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649A -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 Google Patents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649A
KR20140033649A KR1020120099733A KR20120099733A KR20140033649A KR 20140033649 A KR20140033649 A KR 20140033649A KR 1020120099733 A KR1020120099733 A KR 1020120099733A KR 20120099733 A KR20120099733 A KR 20120099733A KR 20140033649 A KR20140033649 A KR 2014003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ot
discharge
cold
wate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김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용 filed Critical 김기용
Priority to KR102012009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649A/ko
Publication of KR2014003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포트의 냉온수기의 배출공으로 부터 배출되는 생수를 수납하여 냉온수기의 받침대에서 직접 가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기존에 냉온수기로 부터 생수를 받아 별도의 커피포트에 생수를 수납하여 가열하는 번거로운 방식을 탈피하여 냉온수기에서 직접 커피포트로 생수를 수납하여 가열 가능하도록 한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생수통이 결합되는 상부커버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생수통의 생수를 공급받아 수납하는 생수탱크, 방열판, 컴푸레셔 및 상기 생수탱크 내부의 생수를 공급받기 위하여 케이스 전면에 장착된 복수개의 배출콕이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받침대가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진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일측 바닥면에는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포트소켓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콕은, 생수로가 구비된 관형상으로 일측 하단에는 배출공이 구비된 배출통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체의 외주에는 배출캡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통체 상단 생수로 내주부에는 밀폐돌기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생수탱크와 연결된 유입관을 밀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패킹과 커넥터가 결합 가능하도록 내주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의 일측과 연결되어 생수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의 후방에는 상기 푸쉬버튼에 의해 푸쉬 가능한 것으로 일측은 상기 바디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상하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원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된 푸쉬 샤프트와, 상기 푸쉬 샤프트가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구비되면서 내주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푸쉬 샤프트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바디의 일측 끝단과 고정 결합되어 있는 캡과, 상기 푸쉬 샤프트의 걸림턱 후방에는 상기 푸쉬버튼의 압압에 의해 상기 푸쉬 샤프트가 푸쉬 가능하도록 구비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과 상기 푸쉬 샤프트의 걸림턱 외주부인 상기 바디와 캡 사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생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밀폐 고정형 씰링브라켓과, 상기 푸쉬 샤프트의 타측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의 푸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일측은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상하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있고 타측에는 생수의 유출입을 가능하도록 록킹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딩 샤프트와, 상기 푸쉬버튼의 푸쉬를 록킹 가능하도록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잠금부재는, 판형상으로 일측에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가까이에는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록킹바와, 상기 결합공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면 일측에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조작몸체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커피포트는, 몸체부와 뚜껑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는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일측 상단에는 토출구가 타측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홈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면에 좌우 양측 내주 상단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공간부 외주 바닥면에는 상기 포트소켓부에 체결되어 상기 커피포트에 전원을 인가토록 하는 전원단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는 중앙 내주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파지홈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지홈부 내부 일측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원 하단에는 후크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는 원통형상으로 바닥면은 중앙에 다단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을 기준으로 후방은 소정의 위치까지 전방은 상기 토출구와 일체로 연결되게 융기된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반면에 상기 체결공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는 스프링수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벽 좌우 양측에는 인입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인 상기 홈부와 일치하는 방향에는 절개부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개폐수단부와 배출수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개폐수단부는,
