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678B1 - Apparatus for harmful dus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armful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678B1
KR101245678B1 KR1020110058343A KR20110058343A KR101245678B1 KR 101245678 B1 KR101245678 B1 KR 101245678B1 KR 1020110058343 A KR1020110058343 A KR 1020110058343A KR 20110058343 A KR20110058343 A KR 20110058343A KR 101245678 B1 KR101245678 B1 KR 10124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exhaust gas
gas
dus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8913A (en
Inventor
권오륜
Original Assignee
권오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륜 filed Critical 권오륜
Priority to KR102011005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78B1/en
Publication of KR2012013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9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01D2258/0291Flue gases from waste incineration 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공장 또는 굴뚝 및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 배출가스 중 유해먼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액 및 상기 침전액을 수용하고 상기 침전액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형성된 수용수단을 구비하는 먼지제거부; 일단이 상기 참전액에 침수되고, 상기 일단을 통해 상기 침전액으로 배출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 및 일단이 상기 먼지제거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침전액의 수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일단을 통해 상기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를 상기 공장 또는 상기 소각장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유출부;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오염도를 낮춰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A dust removal unit including a sediment liquid for precipitating harmful dust in the discharge gas from the discharge gas discharged from a factory or a chimney and an incinerator, and a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sediment and to separate the sediment from the outside; A gas inlet part of which one end is immersed in the veteran's liquid and introduces exhaust gas into the sedimentation liquid through the one end; And a gas outlet unit having one end introduced into the dust removing unit and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precipitate, and discharging the exhaust gas from which the harmful dust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one end to the outside of the factory or the incinerator. A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is disclos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ir pollution by lower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above configuration.

Description

배출가스 정화장치{APPARATUS FOR HARMFUL DUST}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APPARATUS FOR HARMFUL DUST}

본 발명은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공장 또는 소각장의 환기통이나 굴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 유해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harmful dust from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a ventilator or a chimney of a factory or an incinerator.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소각장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유해먼지가 섞여있다. 이러한 배출가스가 대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면 유해먼지가 대기 중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대기오염의 주된 오염원이 될 뿐 아니라, 상기 유해먼지를 사람이 들여 마실 경우 호흡기 질환과 같은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In general, the exhaust gases emitt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plants or incinerators contain harmful dust containing pollutants. When such exhaust gas is exposed to the air as it is, the harmful dust is exposed to the air, and thus not only becomes a major pollutant of air pollution, but also when a person inhales the harmful dust, a disease such as a respiratory disease may occu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장 또는 소각장에는 유해먼지가 배출되기 전에 유해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여과망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lant or incinerator is equipped with a filtering network for removing the harmful dust before the harmful dust is discharged,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하지만, 유해먼지는 가스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유해먼지 일부는 여과망을 그대로 통과하고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harmful dust is discharged in a gas state, some of the harmful dust passes through the filter net and is discharged.

본 발명은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유해먼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출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that can minimize harmful dust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in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외부와 격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수단과, 상기 수용수단 내에 수용되는 침전액을 구비하는 먼지제거부; 일단이 상기 수용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침전액에 침수되고, 상기 일단을 통해 상기 침전액으로 배출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 및 일단이 상기 수용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먼지제거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침전액의 수면과 이격되어 상기 침전액을 지나는 과정에서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를 상기 수용수단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유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ust removal unit having a receiving means having an inner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sediment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ans; A gas inlet part of which one end penetrates through the receiving means and is immersed in the sediment liquid, and the exhaust gas is introduced into the sediment liquid through the one end; And a gas outlet part of which one end penetrates through the accommodation unit and is introduced into the dust removal unit, and discharges the exhaust gas from which the harmful dust is remov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recipitat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precipitate, and passing through the precipitate. ; It may include.

