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779B1 -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779B1
KR101242779B1 KR1020100089043A KR20100089043A KR101242779B1 KR 101242779 B1 KR101242779 B1 KR 101242779B1 KR 1020100089043 A KR1020100089043 A KR 1020100089043A KR 20100089043 A KR20100089043 A KR 20100089043A KR 101242779 B1 KR101242779 B1 KR 10124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rod
protruding tip
delamination
surface f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869A (ko
Inventor
양요셉
정병인
석병설
이충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8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7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7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는 압연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다이스(dies) 본체와, 다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압연장치에서 인출되는 신선재를 물림 고정하는 복수의 지그와, 지그의 단부에 설치되어 신선재와 접촉되는 접촉패드(pad)와, 접촉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어 신선재에 표면흠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SURFACE DEFEAT FORMING APPARATUS FOR STEEL WIRE AND DELAMINATION TEST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재는 스틸 코드(steel code), 브릿지 케이블(bridge cable), 넵튠 와이어(neptune wire), 쏘우 와이어(saw wire) 등과 같이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0.7 내지 1.0 탄소 중량 %인 탄소강을 재질로 하여 건식 또는 습식 방법을 통해 가공된다. 이러한 신선재는 고강도, 고연성 및 우수한 내 피로성 등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신선재는 압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신선재의 압연은 압연 소재의 소성(塑性)을 이용하는 압연 방법의 하나로, 빌렛(billet)을 포함하는 압연소재를 회전하는 한 쌍의 압연롤 사이로 통과시켜 압연소재의 폭과 두께를 반복적으로 감소시켜 필요한 형태 및 크기의 단면을 가진 선재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신선재는 가혹한 조건에서 신선될 수 있으며, 최종 신선된 후 스트랜딩(stranding)을 통해 규칙적인 구조로 꼬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고강도뿐만 아니라 고연성의 특성이 특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신선재는 가속한 조건에서 신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신선재의 염회치 감소나 2~3회 회전 미만에서 신선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파단이 발생하는 현상인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이 발생한다.
딜라미네이션은 신선재가 사용 가능한지에 대한 판단 인자로서, 신선재의 강도 증가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판단 인자이다.
딜라미네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소재내 불균일한 미세조직, 세멘타이트 분해, 잔류응력, 조직내 공공 등의 결함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인자들은 선재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신선 가공시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초기 비틀림시 이러한 인자들이 발생한 위치로부터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딜라미네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주요 인자로는 표면흠이 있다. 표면흠은 신선속도가 높을 때, 윤활제가 적당하지 못할 때, 거친 다이스를 거칠 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선재의 표면흠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직 제어를 위한 열처리 설비를 개선하거나, 발열 억제를 위한 패스당 신선량 감소와, 전체 신선 감면율 감소 등을 통한 표면흠 억제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제조 조건의 제한에 따라 신선재의 생산량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선재를 지지하는 다이스의 마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표면흠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이스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표면흠의 깊이에 따른 딜라미네이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며,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표면에 딜라미네이션을 일으키는 최소 표면흠을 측정하기 위해 신선재의 표면에 표면흠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선재의 표면에 인위적으로 원하는 깊이의 표면흠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는 압연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다이스(dies) 본체; 다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압연장치에서 인출되는 신선재를 물림 고정하는 복수의 지그; 지그의 단부에 설치되어 신선재와 접촉되는 접촉패드; 접촉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어 신선재에 표면흠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팁을 포함하고, 돌출팁은 신선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좁은 삼각기둥형으로 형성되며, 돌출팁은 신선재의 이동선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접촉패드에 설치되고, 접촉패드는 돌출팁의 양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되어 돌출팁의 측면을 지지하며 돌출팁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가동부재와, 접촉패드에 돌출팁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돌출팁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와, 한 쌍의 가동부재를 돌출팁에 가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돌출팁이 형성된 접촉패드는 돌출팁의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지그에 교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팁은 접촉패드로부터 돌출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은 