상기 개방부 상단인 내주원 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내주원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재차 수평으로 절곡되어 끝단은 상기 인입출공에 착탈 가능한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 후방 하단에는 일체로 압압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압압부는 상기 스프링수납부 외측까지 형성되어 있는 개폐레버와, 상기 스프링수납부에는 상기 압압부와 밀착되게 스프링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부를 내주원 쪽으로 압압 및 해지하면 상기 압압부가 스프링을 신축 및 원상복귀하면서 동시에 체결부가 상기 인입출공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배출수단부는,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바닥에는 원판형상으로 외주부에는 제1 패킹이 결합되어 있는 개폐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 중앙에 체결봉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봉 최상단에는 사방으로 돌출돌기가 구비된 돌출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재와, 상기 체결봉의 돌출부재가 체결 고정되도록 십자형상으로 사방에 절개부가 구비된 체결공이 천공된 마감캡과, 상기 마감캡 하단으로는 상기 체결봉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제1 스프링, 제2 패킹과, 길이방향으로 긴 바 형상으로 상기 홈부의 깊이만큼 시소운동을 가능하도록 일측 끝단은 상기 토출구 쪽의 상기 배출통로 외주부에 브라켓이 형성되어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홈부의 깊이만큼 하강토록 가능하도록 누름부가 구비된 토출개폐바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적 특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기존의 레버식 배출콕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버튼식으로 레버식 배출콕의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배출부를 사용자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청결의 문제점도 해소함과 동시에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적정량의 생수의 배출 및 배출콕의 누름 힘의 조절 미숙 또는 부주의로 인한 배출되는 생수가 컵의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간편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배출콕으로 부터 직접 커피포트에 생수를 수납하여 끓임으로서 기존과 달리 시간적인 절약이 가능하며 특히, 커피포트를 냉온수기에서 직접 가열함으로서 발생되는 냉온수기의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 및 부주의로 인한 커피포트의 쓰러짐으로 인한 내용물의 토출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커피포트의 구조가 기존의 커피포트와 달리 개폐레버의 조작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여부가 발생되고 수증기의 외부 유출이 방지됨으로서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A system of water purifier and coffee pot}
본 발명은 커피포트의 냉온수기의 배출공으로 부터 배출되는 생수를 수납하여 냉온수기의 받침대에서 직접 가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기존에 냉온수기로 부터 생수를 받아 별도의 커피포트에 생수를 수납하여 가열하는 번거로운 방식을 탈피하여 냉온수기에서 직접 커피포트로 생수를 수납하여 가열 가능하도록 한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발달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로 정화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물을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수돗물이나 약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정화된 물을 소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냉온수기의 취수를 선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생수는 일정한 크기의 용기에 생수가 채워진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뒤집어 올려놓아 수압에 의하여 생수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생수를 소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냉온수기의 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정수기나 냉온수기(이하 냉온수기로 칭함)에는 냉수 및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레버식 콕(cock)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배출 콕을 조작하여 냉수 또는 냉온수기의 취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온수기에 제공된 배출 콕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손잡이로 형성되며, 이 손잡이를 누름으로서 배출구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되고, 손잡이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의 탄력으로 손잡이가 원위치 되면서 배출구를 폐쇄하여 물의 배출이 중단된다.
이러한 배출 콕은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는데, 특히 냉온수기의 온수가 임의로 배출되면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1999년 2월 9일자로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145026호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닫힘 물꼭지는, 물꼭지 몸체와, 이 물꼭지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지렛대의 힘점부분을 갖는 누름 손잡이와, 상기 누름 손잡이에 결합되어 2단 작동되면서 지렛대의 받침점을 갖는 보조손잡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닫힘 물꼭지는,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맞잡은 1단계 작동 후, 이들 맞잡은 손잡이들을 동시에 누르는 2단계 작동의 경우 물꼭지가 개방되어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는,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가 이격된 초기 상태에서, 누름 손잡이를 잡고 이 누름손잡이 쪽으로 보조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보조 손잡이의 받침휠이 지렛대역할을 하면서 누름손잡이와 보조손잡이의 간격이 좁혀짐과 동시에 배출구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자동닫힘 물꼭지는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동시에 들어올려 이들 손잡이들을 맞잡은 상태에서, 이들 맞잡은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는 보조손잡이가 안전장치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로 맞잡으면 보조손잡이가 안전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어 배출구가 개방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닫힘 물꼭지의 경우 레버식 배출콕이 파손 등의 문제점과 배출부가 사용자의 손에 닿아서 발생되는 청결의 문제점 기타 누름 손잡이와 보조손잡이를 동시에 조작하여야 하는 조작의 불편함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냉온수기로 부터 받은 생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끊이기 위해서는 냉온수기로 부터 받은 생수를 커피포트로 옮겨서 전원을 공급한 후 커피포트에 수납된 생수를 끓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냉온수기나 이에 적용되는 커피포트는 존재치 아니하였다.
