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714B1 -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714B1
KR101245714B1 KR1020120053961A KR20120053961A KR101245714B1 KR 101245714 B1 KR101245714 B1 KR 101245714B1 KR 1020120053961 A KR1020120053961 A KR 1020120053961A KR 20120053961 A KR20120053961 A KR 20120053961A KR 101245714 B1 KR101245714 B1 KR 101245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le
screen
ic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Priority to KR102012005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는 제1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프리뷰 하는 카메라 구동부; 상기 파일의 관리에 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항목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승인 요청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승낙 여부를 판단하고, 승낙으로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하는 파일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FILE MANAGEMENT USING CAMERA BETWEEN TERMINAL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일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개발은 저비용, 저전력의 무선 장치 또는 무선 링크를 이용한 기술이 커다란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무선 통신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 및 구현되고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라디오 기술에 기반을 둔 무선 통신 방식이다. 블루투스는 2.4㎓ 대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반경 10m 거리에서 최대 1Mbps의 속도로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소비 전력이 매우 적기 때문에 그 활용의 범위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단말 사용자 간 프로그램 및 파일의 공유는 상술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구동, 기기 검색, 기기 선택, 전송을 원하는 파일의 선택 등의 입력이 요구된다. 즉, 이러한 번거로운 입력 절차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공유가 진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55662호(발명의 명칭: 기록매체간 영상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 및 기록매체간 영상파일 복사방법, 등록일자: 2006년 2월 21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간의 파일 이동, 복사, 삭제, 전송, 공유 등에 관한 파일 관리를 카메라와 간단한 터치 조작으로 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메라가 탑재되지 않은 단말의 경우에도 상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매개체로 하여 파일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는 제1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프리뷰 하는 카메라 구동부; 상기 파일의 관리에 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항목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승인 요청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승낙 여부를 판단하고, 승낙으로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하는 파일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복사/이동'이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전송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파일 전송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파일함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삭제'가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휴지통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삭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파일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이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서버에 올리기'가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서버 보관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서버 업로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서버 업로드 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승낙 및 거절을 포함하는 응답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응답 항목 중 상기 승낙이 선택되면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를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말 간 파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은 파일 관리 장치의 카메라 구동부에서, 제1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프리뷰 하는 단계;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승인 요청부에서, 상기 파일의 관리에 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항목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아이콘 표시부에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승낙 여부를 판단하고, 승낙으로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은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복사/이동'이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파일 전송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파일함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은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삭제'가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휴지통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삭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파일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이 삭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은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서버에 올리기'가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서버 보관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서버 업로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서버 업로드 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은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승낙 및 거절을 포함하는 응답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응답 항목 중 상기 승낙이 선택되면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를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은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말 간 파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간의 파일 이동, 복사, 삭제, 전송, 공유 등에 관한 파일 관리를 카메라와 간단한 터치 조작으로 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가 탑재되지 않은 단말의 경우에도 상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매개체로 하여 파일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간 파일을 관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 카메라 구동부(220), 승인 요청부(230), 아이콘 표시부(240), 파일 관리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제1 단말(110)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12)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10)에 카메라(114)가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110)에 카메라(114)가 탑재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260)를 통해 상기 카메라 구동부(220)에 상기 카메라(114)의 구동을 위한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 구동부(220)가 상기 카메라(114)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110)에 카메라(114)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제2 단말(120)의 고유 식별 정보(예: 기기 고유번호, 전화번호, 기기에 입력해 놓은 고유 아이디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제1 단말(110)과 상기 제2 단말(120)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동작시켜, 상기 제1 및 제2 단말(110, 120)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제2 단말(12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말(110, 120) 간에 파일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 구동부(220)는 상기 제1 단말(110)에 탑재된 카메라(114)를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카메라 구동부(220)는 상기 카메라(1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제2 단말(120)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프리뷰(preview)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구동부(220)는 