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289B1 - 납이 첨가되지 않은 발사체 - Google Patents

납이 첨가되지 않은 발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289B1
KR101245289B1 KR1020067023639A KR20067023639A KR101245289B1 KR 101245289 B1 KR101245289 B1 KR 101245289B1 KR 1020067023639 A KR1020067023639 A KR 1020067023639A KR 20067023639 A KR20067023639 A KR 20067023639A KR 101245289 B1 KR101245289 B1 KR 10124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jacket
core
hollow space
cylindrical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924A (ko
Inventor
페터 스파츠
한스 바움가트너
프리츠 쉐어
Original Assignee
루아그 암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아그 암모텍 filed Critical 루아그 암모텍
Publication of KR2007000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7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42B12/7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ore or solid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0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armour-piercing type
    • F42B12/0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armour-piercing type with hard or heavy core; Kinetic energy penet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expanding before or on impact, i.e. of dumdum or mushroom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Electron Sources, Ion Source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Earth Drill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톰백으로 만들어진 외부 재킷(5), 경화강으로 만들어진 단단한 코어(4), 및 또한 톰백으로 만들어진 중공 재킷 코어(8)를 포함하는 소구경 발사체(100)가 개시되어 있다. 목표물(Z)에 타격을 가할 때 운동 에너지가 대체로 단단한 코어(4)로 전달되어서 상기 단단한 코어(4)가 목표물(Z)로 침투한다. 연성 재킷(5)은 내부에 위치하는 재킷 코어(8)에 의해 지지되고 부서지지 않고 변형된 재킷(5') 내로 버섯 모양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발사체(100)에는 좋은 비행 동작과 큰 최종 탄도 성능이 제공되며 완전히 납이 첨가되지 않는 방식으로 생산된다.
소구경 발사체, 중공 공간, 코어

Description

납이 첨가되지 않은 발사체 {Lead-free Projectile}
본 발명은 납이 첨가되지 않은 소구경 재킷 발사체(small-bore jacketed projectile)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탄환은 다양한 설계로 공지되어 있다. 그것은 강으로 만들어진 단단한 코어(core)를 가진 것들, 밀집된 소결 재료로 만들어진 단단한 코어를 가진 것들, 그리고 납, 알루미늄 및/또는 공기와 같은 단단한 코어에 추가된 중간물(medium)을 가진 것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이러한 탄약은 일반적으로 풀 재킷(full jecket), 즉 도금 강철 재킷이나 구리/아연 합금으로 만들어진 재킷(톰백(tombac) 재킷)인 강철 재킷과 함께 한다. 이러한 연결에서, 재킷은 하나 이상의 코어들과 더한 중간물을 수용하고 상기 코어들과 중간물을 적어도 액체가 가득 채워진 방식으로 동봉한다.
소형 무기 탄환과 그것의 제조 공정은 EP-A2-0 106 411에 공지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발사체들은 주로 보병용 탄약으로 쓰이고 이미 좋은 공기역학적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탄환은 사수에 의해 필요로 하는 장갑 표면을 침투하는데 필요한 높은 최종 탄도 에너지를 가지지 못한다. 더한 단점은 코어 내의 단단한 납의 상당한 양(98%납+2%아연)인데, 이는 빈 탄환과 탄약 모두에서 환 경에 유독하며 그러므로 요즈음에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금지되기까지 한다.
침투 성능과 목표물 정확성을 가진 재킷 발사체(WO 99/10703)는 재킷 내 황동 디스크를 거쳐 가스가 통하지 않는 방식으로 끼워지는 간섭으로 유지되는 텅스텐 카바이드로 만들어진 단단한 코어 및, 추가 중간물로서, 납(구리/아연 60/40)으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코어를 가진다. 따라서 발포가 방해되었을 때 중금속 및/또는 증기의 유출; 독성 효과는 여전히 목표 영역에 남아 있다. 게다가, 그러한 발사체의 제조는 대량 사용(보병 탄환)에는 고가이다.