냉온수기 받침대에서 배출된 생수를 그 자리에서 커피포트에 수납하여 생수를 끓일 경우에는 커피포트에서 가열되는 생수로 부터 수증기 등등이 발생하여 냉온수기 내부로 유입되어 냉온수기의 자체 고장등의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도 해결한 것으로서 기존에 커피포트를 냉온수기 자체에서 가열하는 기술도 존재치 아니하였으나 이에 더나아가 이로 인하여 발생될 문제점이 수증기의 냉온수기 내부로의 유입으로 인한 기기 고장 등의 문제점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레버식 배출콕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버튼식으로 레버식 배출콕의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배출부를 사용자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청결의 문제점도 해소함과 동시에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적정량의 생수의 배출 및 배출콕의 누름 힘의 조절 미숙 또는 부주의로 인한 배출되는 생수가 컵의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간편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냉온수기의 받침대에서 직접 배출된 생수를 수납하여 커피포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생수를 가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이 커피포트를 냉온수기의 받침대에서 직접 가열함에 따른 문제점인 수증기 발생으로 인한 냉온수기의 손상 및 부주의로 인한 커피포트의 넘어짐에 따른 가열된 물의 토출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해결 가능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냉온수기의 버튼식 콕구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생수통이 결합되는 상부커버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생수통의 생수를 공급받아 수납하는 생수탱크, 방열판, 컴푸레셔 및 상기 생수탱크 내부의 생수를 공급받기 위하여 케이스 전면에 장착된 복수개의 배출콕이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받침대가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진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일측 바닥면에는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포트소켓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콕은, 생수로가 구비된 관형상으로 일측 하단에는 배출공이 구비된 배출통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체의 외주에는 배출캡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통체 상단 생수로 내주부에는 밀폐돌기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생수탱크와 연결된 유입관을 밀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패킹과 커넥터가 결합 가능하도록 내주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의 일측과 연결되어 생수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의 후방에는 상기 푸쉬버튼에 의해 푸쉬 가능한 것으로 일측은 상기 바디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상하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원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된 푸쉬 샤프트와, 상기 푸쉬 샤프트가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구비되면서 내주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푸쉬 샤프트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바디의 일측 끝단과 고정 결합되어 있는 캡과, 상기 푸쉬 샤프트의 걸림턱 후방에는 상기 푸쉬버튼의 압압에 의해 상기 푸쉬 샤프트가 푸쉬 가능하도록 구비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과 상기 푸쉬 샤프트의 걸림턱 외주부인 상기 바디와 캡 사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생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밀폐 고정형 씰링브라켓과, 상기 푸쉬 샤프트의 타측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의 푸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일측은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상하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있고 타측에는 생수의 유출입을 가능하도록 록킹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딩 샤프트와, 상기 푸쉬버튼의 푸쉬를 록킹 가능하도록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잠금부재는, 판형상으로 일측에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가까이에는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록킹바와, 상기 결합공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면 일측에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조작몸체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커피포트는, 몸체부와 뚜껑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는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일측 상단에는 토출구가 타측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홈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면에 좌우 양측 내주 상단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공간부 외주 바닥면에는 상기 포트소켓부에 체결되어 상기 커피포트에 전원을 인가토록 하는 전원단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는 중앙 내주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파지홈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지홈부 내부 일측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원 하단에는 후크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는 원통형상으로 바닥면은 중앙에 다단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을 기준으로 후방은 소정의 위치까지 전방은 상기 토출구와 일체로 연결되게 융기된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반면에 상기 체결공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는 스프링수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벽 좌우 양측에는 인입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인 상기 홈부와 일치하는 방향에는 절개부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개폐수단부와 배출수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개폐수단부는,
상기 개방부 상단인 내주원 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내주원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재차 수평으로 절곡되어 끝단은 상기 인입출공에 착탈 가능한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 후방 하단에는 일체로 압압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압압부는 상기 스프링수납부 외측까지 형성되어 있는 개폐레버와, 상기 스프링수납부에는 상기 압압부와 밀착되게 스프링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부를 내주원 쪽으로 압압 및 해지하면 상기 압압부가 스프링을 신축 및 원상복귀하면서 동시에 체결부가 상기 인입출공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배출수단부는,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바닥에는 원판형상으로 외주부에는 제1 패킹이 결합되어 있는 개폐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 중앙에 체결봉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봉 최상단에는 사방으로 돌출돌기가 구비된 돌출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재와, 상기 체결봉의 돌출부재가 체결 고정되도록 