상기 프리뷰 시에 상기 파일의 내용을 일부만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고, 또 달리 상기 파일의 내용을 전부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승인 요청부(230)는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관리에 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항목은 예를 들면, 파일 복사, 파일 이동, 파일 삭제, 파일 서버에 올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인 요청부(230)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120)에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선택 항목 중에서 파일 복사가 선택되면, 상기 승인 요청부(230)는 파일 복사와 관련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말(120)은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승낙 및 거절을 포함하는 응답 항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응답 항목은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2 단말(12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20)은 상기 응답 항목 중 상기 승낙이 선택되면, 자신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를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는 파일명, 저장 경로(위치), 크기, 파일 형식(포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110)에서 상기 제2 단말(120)에 있는 해당 파일을 탐색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단말(110)과 상기 제2 단말(120) 간에 파일 복사/이동/삭제/서버에 올리기 등의 파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통해 해당 파일의 관리와 관련된 승낙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판단 결과 승낙(allow)이면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의 포맷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부(250)는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1 단말(110)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복사/이동'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서 상기 아이콘을 드래그 조작하여 상기 파일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파일 관리부(250)는 상기 제2 단말(120)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전송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파일 전송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파일함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 관리부(250는 상기 파일 전송 명령에 상기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제2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삭제'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서 상기 아이콘을 드래그 조작하여 상기 제1 단말(110)에 구비된 휴지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파일 관리부(250)는 상기 제2 단말(120)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삭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20)은 상기 파일 삭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서버에 올리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서 상기 아이콘을 드래그 조작하여 상기 제1 단말(110)에 구비된 서버 보관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파일 관리부(250)는 상기 제2 단말(120)에 상기 파일에 대한 서버 업로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20)은 상기 서버 업로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upload)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클라우드(cloud)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120)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110),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 상기 카메라 구동부(220), 상기 승인 요청부(230), 상기 아이콘 표시부(240), 상기 파일 관리부(25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간 파일을 관리하는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의 화면에는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 내용이 표시되고, 아울러 파일 관리와 관련한 선택 항목(1. 파일 복사, 2. 파일 삭제, 3. 서버에 올리기)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선택 항목 중에서 '1. 파일 복사'를 선택하면,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에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의 화면에 승인 요청 내용(예: 갤럭시탭으로부터 파일 전송 요청) 및 승인/거절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서 승인(승낙)을 터치(클릭) 조작하면, 상기 제2 단말은 승인에 관한 데이터 및 해당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파일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드래그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은 파일 관리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파일에 대해 복사/이동/삭제/서버에 올리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은 예컨대 상기 파일이 PDF 포맷일 경우 PDF 아이콘으로 생성되고, 상기 파일이 JPG 포맷일 경우 JPG 아이콘으로 생성되는 등,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은 파일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파일 관리 장치는 도 1 및 도 2의 제1 단말(110)에 탑재되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제1 단말(110)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12)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12)의 실행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단말(110)에 카메라(114)가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110)에 상기 카메라(114)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420의 "예" 방향), 단계(43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카메라 구동부(220)는 상기 제1 단말(110)에 탑재된 카메라(114)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제1 단말(110)에 상기 카메라(114)가 탑재되어 있지 않는 경우(420의 "아니오" 방향)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단계(44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카메라 구동부(220)는 상기 카메라(1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제2 단말(120)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프리뷰 한다.
다음으로, 단계(45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승인 요청부(230)는 상기 파일의 관리에 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항목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12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46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46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승낙(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승낙으로 판단되면(470의 "예" 방향), 단계(48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거절로 판단되면(470의 "아니오" 방향), 본 실시예는 종료된다.
다음으로, 단계(49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250)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1 단말(110)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단계(420)에서 상기 제1 단말(110)에 상기 카메라(114)가 탑재되어 있지 않는 경우(420의 "아니오" 방향)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제1 및 제2 단말(110, 120)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단말(12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52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10)는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매개체로 하여 제2 단말(120)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프리뷰 한다.
다음으로, 단계(53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승인 요청부(230)는 상기 파일의 관리에 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항목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12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54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55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참조하여 승낙(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승낙으로 판단되면(550의 "예" 방향), 단계(56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아이콘 표시부(240)는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거절로 판단되면(550의 "아니오" 방향), 본 실시예는 종료된다.
