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534B1 -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534B1
KR101243534B1 KR1020060076041A KR20060076041A KR101243534B1 KR 101243534 B1 KR101243534 B1 KR 101243534B1 KR 1020060076041 A KR1020060076041 A KR 1020060076041A KR 20060076041 A KR20060076041 A KR 20060076041A KR 101243534 B1 KR101243534 B1 KR 10124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user
mo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396A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5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electively disabling softwar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 모드 이외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모드 전환이 입력되면 모드별 배터리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선택된 모드 재생에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차단 후 선택된 모드에 대한 배터리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배터리, 전력제어,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battery in multifunction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시 전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별 전원관리 사용자 지정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시간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키 입력부 102....재생수단
104....DMB 모듈 106....DAB 모듈
108....WLAN 모듈 110....오디오 재생 모듈
112....동영상 재생 모듈 114....동영상 레코딩 모듈
116....디스플레이부 118....저장부
120....배터리부 122....전원관리부
124....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충전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므로 전력의 소모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은 감안하여 사용한다.
휴대 단말기는 한가지 기능이 아닌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최근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하 "DMB"),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이하 "DAB"), 무선랜(Wireless lan ; 이하 "WLAN"), 동영상 재생 및 레코딩(Recording)기능등 여러가지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이에 따른 전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은 이동중이나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력에 대한 관리는 필수적이다.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 잔량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리게 되는데, 일반모드(Normal Mode)에서 측정된 배터리의 잔량과 실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때의 측정잔량은 다르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할 때, 선택된 모드 에 필요한 전력 이외에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전력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모드 실행에 대한 배터리 잔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택한 모드 이외에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원 차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모드별 배터리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드 재생에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전원 차단 후 선택된 모드에 대한 배터리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시간에 따라 시스템에서 전원제어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시간에 따라 시스템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 시간 동 안 배터리용량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 용량이 충분한 경우 최소 필요 전원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 시간 동안 배터리용량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설정한 시간 동안 배터리의 용량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설정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잔량을 재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재 충전시간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 배터리를 충전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만큼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배터리 용량으로 재생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모드 재생에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단할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장치는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상기 모드 변경에 의해 제어 명령을 받는 재생수단; 상기 재생수단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관리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재생수단의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모드를 하여 모드별 배터리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 재생에 불필요한 전원을 전원 차단 후 선택된 모드에 대한 배터리를 측정하고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 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생수단은 DMB모듈, DAB모듈, 광랜(WLAN)모듈, 오디오 재생 모듈, 동영상 재생 모듈, 동영상 레코딩 모듈중 적어도 하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재생수단의 각 모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장치는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키입력부(100), 상기 모드 변경에 의해 제어 명령을 받는 재생수단(102), 상기 재생수단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제어부(122), 상기 전원관리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20), 상기 재생수단의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18), 상기 재생수단(102)에서 재생하는 영상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116),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모드를 하여 모드별 배터리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 재생에 불필요한 전원을 전원 차단 후 선택된 모드에 대한 배터리를 측정하고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재생수단(102)는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처리하는 DMB 모듈(104), 오디오 방송을 수신/처리하는 DAB 모듈(106), 무선 인터넷 수행을 위한 WLAN 모듈(108), 음악파일의 재생을 위한 오디오 재생 모듈(110), 영상 재생을 위한 동영상 재생 모듈(112), 수신된 동영상을 레코딩하는 동영상 레코딩 모듈(114)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모드변경, 전원관리모드로의 진입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전원제어부(122)는 상기 재생수단(102)의 각 모듈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고, 전원관리모드로 진입하면 선택된 모드 이외에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4)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로 진입되면 일반모드에서의 배터리 측정을 선택된 모드에서의 배터리 측정모드로 전환하여 배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4)는 사용자가 재생할 시간을 설정하면 현재의 배터리 잔량의 상태를 파악하고 최소 전원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재생이 가능한지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4)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른 시스템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는 LCD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불필요하게 제어하고 있는 CPU의 동작을 멈추게 하거나 하드 읽기 속도를 최소로하여 배터리의 사용을 최대화 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시 전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 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일반모드에서는 일반모드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소모량을 측정하여 잔량을 측정한다(S200).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S202), 모드별 배터리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판단한다(S204).
단계 204의 판단결과 모드별 배터리 전원 관리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이외의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원을 차단한다(S206).
상기 전원 차단후, 선택모드에 대한 잔량을 측정하여 표시한다(S208).
단계 204의 판단결과 모드별 배터리 전원관리 모드로 전환하지 않으면 전원차단은 하지 않고 선택된 모드에 대한 배터리 잔량 측정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전원을 차단할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별 전원관리 사용자 지정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드별 전원관리 사용자 지정 화면으로 진입하면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DMB방송을 시청하고자 할 때, 배터리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무선랜과 동영상을 녹화하는 구성요소들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선택한다.
