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166B1 -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위한 스플라이스 바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위한 스플라이스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166B1
KR101245166B1 KR1020087003305A KR20087003305A KR101245166B1 KR 101245166 B1 KR101245166 B1 KR 101245166B1 KR 1020087003305 A KR1020087003305 A KR 1020087003305A KR 20087003305 A KR20087003305 A KR 20087003305A KR 101245166 B1 KR101245166 B1 KR 10124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ce bar
cable tray
wire
splice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395A (ko
Inventor
스테판 크에르띠르
토마스 파p스
Original Assignee
아이.씨.엠.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엠. 그룹 filed Critical 아이.씨.엠. 그룹
Publication of KR2008003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43Channels formed by wire or analogous ne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01Crossed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75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1Rod side to plate or side
    • Y10T403/7129Laterally spaced rods
    • Y10T403/7141Plural channels in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두 인접 섹션을 연결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바에 관한 것이며, 각 케이블 트레이 섹션은 종방향 와프 와이어 및 상기 와프 와이어를 연결하는 횡방향 웨프트 와이어를 구비한다. 스플레이스 바는 각각 하나의 웨프트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2개의 횡방향 지지 구역(18)을 갖는 길게 연장된 중앙부(2); 상기 중앙부(2)의 동일 측에서 상기 중앙부(2)에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 구역(18)의 임의 측에 배치된 2개의 앤빌 러그(4); 및 앤빌 러그(4)의 반대 측에서 상기 중앙부(2)에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 구역(18)의 임의 측에 배치된 2개의 잠금 러그(6)를 구비한다.
와프 와이어, 웨프트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섹션, 연결 스플라이스 바, 횡방향 지지 구역, 중앙부. 앤빌 러그, 잠금 러그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위한 스플라이스 바{SPLICE BAR FOR CONNECTING CABLE TRAY SECTIONS}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을 위한 스플라이스 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분야는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스플라이스 조인트이다. 케이블 트레이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일반적으로 가요성인 긴 모양 소자의 지지, 수용 및 보호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예컨대 유압식 및 수압식 연결 튜브와 같은 튜브에도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결성과 명확성을 고려하여 전기 케이블만을 다루기로 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개시한 것과 같은 모든 다른 유형의 긴 모양 소자 또는 광섬유 등과 같은 다른 소자에 적용된다.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는 일반적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 및 U자 섹션을 가진다. 이것은 와프(warp) 와이어로 불리는 종방향 와이어 및 웨프트(weft) 와이어로 불리는 횡방향 와이어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와프 와이어는 직선형 와이어이며 웨프트 와이어는 U자 형태를 나타낸다. 이들 모든 와이어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서로 접합된다. 종국적으로는, 전기 케이블 (또는 유사물)에 대한 지지체 역할을 하는 바닥부 및 탭을 형성하여 상기 바닥부에 전기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측벽 또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망상 구조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가 구현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일반적으로 인접하여 조립되거나 또는 서로 각을 이루거나 또는 T자, X자, Y자 등의 우회로를 구현하는 복수의 섹션을 구비한다. 복수의 섹션을 연결하기 위하여, 보통 스플라이스 바라고 불리는 연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이다.
가장 통상적인 스플라이스 바는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나사 고정 조립을 구현하는 스플라이스 바이다. 하나의 연결 부재는 케이블 트레이의 외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내부에 배치되며, 이들 두 연결 부재는 두 부재를 연결하는 나사에 의하여 단부의 두 웨프트 와이어를 샌드위치형으로 유지한다.