9mm 구경 권총의 다른 재킷 발사체는 SWISS P SELF 9mm 루거(Luger)(RUAG Ammotec, Thun/Switzerland, 원래는 RUAG Ammunition Thun/Switzerland)의 이름으로 팔린다. 이러한 경우, 발사체는 서로 내부로 밀어지는 두 개의 슬리브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부 슬리브는 후미에서 밀폐되어 있고 위쪽으로 열려 있고, 외부 슬리브는 큰 공기를 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사체는 무른 목표물용으로만 설계되었고, 이러한 경우 부드럽게 관통할 수 있다; 이는 납이 첨가되지 않게 제조될 수 있다.
DE-A1-107 10 113에 15mm까지의 보어를 구비한 재킷 발사체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첨두아치나 원뿔형 앞 영역, 원통형 중앙부 및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후미 영역을 포함한다. 연성 금속 재킷은 경화강으로 만들어지거나 소결 금속으로 만들어진 뽀족한 단단한 코어를 동봉하고 연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합성재료로 만들어지는 신-모양이나 칼집-모양의 지지부에 의해 다소 자유롭게 유지된다. 코어는 오직 그것의 모난 어깨부 영역 내에서 재킷과 선 접촉을 하고 있다. 장갑 평탄화 된 목표물 상에서 이러한 발사체의 침투 동작은 좋다; 그러나 그것의 목표물 정확성은 두드러지게 감소된다. 특히 목표물 상의 비스듬한 충격에서, 발사체 재킷의 앞 부분은 산산이 깨지고 변형되며 그에 의해 단단한 코어를 그것의 초기 대칭 축 위치 밖으로 눌러서 유효 단면적이 더 커지고 적어도 침투 성능이 감소하거나 스쳐날기(ricochet)를 일으키기도 한다. 게다가, 발사체의 제조는 비싸고, 단단한 코어가 다소 자유로이 위치를 정하므로 아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단한 목표물에 적합한 소구경 발사체(소구경=0.5"보다 작은 구경)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높은 침투 성능과 목표물 정확성을 가지며, 발사시나 목표물 영역에 중금속을 방출시키지 않는다. 제공되는 발사체는 특히 코어에 납을 포함하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발사체는 쉽게 제조될 수 있고 단단한 목표물(박판) 등에서는 운동 에너지 전부를 목표물을 침투하는 단단한 코어로 거의 전달한다. 이와 관련해서, 질량은 100% 보존되고; 총알 구멍에서는 버섯-모양 칼라(collar)가 재킷의 원 무게에 상응하는 톰백 재킷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중금속 및/또는 금속 수증기가 방출되지 않음이 증명된다.
동일한 것이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발명의 주제로서 발견될 수 있다. 이는 높은 최종 탄도 성능을 나타내고, 단면 전체 표면상에 단단한 코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테스트에서 타켓에 분열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주제의 유리한 발전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따른 첨두아치-모양 외부 형상을 가진 발사체와 공기 공간은 특히 탄도학에 대해 유리하다. 단단한 코어의 필요한 압입(pressing-in)은 정확하고 비교적 낮은 힘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진다. 게다가, 짧은 이동 경로 후에, 코어의 펄스 전송은 재킷의 침투가 더 낮은 에너지 손실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른 실시예는 중앙 펄스 전달이 재킷 코어로부터 단단한 코어로 이루어지게 하는데 큰 이점을 갖는다.
상당히 광범위하게, 청구범위 제5항에서, 발사체의 비행 동작은 무게 중심 위치에 의해 제공된다. 무게 중심은 건조 설계와 단단한 코어 그리고 특히 재킷 코어 내 중공 공간(보어)의 치수화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6항에서, 합금공구강들은 단단한 코어에 잘 맞추어지고 가공되고 종래의 방법으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7항에 따른 외부 재킷과 재킷 코어를 위한 동일한 재료들은 매우 경제적인 것으로 판명되고 또한 밀도, 조립 및 열팽창에 유리하다.
