copper)으로 병렬연결시킨 회로유닛모듈을 도시하였으나, 회로의 연결 상태 및 구조 등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100 : 베이스틀
200 : 회로유닛 결속부 210 : 안착턱
220 : 잠금편 221 : 제1잠금편
222 : 제2잠금편
300 : 고정부
400 : 회로유닛 410 : 회로유닛 결합부

Claims (8)

  1. 베이스틀(100);
    상기 베이스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로유닛(400)을 안착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로유닛 결속부(200); 및
    상기 베이스틀(100)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300)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회로유닛 결속부(200)는,
    상기 회로유닛(400)의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회로유닛(400)의 하부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안착턱(210); 및
    상기 베이스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유닛(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잠금편(220)을 포함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편(220)은,
    상기 베이스틀(100)의 좌우상하 방향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2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회로유닛(400)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상기 안착턱(210)과 홈을 형성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된 제1잠금편(221); 및
    상기 제1잠금편(22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유닛(400)의 타측이 끼워지도록 상기 안착턱(210)과 홈을 형성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만곡지게 형성된 제2잠금편(222)을 포함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편(22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5. 베이스틀(100);
    상기 베이스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로유닛(400)을 안착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로유닛 결속부(200);
    상기 회로유닛 결속부(200)에 결합되는 회로유닛(400); 및
    상기 베이스틀(100)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300)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회로유닛 결속부(200)는,
    상기 회로유닛(400)의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회로유닛(400)의 하부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안착턱(210); 및
    상기 베이스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유닛(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잠금편(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이 구비된 회로유닛모듈.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편(220)은,
    상기 베이스틀(100)의 좌우상하 방향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2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회로유닛(400)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상기 안착턱(210)과 홈을 형성하는 제1잠금편(221); 및
    상기 제1잠금편(221)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유닛(400)의 타측이 끼워지도록 상기 안착턱(210)과 홈을 형성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만곡지게 형성된 제2잠금편(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이 구비된 회로유닛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편(22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유닛 결합프레임이 구비된 회로유닛모듈.
KR1020110062270A 2011-06-27 2011-06-27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 KR10124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70A KR101245895B1 (ko) 2011-06-27 2011-06-27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70A KR101245895B1 (ko) 2011-06-27 2011-06-27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86A KR20130001486A (ko) 2013-01-04
KR101245895B1 true KR101245895B1 (ko) 2013-03-20

Family

ID=4783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270A KR101245895B1 (ko) 2011-06-27 2011-06-27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8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463U (ko) * 1996-08-07 1998-05-15 조희재 인쇄회로기판 고정케이스(Fixing Case of PCB)
JP2000244153A (ja) 1998-12-24 2000-09-08 Denso Corp 電子制御機器
KR20050060894A (ko) * 2003-12-17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0951888B1 (ko) * 2008-06-18 2010-04-12 주식회사 다윈전자 반도체 패키지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463U (ko) * 1996-08-07 1998-05-15 조희재 인쇄회로기판 고정케이스(Fixing Case of PCB)
JP2000244153A (ja) 1998-12-24 2000-09-08 Denso Corp 電子制御機器
KR20050060894A (ko) * 2003-12-17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0951888B1 (ko) * 2008-06-18 2010-04-12 주식회사 다윈전자 반도체 패키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86A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8470A1 (en) Printed circuit board stack
CN1981351A (zh) 扼流圈的固定装置和具有该固定装置的电感性部件
CN106299828B (zh) 接头连接器
US20120319810A1 (en) Inductance module and base holder thereof
US20180175571A1 (en) Joint connector assembly
US8089140B2 (en) Lead frame assembly, lead frame and insulating housing combination, and led module having the same
US9437941B1 (en) Splitter type terminal block connector
JP2007184222A (ja) コネクタ
US9071025B2 (en) Socket for electronic components
US8514048B2 (en) Transformer capable of adjusting height
US9230763B2 (en) Relay assembly with fastening clip
KR101245895B1 (ko) 회로유닛 결합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회로유닛모듈
US20150124386A1 (en) Sliding electronic apparatus
KR102138549B1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040529A1 (en) Main board and fixing component thereof
CN206332202U (zh) 连接器
JP2017041400A (ja) フィルタ素子内蔵コネクタ
CN201233975Y (zh) 一种电子产品卡座
US8477005B2 (en) Transformer capable of maintaining height
WO2015110936A1 (en) Modular connector
KR101175227B1 (ko) 패키지
US7399204B2 (en) Connector with terminals and fastening metal fittings having positioning portions of the same shape
CN213815762U (zh) 磁件结构
JP5942123B2 (ja) 電気接続箱
US20080238598A1 (en) I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