상기 가스유입부는 수용수단의 내부공간 바닥면을 향해 수직 하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스유입부에 의하여 유해먼지는 수용수단 바닥면에 보다 용이하게 침전될 수 있다. The gas inlet may extend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ans. Hazardous dust can be more easily precipit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ans by the gas inlet formed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가스유출부 내에는 배출가스가 가스유출부로 흡입되어 배출되는 속도를 증대시키는 배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수단에 의하여 가스유출부에서 배출되어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as outlet may be provided with an exhaust means for increasing the rate at which the exhaust gas is sucked into the gas outlet and discharged.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from the gas outlet by the exhaust means to speed up the discharge of the exhaust gas is removed to the outside.

또한, 수용수단에는, 수용수단의 내부공간 바닥면으로부터의 침전액 수면 높이를 측정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수용수단의 내부공간 바닥면으로부터의 가스유입부 일단 높이를 측정하고, 제1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침전액 수면과 가스유입부 일단과의 높이 차이를 통해 가스유입부 일단에 침전액에 침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감지센서; 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means, the first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sediment liquid surfac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ans; And measuring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gas inlet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means, and whether the sediment is deposited in the sediment at one end of the gas inlet throug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recipitate and the one of the gas inlet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A second detection sensor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May be provided.

이때 먼지제거부는, 제2 감지센서에서 가스유입부 일단이 침전액에 침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가스유입부 일단이 침전액체 침전되지 않음을 통보하거나 수용수단 내에 침전액 투입 요청을 통보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배출가스는 계속해서 침전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detection sensor is determined that one end of the gas inlet is not precipitated in the sediment, the display unit for notifying that one end of the gas inlet is not settled in the sedimentation liquid or notifying the sediment liquid input request in the receiving means It can be provided. By the display portion, the exhaust gas can be continuously discharged into the sedimentation liquid.

한편, 침전액 수면 상측 또는 가스유출부 일단에는 유해먼지가 침전액에 침전되지 않고 가스유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에 의하여 유해먼지가 제거되지 않은 배출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diment liquid or one end of the gas outlet may be provided with a strainer for preventing harmful dust is discharged to the gas outlet without being precipitated in the sedi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ase that the discharge gas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harmful dust is removed by the strainer.

여기서 침전액 수면 상측 또는 가스유출부 일단에 구비되어 침전액 내에서 배출가스의 기포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침전액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산방지막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막이 구비됨에 따라 가스유출부에는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Here, the sediment liquid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or at one end of the gas outlet part to prevent the sediment from scattering in the process of rising bubbles of the exhaust gas in the sedimentation liquid may be provided. As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is provided, only the exhaust gas from which noxious dust has been removed may be discharged to the gas outlet.

또한, 먼지제거부는, 수용수단 내에 구비되며, 침전액에 침전된 유해먼지의 퇴적량을 측정할 수 있는 퇴적량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먼지제거부는 퇴적량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유해먼지의 퇴적량을 외부로 알람 또는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를 통해 유해먼지의 퇴적량을 표시하여 수용수단 내에 퇴적되는 유해먼지의 퇴적량에 따라 상기 수용수단을 교체하거나 세척하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removal unit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deposition amount detection sensor that can measure the deposition amount of harmful dust deposited in the sediment. In this case, the dust removal un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alarming or displaying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harmful dust measured by the deposition detection sensor. As such, by displaying the accumulation amount of harmful dust through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ing of replacing or washing the accommodation means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harmful dust deposited in the accommodation means.

한편, 가스유출부는, 가스유출부 일단에서 가스유출부 타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유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가 가스유출부 일단에 흡입되는 흡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as outlet portion, the inner diameter may gradually decrease as the gas outlet portion toward the other end of the gas outlet portion. As such, as the gas outlet part is formed, the amount of inhalation in which the exhaust gas from which harmful dust has been removed may be sucked into one end of the gas outlet part may be increased.