십자형상으로 사방에 절개부가 구비된 체결공이 천공된 마감캡과, 상기 마감캡 하단으로는 상기 체결봉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제1 스프링, 제2 패킹과, 길이방향으로 긴 바 형상으로 상기 홈부의 깊이만큼 시소운동을 가능하도록 일측 끝단은 상기 토출구 쪽의 상기 배출통로 외주부에 브라켓이 형성되어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홈부의 깊이만큼 하강토록 가능하도록 누름부가 구비된 토출개폐바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버튼식 콕구조를 제공하면, 기존의 레버식 배출콕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버튼식으로 레버식 배출콕의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배출부를 사용자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청결의 문제점도 해소함과 동시에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적정량의 생수의 배출 및 배출콕의 누름 힘의 조절 미숙 또는 부주의로 인한 배출되는 생수가 컵의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간편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배출콕으로 부터 직접 커피포트에 생수를 수납하여 끓임으로서 기존과 달리 시간적인 절약이 가능하며 특히, 커피포트를 냉온수기에서 직접 가열함으로서 발생되는 냉온수기의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 및 부주의로 인한 커피포트의 쓰러짐으로 인한 내용물의 토출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커피포트의 구조가 기존의 커피포트와 달리 개폐레버의 조작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여부가 발생되고 수증기의 외부 유출이 방지됨으로서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냉온수기와 커피포트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냉온수기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잠금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작동전 즉, 누르지 아니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작동후 즉, 누른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중에서 본체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에서 커버체가 본체와 결합된 개폐수단부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에서 커버체가 본체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폐수단부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에서 커버체가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수단부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에서 커버체가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수단부를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냉온수기와 커피포트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냉온수기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잠금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작동전 즉, 누르지 아니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버튼식 콕 즉, 배출콕의 작동후 즉,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중에서 본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에서 커버체가 본체와 결합된 개폐수단부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에서 커버체가 본체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폐수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에서 커버체가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수단부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인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에 있어서 커피포트의 뚜껑부에서 커버체가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수단부를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냉온수기 즉, 생수통이 결합되는 상부커버(101)가 구비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생수통의 생수를 공급받아 수납하는 생수탱크(200), 방열판(300), 컴푸레셔(400) 및 상기 생수탱크(200) 내부의 생수를 공급받기 위하여 케이스(100) 전면에 장착된 복수개의 배출콕(500)이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받침대(600)가 구비된 통상적인 종래기술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배출콕(500)을 기존의 레버식이 아니라 버튼식으로 구조를 변경함으로서 이에 따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버튼식의 배출콕의 구조와 동시에 커피포트에 직접 생수를 수납후 냉온수기에서 가열가능하도록 함에 있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함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우선,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600)의 일측 바닥면에는 커피포트(P)를 가열 가능하도록 포트소켓부(6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냉온수기 자체에서 생수를 배출받음과 동시에 커피포트(P)를 통해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다음, 본 발명의 상기 배출콕(500)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10)은 생수로(511)가 구비된 관형상으로 일측 하단에는 배출공(512)이 구비된 배출통체(51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체(513)의 외주에는 배출캡(514)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통체(513) 상단 생수로(511) 내주부에는 밀폐돌기(519)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생수탱크(200)와 연결된 유입관(515)을 밀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패킹(516)과 커넥터(517)가 결합 가능하도록 내주부에 나사부(518)가 형성된 구조이다.
다음, 푸쉬버튼(52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5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생수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푸쉬 샤프트(530)는 상기 푸쉬버튼(520)의 후방에는 상기 푸쉬버튼(520)에 의해 푸쉬 가능한 것으로 일측은 상기 바디(510)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상하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원형상의 걸림턱(531)이 구비된 구조이다.
캡(540)은 상기 푸쉬 샤프트(530)가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관통공(541)이 구비되면서 내주부에는 상기 걸림턱(531)에 의해 상기 푸쉬 샤프트(53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바디(510)의 일측 끝단과 고정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탄성스프링(550)의 경우는 상기 푸쉬 샤프트(530)의 걸림턱(531) 후방에는 상기 푸쉬버튼(520)의 압압에 의해 상기 푸쉬 샤프트(530)가 푸쉬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밀폐 고정형 씰링브라켓(560)은 상기 탄성스프링(550)과 상기 푸쉬 샤프트(530)의 걸림턱(531) 외주부인 상기 바디(510)와 캡(540) 사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생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슬라이딩 샤프트(570)은 상기 푸쉬 샤프트(530)의 타측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530)의 푸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일측은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상하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있고 타측에는 생수의 유출입을 가능하도록 록킹부재(571)가 구비된 구조이다.
