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384B1 - 냉온수기 취수밸브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취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384B1
KR101244384B1 KR1020110070445A KR20110070445A KR101244384B1 KR 101244384 B1 KR101244384 B1 KR 101244384B1 KR 1020110070445 A KR1020110070445 A KR 1020110070445A KR 20110070445 A KR20110070445 A KR 20110070445A KR 101244384 B1 KR101244384 B1 KR 10124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lever
valve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377A (ko
Inventor
이은천
Original Assignee
오비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비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비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3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 취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냉온수기의 전면부 프레임 일측에 결합고정되며 안착부와 취수꼭지 결합홀 및 취수꼭지 결합홀의 양쪽으로 한쌍의 레버결합부로 마련된 밸브 브라켓과; 상기 취수꼭지 결합홀에 안착되면서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개의 취수꼭지와; 상기 레버결합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며 후면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돌기가 마련된 냉수배출레버 및 온수배출레버와; 상기 온수배출레버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제1탄성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스라이딩되면서 잠금 및 해제 기능을 하는 안전버튼과; 로드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냉/온수배출레버의 돌기와 결합 연결되며 타단부는 밸브가 결합되고 몸통 내부에 있는 로드를 감싸서 장착된 제2탄성스프링에 의해 로드의 작동으로 상기 밸브가 개폐되며 몸통의 일측과 타측에 입수구와 출수구가 각각 마련된 냉/온수밸브와; 상기 입수구에는 냉/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된 각각의 출수관들이 연결되며, 상기 냉/온수 밸브의 출수구에는 일측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Y자형의 연결튜브를 포함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에의해 본 발명은 냉수 및 온수를 하나의 취수 꼭지를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량과 적정온도의 물을 일시에 취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 완료후 온수배출레버를 신속히 회동시켜 출수되는 뜨거운 온수를 신속히 차단함으로써 신체에 화상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취수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기 취수밸브{Supply valve of coldness and warmth a watercleaner}
본 발명은 냉온수기 취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배출레버 하부에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취수꼭지를 하나 설치하여 사용자가 냉온수배출레버를 동시에 용이하게 작동하여 냉수 및 온수를 하나의 취수 꼭지를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량과 적정온도의 물을 일시에 취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 완료후 온수배출레버를 신속히 회동시켜 출수되는 뜨거운 온수를 신속히 차단함으로써 신체에 화상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취수할 수 있는 냉온수기 취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 장치는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 혹은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등에 저장된 물을 내부의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된 냉수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온수를 냉수통과 온수통에 저장하게끔 설계되어져 있다.
상기 냉수통과 온수통의 출수구들 각각에는 취수 밸브(intake valve)가 연결되어 있다.
즉, 통상적인 냉온 정수 장치 혹은 냉온 취수 장치는 두 개의 취수밸브를 통하여 뜨거운 물이 아니면 차가운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소망하는 온도를 갖는 물을 받으려면 온수 취수 밸브와 냉수 취수 밸브를 조작하여 냉수와 온수를 섞어야만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한, 두 개의 취수밸브를 냉온수기에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자재비가 많이 소요되며 조립공정 추가로 인해 원가상승 및 생산성 향상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온수통과 냉수통의 출수구와 밸브의 입수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관을 연결한 다음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데 이것으로 인해 조립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손을 동시에 이용하여 냉수와 온수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적정량과 적정온도의 물을 동시에 하나의 취수 밸브를 통해 취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온수의 쉬운 누출로 인해 신체에 화상을 입지 않고 온수를 안전하게 출수되게 하는 구조를 갖는 냉온수기 취수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재질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냉/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된 출수관과 밸브의 입수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 취수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전면부 프레임 일측에 결합고정되며 안착부(12)와 취수꼭지 결합홀(13) 및 취수꼭지 결합홀(13)의 양쪽으로 한 쌍의 레버결합부(14)(14')로 마련된 밸브 브라켓(10)과;
상기 취수꼭지 결합홀(13)에 안착되면서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관(100)과;
상기 연결관(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개의 취수꼭지(50)와;
상기 레버결합부(14)(14')에 각각 삽입 설치되며 후면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돌기(25)(35)가 마련된 냉수배출레버(20) 및 온수배출레버(30)(30)와;
상기 온수배출레버(30)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제1탄성스프링(41)에 의해 상하로 스라이딩되면서 잠금 및 해제 기능을 하는 안전버튼(40)과;
로드(64)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홈(63)에 상기 냉/온수배출레버(20)(30)의 돌기(25)(35)와 결합 연결되며 타단부는 밸브(66)가 결합되고 몸통(67) 내부에 있는 로드(64)를 감싸서 장착된 제2탄성스프링(65)에 의해 로드(64)의 작동으로 상기 밸브(66)가 개폐되며 몸통(67)의 일측과 타측에 입수구(61)와 출수구(62)가 각각 마련된 냉/온수밸브(60a)(60b)와;
상기 입수구(61)에는 냉/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된 각각의 출수관(70)들이 연결되며, 상기 냉/온수 밸브(60a)(60b)의 출수구(62)에는 일측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관(10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Y자형의 연결튜브(80)를 포함하여 마련되어, 상기 안전버튼(40)을 온수배출레버(30)와 밀착되도록 왼손으로 압지한 다음 온수배출레버(30)를 하방향으로 누르고 냉수배출레버(20)를 오른손으로 눌러서 냉온수를 동시에 출수시켜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도의 물을 일시에 취수되게 하는 냉온수기 취수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을 둔다.