또한 장착을 용이하게 한 스플라이스 바도 존재한다. 이러한 장착은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나 단지 유지 탭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문헌 EP-1360749호는 예컨대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는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의 측부 플랜지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는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에서 사용되도록 적용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케이블 트레이가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에서 이웃하는 두 섹션 사이에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케이블의 하중 하에 케이블 트레이가 고정되므로,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에서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 사이의 연결부에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에 나사 고정 장착을 위한 스플라이스 바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을 스플라이스 조인트하기 위한 스플라이스 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스크류 고정 없이, 바람직하게는 도구 없이 실시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인접하는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스플라이스 바를 제안하며, 각 케이블 트레이 섹션은 종방향 와프 와이어 및 상기 와프 와이어를 연결하는 횡방향 웨프트 와이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는
- 각각 하나의 웨프트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2개의 횡방향 지지 구역을 갖는 길게 연장된 중앙부;
- 상기 중앙부의 동일 측에서 상기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 구역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앤빌 러그(anvil lug); 및
- 상기 앤빌 러그의 반대 측에서 상기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지지 구역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잠금 러그(locking lug)
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는 예컨대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에 배치되어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을 연결할 수 있다. 중앙부는 연결시킬 두 섹션에 오버랩되고 이들 두 섹션의 단부의 웨프트 와이어는 중앙부에 제공되는 지지 구역에 배치된다. 설치 후, 각 앤빌 러그 및 각 잠금 러그는 와프 와이어 상에 지지된다. 스플라이스 바는 잠금 러그에 의하여 케이블 트레이 상에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스플라이스 바의 길게 연장된 중앙부는 바닥부 및 2개의 측면 분기(branch)를 구비하는 U자형 횡방향 섹션을 갖는 측면 형상의 구역이다. 이러한 측면 형상은 중앙부에 양호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횡방향 지지 구역은 예컨대 측면 분기에 구현된 노치(notch)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이들 노치는 다양한 직경의 (단부) 웨프트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화된다.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시 스플라이스 바의 수동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앤빌 러그가 유리하게는 앤빌 러그 탭의 자유 단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에지에 의하여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스플라이스 바의 치수는 스플라이스 바가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치수에 따라 적응된다. 따라서, 예컨대, 앤빌 러그의 자유 단부로부터 잠금 러그의 자유 단부까지 횡방향으로 측정한 스플라이스 바의 길이는 케이블 트레이의 두 와프 와이어 간 거리보다 크다.
특히 스플라이스 바의 장착 또는 탈착시 스플라이스 바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어진 시트 두께에 대하여, 중앙부가 보강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스플라이스 바는 유리하게도 중앙부가 부속물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 수단, 예컨대 타원형 홀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스플라이스 바에 조명, 우회로 상자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각 잠금 장치는 케이블 트레이의 와프 와이어 상에 잠금쇠를 구현할 수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각 잠금 러그의 자유 단부는 잠금시 와프 와이어 상에 돌출부의 통과가 촉진되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잠금 러그는 잠금쇠 러그로도 불릴 수 있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스플라이스 바는 예컨대 아연 도금 시트를 절단 및 폴딩하여 구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사항 및 이점은 개략적인 첨부 도면을 참조로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에서 더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바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스플라이스 바를 사용하여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을 스플라이스 조인트하는 3단계를 도시한 것인데, 도 1에 비하여 크기는 축소되어 있다.
도 5는,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두 단부 사이에 장착된, 도 1의 스플라이스 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스플라이스 바가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도 5의 VII-VII 절단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플라이스 바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 도 6에 상응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스플라이스 바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분리된 스플라이스 바의 사시도이다(다른 도면들은 케이블 트레이 섹션에 대하여 배치된 동일한 스플라이스 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플라이스 바는 절단되고 폴딩된 (예컨대 아연 도금 강판으로 제조된) 시트로부터 구현된다.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는 U자 횡방향 섹션의 측면 형상을 갖는 중앙부(2), 상기 중앙부의 한 측에서 연장되는 2 개의 앤빌 러그(4) 및 또다른 측에서 연장되는, 이하 잠금쇠 러그(6)로도 불리는 2개의 잠금 러그(6)를 구비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2)는 측면 섹션이 U자 형태인 부분이다. 이것은 바닥부(8), 제1 측면 분기(10) 및 제2 측면 분기(12)를 구비한다.
