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242B1 - 밸런싱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밸런싱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242B1
KR101243242B1 KR1020100126128A KR20100126128A KR101243242B1 KR 101243242 B1 KR101243242 B1 KR 101243242B1 KR 1020100126128 A KR1020100126128 A KR 1020100126128A KR 20100126128 A KR20100126128 A KR 20100126128A KR 101243242 B1 KR101243242 B1 KR 101243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ody housing
oil
ball screw
wir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872A (ko
Inventor
김성태
남상규
Original Assignee
남상규
(주)고려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규, (주)고려중기계 filed Critical 남상규
Priority to KR102010012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242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8Driving gear incorporating flui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런싱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볼스크루;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루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되는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와의 사이에 오일이 충전되는 오일충전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 패드와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룸(room)으로 구획하는 제2 패드;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와이어 드럼 사이에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볼스크루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스크루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압축공기만을 단독으로 사용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스틱-슬립 현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의 운송에 따른 속도 및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며, 동일한 외형 사이즈를 갖더라도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따른 높은 출력을 제공할 수 있어 고중량 물품을 운송할 수 있고, 나아가 불필요하게 사이즈를 키우는데 따른 시간적 혹은 비용적인 로스(loss)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밸런싱 호이스트{Balancing hoist}
본 발명은, 밸런싱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만을 단독으로 사용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스틱-슬립 현상을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상대적은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개선된 밸런싱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밸런싱 호이스트는 경량 혹은 고중량의 물품을 들어 올리거나 위치 이동, 즉 운송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서, 통상적으로는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가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본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볼스크루(20)와, 본체 하우징(10)에 마련되는 패드(30)와, 본체 하우징(10)에 마련되고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드럼(40)과, 패드(30)와 와이어 드럼(40) 사이에서 패드(30)와 와이어 드럼(40)에 연결되고 볼스크루(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스크루 너트(50)를 구비한다. 패드(30)와 볼스크루 너트(50)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B)이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호이스트 장치의 ON/OFF 스위치를 조작하여 ON시키면 본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0a)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고, 주입된 압축공기는 그 압력으로 패드(30)를 밀어 올리게 된다. 패드(30)는 볼스크루 너트(50)와 한 몸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패드(30)가 밀림에 따라 볼스크루 너트(50)는 볼스크루(20) 상에서 이동되면서 회전운동되고, 이어 볼스크루 너트(50)와 연결된 와이어 드럼(40)의 회전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와이어 드럼(40)의 외면에 감긴 와이어(W)가 더 감기면서 물품을 승강시키게 된다. 반대로 ON/OFF 스위치를 조작하여 OFF시키면, 본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0a)으로 주입된 압축공기는 대기 배출되면서, 물품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처럼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물품을 승하강시키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는, 물품의 운반을 위해 와이어(W)를 승하강시키는 에너지를 순수 압축공기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공기의 특성상 물품의 승하강 시 그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특히 동작의 시작점 또는 정지점에서 튀는 현상, 소위 스틱-슬립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면, 와이어 드럼(40)을 회전시켜 와이어 드럼(40)에 감긴 와이어(W)를 통해 물품을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도 1의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에 연결된 밸브(미도시)를 열어 본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0a)으로 압축공기를 주입시켜야 하는데, 이때 압축공기는 밸브가 열림과 동시에 빠른 속도로 본체 하우징(10) 내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공기 특성상 압력차에 따른 소위 스틱-슬립 현상을 유발시킨다. 소위 스틱-슬립 현상은 물품을 승강시킬 때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위치 제어가 불안정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유발시킨다.