여기서, 상기 냉/온수밸브(60a)(60b)와 출수관(7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냉/온수밸브(60a)(60b)의 입수구(61)와 냉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된 출수관(70)을 연결하는 실리콘재질의 연결부재(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온수배출레버(30)의 레버지지부(31) 상단과 온수밸브(60b) 상단에 각각 고리(69)를 형성하여 제3탄성스프링(110)을 연결한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냉수배출레버(20)는 레버결합부(14)에 삽입되는 레버지지부(21)와, 상기 레버지지부(21)의 하단부 양측에 스토퍼(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버지지부(21)와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되는 누름부(23)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23)의 상면에 냉수 표시부(24)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레버지지부(21) 뒷면 일측 상기 냉수밸브(60a)의 로드(64)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로드(64)의 걸림홈(63)에 걸리도록 한 쌍의 돌기(25)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냉수밸브(60a)의 몸통(67)의 캡(68) 전면 일측에 지지되어 축 역할을 하도록 힌지부(26)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온수배출레버(30)는 레버결합부(14')에 삽입되는 레버지지부(31)와, 상기 레버지지부(31)의 하단부 양측에 스토퍼(3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버지지부(31)와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되는 누름부(33)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33)의 상면에 온수 표시부(34)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레버지지부(31) 뒷면 일측 상기 온수밸브(60a)의 로드(64)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로드(64)의 걸림홈(63)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돌기(35)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또한, 레버지지부(31) 뒷면에는 안전버튼(40)의 상부로 돌출된 제1탄성스프링(41)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 삽입홈(38)과 안전버튼(40)의 지지부(43) 양측 가이드(47)가 삽입 결합되어 스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7)이 마련되며, 안전버튼(40)이 상하로 스라이딩되면서 안전버튼(40)의 걸림턱(44)과 맞닿으면서 소정 위치에서 멈추도록 턱(36)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안전버튼(40)은 스프링 삽입홀(42)에 제1탄성스프링(41)이 설치되는 지지부(43)와 상기 지지부(43) 상단 양측에 걸림턱(44)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43) 하단에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된 압지부(45)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43)의 뒷면 일측에 축 역할을 하도록 힌지부(46)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밸브 브라켓에 하나의 취수 배출구를 형성하여 취수 꼭지를 결합시킴으로써 냉온수가 동시에 배출 가능함은 물론 자재비 절감과 조립공정 단축으로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고,
둘째, 온수 배출 안전 기능을 하는 안전버튼을 온수배출레버 하부에 설치하여 왼손의 엄지와 검지로 온수배출레버의 누름부와 안전버튼의 압지부를 압압하여 압지부가 온수배출레버의 누름부와 밀착되게 하여 안전 잠금 기능을 해제한 다음 누르는 한편, 냉수배출레버의 누름부를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잡고서 누름으로써 사용자가 소망하는 양과 적정온도의 물을 일시에 컵에 취수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셋째, 냉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된 출수관을 밸브의 입수구에 신축성이 뛰어난 실리콘재질의 연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저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레버와 안전버튼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배출레버(20)의 배면 사시도
도 8(a)(b)(c)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저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레버와 안전버튼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배출레버의 배면 사시도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전면부 일측에 결합되어 냉/온수통에 저장된 물을 레버의 작동으로 출수되게 하는 것으로서,
냉온수기의 전면부 프레임에 나사로 고정되며, 양단부에 나사로 고정되는 고정부(11)가 형성되며, 상면부에는 안착부(12)와 취수꼭지 결합홀(13)이 마련되고 취수꼭지 결합홀(13)의 양쪽으로 한 쌍의 레버결합부(14)(14')가 마련된 밸브 브라켓(10)과;
상기 취수꼭지 결합홀(13)에 삽입 설치되면서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관(100)과;