여기서, 침전액은 냉각수가 될 수 있다. 침전액은 배출가스의 유해먼지가 침전될 수 있는 다양한 액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지만, 침전액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Here, the precipitate may be cooling water. The precipitate may be any one of various liquids in which harmful dust of the exhaust gas may precipitate, but the type of precipitate is not limi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스 정화장치는 유해먼지 제거에 있어서, 미세한 분진이나 이물질 등을 침수시켜 제거하고,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를 공장이나 소각장 등의 외부로 배출시켜 유해먼지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oval of harmful dust, immersed and removes fine dust or foreign matter, and discharges the harmful ga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factory or incinerator, harmful dust Emissions to the atmosphere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유해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출가스에서 유해먼지를 제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harmful dust,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removing the harmful dust from the exhaust ga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of FIG.
3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of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of FIG.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정화장치(100)는 먼지제거부(140), 가스유입부(120) 및 가스유출부(1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removing unit 140, a gas inlet unit 120, and a gas outlet unit 160.

우선, 먼지제거부(140)는 외부와 격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수단(144)과 공장이나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먼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액(142)을 포함한다. 또한, 먼지제거부(140) 외부에는 수용수단(144)에 수용된 침전액(142)을 교체하거나 추가할 때 침전액(142)을 배출 및 추가적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밸브(146)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먼지제거부(140) 상측에는 가스유입부(120)와 가스유출부(160)가 체결되어 있다. First, the dust removing unit 140 includes a receiving means 144 having an inner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a sedimentation liquid 142 that precipitates harmful dust contained in exhaust gas discharged from a factory or an incinerator. 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dust removal unit 140 is provided with a valve 146 for discharging and additionally injecting the precipitate 142 when replacing or adding the precipitate 142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means 144. The gas inlet 120 and the gas outlet 160 are fastened above the dust removal unit 140.

상기 가스유입부(120)는 수용수단(144)을 관통하여 일단이 침전액(142)에 침수되고 일단을 통해 침전액(142)으로 배출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다. 특히 가스유입부(120)는 수용수단(144) 내부의 바닥면을 향해 수직 하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유입부(120)의 일단이 수용수단(144) 내부의 바닥면을 향해 수직 하향하도록 연장되면, 가스유입부(120)의 일단을 통해 침전액(142)으로 공급되는 배출가스는 공급 압력에 의해 수용수단(144) 내부의 바닥면을 향해 분출되다가 침전액(142)과의 비중차이에 의해 상향으로 올라가므로, 배출가스와 침전액(142)간의 접촉시간이 길어져 배출가스 내의 유해먼지가 침전액(142)에 침전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배출가스가 하향으로 배출되다가 상향으로 올라가는 터닝지점이 형성되면, 배출가스에 비해 질량이 큰 유해먼지는 상기 터닝지점에서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관성에 의해 바닥에 침전된다. The gas inlet 120 may penetrate the receiving means 144 so that one end is submerged i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and the discharge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through the one end. In particular, the gas inlet 120 may be formed to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means (144). As such, when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extends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means 144, the exhaust gas supplied to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through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is supplied. Due to the pressure is ejec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receiving means 144, and then upwards due to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with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exhaust gas and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becomes long, and harmful dust in the exhaust gas is increased. Becomes more likely to precipitate in the sediment (142). In addition, when a turning point is formed in which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downwards and then upwards, noxious dust having a larger mass than the exhaust gas does not rise upward at the turning point and is deposited on the bottom by inertia.

한편, 가스유출부(160)는 일단이 수용수단(144)을 관통하여 먼지제거부(140) 내측으로 인입되되 침전액(142) 수면과 이격되어 배출가스가 침전액(142)을 지나는 과정에서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스유출부(160) 일단은 침전액(142)에 침수시키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만이 가스유출부(16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as outlet 160 is introduced into the dust removal unit 140 through one end of the receiving means 144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sediment liquid 142 in the process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ediment liquid 142 Emission gas from which harmful dust has been removed can be emitted.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gas outlet part 160 is not immersed i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so that only the exhaust gas from which the harmful dust has been removed can be discharged to the gas outlet part 160.