또한, 장시간 동안 음악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재생에 관련된 구성요 소에 대한 전원만을 공급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시간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제어에 의해 모드별로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는 상태에서(S300), 사용자로부터 재생할 시간을 입력받는다(S3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DMB방송을 수신하여 드라마를 시청하려고 할 때, 90분을 시청하겠다고 설정하면, 시스템은 모드별 전원제어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재생이 가능한지 판단하게 된다(S304).
이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시스템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는 LCD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불필요하게 제어하고 있는 CPU의 동작을 멈추게 하거나 하드 읽기 속도를 최소로하고 배터리의 사용을 최대화하여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여 판단한다.
단계 304의 판단결과 설정한 시간 동안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부족한 시간만큼에 대한 충전시간을 알리도록 한다(S306).
배터리를 충전할 것인지 판단한다(S308),
단계 308의 판단결과 사용자로부터 배터리 충전명령이 입력되면 부족한 시간만큼의 배터리 충전을 진행한다(S310).
단계 308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배터리 충전을 하지 않는다는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의 배터리 용량으로 재생을 진행한다(S314).
단계 304의 판단결과 설정한 시간 동안 재생이 가능하면 최소 요구 전원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방송을 수신하여 드라마를 재생한다(S312).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이외의 전력을 차단함으로 배터리의 사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선택 모드에서의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고 정확한 배터리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대해 시스템이 제어되어 사용자가 요구한 시간동안 보장된 수행을 진행할 수 있고, 유동적인 배터리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사용자 명령에 따라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모드별 배터리 전원 관리 모드로 진입 하는 단계;
    상기 모드별 전원 관리 모드로 진입하면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받아 상기 목록 중 불필요한 기능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전원 차단 후 배터리를 측정하고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시간에 따라 시스템에서 전원제어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시간에 따라 시스템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 시간 동안 배터리용량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 용량이 충분한 경우 최소 필요 전원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 시간 동안 배터리용량이 충분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설정한 시간 동안 배터리의 용량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설정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잔량을 재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재 충전시간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
    배터리를 충전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만큼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배터리 용량으로 재생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받아 상기 목록 중 불필요한 기능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단할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7.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상기 모드 변경에 의해 제어 명령을 받는 재생수단;
    상기 재생수단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재생수단의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에 따라 모드를 전환하고, 모드별 배터리 전원 관리 모드로 진입 하고, 상기 모드별 전원 관리 모드로 진입하면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받아 상기 목록 중 불필요한 기능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DMB모듈, DAB모듈, 광랜(WLAN)모듈, 오디오 재생 모듈, 동영상 재생 모듈, 동영상 레코딩 모듈중 적어도 하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재생수단의 각 모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장치.
KR1020060076041A 2006-08-11 2006-08-11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4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41A KR101243534B1 (ko) 2006-08-11 2006-08-11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41A KR101243534B1 (ko) 2006-08-11 2006-08-11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396A KR20080014396A (ko) 2008-02-14
KR101243534B1 true KR101243534B1 (ko) 2013-03-20

Family

ID=3934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041A KR101243534B1 (ko) 2006-08-11 2006-08-11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07B1 (ko) * 2008-03-21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파일재생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121A (ko) * 2003-11-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60030666A (ko) * 2004-10-06 200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31194A (ko) *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80491A (ko) * 2005-01-05 2006-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전용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121A (ko) * 2003-11-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60030666A (ko) * 2004-10-06 200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31194A (ko) *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텔레비전 및 라디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80491A (ko) * 2005-01-05 2006-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전용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396A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9002A2 (en) Reproducing apparatus
KR101105772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433672B2 (ja) 電子機器及び給電方法
KR20100050180A (ko)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 제어 방법
US20080065918A1 (en) Power saving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the electronic apparatus
US8120705B2 (en) Television having a connecting terminal for connecting a player device
US8405782B2 (en) Television
JP2008109193A (ja) 撮像装置
KR101243534B1 (ko) 다기능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90086109A1 (en) Television
JP2005333583A (ja) 携帯型端末装置
US8004615B2 (en) Television
KR10146036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장치 및 방법
JP4624199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65913A1 (en) Portable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JP200728003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282447A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制御方法
KR20070068843A (ko)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3348514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JP4225257B2 (ja) バッテリ電源を有したav装置
JP4058418B2 (ja)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4841221B2 (ja) テレビ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394193A (zh) 多功能可携带播放器的电池控制方法及其设备
JP2012124621A (ja) 携帯端末装置
JP3149954U (ja) 映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8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