여기서 바닥부(8)는 장방형 형상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이 형상이 가장 적합한 듯이 보이지만,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두 대향 에지를 갖는 또다른 형태도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바에서 고려될 수 있다. 중앙부(2)는 반드시 일정한 측면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바닥부(8)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정한 측면 형상을 갖는 중앙부(2)에 대하여,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바닥부(8)의 긴 측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 측면 분기에 상응한다.
바닥부(8)는 2개의 보강재(14) 및 타원형 홀(16)을 구비한다. 보강재(14)는 바닥부(8)에 구현된 돌출부이며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들 보강재의 존재로, 동일한 강성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보강재를 구비하지 않는 스플라이스 바에 비하여 더 적은 두께의 시트로 스플라이스 바를 구현할 수 있다. 타원형 홀(16)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예컨대 조명 또는 우회로 상자와 같은 부속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1 측면 분기(10)는 바닥부(8)의 길이를 따라 바닥부(8)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 측면 분기는 그 단부 각각에 앤빌 러그(4)를 구비한다. 중앙부에서, 제1 측면 분기(10)는 바닥부(8)에 대향하는 측에 이격 탭(20)에 의하여 분리된 2개의 노치(18)를 구비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 노치(18)는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단부의 웨프트 와이어를 위한 지지 및 수용 구역의 역할을 한다. 이들의 형태 및 크기는 수용할 웨프트 와이어의 직경(들) 및 원형 섹션에 따라 적응된다.
각 앤빌 러그(4)는 제1 측면 분기(10)의 에지로부터 중앙부(2)의 외부를 향해 실질적으로 바닥부(8)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측면 분기(10)에 대향하는 각 앤빌 러그(4)의 자유 단부는 아래로, 즉 바닥부(8) 쪽으로 다시 구부러져 이하 푸시 로드(22)라 불리는 에지를 형성한다. 각각의 앤빌 러그(4) 상에는 2개의 슬릿(24)이 중앙부(2)를 형성하는 측면 형상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슬릿(24)은 각각 스크류 드라이버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은 케이블 트레이 섹션 상에 스플라이스 바를 장착하기 어려운 경우에만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제2 측면 분기(12)는 제1 측면 분기(10)와 유사하다. 제2 측면 분기도 역시 이격 탭(20)에 의하여 분리된 2개의 노치(18)를 구비한다. 제1 측면 분기(10) 및 제2 측면 분기(12)의 노치(18)는 일정한 측면 형상을 갖는 중앙부(2)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측면 분기(12)는 노치(18)의 각 측의 양 단부에 잠금쇠 러그(6)를 구비한다. 이들 잠금쇠 러그(6) 각각은 전체적으로 바닥부(8)에 대하여 평행하며 일정한 측면 형상을 갖는 중앙부(2)의 외부를 향하도록 연장된다. 도 6 및 7에서 잠금쇠 러그(6)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각각의 잠금쇠 러그(6)는 제2 측면 분기(12)로부터 시작하여 바닥부(8)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서 일정한 측면 형상을 갖는 중앙부(2)의 외부를 향해 연장된 다음 아래를 향해, 즉 바닥부(8)를 향해 돌출부(26)를 형성한 후 위를 향해 경사진 단부(28)로 종결된다.
도 2 내지 4는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도 1의 스플라이스 바의 장착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가 대상이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당업자에게 공지이다. 이들 케이블 트레이는 와프 와이어(30) 및 웨프트 와이어(32)로 실현된다. 와프 와이어(30)는 종방향 와이어인 반면 웨프트 와이어(32)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와프 와이어(3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는 전형적인 방식으로 바닥부 및 측면 플랜지를 구비한다. 첨부 도면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부만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도 1의 스플라이스 바는 특히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바닥에 고정되어 케이블 트레이 섹션을 연결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연결시킬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을 서로 접근시킨다. 이러한 섹션은 단부에 각각 단부의 웨프트 와이어(32)를 구비한다.