상기 연결관(100)의 일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개의 취수꼭지(50)와;
상기 레버결합부(14)(14')에 각각 삽입 설치되며 후면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돌기(25)(35)가 마련된 냉수배출레버(20) 및 온수배출레버(30)와;
상기 온수배출레버(30)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상하로 스라이딩되면서 온수배출레버(30) 작동 잠금 및 해제 기능을 하는 안전버튼(40)과;
몸통(67) 일측으로 돌출된 로드(64)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홈(63)에 상기 냉/온수배출레버(20)(30)의 돌기(25)(35)와 결합 연결되며 타단부는 몸통(67) 내부에 위치하여 개폐밸브(66)가 결합되고 몸통(67) 내부에는 로드(64)를 감싸서 설치된 제2탄성스프링(65)으로 구성되며, 몸통(67)의 일측과 타측에 입수구(61)와 출수구(62)가 각각 마련된 냉/온수밸브(60a)(60b)와;
상기 냉/온수밸브(60a)(60b)의 입수구(61)에는 냉/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된 각각의 출수관(70)들이 연결되며, 상기 냉/온수밸브(60a)(60b)의 출수구(62)에는 일측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관(10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2입수구와 1출수구를 갖는 'Y'자형의 연결튜브(80)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브라켓(10)에서 취수꼭지 결합홀(13)은 중앙부에 한 개의 홀(hole)로 형성되며 양쪽 단부에는 냉온수기 몸체의 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게 나사홀이 형성된 고정부(11)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 브라켓(10)의 상면부에는 냉/온수밸브(60a)(60b)를 안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리브들을 형성하여 안착부(12)를 형성시킨다.
상기 취수꼭지 결합홀(13)에는 일단부의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 '자형의 연결관(100)을 삽입 안착시키고 연결관(100)의 일단부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취수꼭지(50)를 나사 결합시킨다.
물론, 상기 취수꼭지(50)는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한 개만 설치된다.
밸브 브라켓(10)의 취수꼭지 결합홀(13)에 결합된 취수꼭지(50)의 양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레버 결합부(14)(14')가 형성되는데 상기 레버결합부(14)(14')는 냉/온수배출레버(20)(30)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레버결합부(14)(14')는 양측에 리브가 형성되고 리브와 리브 사이에는 수직방향의 장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결합부(14)(14')의 하부에는 소정크기의 절결부(15)(15')를 형성하여 냉/온수배출레버(20)(30)를 위에서 하방향으로 눌렀을 때 회동이 되도록 공간을 둔 것이며, 그 중에서 온수배출레버(30)가 결합되는 절결부(15')의 일측면에는 온수배출레버(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안전버튼(40)의 힌지부(46)가 밀착되어 온수배출레버(30)만 눌렀을 때 회동하지 못하도록 잠금 기능을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결합부(14)에 삽입 설치되는 냉수배출레버(20)는 레버결합부(14)에 삽입되는 레버지지부((21)와, 상기 레버지지부(21)의 하단부 양측에 스토퍼(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버지지부(2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되는 누름부(23)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23)의 상면에 냉수 표시부(24)가 마련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지지부(21) 뒷면 상부 일측에는 상기 밸브의 로드(64)에 형성된 걸림홈(63)에 끼움 결합하여 빠지지 않도록 한 쌍의 돌기(25)가 서로 마주보며 마련되며, 레버지지부(21) 뒷면 중간부 일측에는 냉수밸브(60a)의 몸통(67) 전면부인 캡(68)에 지지되어 축 역할을 하는 힌지부(26)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22)는 밸브 브라켓(10)의 전면부 하부 턱에 걸리도록 하여 냉수배출레버(20)가 앞으로 이탈되지 않고 레버지지부(21)가 처음 설치된 상태인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출레버(30)는 냉수배출레버(20)와 마찬가지로 레버결합부(14')에 삽입되는 레버지지부(31)와, 상기 레버지지부(31)의 하단부 양측에 스토퍼(3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버지지부(31)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되는 누름부(33)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33)의 상면에 온수 표시부(34)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레버지지부(31) 뒷면 상부 일측에는 상기 밸브의 로드(64)의 단부와 수평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온수밸브(60b)의 로드(64)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63)에 끼움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는 한 쌍의 돌기(35)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다.