상기 구성을 통해 배출가스 정화장치(100)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가스유입부(120)를 통해 배출가스가 먼지제거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유입부(120)의 일단은 침전액(142)에 침수되어 있고, 배출가스는 가스유입부(120) 일단을 통해 침전액(142)에 유입될 수 있다. Looking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100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xhaust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dust removal unit 140 through the gas inlet 120.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may be submerged i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and the discharge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through the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먼지제거부(140)로 유입된 배출가스는 1차적으로 침전액(142)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배출가스 내의 유해먼지가 수용수단(144) 내부공간 바닥면(f)에 침전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유해먼지는 침전액(142)에 대해 하중이 높은 물질이므로 유해먼지가 수용수단(133) 내부공간 바닥면(f)에 가라앉기 때문이다.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dust removing unit 140 may first contact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At this time, harmful dust in the exhaust gas may be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f)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ans (144). This is because harmful dust generally sinks into the bottom surface f of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means 133 because the harmful dust is a material having a high load o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는 침전액(142)에 대해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수용수단(144)의 천장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수단(144)의 상면은 외부에 대해 차단된 상태이지만 외부와 연결된 가스유출부(160)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서 상승된 배출가스는 가스유출부(160)를 통해 수용수단(144)에서 배출될 수 있다. Exhaust gas from which noxious dust has been removed may rise in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means 144 becaus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is light.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ans 144 is blocked to the outside, but the gas outlet 16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exhaust gas raised through the receiving means 144 through the gas outlet 160. Can be discharged from

이때, 침전액(142)은 유해먼지를 수용수단(144) 바닥면(f)에 침전시킬 수 있는 액체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냉각수, 고온수, 유(油)액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배출가스는 고온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침전액(142)은 냉각수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침전액(142)가 냉각수로 제공됨에 따라 고온의 배출가스의 냉각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지구 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may be a liquid capable of sedimenting harmful dust on the bottom surface (f) of the accommodating means 144, for example, may be cooling water, high temperature water, oil liquid and the like. . However, in general, since the discharge gas is discharged at a high temperature, the settling liquid 142 may be provided as cooling water. As the precipitate 142 is provided as the cooling water, the cooling effect of the high-temperature exhaust gas may be increased, and further, global warming may be prevented.

한편, 수용수단(144)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침전액(142)를 수용하고, 침전액(142)을 지난 배출가스가 사방으로 흩어지지 아니하고 가스배출부(160)으로만 포집될 수 있도록 외부에 격리된 상태 즉, 가스유출부(160)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사방이 막힌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means 144 has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so that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can be collected only by the gas discharge unit 160 without being scattered in all directions.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gured in a shape that is blocked on all sides except the gas outlet 160 inlet in an isolated state.

상기와 같이 배출가스는 유해먼지를 제거한 뒤에 외부에 배출되기 때문에 대기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removing harmful dust, thereby minimizing air pollution.

한편, 도 3은 도 1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of FIG.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drawings,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are given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유입부(120)에서 배출된 배출가스는 수용수단(144) 내부를 채운 후 가스유출부(160) 측으로 밀려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시간이 증가하거나 배출가스의 배출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출가스 정화장치(100A)에는 배기수단(162)이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charged gas discharged from the gas inlet 120 is pushed toward the gas outlet 160 after filling the receiving means 144, the discharged time may increase or the discharge rate of the discharged gas may be slowed down. Can b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100A may be provided with an exhaust means 162.

상기 배기수단(162)은 가스유출부(16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가스유출부(160)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가스유출부(160)에서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의 흡입 속도를 증가시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배기수단(162)은 환풍기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으며, 배출가스의 배출 속도를 증대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means 162 may be provided in the gas outlet 160, and for example,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gas outlet 160. This is to increase the discharge rat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creasing the suction speed of the exhaust gas from which harmful dust has been removed from the gas outlet 160. The exhaust means 162 may be a device such as a ventilator, and may be configured in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increase the discharge rate of the exhaust gas.