도 2는 서로에 대하여 배치된 케이블 트레이 섹션에 대한 스플라이스 바의 제1 배치를 도시한다. 스플라이스 바의 이들 앤빌 러그(4)는 단부 웨프트 와이어(32)의 양 측에 배치된다. 스플라이스 바의 중앙부(2)는 케이블 트레이 아래에 위치하며 앤빌 러그(4)는 케이블 트레이 내부에 위치한다. 스플라이스 바의 중앙부(2)의 바닥(8) 면은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부에 대하여 예컨대 약 45도 기울어져 있다. 단부 웨프트 와이어(32)는 제1 측면 분기(10)의 노치(18)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이러한 배치에서, 제1 측면 분기(10)의 외면은 각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와프 와이어(30)에 지지된다. 따라서, 스플라이스 바는 두 와프 와이어(30) 주위에서 피벗되며 제1 측면 분기(10)의 외면은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상기 와프 와이어(30)에 지지된다. 여기서, 편리하게는, 잠금쇠 러그(6)의 자유 단부로부터 제1 측면 분기(10)를 분리하는 거리는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부에서 두 와프 와이어(30)를 분리하는 거리보다 작다. 피벗 위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배치에서 단부의 웨프트 와이어(32)는 제1 측면 분기(10) 및 제2 측면 분기(12)의 노치(18)에 위치하며 이들 노치(18)의 바닥부에 지지된다.
연결을 완료하기 위하여, 바닥부의 스플라이스 바는 제1 측면 분기(10)의 외면이 위치하는 와프 와이어(30)의 이웃 와프 와이어(30) 상을 돌출부(26)가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단부의 웨프트 와이어(32)의 길이를 따라 습동(slide)된다. 앤빌 러그(4)는 와프 와이어(30) 위에 위치하여 이들 상에 지지되므로 웨프트 와이어(32)를 노치(18)의 바닥부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병진 운동 변위는 푸시 로드(22)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이 어려운 경우,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슬릿(24) 중 하나에 단부를 도입하고 와프 와이어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5는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실시하는 장착 위치에 있는 도 1의 스플라이스 바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두 와프 와이어(30)는 푸시 로드(22)에 지지되는 반면, 또다른 두 이웃하는 와프 와이어(30)는 중앙부(2)의 제2 측면 분기(12) 및 상응하는 잠금쇠 러그(6)의 돌출부(26) 사이에 위치된다.
예컨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1의 스플라이스 바의 길이, 즉 일정한 측면 형상을 갖는 중앙부(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측정된 스플라이스 바의 치수는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부에서 이웃하는 두 와프 와이어 간 거리보다 약간 크다. 제2 측면 분기(12)의 외면으로부터 스플라이스 바의 중앙부(2)를 향하여 배향된 푸시 로드(22)의 내면을 분리하는 거리는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으로부터 이웃하는 두 와프 와이어(30)를 분리하는 거리보다 몇 mm 더 작다.
도 7은 와프 와이어(30) 상에 장착된 위치에서의 도 1의 스플라이스 바의 지지를 도시하며, 이러한 지지로 인하여 웨프트 와이어(32)를 위한 지지 및 수용 구역의 역할을 하는 노치(18) 바닥에서 웨프트 와이어(32)의 지지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 1의 스플라이스 바의 양 측은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가 장착되어야 하는 상이한 케이블 트레이에 따라 적응된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 상에 스플라이스 바를 지지시키고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완벽한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와프 와이어(30)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앤빌 러그(4) 및 잠금쇠 러그(6)의 하면(즉, 중앙부(2)의 바닥부(8)를 향해 배향된 면) 및 노치(18) 바닥 사이의 치수는 휴지 위치(도 1 내지 3 및 6)에서 웨프트 와이어(32)의 하부 모선(34) 및 와프 와이어(30)의 상부 모선(36) 사이의 높이의 차보다 약간 작다. 이러한 높이의 차는, (와프 와이어 사이에 양호한 이격을 유지하면서) 스플라이스 바가 모든 케이블 트레이에 적응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마다 일정하다.
이상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플라이스 바의 장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부 플랜지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부 플랜지의 높이에 적어도 2개의 와프 와이어가 존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스플라이스 바는 인접하는 두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 섹션을 강고한 방식으로 매우 신속하게 도구 없이 연결 및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플라이스 바는 또한 상이한 직경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웨프트 와이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유형의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크기의 노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바는 무거운 하중을 받는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실현하기 위하여 적응된다.