청구범위 제8항에 따른 압축(constriction)은 카트리지 슬리브로 연결을 향상시키고 그것이 간단히 조립되게 한다.
청구범위 제9항에 기술된 앞쪽 영역 내 재킷의 두꺼워짐은 단단한 목표물에 날카로운 각도의 사격 동안 튀며날기(ricochet)를 줄이고 또한 무게 중심을 결정하는데 기여한다.
상기 발사체의 실시예들은 보어(bore) 및 도 10에 인용된 발사체 형태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납이 첨가되지 않은 발사체에 대한 현재의 요구는 청구범위들 내에 드러난 재료의 선택으로 확실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1항 참조. 무게 중심의 위치가 개별적인 구성요소들과 중공 공간의 치수화에 의해 최적화로 조절됨에 따라, 종래 발사체들 내 중금속으로 만들어진 표준 충전 재료가 또한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구경 발사체는 첨두아치형 또는 원뿔형 앞 영역, 원통형 중앙부 및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후미 영역을 가지는 소구경 발사체로서, 원통형 중공 공간을 둘러싸는 구리/아연 합금으로 만들어진 외부 재킷; 끝부분을 향해 외부 재킷의 원통형 중공 공간 내로 삽입되는 강이나 소결 재료로 만들어진 단단한 코어, 앞 면이 개방된 원통형 중공 공간을 가지고, 단단한 코어에 끼워맞춤 형상으로 부착되는 구리/아연 합금으로 만들어진 재킷 코어를 포함하고, 재킷 코어 내에 형성된 원통형 중공 공간의 개방 면은 원뿔형 앞 면을 포함하고, 상기 원뿔형 앞 면은 원뿔형 앞 면에 대응하는 견고한 코어의 뒷면과 맞물려서, 상기 앞 면에서 상기 단단한 코어를 밀봉하며, 재킷 코어는 재킷 코어의 전체 길이에 걸친 외주면이 외부 재킷의 내측과 접하고, 외부 재킷의 후미 영역에서 간섭 끼워맞춤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재킷의 상기 원통형 중공 공간의 앞 부분은 구형 컵의 모양으로 구획되고, 상기 단단한 코어도 끝부분에서 구형 컵 모양을 가지며, 상기 원통형 중공 공간의 구형 컵의 반지름은 상기 단단한 코어의 앞쪽 끝부분의 반지름보다 더 커서, 상기 외부 재킷의 원통형 중공 공간 내의 앞쪽 끝부분에는 공기 공간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단한 코어의 후미 영역은 원뿔형상이고, 상기 원뿔형상의 끝부분은 상기 재킷의 원뿔형 중공 공간 내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사체의 무게 중심은 길이방향 축 내에 그리고 상기 재킷 코어의 중공 공간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단한 코어는 합금공구강이나 텅스텐 카바이드와 같은 고밀도 소결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재킷 및 재킷 코어는 동일한 구리/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재킷은 카트리지 슬리브의 앞 단부가 맞물리는 원주방향의 주변 압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재킷의 앞 영역의 재료는 원통형 중앙부와 후미 영역에 비해서 적어도 2배로 두꺼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사체는 5.56mm의 보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사체는 납이 첨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은 공지된 카트리지 슬리브로 맞추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이다;
도 2는 도 1의 발사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납이 첨가되지 않은 발사체의 또 다른 해결책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목표물을 때릴 때 (선행 기술에 따른) 종래의 발사체의 모습이다;
도 4b는 목표물을 때릴 때 도 2에 따른 발사체의 모습이다; 그리고
도 4c는 목표물을 때릴 때 도 3에 따른 발사체의 모습이다.