한편, 수용수단(144)에는 수용수단(144)에 수용된 침전액(142)의 수면높이(h1)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147a, 147b) 및 가스유입부(120) 일단과 수용수단(144) 바닥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1 감지센서(147a, 147b)에서 측정된 침전액(142)의 높이(h1)와 가스유입부(120) 일단의 높이(h2) 차이를 통해 가스유입부(120) 일단이 침전액(142)에 침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감지센서(149a, 149b)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ccommodating means 144 includes one end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s 147a and 147b and the gas inlet 120 that detect the water level h1 of the sediment liquid 142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means 144 and the accommodating means ( 144)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gas inflow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h1) of the height (h1) of the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and the height of the precipitate (142)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147a, 147b) Second detection sensors 149a and 149b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one end of the unit 120 is precipitated i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상기 제1 감지센서(147a, 147b)는 각각 수용수단(144) 내부공간 바닥면(f)과 수용수단(144) 일 측에 구비되어 바닥면(f)으로부터 침전액(142) 수면의 높이(h1)를 측정할 수 있다. 또, 제2 감지센서(149a, 149b)는 수용수단(144) 내부공간 바닥면(f)과 가스유입부(120)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바닥면(f)으로부터 가스유입부(120) 일단 높이(h2)를 측정하게 된다. 측정된 각각의 높이(h1, h2) 차이는 가스유입부(120)가 침전액(142)에 침전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할 수 있으며, 만약, 제1 감지센서(147a, 147b)에서 측정된 높이(h1)가 제2 감지센서(149a, 149b)에서 측정된 높이(h2)보다 크다면 가스유입부(120) 일단이 침전액(142)에 침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first detecting sensors 147a and 147b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f and the receiving means 144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ans 144, respectively, and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precipitate (142) from the bottom surface f ( h1)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second detection sensors 149a and 149b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ner space bottom surface f and the gas inlet part 120 of the accommodating means 144, respectively, and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gas inlet part 120 is lowered from the bottom surface f. (h2) is measu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heights h1 and h2 may be referred to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as inlet 120 is precipitated i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If the gas inlet 120 is precipitated, the measured heights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s 147a and 147b are measured. If the height h1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measured by the second detection sensors 149a and 149b, it may be determined that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is immersed in the precipitate 142.

이때, 제1 감지센서(147a, 147b)에서 측정된 높이(h1)가 제2 감지센서(149a, 149b)에서 측정된 높이(h2)보다 작으면, 가스유입부(120) 일단이 침전액(142)에 침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침전액(142)을 수용수단(144)에 추가적으로 투입시키거나 가스유입부(120) 일단을 침전액(142) 방향으로 침수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height h1 measur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s 147a and 147b is smaller than the height h2 measured by the second detection sensors 149a and 149b,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may be precipitated (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is not immersed in 142, the precipitate 142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the receiving means 144 or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may be immersed in the precipitate 142 direction.