개시된 실시 형태는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스플라이스 바 의 가소성 변형 없이 장착이 실시되므로 용이한 탈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당업자의 기술 범위에 있는 모든 변형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스플라이스 바의 중앙부의 형태는 개시된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중앙부는 연결시킬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단부 웨프트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슈트가 구현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시트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및 잠금 러그 (또는 잠금쇠 러그)가 실질적으로 중앙부의 평면에 있거나 또는 이러한 중앙부에 대하여 약간 떨어져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지지 러그 및 잠금 러그 (또는 잠금쇠 러그)와 같은 다양한 부재의 형태는 상기 개시에서 예시적으로만 주어진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예컨대 지지 러그 상의 푸시 로드의 존재는 임의적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지지 러그 상의 슬릿도 임의적이다.
잠금쇠 러그에 의하여 잠금이 실시되는 경우, 잠금쇠 러그의 돌출부의 형태는 개시된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 대신 하나 또는 복수의 특정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개시된 스플라이스 바의 잠금은 잠금쇠 러그에 의하여 실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 가능한 잠금 탭을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바를 로킹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Claims (9)

  1. 각각 종방향 와프 와이어 및 상기 와프 와이어를 연결하는 횡방향 웨프트 와이어를 구비하는 인접하는 두 케이블 트레이 섹션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스플라이스 바로서,
    - 각각 하나의 웨프트 와이어(32)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2개의 노치(18)를 갖는 연장된(elongated) 중앙부(2);
    - 상기 중앙부(2)의 동일 측에서 상기 중앙부(2)에 연결되고 상기 노치(18)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앤빌 러그(4); 및
    - 상기 앤빌 러그(4)의 반대 측에서 상기 중앙부(2)에 연결되고 상기 노치(18)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잠금 러그(6)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2. 제1항에 있어서, 연장된 중앙부(2)가 바닥부(8) 및 2개의 측면 분기(10, 12)를 구비하는 U자형 횡방향 섹션을 구비하는 측면 형상의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3. 제2항에 있어서, 횡방향 지지 구역은 측면 분기(10, 12)에 구현된 노치(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앤빌 러그(4)가 상기 앤빌 러그의 자유 단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에지(22)에 의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앤빌 러그(4)의 자유 단부로부터 잠금 러그(6)의 자유 단부까지 횡방향으로 측정한 스플라이스 바의 길이가 케이블 트레이의 와프 와이어(30) 간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부(2)는 보강 돌출부(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러그(6)는 케이블 트레이의 와프 와이어(30) 상에 잠금쇠를 구현할 수 있는 돌출부(26)를 구비하며, 각 잠금 러그(6)의 자유 단부(28)는 잠금시 와프 와이어(30) 상에서 돌출부(26)의 통과가 촉진되도록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부(2)는 부속물을 수용하기 위한 타원형 홀과 같은 고정 수단(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 도금 강판으로 된 시트의 절단 및 폴딩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스플라이스 바.
KR1020087003305A 2005-07-12 2006-07-10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위한 스플라이스 바 KR101245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7440 2005-07-12
FR0507440A FR2888683B1 (fr) 2005-07-12 2005-07-12 Eclisse de raccordement de troncons de chemin de cables
PCT/FR2006/001674 WO2007006961A1 (fr) 2005-07-12 2006-07-10 Eclisse de raccordement de tronçons de chemin de c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395A KR20080031395A (ko) 2008-04-08
KR101245166B1 true KR101245166B1 (ko) 2013-03-20

Family

ID=3611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305A KR101245166B1 (ko) 2005-07-12 2006-07-10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위한 스플라이스 바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708491B2 (ko)
EP (1) EP1908155B1 (ko)
KR (1) KR101245166B1 (ko)
CN (1) CN101218726B (ko)
AT (1) ATE431632T1 (ko)
AU (1) AU2006268488B2 (ko)
BR (1) BRPI0615494A2 (ko)
CA (1) CA2614600C (ko)
DE (1) DE602006006836D1 (ko)
DK (1) DK1908155T3 (ko)
ES (1) ES2326998T3 (ko)
FR (1) FR2888683B1 (ko)
MX (1) MX2008000543A (ko)
PL (1) PL1908155T3 (ko)
RU (1) RU2395885C2 (ko)
WO (1) WO2007006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2365B2 (en) * 2006-04-14 2013-12-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Hanger for hanging an object from a support rod
US7954776B2 (en) * 2007-07-05 2011-06-07 Panduit Corp. Wire basket pathway system
ES2307447B2 (es) * 2008-04-07 2009-07-21 Schneider Electric España, S.A. Dispositivo de fijacion rapida para bandejas de rejilla.