다음으로, 단계(570)에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250)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1 단말(110)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해 부연 설명을 하되, 가급적 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단말 간 파일 관리에 관한 예 1
A 와 B 의 단말이 있다. 이때 단말은 스마트폰, TV, 노트북, 사진기, 디카, PC, 스마트패드, 세탁기, 냉장고 등 모든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A 의 단말에 있는 PDF 파일과 동영상 파일 그리고 사진을 B 단말로 복사하는 방법이다.
A 가 PDF 문서를 보고 있다. B 도 함께 A 의 단말을 보다가 급하게 자리를 이동해야 된다. A 의 문서를 복사해서 가는 길에 보고 싶다. 이때, B 는 본 어플을 실행하고 카메라로 A 의 단말을 비춘다. B 의 단말에는 A 의 PDF 가 프리뷰 되고 있다. 이때, 프리뷰 되고 있는 화면 위로 반투명(혹은 투명하지 않은) 한 아이콘이 나타난다. PDF 아이콘이다.
B 가 어플을 실행하고, 카메라로 A 를 비추면 자동으로 A 에게로 파일 전송 요청을 보내고, 이때 A 의 화면에는 승낙에 관한 다이얼로그가 뜬다. A 가 승낙을 하면 현재 A 가 화면으로 보고 있는 PDF 문서에 대한 정보가 나타난다. B 는 프리뷰 화면에서 떠 있는 아이콘을 자신의 파일함으로 드래그해서 이동하면 A 의 파일이 B로 바로 전송된다.
2. 단말 간 파일 관리에 관한 예 2
A 가 촬영한 사진을 보고 있다. 촬영한 사진은 모두 100장이다. 어제 찍은 사진은 33장이며, B 는 33장을 자신의 단말로 복사하고 싶다.
B 는 어플을 실행시켜 카메라로 A 의 단말을 비춘다. 이때 마찬가지로 승인 요청 메시지가 가고, A 가 승낙하면 A 가 보고 있는 사진 화면 위로 파일 리스트의 디렉토리 정보가 뜬다. B 는 이 디렉토리 정보를 보면서 원하는 파일을 터치하여 자신의 단말로 이동한다. 이때, 일주일 전에 찍은 사진 중 흔들린 사진 2장은 B 의 프리뷰 화면 상에서 바로 삭제 해버릴 수 있다.
3. 단말 간 파일 관리에 관한 예 3
A 와 B 단말에 있어, 두 단말 간 파일 공유 및 이동, 복사, 삭제 등의 관리에 관한 내용이다.
A 단말은 특정 C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고유의 권한이 있다. 또한, A 단말은 특정 S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고유의 권한이 있다. B 단말은 C 단말이나 S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
이 경우 B 단말 ( 또는 B 단말의 사용자) 는 C 단말의 파일을 단순히 보거나, 복사 등의 파일 관리를 하거나, S 서버에 있는 DB에 접속하거나, S 서버의 파일 등을 단순히 보거나, 파일을 관리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가 없다.
이 경우에 B 단말은 C 단말이나 S 서버의 접속 권한이 없으므로 간단한 파일 열람이나, 파일 복사 또는 간단한 동작을 일시적으로 하기 위해서 C 단말의 접속 허가를 득하거나 S 서버의 로그인 허가를 득하는 등의 복잡한 절차를 가져야 한다.