이 경우 먼지제거부(140)에는 표시부(143)가 구비되어 작업자에게 침전액(142)의 추가적인 투입 또는 가스유입부(120) 일단을 침전액(142) 방향으로 침수시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유입부(120) 일단이 침전액(142)에 침수되었는지 판단함에 따라 배출가스가 침전액(142)에 배출될 수 있는 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ust removing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43 to inform the worker that the additional input of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or the one end of the gas inlet 120 is submerged in the direction of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In this way, as determined whether one end of the gas inflow unit 120 is immersed i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dition that the exhaust gas may be discharged to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한편, 먼지제거부(140)에는 비산방지막(14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막(145)은 침전액(142) 수면을 덮도록 수용수단(144) 내부에 구비되거나 가스유출부(160)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비산방지막(145)은 가스유입부(120)에서 배출된 배출가스의 기포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침전액(142)이 수용수단(144) 천정 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침전액(142)이 비산될 경우 비산된 침전액(142)이 가스유출부(16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침전액(142)에 포함된 유해먼지까지도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비산방지막(145)이 구비되면 유해먼지가 포함된 침전액(142)이 가스유출부(16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전액(142)의 비산은 침전액(142)의 수면 어디에서라도 발생될 수 있는 바, 비산방지박(145)은 침전액(142) 수면 전체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removal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145.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145 may be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ng means 144 to cover the surface of the precipitate 142 or at one end of the gas outlet 160. The anti-scattering film 145 may prevent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from being scattered in the ceiling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means 144 while the bubbl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gas inlet 120 is raised. Whe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is scattered, the scattered sedimentation liquid 14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outlet 160, and thus harmful dust included i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f the anti-scattering film 145 is provided in this way,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containing harmful dust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through the gas outlet 160. At this time, the scattering of the precipitate 142 may be generated anywhere on the surface of the precipitate 142, the anti-scattering foil 145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precipitate 142.

또한, 침전액(142) 수면 상측 또는 가스유출부(160) 일단에는 유해먼지가 침전액(142)에 침전되지 않고 가스유출부(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167)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diment (142) water or one end of the gas outlet 160, the dust net 167 to prevent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outlet 160 without being precipitated in the sediment (142). It may be provided.

상기 거름망(167)은 유해먼지가 침전액(142)에 의해 침전되지 않고 배출가스와 함께 가스유출부(160)를 통해 수용수단(144)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때, 거름망(167)은 배출가스는 통과될 수 있지만 유해먼지는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의 공극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름망(167)은 배출가스가 배기수단(162)으로 공급되기 이전에 상기 배출가스에 혼합되어 있는 유해먼지를 걸러낼 수 있도록 배기수단(162)과 가스유출부(160) 일단 사이 위치해야 할 것이다.The strainer 167 is a component for preventing the dust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means 144 through the gas outlet 160 together with the discharge gas without being precipitated by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At this time, the strainer 167 may be formed to have a pore size of the exhaust gas can pass but the harmful dust can not pass. Here, the screen 167 is located between the exhaust means 162 and one end of the gas outlet 160 to filter out harmful dust mixed with the exhaust gas before the exhaust gas is supplied to the exhaust means 162. You will have to.

여기서, 먼지제거부(140)는 침전액(142)에 침전된 유해먼지의 퇴적량을 측정하는 퇴적량감지센서(1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퇴적량감지센서(141)는 수용수단(144)의 바닥면에 구비되거나 측벽에 장착되어 유해먼지의 퇴적량을 측정할 수 있다. Here, the dust removing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deposition amount detecting sensor 141 for measuring the deposition amount of harmful dust deposited on the sedimentation liquid 142. The accumulation amount detection sensor 141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means 144 or mounted on the sidewall to measure the accumulation amount of harmful dust.

한편, 먼지제거부(140)는 퇴적량감지센서(141)에서 측정된 유해먼지의 퇴적량을 외부에 알려주는 표시부(143)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43)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수용수단(144) 바닥면(f)에 퇴적된 유해먼지의 양을 알려줄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3)는 유해먼지의 퇴적량이 사전에 설정된 양보다 많아질 때 이를 외부에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수용수단(144)에서 유해먼지를 제거하거나 수용수단(144)을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removal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43 for notifying the accumulation amount of harmful dust measured by the deposition detection sensor 141 to the outside. The display unit 143 may visually or acoustically inform the amount of harmful dust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f of the receiving means 144.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43 notifies the outside when the amount of harmful dust is greater than a preset amount, so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harmful dust from the receiving means 144 or replace the receiving means 144. .