발사체(100)의 끝부분은 도 1에서 1로 표시되어 있다. 플랜지(21)가 공지된 카트리지(20)의 구성요소인 주변 압착부(6)의 감소된 지름 내로 삽입된다. 발사체(100)의 추진체로 작용하는 표준 폭발물(24)이 카트리지(20) 내에 위치한다. 충격 퓨즈(23)(SINTOX, 회사 RUAG Ammotec GmbH, Furth, DE의 상표)가 카트리지(20)의 기부(22)에 삽입된다.
바람직한 회전 대칭 발사체(100)가 확대도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실제 끝부분(1)은 실재하지 않으며; 실제로는 그것은 구형 컵(2)의 형상인 끝부분이다. 다른 반지름의 결과로서, 단단한 코어(4)와 외부 재킷(5) 사이에 형성된 작은 공기 공간이 발사체(100) 내부에 위치한다. 막힌 구멍의 형성으로 중앙 중공 공간(10)을 가지는 재킷 코어(8)는 끼워맞춤을 형성하면서 단단한 코어(4)에 부착된다. 발사체의 무게 중심(7)은 상기 중공 공간의 상부에 위치한다. 여기에 설명되고 도 1에 지름으로 표현된 주변 압착부(6)가 그 위에 위치한다.
후미에서, 재킷(5)의 단부는 원뿔형으로 테이퍼 되어 있고 30°의 각도(α)로 층이 진 부분에서 끝나는데, 상기 층이 진 부분은 말단 플랜지(9)와 합해지고 두 개의 코어들(4 및 8)이 함께 간섭 끼워맞춤이 되도록 잡고 있는다.
K로 표시된 발사체(100)의 지름인, 보어는 현재의 경우 5.56mm이고 SS 109 형태이다. 주변 압착부(6)의 직경은 5.45mm이다. 단단한 코어(4) 무게는 4g이고 경화공구강(hardened tool steel; DIN 1.5511에 따른 재료)으로 만들어지며 탄소혼합 후 인산염으로 바뀐다(침투 깊이= 0.3 - 0.5 mm). 표면 경도는 570 HV1이다.
이 실시예에서, 단단한 코어(4)는 재킷 코어(8)의 상부의 대응하는 수용부 내로 삽입되는 하부 원뿔형 끝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은 의지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그러나 중앙에 중심을 잡는 것과 유사한 형상이 유리한데, 이는 코어의 삽입이나 가압을 수월하게 하고 발사체의 회전 대칭을 보증한다.
토백으로 만들어진 단단한 코어(4)가 또한 유리하다; 놀랍게, 이는 유사한 최종 탄도 성능을 만들어낸다.
발사체들은 표준 생산 장치에 의해 그리고 대체로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및 프레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단한 코어는 또한 다른 재료들, 예를 들어 텅스턴 카바이드와 같은 소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톰백에 대해 연성을 가지는 다른 발사체 재킷들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재킷 코어는 또한 유사하거나 더 큰 밀도를 가지는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합금에서, 발사와 목표물 위치에서 중금속의 유출이 고려된다.
도 3에서 상기 발사체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고, 이와 관련하여 도일한 작용부가 동일한 참조번호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따른 주제에 반대로, 이 경우, 단단한 코어가 없다. 단일 재킷 코어(8')가 도 2의 단단한 코어(4)의 공간을 유사하게 채우고 있다. 결합된 중공 공간 (10')은 중공 공간(10)에 비해 짧아져 있고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결론적으로, 전체 발사체(100')의 질량이 증가하여서, 대략 동일한 최종 탄도 성능과 효과가 목표물에서 얻어진다.
앞 면에서, 종공 공간(10')이 테이퍼 되어 있고 거의 닫혀 있어서, 외부 재킷(5)의 앞부분과 함께 목표물을 칠 때 밀집된 끝부분이 생산된다.
양 변형에서, 결과를 측정한 후, 이론적인 관찰과 다른 (선행)발사체들과의 비교치들은 예외적으로 뛰어난 결과를 보여준다.