다음 잠금부재(580)은 상기 푸쉬버튼(520)의 푸쉬를 록킹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판형상으로 일측에는 파지부(58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가까이에는 결합공(583)이 천공되어 있는 록킹바(584)와,
상기 결합공(583)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면 일측에 결합돌기(585)가 구비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는 손잡이(587)가 구비된 조작몸체(588)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중 냉온수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생수통을 상부커버(101)에 안착하고 배출콕(500)을 누르면 생수탱크(200)에 유입된 생수가 바디(510)의 배출공(512)으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배출콕(500)에 대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7은 배출콕(500)의 푸쉬버튼(520)을 누르지 아니한 상태이며, 도 8은 배출콕(500)의 푸쉬버튼(520)을 누른 상태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콕(500)의 푸쉬버튼(520)을 누르면 푸쉬 샤프트(530)의 걸림턱(531)이 탄성스프링(550)을 압압하고 더이상 압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샤프트(570)이 슬라이딩되면서 록킹부재(571)가 바디(510)의 내주부에 일체로 구비된 밀폐돌기(519)로 부터 이격되면서 갭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갭을 통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탱크(200)와 연결된 유입관(515)을 통해 유입된 생수가 생수로(511)로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바디(510)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구비된 배출통체(513) 중앙에 천공된 배출공(512)으로 생수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된 생수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포트(P)에 수납 가능하며 상기 수납된 생수는 커피포트(P)와 받침대(600)의 일측 바닥면에 구비된 초트소켓부(601)에 전원이 인가되어 커피포트(P)에 수납된 생수를 가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을 금지키 위해서는 잠금부재(580)을 작동하여야 하며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작몸체(588)의 결합돌기(585)가 록킹바(584)의 결합공(583)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몸체(588)의 손잡이(587)을 도 1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록킹바(584)의 끝단에 형성된 파지부(581)이 푸쉬 샤프트(530)의 선단과 푸쉬버튼(520)의 후단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푸쉬버튼(520)의 압압력이 푸쉬 샤프트(530)에 전달되지 아니하며 결국 푸쉬 샤프트(530)의 푸쉬가 작동되지 아니하므로 결국 배출공(512)를 통해 생수가 배출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함으로서 기존의 레버식 배출콕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버튼식으로 레버식 배출콕의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배출부를 사용자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청결의 문제점도 해소함과 동시에 유아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적정량의 생수의 배출 및 배출콕의 누름 힘의 조절 미숙 또는 부주의로 인한 배출되는 생수가 컵의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간편하면서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커피포트(P)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포트(P)는, 몸체부(700)와 뚜껑부(71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700)는 수납공간부(701)가 구비된 상태에서 일측 상단에는 토출구(702)가 타측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홈부(703)가 형성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손잡이부(70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면에 좌우 양측 내주 상단에는 결합홈(705)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공간부(701) 외주 바닥면에는 상기 포트소켓부(601)에 체결되어 상기 커피포트(P)에 전원을 인가토록 하는 전원단자부(706)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음, 커피포트(P)의 뚜껑부(710)의 구성은,
도 10,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부(710)는 중앙 내주원(72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파지홈부(7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지홈부(722) 내부 일측면에는 개방부(7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원(724) 하단에는 후크(725)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720)와,
상기 커버체(72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730)는 원통형상으로 바닥면은 중앙에 다단의 체결공(7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731)을 기준으로 후방은 소정의 위치까지 전방은 상기 토출구(702)와 일체로 연결되게 융기된 배출통로(732)를 형성하고 반면에 상기 체결공(73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는 스프링수납부(7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벽(734) 좌우 양측에는 인입출공(735)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인 상기 홈부(703)와 일치하는 방향에는 절개부(736)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개폐수단부(740)와 배출수단부(750)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부(74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723) 상단인 내주원(721) 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내주원(721)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부(7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부(741)는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재차 수평으로 절곡되어 끝단은 상기 인입출공(735)에 착탈 가능한 체결부(7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742) 후방 하단에는 일체로 압압부(743)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압압부(743)는 상기 스프링수납부(733) 외측까지 형성되어 있는 개폐레버(744)와,
상기 스프링수납부(733)에는 상기 압압부(743)와 밀착되게 스프링(745)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부(741)를 내주원(721) 쪽으로 압압 및 해지하면 상기 압압부(743)가 스프링(745)을 신축 및 원상복귀하면서 동시에 체결부(742)가 상기 인입출공(735)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다.