한편, 도 4는 도 1의 배출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of FIG.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배출가스 정화장치(100B)의 가스유출부(160)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유출부(160)가 형성됨에 따라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기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가스유출부(16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배기수단(167)은 증가한 가스유출부(160) 일단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가스유출부(160)에 의하여 배출가스가 보다 빠른 속도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as outlet 160 of the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100B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s the gas outlet 16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gas from which the harmful dust is removed may flow into the gas outlet 160 more smoothly. At this time, the exhaust means 167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one end of the increased gas outlet (160). By the gas outlet unit 16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xhaust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a higher spe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오염도를 낮춰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By lower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minimize the air pollu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배출가스 정화장치 120: 가스유입부
140: 먼지제거부 142: 침전액
144: 수용수단 160: 가스유출부
100: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120: gas inlet
140: dust removal unit 142: sediment
144: accommodation means 160: gas outlet

Claims (11)

외부와 격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수단과, 상기 수용수단 내에 수용되는 침전액을 구비하는 먼지제거부;
일단이 상기 수용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침전액에 침수되고, 상기 일단을 통해 상기 침전액으로 배출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 및
일단이 상기 수용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먼지제거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침전액의 수면과 이격되어 상기 침전액을 지나는 과정에서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를 상기 수용수단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침전액에 침전된 상기 유해먼지의 퇴적량을 측정하는 퇴적량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A dust removal unit including an accommodation means having an inner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a sediment liqui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means;
A gas inlet part of which one end penetrates through the receiving means and is immersed in the sediment liquid, and the exhaust gas is introduced into the sediment liquid through the one end; And
A gas outlet part having one end penetrated into the dust removing part and penetrating into the dust removing part and discharging the exhaust gas from which harmful dust is remov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edimen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sediment; Including;
The dust removal unit, the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deposition amount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harmful dust precipitated in the sedi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부는 상기 수용수단의 내부공간 바닥면을 향해 수직 하향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 inlet is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vertically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출부 내에 구비되어, 배출가스가 상기 가스유출부로 흡입되어 배출되는 속도를 증대시키는 배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exhaust means provided in the gas outlet to increase the speed at which the exhaust gas is sucked into the gas outlet and discharged.
외부와 격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수단과, 상기 수용수단 내에 수용되는 침전액을 구비하는 먼지제거부;
일단이 상기 수용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침전액에 침수되고, 상기 일단을 통해 상기 침전액으로 배출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
일단이 상기 수용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먼지제거부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침전액의 수면과 이격되어 상기 침전액을 지나는 과정에서 유해먼지가 제거된 배출가스를 상기 수용수단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유출부;
상기 수용수단의 내부공간 바닥면으로부터의 상기 침전액 수면 높이를 측정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수용수단의 내부공간 바닥면으로부터의 상기 가스유입부 일단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제1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침전액 수면과 상기 가스유입부 일단과의 높이 차이를 통해 상기 가스유입부 일단이 상기 침전액에 침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A dust removal unit including an accommodation means having an inner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a sediment liqui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means;
A gas inlet part of which one end penetrates through the receiving means and is immersed in the sediment liquid, and the exhaust gas is introduced into the sediment liquid through the one end;
A gas outlet part having one end penetrated into the dust removing part and penetrating into the dust removing part and discharging the exhaust gas from which harmful dust is remov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edimen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sediment;
A first sensor for measuring a height of the sediment liquid level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And
One end of the gas inlet is measured by measuring a height of one end of the gas inle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means, and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recipitate and the one end of the gas inlet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ing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ecipitate is precipitated in the precipit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부에는
상기 제2 감지센서에서 상기 가스유입부 일단이 상기 침전액에 침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가스유입부 일단이 상기 침전액에 침전되지 않음을 통보하거나 상기 수용수단 내에 상기 침전액 투입 요청을 통보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ust removal unit
If it is determined by the second detection sensor that one end of the gas inlet is not precipitated in the sediment, it is notified that one end of the gas inlet is not precipitated in the sediment, or the request for input of the sediment in the receiving means. Emission gas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액 수면 상측 또는 상기 가스유출부 일단에는,
상기 유해먼지가 상기 가스유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sediment liquid upper surface or one end of the gas outlet,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trainer for preventing the harmful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액 수면 상측 또는 상기 가스유출부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액 내에서 배출가스의 기포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침전액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provid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sediment liquid surface or at one end of the gas outlet part and having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which prevents the sediment liquid from scattering in the process of raising bubbles of the exhaust gas in the sediment liquid;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퇴적량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유해먼지의 퇴적량을 외부로 알리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removing unit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notifying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harmful dust measured by the deposition detection sensor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출부는 상기 가스유출부 일단에서 상기 가스유출부 타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 outlet portio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ther end of the gas outlet from one end of the gas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액은, 냉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cipitate liquid is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water.
KR1020110058343A 2011-06-16 2011-06-16 Apparatus for harmful dust KR1012456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343A KR101245678B1 (en) 2011-06-16 2011-06-16 Apparatus for harmful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343A KR101245678B1 (en) 2011-06-16 2011-06-16 Apparatus for harmful du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913A KR20120138913A (en) 2012-12-27
KR101245678B1 true KR101245678B1 (en) 2013-03-20