중공 공간(10 및/또는 10')은, 특히 라이플 그루브에서, 고체 발사체들에 대해 마모(연마)를 줄이는 총 배럴(라이플)에서 가로 수축을 하도록 한다. 동시에, 총구에서의 발사체(100 및/또는 100')의 발사 속도(vo)는 중공 공간(10 및/또는 10')이 없는 발사체보다 더 크다.
570m 비행 거리(NATO 목표물) 후,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SS109형태)의 낮은 항력계수(cd)는 여전히 470m/s의 충격 속도에 이른다; 사용되는 강판은 55-70 HRB 경도(400N/mm2)를 가진 3.5mm 두께를 가진 Stanag 4172이고 부드럽게 구멍이 뚫린다.
정확한 스핀(spin) 안정화는 측면 바람에서도, 비행 경로의 안정성과 재현성에 실재적으로 작용한다. 재료와 높은 발사 속도의 선택 결과로서, 운동 에너지는 이미 보여준 테스트에서와 같은 비교 발사체들보다 더 크다. 표준 무기의 정확성은 본 발명의 주제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25m 목표물 거리에서 발사 된(반복적인 발사) 탄환들 모두는 50mm보다 작은 지름의 분산 원 안에 위치한다. 300m의 발사 거리에서, 표준 편차 SD < 35mm가 발견될 수 있다. 실제로, 이는 110mm의 지름을 가진 원 표면에 위치한 발사된 탄환들 중 오직 두 개의 발사체들만이 중앙(목표물)으로부터 대략 80mm 오프셋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비누(soap)에 대한 발사 테스트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따른 많은 다른 발사체들과 반대로, 살상 탄도학(wound ballistics)에 관해서, ICRC(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의 요구가 또한 완전히 수행되었다.
도 4a는 목표물(Z)(강) 상에 충격을 가하기 전이나 동안에 종래 단단한 코어 발사체(200)를 보여준다. 스틸 재킷(steel jacket; 50)은 목표물(Z)에서 폭발하고, 텅스텐이나 강철로 이루어진 단단한 코어(40)는 높은 운동 에너지로 인해 목표물(Z)로 침투하며, 뒤를 따르는 납 코어(30)는 충격시 부분적으로 액화되고 심지어는 승화에 의해 기화된다. 이는 증발 구름(30')에 의해 볼 수 있으며, 그것의 응축 후에, 또한 목표물에 납의 흔적이 남아있음을 볼 수 있다.
높은 변형능(deformability)을 가진 탄성 및 플라스틱 충격의 조합은 발사체(200)에서 일어난다(모든 측면에서 재료의 파쇄). 목표물(Z)에서 파편이 되고 여전히 검출되는 발사체(200)의 재료는 더 이상 총구에서의 초기 무게와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4b의 일 발사체(100)에서는, 동일한 질량이 또한 목표 물(Z)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단한 코어(4; 강철 또는 톰백)는 또한 목표물(Z)로 침투한다. 외부 재킷(5)은 목표물(Z)에서 변형된 재킷(5')으로 버섯모양화 되고 그것의 연성 재킷 코어(8)를 거쳐 단단한 코어(4)로 거의 100%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한다; 재킷(5)이나 재킷 코어(8) 중 하나 상에서, 재료의 파쇄가 없다. 펄스 방향은 보존된다.