다음, 상기 배출수단부(750)의 구조는 도 12 및 도 15,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731)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바닥에는 원판형상으로 외주부에는 제1 패킹(751)이 결합되어 있는 개폐판(7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752) 중앙에 체결봉(753)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봉(753) 최상단에는 사방으로 돌출돌기가 구비된 돌출부재(7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재(755)와,
상기 체결봉(753)의 돌출부재(754)가 체결 고정되도록 십자형상으로 사방에 절개부가 구비된 체결공(756)이 천공된 마감캡(757)과,
상기 마감캡(757) 하단으로는 상기 체결봉(753)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제1 스프링(758), 제2 패킹(759)과,
길이방향으로 긴 바 형상으로 상기 홈부(703)의 깊이만큼 시소운동을 가능하도록 일측 끝단은 상기 토출구(702) 쪽의 상기 배출통로(732) 외주부에 브라켓(801)이 형성되어 힌지(802)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홈부(703)의 깊이만큼 하강토록 가능하도록 누름부(803)가 구비된 토출개폐바(80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본 발명의 커피포트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온수기의 받침대(600)의 일측 바닥면에는 커피포트(P)를 가열 가능하도록 포트소켓부(601)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포트(P)의 바닥면에 구비된 전원단자부(706)을 결합하면 냉온수기의 전원 공급에 따라 커피포트(P)의 수납공간부(701)에 수납된 생수가 가열토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가열 구조에서 우선, 커피포트(P)의 몸체부(700)와 뚜껑부(710)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는 개폐레버(744)의 체결부(742)가 인입출공(735)을 관통하여 몸체부(700)의 결합홈(705)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뚜껑부(710)를 몸체부(700)으로 부터 임의적으로 탈락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수증기의 외부 유출은 물론이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배출수단부(750)의 조작이 없이는 배출통로(732)도 폐쇄된 상태이므로 결론적으로 수납공간부(701)의 내용물이 비록 커피포트(P)가 균형을 잃고 넘어진다고 하더라도 토출될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피포트(P)의 수납공간부(701) 내에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도 14와 같이 개폐레버(744)의 레버부(741)를 내주원(721) 방향으로 압압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레버부(741)을 압압하면 압압부(743)이 스프링수납부(733)에 내장된 스프링(745)을 신축하는 작용이 생기고 이런 과정과 동시에 체결부(742)가 몸체부(700)의 결합홈(705)에서 탈락되어 뚜껑부(710)이 몸체부(700)으로 부터 탈락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레버부(741)에 가압된 힘을 해지하면 원상복귀되어 체결부(742)가 몸체부(700)의 결합홈(705)에 자동적으로 체결되어 몸체부(700)으로 부터 뚜껑부(710)는 탈락되지 아니한 결합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700)으로 부터 뚜껑부(710)을 탈락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커피포트(P)의 수납공간부(701)에 생수를 수납하기 위하여 냉온수기의 받침대(600)에 커피포트(P)를 상기와 같이 안착한 후 배출콕(500)의 푸쉬버튼(520)을 푸쉬하면 상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512)을 통해 생수가 수납공간부(701)에 수납되고 일정량이 수납되면 상기 개폐레버(744)의 레버부(741)를 내주원(721) 방향으로 가압하여 압압부(743)이 스프링(745)을 신축시키면 당연히 체결부(742)도 내주원(721) 방향으로 신축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부(700)와 결합한 후 가압된 힘을 해지하면 체결부(742)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출공(735)을 관통하여 몸체부(700)의 결합홈(705)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이 개폐수단부(74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다음, 배출수단부(750)의 경우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고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수단부(750)의 조작을 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배출통로(732) 및 토출구(702)로 생수가 토출되지 아니하며 이는 몸체부(700)와 연결되는 부위에 개폐부재(755)가 폐쇄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에는 수납공간부(701) 내에 수납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지 아니한다.
반면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개폐바(800)의 누름부(803)을 누르면 브라켓(801)에 형성된 힌지(802)를 축으로 하여 토출개폐바(800)의 누름부(803)이 홈부(703) 내측으로 하강하면서 체결봉(753)을 가압하여 제1 스프링(758)에 의해 상기 체결봉(753)이 체결공(731)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이와 같이 체결봉(753)이 하강하면 개폐부재(755)의 개폐판(752)가 하강하여 몸체부(700)의 수납공간부(701) 사이가 개방되며 이로 인하여 수납공간부(701) 내에 수납된 내용물이 도 16에 보는 바와 같이 배출통로(732)를 통해 토출구(702)로 토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누름부(803)에 가압된 힘을 해지할 경우 자동적으로 제1 스프링(758)의 원상회복으로 결국 개폐판(752)이 상승하여 수납공간부(701) 사이의 개방된 부위를 차단 폐쇄토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동에 의해 본 발명의 커피포트의 경우는 임의적으로 뚜껑부를 개방할 수도 없고 또한 커피포트가 넘어지더라도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 염려도 없으며 유아들의 부주의에 의한 가열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염려도 없는 것이다.