참고로, 이러한 스틱-슬립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볼스크루(20)의 나사산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볼스크루(20)의 나사산 가공 방식에는 전조가공 방식과 선삭가공 후 연삭하는 방식의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후자인 선삭가공 후 연삭가공은 전조가공품에 비해 제작 단가가 상당히 비싸지만 제조사들의 경우, 스틱-슬립 현상으로 파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선삭가공 후 연삭가공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볼스크루(20)를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둘째, 종래의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에 사용되는 압축공기는 비압축성 유체에 비해 그 속도제어가 정밀하지 못하고, 위치제어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에 사용되는 압축공기로부터의 에너지는 유압에너지에 비해 발생되는 출력이 낮다. 즉 같은 면적에서 공압인 경우와 유압인 경우는 그 힘의 출력이 상당히 다르다. 따라서 종래 기술처럼 압축공기라는 공압을 적용하면서 출력을 높이고자 한다면 공기를 담을 수 있는 실린더의 면적을 키워야 하나, 이 경우에는 제품의 외형도 커지면서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제품단가 상승의 요인을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공기만을 단독으로 사용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스틱-슬립 현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의 운송에 따른 속도 및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며, 동일한 외형 사이즈를 갖더라도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따른 높은 출력을 제공할 수 있어 고중량 물품을 운송할 수 있고, 나아가 불필요하게 사이즈를 키우는데 따른 시간적 혹은 비용적인 로스(loss)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밸런싱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볼스크루;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루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되는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와의 사이에 오일이 충전되는 오일충전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 패드와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룸(room)으로 구획하는 제2 패드;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와이어 드럼 사이에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볼스크루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스크루 너트를 포함하는 밸런싱 호이스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실린더는, 일단부는 상기 제2 패드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패드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실린더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오일충전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드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오일이 담겨 있는 오일탱크; 및 상기 오일탱크와 연결되며,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오일탱크에 담겨 있는 상기 오일을 증압시킨 다음, 상기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주입시키는 공유압 증압기를 포함하는 밸런싱 호이스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유압 증압기와 상기 본체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 오일라인; 상기 공유압 증압기의 반대편 상기 제1 오일라인의 단부에 마련되는 방향제어밸브;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연결되는 제2 오일라인; 및 상기 제2 오일라인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물품의 승하강을 조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공기만을 단독으로 사용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스틱-슬립 현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의 운송에 따른 속도 및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며, 동일한 외형 사이즈를 갖더라도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따른 높은 출력을 제공할 수 있어 고중량 물품을 운송할 수 있고, 나아가 불필요하게 사이즈를 키우는데 따른 시간적 혹은 비용적인 로스(loss)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싱 호이스트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런싱 호이스트의 배관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싱 호이스트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밸런싱 호이스트는, 기존의 압축공기만을 에너지로 사용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오일을 압축시켜 에너지로 사용한 소위, 유압 방식을 부가한 것으로서, 이러한 유체에너지를 사용하여 와이어(W)를 감거나 풀면서, 물품을 승하강시켜 운송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다양한 장점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밸런싱 호이스트는, 본체 하우징(110), 볼스크루(120), 제1 패드(130), 연결 하우징(180), 실린더(160), 제2 패드(170), 와이어 드럼(140), 그리고 볼스크루 너트(150)를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의 밸런싱 호이스트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체 하우징(110)은 대략 원통형 구조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의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체 하우징(110)의 단부에는 단부캡(115)이 마련된다.
볼스크루(120)는 본체 하우징(110) 내에서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볼스크루(120)는 볼스크루 너트(150)를 지지하면서 볼스크루 너트(150)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체 하우징(110)의 대략 중앙 영역에 본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스크루(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드(130)는 도넛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 하우징(180) 내에서 볼스크루(120)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된다. 연결 하우징(180)은 본체 하우징(110)에 연결 배치되며 공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실린더 플랜지부(161)와, 유압에 의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는 제1 패드(130), 그리고 실린더 플랜지부(161)와 제1 패드(130)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충전공간(180a)을 수용하여 공압에 의하여 유발된 실린더(160)의 운동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제1 패드(130)에 전달한다.
제1 패드(130)의 외면에는 오일충전공간(180a)의 오일 누출 방지를 위해 오링 등의 실링재(130a)를 개재되어 연결 하우징(18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1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패드(130)와의 사이에 오일이 충전되는 오일충전공간(180a)을 형성하며, 그 일단부는 제2 패드(17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연결 하우징(180)의 내부에서 제1 패드(13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플랜지부(16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실린더 플랜지부(161)와 제1 패드(130)는 연결 하우징(180) 내에서 오일충전공간(180a)을 형성하게 된다.