도 4c는 비슷한 모습을 보여준다: 도 4b에 비해 수정된 발사체(100')는 목표물(Z)에서 찌그러지고 평평해진 끝부분(1')과 함께 침투한다. 펄스 방향은 또한 보존되며, 재킷 코어(8')는 공기 공간 내로 충격을 보내고, 8"으로 표시된 공기 공간을 압축하고 짖누른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참조번호 목록
1 끝부분(가상) 1' 평평해진, 짖눌러진 끝부분
2 구형 컵 3 공기 공간(중공 공간)
4 단단한 코어(경화 강; 톰백) 5 외부 재킷(톰백)
5' 변형된 재킷(5) 6 압착부/직경
7 무게 중심 8 재킷 코어
8' 재킷 코어 8" 짖눌러진 재킷 코어(8')
9 5에 위치한 플랜지 10 8의 중공 공간
10' 8'의 중공 공간 20 카트리지 슬리브
21 20에서의 플랜지 22 20의 기부
23 충격 퓨즈 24 폭발물/추진체
30 납 코어 30' 납으로 만들어진 증기 구름
40 단단한 코어(텅스텐; 강) 50 스틸 재킷
100, 100' 발사체 200 종래 단단한 코어 탄환(발사체)
K 보어 Z 목표물(강판)
α 각도(기부 각도)

Claims (11)

  1. 첨두아치형 또는 원뿔형 앞 영역, 원통형 중앙부 및 원뿔형으로 연장하는 후미 영역을 가지는 소구경 발사체(100)로서,
    원통형 중공 공간(3)을 둘러싸는 구리/아연 합금으로 만들어진 외부 재킷(5);
    앞쪽 끝부분(1)을 향해 외부 재킷(5)의 원통형 중공 공간 내로 삽입되는 강이나 소결 재료로 만들어진 단단한 코어(4),
    앞 면이 개방된 원통형 중공 공간(10)을 가지고, 단단한 코어(4)에 끼워맞춤 형상으로 부착되는 구리/아연 합금으로 만들어진 재킷 코어(8)를 포함하고,
    재킷 코어(8) 내에 형성된 원통형 중공 공간(10)의 개방 면은 원뿔형 앞 면을 포함하고, 상기 원뿔형 앞 면은 상기 원뿔형 앞 면에 대응하는 견고한 코어(4)의 뒷면과 맞물려서, 상기 앞 면에서 상기 단단한 코어를 밀봉하며,
    재킷 코어(8)는 재킷 코어(8)의 전체 길이에 걸친 외주면이 외부 재킷(5)의 내측과 접하고, 외부 재킷(5)의 후미 영역에서 간섭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는 소구경 발사체(10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재킷(5)의 상기 원통형 중공 공간(3)의 앞 부분은 구형 컵의 모양으로 구획되고,
    상기 단단한 코어(4)도 앞쪽 끝부분에서 구형 컵 모양을 가지며,
    상기 원통형 중공 공간(3)의 구형 컵의 반지름은 상기 단단한 코어의 앞쪽 끝부분의 반지름보다 더 커서, 상기 외부 재킷의 원통형 중공 공간(3) 내의 앞쪽 끝부분에 공기 공간이 있는, 앞쪽 끝부분이 구형 컵 모양으로 형상화된 첨두아치 모양의 앞 영역을 가진 소구경 발사체(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단한 코어(4)의 후미 영역은 원뿔형상이고,
    상기 원뿔형상의 끝부분은 상기 재킷 코어(8)의 원통형 중공 공간(10) 내로 돌출하는 소구경 발사체(100).
  5. 제 1 항, 제3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의 무게 중심(7)은 길이방향 축 내에 그리고 상기 재킷 코어(8)의 원통형 중공 공간(10)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소구경 발사체(100).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단한 코어(4)는 합금공구강이나 텅스텐 카바이드와 같은 고밀도 소결 재료로 이루어진 소구경 발사체(1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킷(5) 및 재킷 코어(8)는 동일한 구리/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 소구경 발사체(1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킷(5)은 카트리지 슬리브(20)의 앞 단부가 맞물리는 원주방향의 주변 압착부를 포함하는 소구경 발사체(100).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킷(5)의 앞 영역의 재료는 원통형 중앙부와 후미 영역에 비해서 적어도 2배로 두꺼워지는 소구경 발사체(10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5.56mm의 보어를 가지는 소구경 발사체(10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는 납이 첨가되지 않은 소구경 발사체(100).