US8453984B2 (en) * 2009-03-09 2013-06-04 Helen Of Troy Limited Instrument stand for attachment to a wire grill surface or the like
US7903924B2 (en) * 2009-04-09 2011-03-08 M P Husky, Llc Connector for splicing and hanging cable trays
KR101105594B1 (ko) * 2010-01-25 2012-01-18 정희걸 케이블 트레이용 행거클립
US8424814B2 (en) 2010-05-19 2013-04-23 Panduit Corp. Cable tray cable routing system
EP2404785B9 (de) * 2010-07-02 2014-04-16 SMR Patents S.à.r.l. Befestigungselement für langgestrecktes Gut
FR2971099B1 (fr) * 2011-01-31 2013-03-01 Icm Group Eclisse de raccordement pour troncons de chemin de cables en fils
SE536015C2 (sv) * 2011-09-23 2013-04-02 Schneider Electric Ind Sas Profilfäste till en kabelstege
CN102808996A (zh) * 2012-08-07 2012-12-05 常州乔邦仓储设备有限公司 用于电线电缆铺设的网格桥架
US10483733B2 (en) 2012-10-09 2019-11-1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Joint strip
US20150078809A1 (en) * 2013-09-15 2015-03-19 Richard Gregg Winn Cable tray splice and support
ES2616463B1 (es) * 2015-05-20 2018-01-09 Valdinox, S.L. Dispositivo separador para bandejas portacables.
CA3216967A1 (en) 2017-05-02 2018-11-02 Superior Tray Systems Inc. Electrical power supply structures
US10371314B2 (en) * 2017-12-15 2019-08-06 Sst Systems, Inc. Cable tray bracket
KR101941816B1 (ko) * 2018-04-17 2019-01-24 주식회사 하이메쉬코리아 무볼트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CA3049381A1 (en) * 2018-07-13 2020-01-1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plice member for a cable tray
US11283250B2 (en) * 2020-07-24 2022-03-22 Cablofil, Inc. Slider bracket assembly
US11677221B2 (en) * 2020-10-22 2023-06-13 Panduit Corp. Locking snap-on splice for cable basket
EP4080701A1 (en) 2021-04-20 2022-10-26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Cable tray clip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EP4228110A1 (en) 2022-02-11 2023-08-16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plice clip for cable tray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7792A1 (fr) 2003-07-17 2005-01-21 Const Electr De La Seine Ces Eclisse et support de conduits en treillis comportant au moins deux troncons relies par une telle eclisse
FR2864361A1 (fr) 2003-12-19 2005-06-24 Icm Group Accessoire pour la rehausse et l'eclissage de chemins de cables en fi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7207B1 (fr) * 1992-02-11 1995-05-24 Mavil Eclisses pour treillis en fils soudes.