100; 케이스 101; 상부커버
200; 생수탱크 300; 방열판
400; 컴푸레셔 500; 배출콕
510; 바디 511; 생수로
512; 배출공 513; 배출통체
514; 배출캡 515; 유입관
516; 패킹 517; 커넥터
518; 나사부 519; 밀폐돌기
520; 푸쉬버튼
530; 푸쉬 샤프트 531; 걸림턱
540; 캡 550; 탄성스프링
560; 밀폐 고정형 씰링브라켓
570 : 슬라이딩 샤프트 571; 록킹부재
580; 잠금부재 581; 파지부
582; 돌출부 583; 결합공
584; 록킹바 585; 결합돌기
587; 손잡이
588; 조작몸체 600; 받침대
601; 포트소켓부 700; 몸체부
701; 수납공간부 702; 토출구
703; 홈부 704; 손잡이부
705; 결합홈 706; 전원단자부
710; 뚜껑부 720; 커버체
721; 내주원 722; 파지홈부
723; 개방부 724; 외주원
725; 후크 730; 본체
731; 체결공 732; 배출통로
733; 스프링수납부 734; 외주벽
735; 인입출공 736; 절개부
740; 개폐수단부 741; 레버부
742; 체결부 743; 압압부
745; 스프링 750; 배출수단부
751; 제1 패킹 752; 개폐판
753; 체결봉 754; 돌출부재
755; 개폐부재 756; 체결공
757; 마감캡 758; 제1 스프링
759; 제2 패킹 800; 토출개폐바
801; 브라켓 802; 힌지
803; 누름부 P; 커피포트

Claims (5)

  1. 생수통이 결합되는 상부커버(101)가 구비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생수통의 생수를 공급받아 수납하는 생수탱크(200), 방열판(300), 컴푸레셔(400) 및 상기 생수탱크(200) 내부의 생수를 공급받기 위하여 케이스(100) 전면에 장착된 복수개의 배출콕(500)이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받침대(600)가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진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600)의 일측 바닥면에는 커피포트(P)를 가열 가능하도록 포트소켓부(6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콕(500)은,
    생수로(511)가 구비된 관형상으로 일측 하단에는 배출공(512)이 구비된 배출통체(51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체(513)의 외주에는 배출캡(514)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통체(513) 상단 생수로(511) 내주부에는 밀폐돌기(519)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생수탱크(200)와 연결된 유입관(515)을 밀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패킹(516)과 커넥터(517)가 결합 가능하도록 내주부에 나사부(518)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510)와,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5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생수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푸쉬버튼(520)과,
    상기 푸쉬버튼(520)의 후방에는 상기 푸쉬버튼(520)에 의해 푸쉬 가능한 것으로 일측은 상기 바디(510)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상하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원형상의 걸림턱(531)이 구비된 푸쉬 샤프트(530)와,
    상기 푸쉬 샤프트(530)가 관통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관통공(541)이 구비되면서 내주부에는 상기 걸림턱(531)에 의해 상기 푸쉬 샤프트(530)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바디(510)의 일측 끝단과 고정 결합되어 있는 캡(540)과,
    상기 푸쉬 샤프트(530)의 걸림턱(531) 후방에는 상기 푸쉬버튼(520)의 압압에 의해 상기 푸쉬 샤프트(530)가 푸쉬 가능하도록 구비된 탄성스프링(550)과,
    상기 탄성스프링(550)과 상기 푸쉬 샤프트(530)의 걸림턱(531) 외주부인 상기 바디(510)와 캡(540) 사이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생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밀폐 고정형 씰링브라켓(560)과,
    상기 푸쉬 샤프트(530)의 타측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 샤프트(530)의 푸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일측은 원통형상으로 외주면 상하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있고 타측에는 생수의 유출입을 가능하도록 록킹부재(571)가 구비된 슬라이딩 샤프트(570)와,
    상기 푸쉬버튼(520)의 푸쉬를 록킹 가능하도록 잠금부재(5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580)는,
    판형상으로 일측에는 파지부(58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가까이에는 결합공(583)이 천공되어 있는 록킹바(584)와,
    상기 결합공(583)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면 일측에 결합돌기(585)가 구비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는 손잡이(587)가 구비된 조작몸체(58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포트(P)는,
    몸체부(700)와 뚜껑부(71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700)는 수납공간부(701)가 구비된 상태에서 일측 상단에는 토출구(702)가 타측 상단에는 후방으로 길게 홈부(703)가 형성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손잡이부(70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면에 좌우 양측 내주 상단에는 결합홈(705)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공간부(701) 외주 바닥면에는 상기 포트소켓부(601)에 체결되어 상기 커피포트(P)에 전원을 인가토록 하는 전원단자부(70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710)는 중앙 내주원(72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파지홈부(7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지홈부(722) 내부 일측면에는 개방부(7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원(724) 하단에는 후크(725)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체(720)와,