KR1020067023639A 2004-05-11 2005-05-09 납이 첨가되지 않은 발사체 KR101245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987604P 2004-05-11 2004-05-11
US60/569,876 2004-05-11
PCT/CH2005/000257 WO2005108908A1 (de) 2004-05-11 2005-05-09 Bleifreies gescho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924A KR20070007924A (ko) 2007-01-16
KR101245289B1 true KR101245289B1 (ko) 2013-03-25

Family

ID=3496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639A KR101245289B1 (ko) 2004-05-11 2005-05-09 납이 첨가되지 않은 발사체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EP (1) EP1745260B1 (ko)
JP (1) JP4713577B2 (ko)
KR (1) KR101245289B1 (ko)
CN (1) CN1950667A (ko)
AT (1) ATE443242T1 (ko)
AU (1) AU2005241136B2 (ko)
BR (1) BRPI0511041B1 (ko)
CA (1) CA2566450C (ko)
CY (1) CY1109632T1 (ko)
DE (1) DE502005008143D1 (ko)
DK (1) DK1745260T3 (ko)
EA (1) EA009142B1 (ko)
EG (1) EG24497A (ko)
ES (1) ES2333658T3 (ko)
HR (1) HRP20090664T1 (ko)
IL (1) IL178866A (ko)
MA (1) MA28572B1 (ko)
MX (1) MXPA06013084A (ko)
NO (1) NO334506B1 (ko)
NZ (1) NZ551194A (ko)
PL (1) PL1745260T3 (ko)
PT (1) PT1745260E (ko)
RS (1) RS51099B (ko)
SI (1) SI1745260T1 (ko)
TN (1) TNSN06355A1 (ko)
UA (1) UA90273C2 (ko)
WO (1) WO2005108908A1 (ko)
ZA (1) ZA2006091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686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풍산 관통 탄자 및 이를 구비하는 관통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5530B1 (de) * 2014-02-10 2018-04-04 RUAG Ammotec GmbH Zerlegungsgeschoss mit geschosskernen aus pb oder pb-freien materialien mit abgestufter zerlegung
CN105277078A (zh) * 2014-06-05 2016-01-27 赵颖 枪用高效杀伤弹头
DE102014019197A1 (de) * 2014-12-19 2016-06-23 Diehl Bgt Defence Gmbh & Co. Kg Geschoss
DE102014019198A1 (de) * 2014-12-19 2016-06-23 Diehl Bgt Defence Gmbh & Co. Kg Geschoss
KR101702955B1 (ko) 2016-11-03 2017-02-09 주식회사 두레텍 유효 사거리가 향상된 탄두
DE102017112889A1 (de) * 2017-06-12 2018-12-13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Kleinkalibergschoss sowie Kleinkalibermunition mit einem derartigen Kleinkalibergeschoss
WO2019048914A1 (de) * 2017-09-09 2019-03-14 Ruag Ammotec Ag Vollmantel-sicherheitsgeschoss, insbesondere für mehrzweckanwendungen
DE102022205242B4 (de) 2022-05-25 2024-02-15 Metallwerk Elisenhütte GmbH Geschoss für eine Patrone für Handfeuerwaffen mit hartem Ker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528A (en) * 1980-04-07 1983-05-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uplex round
US6070532A (en) * 1998-04-28 2000-06-06 Olin Corporation High accuracy projectile
US6374743B1 (en) * 1997-08-26 2002-04-23 Sm Schweizerische Munition Sunternehmung Ag Jacketed projectile with a hard co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2231D1 (en) 1982-10-18 1987-07-30 Eidgenoess Munitionsfab Thun Small arms ammuni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WO1987007708A1 (en) * 1986-06-09 1987-12-17 Royal Ordnance Pld Armour piercing projectile
DE3840165A1 (de) * 1988-06-06 1990-07-05 Schirnecker Hans Ludwig Vielfachgeschoss
US5621186A (en) * 1995-09-20 1997-04-15 Trophy Bonded Bullets, Inc. Bullet
DE19710113A1 (de) * 1997-03-12 1998-09-17 Elisenhuette Metallwerk Patrone für Handfeuerwaffen
AU7512300A (en) * 1999-09-08 2001-04-10 Dynamit Nobel Gmbh Explosivstoff- Und Systemtechnik Lead-reduced or lead-free hunting rifle projectile having an improved retention force of the core in the case