FR2751723B1 (fr) * 1996-07-26 1998-09-11 Metal Deploye Sa Eclisse d'assemblage pour troncons de chemins de cables et troncons de chemins de cables obtenus
US6061884A (en) * 1999-01-15 2000-05-16 Gs Metal Corp. Interlocking cable support tray system
FR2796121B1 (fr) * 1999-07-06 2001-09-14 Metal Deploye Sa Accessoire de fixation pour chemin de cables en fils, et chemin de cables en fils equipe au moins d'un tel accessoire
FR2821211B1 (fr) * 2001-02-16 2003-07-25 Krieg & Zivy Ind Eclisse de raccordement pour chemins de cables en fils, chemin de cables en fils equipe d'une telle eclisse et ensemble de chemins de cables en fils raccordes par une telle eclisse
FR2833420B1 (fr) * 2001-12-06 2004-07-02 Krieg & Zivy Ind Eclisse de raccordement pour raccorder deux portions d'un chemin de cables en fils, portion de chemin de cables en fils equipee d'une telle eclisse et chemin de cables en fils ayant deux portions raccordees par une telle eclisse
FR2883108B1 (fr) * 2005-03-14 2007-06-08 Icm Group Sa Eclisse de chemin de cables en fils
US7544895B2 (en) * 2005-05-06 2009-06-09 Societe De Constructions Electriques De La Seine (Ces) Fishplate and a wire duct tray comprising at least two segments interconnected by such a fishplate
US7954776B2 (en) * 2007-07-05 2011-06-07 Panduit Corp. Wire basket pathwa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7792A1 (fr) 2003-07-17 2005-01-21 Const Electr De La Seine Ces Eclisse et support de conduits en treillis comportant au moins deux troncons relies par une telle eclisse
FR2864361A1 (fr) 2003-12-19 2005-06-24 Icm Group Accessoire pour la rehausse et l'eclissage de chemins de cables en f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4600C (fr) 2013-07-02
CN101218726A (zh) 2008-07-09
MX2008000543A (es) 2008-03-10
FR2888683A1 (fr) 2007-01-19
FR2888683B1 (fr) 2007-10-12
CA2614600A1 (fr) 2007-01-18
DE602006006836D1 (de) 2009-06-25
PL1908155T3 (pl) 2009-10-30
EP1908155A1 (fr) 2008-04-09
WO2007006961A1 (fr) 2007-01-18
AU2006268488A1 (en) 2007-01-18
RU2395885C2 (ru) 2010-07-27
RU2008105022A (ru) 2009-08-20
CN101218726B (zh) 2010-08-11
EP1908155B1 (fr) 2009-05-13
KR20080031395A (ko) 2008-04-08
US20090116902A1 (en) 2009-05-07
ES2326998T3 (es) 2009-10-22
DK1908155T3 (da) 2009-08-24
AU2006268488B2 (en) 2010-11-11
ATE431632T1 (de) 2009-05-15
US7708491B2 (en) 2010-05-04
BRPI0615494A2 (pt)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66B1 (ko) 케이블 트레이 섹션의 연결을 위한 스플라이스 바
JP4446317B2 (ja) 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用接続板
KR100390367B1 (ko) 케이블트레이유닛및그의조립커플링
RU2321934C1 (ru) Аксессуар для повышения уровня и сты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лочных кабель-каналов
EP1315261B1 (en) A joining member for a mesh cable tray
US6023024A (en) Partition device for a cableway
US20090145626A1 (en) Separation and/or reinforcement device for a wire cable duct
EP1380786B1 (en) Clamp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
NL2005019A (en) Fast-connection clamp for cable trays.
US11677221B2 (en) Locking snap-on splice for cable basket
EP0444105B1 (en) Cable bridge
JP2001504199A (ja) チエーン部材及びライン用の取付けユニットを有する取付け装置
ITTO20001059A1 (it) Passerella portacavi a rete e relativo organo di protezione.
KR102302904B1 (ko) 결합력이 향상된 차량의 보스 결합용 케이블밴드
JP2004187404A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取付金具
EP0942176B1 (en) Wire mesh assemblies
JP6845713B2 (ja) ハーネスクリップ及びハーネスクリップの固定方法
JP3557971B2 (ja) ケーブルラックのセパレータ連結構造
JP3692505B2 (ja) 上折り曲げ付カバー
EP2575225A1 (en) Energy chain duct
JP5576530B1 (ja) ケーブル支持金具
MXPA06006995A (es) Accesorio para levantar y fijar bandejas de cables metalic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