    상기 커버체(72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730)는 원통형상으로 바닥면은 중앙에 다단의 체결공(7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731)을 기준으로 후방은 소정의 위치까지 전방은 상기 토출구(702)와 일체로 연결되게 융기된 배출통로(732)를 형성하고 반면에 상기 체결공(73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는 스프링수납부(7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벽(734) 좌우 양측에는 인입출공(735)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인 상기 홈부(703)와 일치하는 방향에는 절개부(736)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개폐수단부(740)와 배출수단부(75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부(740)은,
    상기 개방부(723) 상단인 내주원(721) 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내주원(721)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부(7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부(741)는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재차 수평으로 절곡되어 끝단은 상기 인입출공(735)에 착탈 가능한 체결부(7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742) 후방 하단에는 일체로 압압부(743)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압압부(743)는 상기 스프링수납부(733) 외측까지 형성되어 있는 개폐레버(744)와,
    상기 스프링수납부(733)에는 상기 압압부(743)와 밀착되게 스프링(745)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부(741)를 내주원(721) 쪽으로 압압 및 해지하면 상기 압압부(743)가 스프링(745)을 신축 및 원상복귀하면서 동시에 체결부(742)가 상기 인입출공(735)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부(750)는,
    상기 체결공(731)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바닥에는 원판형상으로 외주부에는 제1 패킹(751)이 결합되어 있는 개폐판(7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752) 중앙에 체결봉(753)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봉(753) 최상단에는 사방으로 돌출돌기가 구비된 돌출부재(7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재(755)와,
    상기 체결봉(753)의 돌출부재(754)가 체결 고정되도록 십자형상으로 사방에 절개부가 구비된 체결공(756)이 천공된 마감캡(757)과,
    상기 마감캡(757) 하단으로는 상기 체결봉(753)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제1 스프링(758), 제2 패킹(759)과,
    길이방향으로 긴 바 형상으로 상기 홈부(703)의 깊이만큼 시소운동을 가능하도록 일측 끝단은 상기 토출구(702) 쪽의 상기 배출통로(732) 외주부에 브라켓(801)이 형성되어 힌지(802)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홈부(703)의 깊이만큼 하강토록 가능하도록 누름부(803)가 구비된 토출개폐바(8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KR1020120099733A 2012-09-10 2012-09-10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KR20140033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33A KR20140033649A (ko) 2012-09-10 2012-09-10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33A KR20140033649A (ko) 2012-09-10 2012-09-10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649A true KR20140033649A (ko) 2014-03-19

Family

ID=5064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733A KR20140033649A (ko) 2012-09-10 2012-09-10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36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743B1 (ko) * 2022-08-20 2023-06-01 전정연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743B1 (ko) * 2022-08-20 2023-06-01 전정연 커넥터 연결형 커피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5608C2 (ru) Узел вакуумной колбы
JP6235914B2 (ja) 湯沸器
JP2013529516A (ja) 圧力鍋の蓋
KR20140033649A (ko) 커피포트를 가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수기 및 그 커피포트 구조
KR20140033648A (ko) 냉온수기의 버튼식 콕구조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JP5454615B2 (ja) 水加熱容器
JP2012152602A (ja) 水加熱容器
JP2013233225A (ja) 電気ケトル
AU2001260506B9 (en) Water heating apparatus
JP5505459B2 (ja) 水加熱容器
JP5348174B2 (ja) 水加熱容器
AU2001260506A1 (en) Water heating apparatus
KR20130003072U (ko) 넘침 방지 증기배출 뚜껑 손잡이
KR200473497Y1 (ko) 캠핑용 주전자
GB2401308A (en) An insulated flask
JP5527279B2 (ja) 水加熱容器
JP5445621B2 (ja) 水加熱容器
JP5454614B2 (ja) 水加熱容器
JP2012157738A (ja) 水加熱容器
JP5354060B2 (ja) 水加熱容器
JP5505460B2 (ja) 水加熱容器
JP2015128645A (ja) 水加熱容器
JP5522198B2 (ja) 水加熱容器
JP5387741B2 (ja) 水加熱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