또는 더 복잡하게, 권한을 가진 A 단말이 C 단말과의 통신으로 파일을 복사해와서 A 단말에 저장해 놓거나 S 서버에 접속해서 파일을 복사해 와서 A 단말에 복사해 놓은 후에라야 비로소 B 단말은 A 단말의 파일을 열람하거나 복사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그렇게 복잡한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A 단말의 권한을 빌려서 사용하면, A 단말이 C 단말이나 S 서버의 파일등을 A 단말로 복사한 후에 다시 B 단말로 넘겨주는 복잡한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지, B 단말은 A 단말을 카메라로 비추어 A 단말의 권한을 빌려서 C 단말의 접속이나 S 서버의 접속을 통하여 간단한 파일 관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B 단말이 A 단말의 권한을 빌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방식과 같이, B 단말이 A 단말의 디스플레이부(화면)를 카메라로 프리뷰(preview) 하고 있을 경우, B 단말이 A 단말이 접속 가능한 파일 등에 대해 접속 요청을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A 단말이 OK 하면 A 단말이 해당 파일에 대한 권한을 B 단말에게 빌려준다. 이때, 파일 권한은 보안 등급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추가로, B 단말에서 A 단말이 비추고 있는 C 단말의 파일정보나 사진 등의 디스플레이부나 C 단말의 디렉토리 정보를 A 단말이 카메라로 비추고 있는 화면을 B 단말이 비추고 있거나, 카메라를 통하지 않고 고유 기기 번호 등으로 접속했을 경우 등도 마찬가지로, B 단말이 A 단말이 접속 가능한 파일 등에 대해 접속 요청을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A 단말이 OK 하면 보안 등급에 따라, 단순 열람 / 파일 정보 보기 / 복사 / 이동 / 삭제 / 등의 다양한 허용 등급에 따른 파일 관리가 가능하다.
이때, A 와 B 단말간의 접속 허가에 관한 진행 절차는 본 발명의 기본 내용에 따른다. 이렇게 되면, 복잡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고, 권한을 가진 대표 단말기만으로도 일시적이고 간단한 파일의 열람이나 복사 등의 간단한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이때, B 단말은 A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C 단말 또는 S 서버 외에도 A 단말이 카메라로 비추고 있는 D 단말 또는 S 서버 또는 P 컴퓨터 N 노트북 E 가전제품 등의 디바이스의 파일도 관리 가능하며, 이때 모든 파일을 카메라를 통한 방법 또는 카메라가 있거나 혹은 없거나에 관계없이 해당 디바이스를 유무선 통신 등을 통한 방법으로 직접 또는 간접(권한을 빌려 접속 후 관리하는 방법) 관리할 수 있다.
4. 보안 정책
각각의 기능에 대한 보안 정책은 설정에 의해 보안 단계를 나누고, 보안 단계 내에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한 사람이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2개의 단말간의 보안은 보안 5 단계
- 연인간에 보유하고 있는 단말 간에는 보안 3 단계
- 친구끼리 공유하는 단말 간에는 보안 2 단계
- 업무적으로 업체 외부인과의 단말 간에는 보안 1 단계
등의 방식으로 보안 단계를 조정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보안 단계를 변경 할 수 있으며, 이런 보안을 통해 단순 전송/공유나, 삭제 가능 유무, 원격 관리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파일 이동/복사/삭제/전송/공유에 관한 파일 관리를 불편하게 하지 않고 간단한 터치 한번으로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가 없는 단말은 기기의 고유번호나 특정 ID (전화번호나 기기에 입력해 놓은 고유 ID 등) 를 매개체로 하여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5. 기타 기능
- 파일은 1) A 의 로컬에 있는 파일을 다이렉트로 B 로 이동하는 방법, 2) A 도 가지고 있고, 서버에도 가지고 있는 파일을 서버로 부터 B 가 내려 받는 방법, 3) A 는 파일이 없고 제목이나 정보만 가지고 있으면서 서버에 있는 파일을 내려 받는 방법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 A 단말로 B 단말을 카메라로 비춰서 A 단말로 B 단말을 통제하는 기능
- A 단말로 B 단말을 카메라로 비추면 B 단말이 공유한 제어 콘트롤 기능을 A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 할 수 있는 기능
- 화면만 공유하여 A 단말에서 B 단말의 파일을 전송하거나 전송 받는 기능
- 카메라로 비추면 B가 A를 카메라로 프리뷰 하는 화면 외에 A의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그대로 B 의 화면에 프리뷰와 디스플레이가 함께 되어 파일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기능
- 주거나 받을 때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A 기기에서 B 기기로 현재 파일의 이동하는 동작 상태를 3D 증강현실로 보여주는 기능 -> 이러한 증강현실 기능은 실제 파일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므로 사용자에게 재미를 더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제1 단말
112: 어플리케이션
114: 카메라
120: 제2 단말
21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20: 카메라 구동부
230: 승인 요청부
240: 아이콘 표시부
250: 파일 관리부
260: 제어부

Claims (12)

  1. 제1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프리뷰 하는 카메라 구동부;
    상기 파일의 관리에 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항목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승인 요청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승낙 여부를 판단하고, 승낙으로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부;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하는 파일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이 제3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고유의 권한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을 비추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을 프리뷰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단말의 파일 중 상기 제1 단말이 접속 가능한 파일에 대한 접속 요청을 하고,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단말의 승낙을 받으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해당 파일에 대한 권한을 빌려오는 방식으로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고유 권한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고유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상기 해당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2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복사/이동'이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전송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파일 전송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파일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삭제'가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휴지통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삭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파일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이 삭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서버에 올리기'가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서버 보관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서버 업로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서버 업로드 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승낙 및 거절을 포함하는 응답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응답 항목 중 상기 승낙이 선택되면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파일명, 저장 경로(위치), 크기, 파일 형식)를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말 간 파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7. 