또한, 레버지지부(31) 뒷면에는 안전버튼(40)의 상부로 돌출된 제1탄성스프링(41)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 삽입홈(38)과 안전버튼(40)의 지지부(43) 양측 가이드(47)가 삽입 결합되어 스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7)이 마련되며, 안전버튼(40)이 상하로 스라이딩되면서 안전버튼(40)의 걸림턱(44)과 맞닿으면서 소정 위치에서 멈추도록 턱(36)이 마련된 구성이다.
상기 안전버튼(40)은 온수배출레버(3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온수배출레버(30)의 가이드홈(37)으로 안전버튼(40)의 가이드(47)가 삽입 결합되어 상하로 스라이딩되게 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수직방향으로 스프링 삽입홀(42)이 형성된 지지부(43)와, 상기 지지부(43)의 양쪽에는 외측방향으로 가이드(47)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43) 상단 양측에 걸림턱(44)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43) 하단에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된 압지부(45)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43)의 뒷면 소정 위치에 온수밸브(60b)의 몸통(67) 전면부에 있는 캡(68)에 지지되어 축 역할을 하는 힌지부(46)가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 삽입홀(42)에는 제1탄성스프링(41)이 삽입되어 안전버튼(40)을 검지손가락으로 위로 가압하면 안전버튼(40)이 상방향으로 스라이딩된 다음 가압을 해제하면 제1탄성스프링(41)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안전버튼(40)이 하방향으로 스라이딩되다가 소정위치에서 온수배출레버(30)의 턱(36)과 안전버튼(40)의 걸림턱(44)이 서로 맞닿으면 멈추게 되며, 온수배출레버(30)의 누름부(33)와 안전버튼(40)의 압지부(45)가 처음 설치한 상태로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된다.
한편, 냉/온수밸브(60a)(60b)는 일측과 타측에 입수구(61)와 출수구(62)가 각각 마련된 몸통(67)과, 몸통(67) 일측에 결합되는 캡(68)과, 몸통(67)의 내부에 설치되어 입수구(61)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66)와, 상기 개폐밸브(66)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캡(68) 외부로 돌출되어 단부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63)에 상기 냉/온수배출레버(20)(30)의 돌기(25)(35)가 끼움 연결되는 로드(64)와, 상기 로드(64)를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몸통(67) 내부에 로드(64)를 감싸서 설치된 제2탄성스프링(65)으로 마련된 구성이다.
냉온수기의 내부에 장착된 냉/온수저장탱크(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음)에는 일측에 출수관(70)들이 연결되며 상기 출수관(70)들의 타단부는 상기 냉/온수밸브(60a)(60b)의 입수구(61)와 연결된다.
종래에는 출수관(70)과 냉/온수밸브(60a)(60b)의 입수구(61)와 연결시킬 때에는 클램프 즉 밴드로 결속하여 연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이 뛰어나며서 내열성도 좋은 실리콘재질의 연결부재(90)를 이용한다.
한편, 냉/온수밸브(60a)(60b)의 각각 출수구(62)에는 'Y'자 형태의 연결튜브(80)를 일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고 연결되지 않은 타단부에는 취수꼭지(50)가 연결되지 않은 연결관(100)의 타단부와 연결한다.
상기 연결튜브(80)는 신축성이 뛰어나고 내열성이 좋은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때로는 신축성과 내열성이 좋은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온수배출레버(30)의 레버지지부(31) 상단에 제1걸림고리(39)가 마련되고, 상기 온수밸브(60b)의 몸통(67) 일측에 제2걸림고리(69)를 형성하여 제3탄성스프링(110)을 연결함으로써 온수배출레버(30)를 누른 후 원위치로 복귀할 때 보다 빨리 회동시켜 출수되는 뜨거운 물을 신속히 차단함으로써 뜨거운 물로부터 화상을 예방한다.