제2 패드(170)는 실린더(160)와 연결되며,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2개의 제1 및 제2 룸(R1,R2, room)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 드럼(140)은 본체 하우징(110)에 마련되고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는 장소를 이룬다. 주름형 구조로 형성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볼스크루 너트(150)는 제1 패드(130)와 와이어 드럼(140) 사이에서 제1 패드(130)와 와이어 드럼(140)에 연결되고 볼스크루(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제1 패드(130)가 이동될 때 볼스크루 너트(150) 역시 동방향으로 이동되는데, 볼스크루 너트(150)는 볼스크루(120)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패드(130)의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밸런싱 호이스트의 작용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ON/OFF 스위치를 ON시키면 도 3처럼 압축공기가 제2 패드(170)에 의해 구획된 제1 룸(R1)에 주입되어 제2 패드(170)가 도 3의 도면과 같이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패드(170)에는 실린더(16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160) 역시 도 3의 도면과 같이 우측으로 이동된다. 실린더(160)가 이동됨에 따라 오일충전공간(180a) 내에 충전되어 있던 오일은 압축되면서 유체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발생되는 유체에너지는 도 3의 도면과 같이 우측으로 제1 패드(130)를 가압하여 제1 패드(130)의 슬라이딩을 유발한다. 제1 패드(130)는 볼스크루 너트(150)와 베어링(B) 결합을 통해 한 몸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1 패드(130)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볼스크루 너트(150)는 볼스크루(120) 상에서 이동되면서 회전운동되고, 이어 볼스크루 너트(150)와 연결된 와이어 드럼(140)의 회전운동을 유도한다. 따라서 와이어(W)가 감기면서 와이어(W)에 매달린 물품이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ON/OFF 스위치를 OFF시키면, 제1 룸(R1)에 유입된 압축공기가 대기로 빠져 나가면서 제2 패드(170)의 위치가 복귀되면서 실린더(160)와 제1 패드(130)의 위치도 초기 위치로 후진 이동하게 됨으로써 볼스크루 너트(150)의 회전 운동으로 와이어 드럼(140)으로부터 와이어(W)가 풀리면서 물품이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와이어 드럼(140)의 외면에 감긴 와이어(W)가 더 감기거나 풀리게 되면서 물품을 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의 밸런싱 호이스트의 경우,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유체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압축공기만을 단독으로 사용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스틱-슬립 현상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의 운송에 따른 속도 및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룸(R1)에 주입된 공압이 제2 패드(17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실린더(160)의 실린더 플랜지부(161)로 집중되어 오일충전공간(180a)의 오일을 가압함으로써 출력이 높아진 유압으로 변환됨으로써 동일한 외형 사이즈를 갖더라도 와이어 드럼(140)을 회전시키는데 따른 높은 출력을 제공할 수 있어 고중량 물품을 운송할 수 있고, 나아가 불필요하게 사이즈를 키우는데 따른 시간적 혹은 비용적인 로스(loss)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런싱 호이스트의 배관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밸런싱 호이스트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순수 오일의 압력만으로 동작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밸런싱 호이스트는,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드럼(240)이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 하우징(210)과, 오일탱크(260), 그리고 공유압 증압기(270)를 구비한다.
오일탱크(260)는 본체 하우징(2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그 내부에는 오일이 충전된다.
공유압 증압기(270)는 오일탱크(260)와 연결된다. 이러한 공유압 증압기(270)는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오일탱크(260)에 담겨 있는 오일을 증압시킨 다음, 와이어 드럼(240)을 회전시키기 위해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으로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제, 도 5에는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 않는데, 이의 구조는 도 1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본다. 즉 도 1에서 설명한 것처럼, 증압된 오일의 압력으로 와이어 드럼(140)의 회전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와이어 드럼(140)의 외면에 감긴 와이어(W)가 더 감기거나 풀리게 되면서 물품을 운송시키게 된다.
세부 구조를 더 살펴보면, 공유압 증압기(270)와 본체 하우징(210)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제1 오일라인(281)이 마련된다. 공유압 증압기(270)의 반대편 제1 오일라인(281)의 단부에는 방향제어밸브(282)가 마련되며, 방향제어밸브(282) 쪽에 제2 오일라인(283)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오일라인(283)의 단부에는 후크(284)에 걸려 지지되는 물품의 승하강을 조작하는 스위치(285)가 마련된다. 스위치(285)에는 2개의 버튼(285a,285b)이 마련되는데, 하나는 물품의 승강을, 다른 하나는 물품의 하강 운동 조작용일 수 있다.
스위치(285)의 주변에는 와이어(W)의 승하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28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공유압 증압기(270)를 통해 나오는 오일을 제1 오일라인(281)을 통해 직접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로 주입함에 따라, 다시 말해 오일이 직접 유입되어 순수 오일의 압력만으로 동작시키는 방식으로서 물품의 승하강과 관련된 도 1과 동일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보통, 공기 배관의 경우, 말단 부분에서 발생되는 공기 압력은 시작 부분에서 발생되는 공기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배관의 말단 부분에 연결된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는 그 힘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도 5의 경우에는 이러한 불안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도 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오일이 직접 유입되어 순수 오일의 압력만으로 동작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압축공기만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도 1의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보다 압축면적이 작더라도 충분히 원하는 힘을 출력할 수 있다. 즉 공기압을 이용한 경우보다 작은 면적으로 밸런싱 호이스트를 제작할 수 있어 제품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작동유체가 공기가 아닌 오일이라는 점에서 운동 및 위치 제어의 정밀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산업현장의 공기 배관부에 설치되어 공기압력이 작아 밸런싱 호이스트가 제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물론 운동 방식은 도 1에서 설명한 에어 밸런싱 호이스트와 같은 유형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방폭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이 가능하고, 산업현장의 공기배관 말단부를 통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공기압이 적어 밸런싱 호이스트가 자기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본체 하우징 120 : 볼스크루
130 : 제1 패드 132 : 패드 플랜지부 140 : 와이어 드럼 150 : 볼스크루 너트 160 : 실린더 170 : 제2 패드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볼스크루;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스크루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되는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와의 사이에 오일이 충전되는 오일충전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1 패드와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룸(room)으로 구획하는 제2 패드;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드럼; 및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와이어 드럼 사이에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볼스크루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스크루 너트를 포함하는 밸런싱 호이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일단부는 상기 제2 패드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패드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플랜지부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호이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실린더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오일충전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호이스트.