파일 관리 장치의 카메라 구동부에서, 제1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의 내용을 프리뷰 하는 단계;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승인 요청부에서, 상기 파일의 관리에 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항목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항목과 관련하여 승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아이콘 표시부에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승낙 여부를 판단하고, 승낙으로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포맷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이 제3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고유의 권한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을 비추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을 프리뷰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단말의 파일 중 상기 제1 단말이 접속 가능한 파일에 대한 접속 요청을 하고,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단말의 승낙을 받으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해당 파일에 대한 권한을 빌려오는 방식으로 상기 해당 파일에 대한 고유 권한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고유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상기 해당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제2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복사/이동'이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파일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파일 전송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파일을 전송받아 상기 파일함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삭제'가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휴지통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파일 삭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파일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이 삭제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파일 관리부에서, 상기 선택 항목에서 '파일 서버에 올리기'가 선택되고, 상기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제1 단말에 구비된 서버 보관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파일에 대한 서버 업로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서버 업로드 명령에 따라 상기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 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승낙 및 거절을 포함하는 응답 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응답 항목 중 상기 승낙이 선택되면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파일에 관한 속성 정보를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관리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단말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말 간 파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간 파일 관리 방법.
KR1020120053961A 2012-05-22 2012-05-22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4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61A KR101245714B1 (ko) 2012-05-22 2012-05-22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61A KR101245714B1 (ko) 2012-05-22 2012-05-22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714B1 true KR101245714B1 (ko) 2013-03-25

Family

ID=4818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961A KR101245714B1 (ko) 2012-05-22 2012-05-22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7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8791A (ja) 1998-11-17 2000-05-30 Nec Corp ファイル転送方法、その装置およびファイル転送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60001033A (ko) * 2004-06-30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로 영상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영상기기 및 그의영상파일 전송방법
KR20110019704A (ko) * 2009-08-20 2011-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8791A (ja) 1998-11-17 2000-05-30 Nec Corp ファイル転送方法、その装置およびファイル転送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60001033A (ko) * 2004-06-30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로 영상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영상기기 및 그의영상파일 전송방법
KR20110019704A (ko) * 2009-08-20 2011-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5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third-party application to access content within a cloud-based platform
US8892679B1 (en) Mobile device, methods and user interfaces thereof in a mobile device platform featuring multifunctional access and engagement 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provided by a cloud-based platform
JP7217357B2 (ja) ミニプログラムのデータバインディング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87691B2 (ja) 機器間操作インターフェース、機器制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1191570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control, and recording medium
KR20110015055A (ko) 간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70925B1 (ko) 비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그리고 저장 매체
KR20140014551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메모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515619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016034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WO2023246723A1 (zh) 对象访问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1894396B1 (ko) 복수의 스토리지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1911757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57576A (ja) 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KR10124571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단말 간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JP573890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1354254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ファイルシステムアクセス
WO2014204216A1 (en)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s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5865551B2 (ja) 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KR20220077231A (ko) 팬덤 커뮤니티 서비스 운영 방법
JP6772723B2 (ja) 貸出プログラム、貸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599397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1718815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付与方法
WO202405796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2162049B1 (ko) 컨텐츠를 통합 매니징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