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209Y1 - 냉.온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209Y1
KR200147209Y1 KR2019950034884U KR19950034884U KR200147209Y1 KR 200147209 Y1 KR200147209 Y1 KR 200147209Y1 KR 2019950034884 U KR2019950034884 U KR 2019950034884U KR 19950034884 U KR19950034884 U KR 19950034884U KR 200147209 Y1 KR200147209 Y1 KR 200147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r
piece
supply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421U (ko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원윤희
주식회사 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윤희, 주식회사 센추리 filed Critical 원윤희
Priority to KR2019950034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209Y1/ko
Publication of KR970024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 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횡방향으로 형성된 공급관(4)과, 이 공급관(4)과 연통되도록 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급수관(6)으로 구성된 냉. 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에 레버(30)가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30)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레버편(40)과 이 제 1레버편(40)과는 일체로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으로 배설되는 제 2레버편(50)이 갖추어지며, 상기 제 1레버편(40)의 일측 하부에 연결편(60)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6)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부재(70)와 축핀(72)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30)의 제 1레버편(40)에는 장공(41)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41)을 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한 안전부재(42)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서, 안전부재(42)를 통해 부주의로 인해 물이 취출되지 않도록 하고, 걸림편(51)으로 인해 물의 연속 취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급수꼭지의 모습을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급수꼭지 부분을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급수꼭지의 일부를 단면하여 안전부재에 의해 급수꼭지가 개방가능한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급수꼭지의 안전부재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급수꼭지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식음을 하기 위해 본 고안의 급수꼭지를 개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공급관 6 : 급수관
30 : 레버 40 : 제 1레버편
41 : 장공 42 : 안전부재
43 : 노브 44 : 걸림턱
50 : 제 2레버편 51 : 걸림편
60 : 연결편 70 : 개폐부재
72 : 축핀
본 고안은 냉.온 정수기용 취수꼭지의 안전장치에 된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 정수기의 취수시 안전부재에 의해 부주의로 인한 온수의 배출로 화상을 입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온정수기용 취수꼭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냉.온정수기는 내부에 수도와 연결된 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와, 정수된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기와, 가압펌프 및 냉각용 압축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냉온 정수기는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기 전면에 냉수용 급수밸브와, 온수용 급수밸브와, 상온수용 급수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
그런데, 이러한 급수밸브는 첨부된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정수기 본체(2)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물공급관(4)의 수직방향으로 급수관(6)이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관(6)의 상부에 회동자재한 레버(8)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레버(8)는 축핀(10)을 중심으로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급수관(6)의 내부에는 탄지스프링(12) 및 이 탄지스프링(12)에 걸려 있는 개폐부재(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 상기 레버(8)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길이가 연장된 손잡이편(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편(17)의 선단에는 상기 축핀(10)과 연결되는 등근형태를 가지는 연결편(1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 컵(20)을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마시고자 하는 경우애는 먼저 레버(8)를 하방향으로 젖혀 개폐부재(14)가 급수관(6)의 내부에 설치된 탄지스프링(72)의 탄지력을 이기고 상승하면서 개폐부재(14)가 급수관(7)과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4)과 연통되게 하므로서 소정의 압력을 가진 물이 공급관(4)을 지나 급수관(6)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 하부에 컵(20)을 댄 상태에서 급수관(6)의 하부로 배출되는 정수된 물을 받아 마시면 된다. 이것은 냉수, 상온수, 온수 모두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급수꼭지는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레버 (8)가 길이가 연장된 손잡이편(16)과, 이 손잡이편(16)의 선단에 형성된 연결편(18)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단순히 레버(8)의 손잡이편(16)을 잡고 하방향으로 잡아당겨야만 물이 급수되므로 한손으로는 컵(20)을 대고 한손으로는 레버(8)를 작동시켜야하는 불편이 있었고, 또한 어린이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주의로 인해 뜨거운 온수가 바로 급수되어 손에 화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성인은 물론 주의력이 떨어지는 어린이가 사용하더라도 온수에 의한 화상을 입지 않고, 간편하게 정수된 물을 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한 냉.온 정수기용 급수 꼭지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급수꼭지에 안전부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부재를 일측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급수를 하고 ,급수를 마치면 상기 안전부재가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귀되어 록킹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공급관(4)과, 이 공급관(4)과 연통되도록 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급수관(6)으로 구성된 냉.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에 레버(30)가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30)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제 1레버편(40)과 이 제 1레버편(40)과는 일체로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으로 배설되는 제 2레버편(50)이 갖추어지며, 상기 제 1레버편(40)의 일측 하부에 연결편(60)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6)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부재(70)와 축핀(7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30)의 제 1레버편(40)에는 장공(4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안전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전부재(42)는 상부에 노브(4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근 걸링턱(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편(70)의 하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레버편(50)의 안쪽 양측에는 정수된 물의 연속취출이 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부재(42)는 정수된 물의 취출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연결편(60)의 하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컵(20)을 통해 정수된 물을 마시고자 하는 경우, 첨부된 예시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급수꼭지의 하부에 컵(20)을 대면 급수꼭지의 제 2레버편(50)이 일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정수된 물의 취출이 가능한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제 2레버편(50)을 일측방향으로 밀면, 이 제 2레버편(50)은 제 1레버편(4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 1레버편(4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연결편(60)이 축핀(72)을 통해 급수판(60의 개폐부재(7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제 1레버편(40)이 축핀(7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미리 제 1레버편(40)에 구비된 안전부재(42)의 노브(43)를 잡고 사용자쪽으로 약간 잡아당기면, 안전부재(4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44)이 연결편(60)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그에따라 제 2레버펀(50)을 계속하여 밀면 제 1레버핀(40)의 연결편(60)이 축핀(7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부재(70)는 수직상승한다
여기서 , 상기 제 1레버편(40)은 회동시, 하향경사지게되므로 안전부재(42)는 슬리이딩 이동되어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 제 1레버핀(40)의 단부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에따라 급수관(6)의 내부가 공급관(4)과 연통되게 되게 공급관(4)으로부터공급된 정수된 물이 급수관(6)을 지나 하부로 취출되어 컵(20)안에 담겨지게 된다.