도 7(a)(b)(c)에 도시된 것은 온수배출레버(30)의 작동상태의 단면도로서, 온수배출레버(30)를 사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안전버튼(40)이 온수배출레버(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온수배출레버(30)의 누름부(33) 하부와 안전버튼(40)의 압지부(45) 상부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온수배출레버(30)의 누름부(33)와 안전버튼(40)의 압지부(45)를 왼손 엄지와 검지로 동시에 잡은 다음 압압하면 안전버튼(40)의 압지부(45)가 위로 올라가 온수배출레버(30)의 하부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안전버튼(40)의 배면에 형성된 힌지부(46)도 함께 위로 이동하여 온수밸브(60b)의 몸통(67) 전면에 있는 캡(68)에 밀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c)와 같이 온수배출레버(30)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안전버튼(40)의 힌지부(46)를 축으로 하여 로드(64)가 전방으로 당겨지고 이에 결합된 개폐밸브(66)가 열리게 되어 온수저장탱크에 있는 물이 입수구(61)를 통하여 온수밸브(60b)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출수구(62)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냉수배출레버(20)는 오른손으로 누르면 냉수배출레버(20)의 힌지부(26)를 축으로 로드(64)가 전진되어 냉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찬물이 입수구(61)를 통하여 냉수밸브(60a)로 유입된 다음 출수구(62)로 배출된다.
온수밸브(60b)와 냉수밸브(60a)의 출수구(62)로 배출되는 물은 'Y'형의 연결튜브(80)를 통하여 유입되면서 한 곳으로 모여 섞이면서 냉온수기의 취수꼭지(50) 하부에 위치한 컵으로 취수꼭지(50)를 통하여 취수된다.
냉/온수가 사용자가 원하는 양과 원하는 적정온도의 물이 배출되고 나면 온수배출레버(30)와 안전버튼(40)으로부터 손을 놓으면 안전버튼(40)은 제1탄성스프링(41)에 의하여 하부로 원위치로 복귀되고, 온수배출레버(30)도 제2탄성스프링(65)에 의해 로드(64)가 후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온수배출레버(30)를 제3탄성스프링(110)의 복원력에 의해 보다 빨리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안전버튼(40)을 온수배출레버(60b)와 밀착되도록 왼손으로 압지한 다음 온수배출레버(60b)를 하방향으로 누르고 냉수배출레버(60a)를 오른손으로 동시에 눌러서 냉온수를 동시에 출수시켜 사용자가 소망하는 적정온도의 물을 일시에 컵에 수용시켜 마시면 된다.
상기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밸브 브라켓 11 : 고정부
12 : 안착부 13 : 취수꼭지 결합홀
14 : 14' : 레버결합부 15 : 15' : 절결부
20 : 냉수배출레버 21 : 31 : 레버지지부
22 : 32 : 스토퍼 23 : 33 : 누름부
24 : 냉수 표시부 25 : 35 : 돌기
26 : 46 : 힌지부 30 : 온수배출레버
34 : 온수 표시부 36 : 턱
37 : 가이드 홈 38 : 스프링 삽입홈
39 : 제1걸림고리 40 : 안전버튼
41 : 제1탄성스프링 42 : 스프링 삽입홀
43 : 지지부 44 : 걸림턱(44)
45 : 압지부 47 : 가이드
50 : 취수꼭지(50) 60a : 냉수밸브
60b : 온수밸브 61 : 입수구
62 : 출수구 63 : 걸림홈
64 : 로드 65 : 제2탄성스프링
66 : 개폐밸브 67 : 몸통
68 : 캡 69 : 제2걸림고리
70 : 출수관 80 : 연결튜브
90 : 연결부재 100 : 연결관
110 : 제3탄성스프링

Claims (6)

  1. 냉온수기의 전면부 프레임 일측에 결합고정되며 안착부와 취수꼭지 결합홀 및 취수꼭지 결합홀의 양쪽으로 한쌍의 레버결합부로 마련된 밸브 브라켓과;
    상기 취수꼭지 결합홀에 안착되면서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개의 취수꼭지와;
    상기 레버결합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며 후면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돌기가 마련된 냉수배출레버 및 온수배출레버와;
    상기 온수배출레버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제1탄성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스라이딩되면서 잠금 및 해제 기능을 하는 안전버튼과;
    로드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냉/온수배출레버의 돌기와 결합 연결되며 타단부는 밸브가 결합되고 몸통 내부에 있는 로드를 감싸서 장착된 제2탄성스프링에 의해 로드의 작동으로 상기 밸브가 개폐되며 몸통의 일측과 타측에 입수구와 출수구가 각각 마련된 냉/온수밸브와;
    상기 입수구에는 냉/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된 각각의 출수관들이 연결되며, 상기 냉/온수 밸브의 출수구에는 일측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Y자형의 연결튜브를 포함하여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취수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밸브와 출수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냉온수 밸브의 입수구와 냉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된 출수관을 연결하는 실리콘재질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취수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레버의 레버지지부 상단과 온수밸브 상단에 각각 제1 및 제2고리를 형성하여 제3탄성스프링을 연결한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취수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배출레버는 레버결합홀에 삽입되는 레버지지부와, 상기 레버지지부의 하단부 양측에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버지지부와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되는 누름부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의 상면에 냉수 표시부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레버지지부 