ATE242471T1 (de) * 1999-09-10 2003-06-15 Dynamit Nobel Ag Deformationsgeschoss mit penetrator im geschossb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528A (en) * 1980-04-07 1983-05-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uplex round
US6374743B1 (en) * 1997-08-26 2002-04-23 Sm Schweizerische Munition Sunternehmung Ag Jacketed projectile with a hard core
US6070532A (en) * 1998-04-28 2000-06-06 Olin Corporation High accuracy project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686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풍산 관통 탄자 및 이를 구비하는 관통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11041B1 (pt) 2018-03-06
CA2566450A1 (en) 2005-11-17
DE502005008143D1 (de) 2009-10-29
MA28572B1 (fr) 2007-05-02
AU2005241136B2 (en) 2011-06-09
NO20065546L (no) 2006-12-11
ATE443242T1 (de) 2009-10-15
EP1745260B1 (de) 2009-09-16
MXPA06013084A (es) 2007-05-23
BRPI0511041A (pt) 2007-11-27
EP1745260A1 (de) 2007-01-24
DK1745260T3 (da) 2009-12-21
NO334506B1 (no) 2014-03-24
CN1950667A (zh) 2007-04-18
CA2566450C (en) 2015-01-13
JP2007537416A (ja) 2007-12-20
CY1109632T1 (el) 2014-08-13
WO2005108908A1 (de) 2005-11-17
EA009142B1 (ru) 2007-10-26
PL1745260T3 (pl) 2010-05-31
AU2005241136A1 (en) 2005-11-17
TNSN06355A1 (en) 2008-02-22
ES2333658T3 (es) 2010-02-25
ZA200609185B (en) 2008-04-30
IL178866A0 (en) 2007-03-08
JP4713577B2 (ja) 2011-06-29
HRP20090664T1 (hr) 2010-01-31
PT1745260E (pt) 2009-12-21
SI1745260T1 (sl) 2010-01-29
RS51099B (sr) 2010-10-31
KR20070007924A (ko) 2007-01-16
IL178866A (en) 2012-04-30
UA90273C2 (uk) 2010-04-26
EA200601893A1 (ru) 2007-06-29
NZ551194A (en) 2010-08-27
EG24497A (en) 200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934B2 (en) Lead-free projectile
KR101245289B1 (ko) 납이 첨가되지 않은 발사체
US6581522B1 (en) Projectile
US6973879B1 (en) Monolithic high incapacitation small arms projectile
US6024021A (en) Fragmenting bullet
US20180321023A1 (en) Mechanically adaptable projec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520224B2 (en) Advanced armor-piercing projectile construction and method
US20180321021A1 (en) Mechanically adaptable projec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108685B2 (ja) 特に多目的用途向けの完全被甲安全弾丸
AU2023200529A1 (en) Projectile with penetrator
US20200363178A1 (en) Non-metallic projec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A2948569C (en) Mechanically adaptable projec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092246A (en) Small arms ammunition
RU2206862C1 (ru) Бетонобойный боеприпас
US20110315038A1 (en) Centerfire Cartridge Primer Safety Shield
RU2244246C2 (ru)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RU2717325C1 (ru) Двуоболочечная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для нарезного и гладкоствольного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CA1141588A (en) Range limited practice projectile
RU2637696C1 (ru) Бронебойно-зажигательно-трассирующая пуля
RU2150077C1 (ru)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RU2170407C1 (ru) Патрон для личного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и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для него
NO328405B1 (no) Panserbrytende prosjektil
MXPA00001994A (en) Jacketed projectile with a hard 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