한편, 정수된 물의 취출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첨부된 예시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물을 담은 컵(20)을 빼내면, 제 2레버편(50)이 상기의 동작과 반대방향으로 복귀되면서 하향경사져 있던 제 1레버편(40)이 원상복귀되어 상향경사지게 되고, 그에따라 안전부재(42)가 장공(41)을 따라 자연스립게 슬라이딩이동되어 안전부재(42)의 하부 걸림턱(44)이 다시 연결편(60)의 하부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상기와 같이 정수된 물을 취출하기 위헤 컵(20)을 통해 제 2레버편(50)을 밀면, 걸림턱(44)이 연결편(60)의 하부에 걸려있어 연결편(60)이 축핀(72)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게되어 결국 물의 취출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어린이등이 온수등을 마시기 위해 부주의하게 급수꼭지를 사용하더라도 안전부재(42)로 인해 온수의 취출이 불가능하므로 부주의로 인한 어린이의 손등에 화상을 입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레버편(50)의 소정위치에는 걸림편(51)이 형성되어 있어 급수관(6)의 상부에 맞닿게되므로 연속 취출을 위해 상기 컵(20)을 통해 취수를 하고자 하는 동작과 반대방향으로 제 2레버편(50)을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걸림편(l)에 의해 정지되므로 연속 취출이 이루어지지 않는것이다.
따라서 , 어린이등이 부주의로 인해 온수등의 연속 취출동작으로 물의 낭비및 화상등을 입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급수꼭지를 제 1레버편 및 제 2레버편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제 1레버편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한 안전부재를 구비하여 부주의로 인한 정수된 물의 취출을 방지하는 한편, 제 2레버편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걸림편으로 인해 연속 취출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횡방향으로 형성된 공급관(4)과, 이 공급관(4)과 연통되도록 하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급수관(6)으로 구성된 냉. 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6)에 레버(30)가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30)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레버편(40)과 이 제 1레버편(40)과는 일체로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으로 배설되는 제 2레버편(50)이 갖추어지며, 상기 제 1레버편(40)의 일측 하부에 연결편(60)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6)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부재(70)와 축핀(72)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30)의 제 1레버편(40)에는 장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41)을 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한 안전부재(4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안전부재(42)는 상부에 노브(4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걸림턱(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핀(60)의 하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레버편(50)의 안쪽 양측에는 정수된 물의 연속 취출이 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42)는 취출작업을 하지 않을때에는 연결핀(60)의 하부에 걸려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KR2019950034884U 1995-11-22 1995-11-22 냉.온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KR200147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884U KR200147209Y1 (ko) 1995-11-22 1995-11-22 냉.온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884U KR200147209Y1 (ko) 1995-11-22 1995-11-22 냉.온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21U KR970024421U (ko) 1997-06-20
KR200147209Y1 true KR200147209Y1 (ko) 1999-06-15

Family

ID=1942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884U KR200147209Y1 (ko) 1995-11-22 1995-11-22 냉.온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2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510A (ko) * 2002-07-03 2004-01-13 정낙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025B1 (ko) * 2000-11-23 2002-10-19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밸브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510A (ko) * 2002-07-03 2004-01-13 정낙원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21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3332A1 (en) Hot beverage maker
JP3549272B2 (ja) 取外し可能で濡れのないフィルターを有するコーヒー煮出し装置
US6481337B1 (en) Controlling mechanism of beverage infusion container
KR200147209Y1 (ko) 냉.온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KR200166020Y1 (ko) 냉.온 정수기용 급수꼭지의 안전장치
KR200311251Y1 (ko) 정수기용 안전취수장치
CN109008701B (zh) 多用途便携电热水壶
KR2002789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음료 공급기용 토출구
CN209121902U (zh) 用于饮水装置的门体组件和具有其的饮水装置
KR200271814Y1 (ko) 냉온정수기의 취수밸브 안전장치
KR200300285Y1 (ko) 냉온수기용 물 꼭지
JPH0698100B2 (ja) 飲料抽出器
KR200242434Y1 (ko) 다목적 가열식 초음파 약탕기
JPS61280816A (ja) 飲料抽出器
CN213405790U (zh) 一种保证食物清洁的空气炸锅
KR20090126867A (ko)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
CN209909289U (zh) 一种安全水龙头
CA2424187A1 (en) Controlling mechanism of beverage infusion container
CN208925932U (zh) 一种利用加热管道快速加热水的装置
CN2171282Y (zh) 全自动安全压力锅
JPS6324366Y2 (ko)
KR20040003510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수꼭지
JPS59174118A (ja) コ−ヒ−等の抽出装置
JPH0422222Y2 (ko)
JP2942722B2 (ja) 給湯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