전술된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신선재의 표면에 표면흠을 형성하는 단계; 표면흠이 형성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표면흠의 깊이를 조절하여 신선재의 표면에 표면흠을 형성하는 단계와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일련의 단계를 반복하여 표면흠의 깊이에 따른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여부를 데이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불어,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신선재를 가혹 조건으로 시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혹 조건은 인장 시험 또는 비틀림 시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선재의 표면흠과 딜라미네이션의 상관관계를 시험하기 위해 신선재의 표면에 표면흠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표면흠의 깊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시험을 위해 표면흠을 다양한 깊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시험이 가능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면, 실제 제조되는 신선재에 형성된 표면흠의 깊이를 측정하여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며,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이 예측 될 경우, 신선재의 제조를 중단하여 불량 제품이 생산 또는 유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흠의 깊이에 따라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표면흠의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불필요한 다이스의 교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요되는 제반 비용의 감소 및 생산수율의 향상을 통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의 돌출팁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에 의해 표면흠이 형성된 신선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의 돌출팁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의 돌출팁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에 의해 표면흠이 형성된 신선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신선재(100)의 표면흠 형성장치(10)는 압연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신선재(100)의 표면에 임의로 표면흠(102)을 형성시키고, 이 표면흠(102)에 따른 신선재(100)의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을 시험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선재(100)의 표면흠 형성장치(10)는 압연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다이스(dies)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스 본체(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지그(22)들이 신선재(100)의 이동선상을 향해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으로, 이러한 지그(22)들을 동시에 이동하여 신선재(100)를 물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이스 본체(20)에는 각각의 지그(22)들의 단부에 신선재(100)와 접촉되며 신선재(100)를 고정시키는 접촉패드(24)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패드(24)는 인출되는 신선재(100)와 접촉되는 각인 다이스 어프로치 각도(α)가 각각 약 4도 정도로 유지되도록 압연장치의 출구측을 향해 벌어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신선재(100)는 압연장치로부터 인출후, 접촉패드(24)의 경사면을 따라 접촉패드(24)의 내측으로 안내되며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선재(100)는 표면 조도가 약 1/10000mm인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건식 신선 조건에서 약 1m/min의 신선속도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신선재(100)는 직경(d)에 대한 패스당 감면율이 약 14.6%와 약 5.4%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조건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선재(100)는 직경(d)에 대한 패스당 감면율의 합이 약 20% 가 될 수 있으나, 감면율을 한번에 약 20% 이상으로 제조하면 신선재(100)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변형에너지를 축적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내외부의 변형분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경향을 증가시켜 최종제품의 기계적 물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신선재(100)의 제조시 직경(d)에 대한 패스당 감면율을 약 14.6%와 약 5.4%로 반복하는 것이 기계적 물성을 더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신선재(100)의 제조시 직경(d)에 대한 패스당 감면율은 한정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신선재(100)의 기계적 물성에 따라 직경(d)에 대한 패스당 감면율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신선재(100)의 직경(d)에 대한 패스당 감면율을 조정하면, 신선재(100)의 인장 강도 및 미세 조직에 발생할 수 있는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접촉패드(24)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돌출팁(26)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팁(26)은 접촉패드(24)의 표면으로부터 신선재(100)의 이동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팁(26)은 신선재(100)의 인출시 돌출된 길이에 대응하여 신선재(100)의 표면에 표면흠(10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돌출팁(26)은 신선재(100)에 접촉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좁고,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의 삼각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표면흠(102)은 삼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100)의 표면흠 형성장치(10)는 표면흠(102)의 깊이(t)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신선재(100)의 직경(d)에 대한 표면흠(102)의 깊이(t)에 따른 딜라미네이션의 상관관계의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팁(26)은 접촉패드(24)로부터 작게 돌출되면 신선재(100)의 표면에 작은 깊이의 표면흠(102)을 형성시키고, 돌출팁(26)이 돌출된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더 