Family

ID=4790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343A KR101245678B1 (en) 2011-06-16 2011-06-16 Apparatus for harmful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86U (en) 2015-10-19 2017-04-27 최상환 Purifying Apparatus for Chimney of Indust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481A (en) * 2004-05-25 2005-11-30 조영서 The combustible bust collector
KR20050117065A (en) * 2004-06-09 2005-12-14 그로웰메탈 주식회사 Wet scrubber
KR100628522B1 (en) * 2005-06-24 2006-09-26 최병학 Industrial air cliner
KR20080003315U (en) * 2007-02-09 2008-08-13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Wet scrubber with 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481A (en) * 2004-05-25 2005-11-30 조영서 The combustible bust collector
KR20050117065A (en) * 2004-06-09 2005-12-14 그로웰메탈 주식회사 Wet scrubber
KR100628522B1 (en) * 2005-06-24 2006-09-26 최병학 Industrial air cliner
KR20080003315U (en) * 2007-02-09 2008-08-13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Wet scrubber with 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86U (en) 2015-10-19 2017-04-27 최상환 Purifying Apparatus for Chimney of Indus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913A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8920B2 (en) Semiconductor waste gas scrubber
RU2675885C1 (en) Fuel filter assembly, filter element and method of draining water from fuel filter assembly
US4676811A (en) Wet air cleaning apparatus
JP2013516316A (en)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s containing impurities
JP2010017823A (en) Apparatus for removing oil mist
DK2334253T3 (en) water separator
JP2018112154A (en) Exhaust gas processing device and exhaust gas processing method
JP2011506435A5 (en)
KR101470837B1 (en) Centrifugal filter with water separation structure and purifier system using the same
KR101245678B1 (en) Apparatus for harmful dust
JP4659912B2 (en) Wet dust collector
JP6229920B2 (en) Gas purification device and gas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gas purification device
KR10144334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
JP2010120007A (en) Wet dust collection device
JP6485772B2 (en) Gas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gas purification device
KR101963797B1 (en) Wet scrubber for using the orifice theory
KR100766491B1 (en) Air cleaner having water filter
CN108760997A (en) A kind of flue gas processing device suitable for nitrogen oxides detection
JP2013029041A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drain
JP2013202457A (en) Method for operating filtra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 by filtration control apparatus, and filtration control apparatus
KR102138552B1 (en) Multi-purpos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heat reduction device
KR100281694B1 (en) Sludge separator fo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equipment
RU199749U1 (en) PLANT FOR WET GAS CLEANING
KR200343310Y1 (en) Cleaning apparatus for a discharged smoke
CN213929430U (en) Water-sealed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