뒷면 일측 상기 밸브의 로드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로드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한 쌍의 돌기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밸브의 몸통 전면 일측에 지지되어 축 역할을 하도록 힌지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취수밸브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레버는 레버결합홀에 삽입되는 레버지지부와, 상기 레버지지부의 하단부 양측에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버지지부와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되는 누름부를 가지며, 상기 누름부의 상면에 온수 표시부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레버지지부 뒷면 일측 상기 밸브의 로드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로드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한 쌍의 돌기가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며, 또한, 레버지지부 뒷면에는 안전버튼의 상부로 돌출된 제1탄성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 삽입홈과 안전버튼의 지지부 양측 가이드가 삽입 결합되어 스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마련되며, 안전버튼이 상하로 스라이딩되면서 안전버튼의 걸림턱과 맞닿으면서 소정 위치에서 멈추도록 턱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취수밸브.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버튼은 스프링 삽입홀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단 양측에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 하단에 연결되어 앞쪽으로 돌출된 압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의 뒷면 일측에 축 역할을 하도록 힌지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취수밸브
KR1020110070445A 2011-07-15 2011-07-15 냉온수기 취수밸브 KR10124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445A KR101244384B1 (ko) 2011-07-15 2011-07-15 냉온수기 취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445A KR101244384B1 (ko) 2011-07-15 2011-07-15 냉온수기 취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77A KR20130009377A (ko) 2013-01-23
KR101244384B1 true KR101244384B1 (ko) 2013-03-19

Family

ID=4783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445A KR101244384B1 (ko) 2011-07-15 2011-07-15 냉온수기 취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43A (ko) * 2018-04-16 2019-10-24 오비오주식회사 안전버튼을 가진 정수장치
KR20220146050A (ko) * 2021-04-23 2022-11-01 (주)원봉 밸브 어셈블리 및 밸브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771Y1 (ko) 2004-05-24 2004-09-07 (주)원봉 냉.온 정수기 코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771Y1 (ko) 2004-05-24 2004-09-07 (주)원봉 냉.온 정수기 코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43A (ko) * 2018-04-16 2019-10-24 오비오주식회사 안전버튼을 가진 정수장치
KR102092370B1 (ko) * 2018-04-16 2020-03-23 오비오주식회사 안전버튼을 가진 정수장치
KR20220146050A (ko) * 2021-04-23 2022-11-01 (주)원봉 밸브 어셈블리 및 밸브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KR102562046B1 (ko) 2021-04-23 2023-08-02 (주)원봉 밸브 어셈블리 및 밸브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77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2797U (ja) セルフロック機能を有するカップ蓋
JP5239354B2 (ja) 電気ケトル
JP5239363B2 (ja) 電気ケトル
KR101244384B1 (ko) 냉온수기 취수밸브
JP5574568B2 (ja) 電気ケトル
KR200478524Y1 (ko)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
WO2005080844A1 (en) Safety locking catering tap
KR20130006021A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배수구조 및 정수기
TWI810569B (zh) 蓋組件與帶蓋容器
JP5696752B2 (ja) 電気ケトル
JP5652523B2 (ja) 電気ケトル
JP6057804B2 (ja) 電気ケトル
JP2016005609A (ja) 電気ケトル
KR20150031676A (ko) 온수용 안전꼭지
KR200147209Y1 (ko) 냉.온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KR200311251Y1 (ko) 정수기용 안전취수장치
JP5626282B2 (ja) 電気ケトル
CN108236373B (zh) 带钥匙的饮水机
KR101741492B1 (ko) 안전 코크 어셈블리
KR101116953B1 (ko) 수도용 콕
JP7488155B2 (ja) ヘッドユニット
KR20060115080A (ko) 정수기
KR20040020269A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유로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냉온 정수장치
KR20140033649A (ko)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KR101362450B1 (ko) 정수기 급수 밸브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