깊은 깊이로 표면흠(10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접촉패드(24)는 다양한 길이의 돌출팁(26)을 갖도록 미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패드(24)는 각각 지그(22)에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100)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은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10)를 이용하여 신선재(100)의 표면에 표면흠(102)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10)를 신선재 압연장치의 출구측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되는 신선재(100)의 이동선상에 다이스 본체(20)를 설치하고, 다이스 본체(20)의 지그(22)들이 신선재를 물림고정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신선재(100)들은 지그(22)들의 단부에 설치된 접촉패드(24)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접촉패드(24)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팁(26)에 의해 신선재(100)의 표면에 표면흠(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선재(100)의 표면에 표면흠(102)이 형성되면, 신선재(100)의 딜라미네이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딜라미네이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신선재(100)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흠(102)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측정함으로서 딜라미네이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딜라미네이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딜라미네이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신선재(100)를 가혹 조건으로 더 시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신선재(100)를 시험하는 가속 조건은 신선재(100)를 인장 시험 또는 비틀림 시험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선재(100)에 표면흠(102)이 형성된 상태로 제조된 신선재(100)는 인장 시험과 비틀림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신선재(100)의 직경(d) 및 이 신선재(100)에 형성된 표면흠(102)의 깊이(t)에 따른 인장강도의 차이 또는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신선재(100)의 표면흠(102)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표면흠(102)의 깊이를 조절한 후 전술된 신선재(100)의 표면에 표면흠(102)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표면흠(102)에 의한 신선재(100)의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일련의 단계를 반복하여 표면흠(102)의 깊이에 따른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여부를 데이터화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본 실시예의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10)는 돌출팁(26)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흠(102)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선재(100)의 직경을 변화시키거나, 돌출팁(26)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표면흠(102)의 깊이(t)를 조절한 후, 신선재(100)의 직경 및 이 신선재(100)에 형성된 표면흠(102)의 깊이(t)에 따른 인장강도의 차이 또는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여부를 조사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신선재(100)의 직경 및 표면흠(102)의 깊이(t)에 따른 딜라미네이션의 상관관계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화된 표면흠(102)의 깊이(t)에 따른 딜라미네이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면, 신선재(100)의 제조시 표면에 형성된 표면흠(102)의 깊이를 측정하여, 딜라미네이션의 발생할 것인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신선재(100)에 형성된 표면흠(102)의 깊이를 측정하여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이 예측되면, 신선재(100)의 제조를 중단하여 불량 제품의 생산 또는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신선재(100)의 제조시 압연장치의 다이스에 의해 표면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표면흠의 깊이를 측정하여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표면흠의 품질관리가 가능하다. 즉, 신선재(100)에 표면흠이 형성되더라도 이 표면흠에 의해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고, 정상적인 인장 강도를 유지할 경우, 이러한 신선재(100)는 양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압연장치의 다이스 표면조도에 의해 형성된 표면흠이 신선재(100)에 딜라미네이션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품질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품질관리를 통해 신선재(100)에 딜라미네이션을 일으키는 표면흠이 발생되기 전에 미리 다이스가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 방법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면, 다이스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다이스의 교체로 인한 생산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제조단가의 인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선재의 품질관리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100)의 표면흠 형성장치(10)를 이용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직경(d)이 13mm인 신선재(100)를 압연하여 제조한다. 일례로, 신선재(100)는 탄소 함량이 0.9~1.0중량%인 고탄소강 선재를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신선재(100)의 총감면율은 88.7%이며, 각 패스당 감면율은 14.5%와 5.5%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최종 4.37mm의 직경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신선재(100)는 본 실시예인 신선재(100)의 표면흠 형성장치(10)를 통과시켜 신선재(100)의 표면에 표면흠(10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신선재(100)를 인장 시험 및 비틀림 시험을 실시하여 인장강도 및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여부를 조사한다.