  4. 물품을 들어올리는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드럼이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오일이 담겨 있는 오일탱크; 및
    상기 오일탱크와 연결되며,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오일탱크에 담겨 있는 상기 오일을 증압시킨 다음, 상기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주입시키는 공유압 증압기를 포함하는 밸런싱 호이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압 증압기와 상기 본체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 오일라인;
    상기 공유압 증압기의 반대편 상기 제1 오일라인의 단부에 마련되는 방향제어밸브;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연결되는 제2 오일라인; 및
    상기 제2 오일라인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물품의 승하강을 조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마련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밸런싱 호이스트.
KR1020100126128A 2010-12-10 2010-12-10 밸런싱 호이스트 KR10124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28A KR101243242B1 (ko) 2010-12-10 2010-12-10 밸런싱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28A KR101243242B1 (ko) 2010-12-10 2010-12-10 밸런싱 호이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72A KR20120064872A (ko) 2012-06-20
KR101243242B1 true KR101243242B1 (ko) 2013-03-13

Family

ID=4668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128A KR101243242B1 (ko) 2010-12-10 2010-12-10 밸런싱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2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510B2 (ja) 1996-05-21 1998-07-02 住友イートン機器株式会社 吊り荷の昇降・宙吊り用油圧装置
JP2771511B2 (ja) 1996-05-21 1998-07-02 住友イートン機器株式会社 吊り荷の昇降・宙吊り用油圧装置
KR19990000792A (ko) * 1997-06-10 1999-01-15 윤호섭 에어바란스를 이용한 호이스트
KR100600998B1 (ko) 2004-09-14 2006-07-19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510B2 (ja) 1996-05-21 1998-07-02 住友イートン機器株式会社 吊り荷の昇降・宙吊り用油圧装置
JP2771511B2 (ja) 1996-05-21 1998-07-02 住友イートン機器株式会社 吊り荷の昇降・宙吊り用油圧装置
KR19990000792A (ko) * 1997-06-10 1999-01-15 윤호섭 에어바란스를 이용한 호이스트
KR100600998B1 (ko) 2004-09-14 2006-07-19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72A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88965B (zh) 一种直线伸缩装置
KR101243242B1 (ko) 밸런싱 호이스트
CN204198332U (zh) 水下千斤顶的同步双作用自锁结构
CN204140706U (zh) 起重机用小型制动器
KR200484339Y1 (ko) 쉬브 베어링 인출장치
WO2021017583A1 (zh) 一种自动调节式工业机器人
CN204794590U (zh) 一种吊装工具
RU2333884C1 (ru) Домкрат
JP2012060725A (ja) Z軸専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ー
CN206268168U (zh) 一种不易泄露的油缸
US2641336A (en) Industrial truck
CN207046725U (zh) 一种随车起重机起吊装置
JP5313618B2 (ja) 物品吊持用バランサ
US2430100A (en) Ram assemblage
CN104261288A (zh) 一种双向多绳索多功能卷扬机
KR101099783B1 (ko) 유압실린더 클램핑 장치
CN205954354U (zh) 一种用于晾衣架的升降装置
CN211116864U (zh) 一种压力试验机伺服油源
KR102072766B1 (ko) 스크류 잭
CN207294011U (zh) 一种便于制动的斜井提升绞车
CN101475123A (zh) 集装箱吊具
CN207827702U (zh) 一种低净空电动葫芦
CN104909281A (zh) 一种钢管吊运起重车
IT201900012423A1 (it) Dispositivo attuatore in taglia per apparati di sollevamento ed apparato di sollevamento comprendente il dispositivo
CN104555805B (zh) 垂直升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