표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100)의 직경 및 표면흠(102) 깊이(t)에 따른 상관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12010059067024-pat00001
표1을 참고하면, 동일한 건식 신선 조건을 거진 비교재와 발명재의 인장강도는 (+, -)10~20MPa 정도의 차이로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선재(100)의 제조시 표면흠(102)에 의한 국부적인 발열에 의한 영향은 없으며, 신선재(100)의 제조에도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틀림 실험시 발생한 딜라미네이션에는 비교재와 발명재가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재의 경우 직경을 4.37mm까지 건식 신선할 때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하지 않은 반면, 돌출팁을 갖는 다이스를 통과해 신선된 소재는 경우에 따라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표면흠(102)의 깊이(t)가 0.05mm인 신선재(100)는 비교재와 동일하게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하지 않으며, 표면흠(102) 깊이(t)가 0.1mm인 신선재(100)는 5.5mm(총감면율 82%)까지는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하지 않고, 그 이하 직경에서는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0.05mm 깊이의 표면흠(102)은 딜라미네이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0.1mm 깊이의 표면흠(102)은 신선재(100)의 표면에 응력을 집중시켜 비틀림 실험시 초기에 신선재(100)를 파괴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딜라미네이션은 신선재(100) 직경의 크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딜라미네이션을 일으키는 인자를 신선재(100)의 직경 및 표면흠(102)의 깊이(t)로 선정하면, 직경(d)/표면흠 깊이(t)에 대한 백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선재(100)의 각 직경에 따라 표면에 형성된 표면흠(102)이 0.05mm일 경우, 직경(d)/표면흠 깊이(t)에 대한 백분율은 최대 1.14로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신선재(100)의 각 직경에 따라 표면에 형성된 표면흠(102)이 0.1mm일 경우, 직경(d)/표면흠 깊이(t)에 대한 백분율이 최소1.90을 넘게 되면, 딜라미네이션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선재(100)의 직경(d)/표면흠 깊이(t)에 대한 백분율이 1.90를 넘게 되면 딜라미네이션이 발생 여부를 예측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의 시험방법을 통해 얻을 데이터를 통해 압연장치의 다이스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돌출팁(26)의 길이는 접촉패드(24)를 교체 설치함에 따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돌출팁(26)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의 돌출팁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지그(122)에는 접촉패드(124)가 결합되고, 이 접촉패드(124)에는 돌출팁(126)이 신선재(100)의 이동선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돌출팁(126)은 접촉패드(124)에 설치되며, 신선재(100)의 이동선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촉패드(124)에는 돌출팁(126)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123)는 돌출팁(126)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접촉패드(124)에 설치되어 있으며, 접촉패드(124)에 설치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돌출팁(126)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길이조절부재(123)는 접촉패드(124)에 삽입되어 돌출팁(126)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조절부재(123)는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일 수 있으며, 접촉패드(124)에는 이러한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나선홀(124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길이조절부재(123)가 회전함에 따라 나선홀(124a)을 따라 이동하며 삽입된 길이가 조절되며, 이러한 체결부재의 길이조절에 따라 돌출팁(126)의 돌출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돌출팁(126)은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패드(124)에 설치된 한 쌍의 가동부재(125)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며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가동부재(125)는 돌출팁(126)과 접촉하는 각각의 단부가 돌출팁(126)의 양측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돌출팁(126)의 돌출된 길이에 따라 양측으로 벌어진 길이가 조절되며 돌출팁(126)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접촉패드(124)에는 한 쌍의 가동부재(125)를 돌출팁(126)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12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127)는 돌출팁(126)의 양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돌출팁(126)을 접촉패드(124)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수단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127)의 일례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촉패드(124)에는 가동부재(125)의 이탈을 방지하며, 가동부재(125)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125)에는 이 레일(128)에 결합되는 (도시되지 않은)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부재(125)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가동부재(125)에 레일을 형성하고, 접촉패드(124)에 레일홈을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가동부재(125)와 접촉패드(124)를 결합하는 구조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표면흠 형성장치 20 : 다이스 본체
22 : 지그 24 : 접촉패드
26 : 돌출팁 100 : 신선재
102 : 표면흠

Claims (8)

  1. 압연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다이스(dies) 본체;
    상기 다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압연장치에서 인출되는 신선재를 물림 고정하는 복수의 지그;
    상기 지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선재와 접촉되는 접촉패드; 및
    상기 접촉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신선재에 표면흠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팁;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팁은 상기 신선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좁은 삼각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팁은 상기 신선재의 이동선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패드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돌출팁의 양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이 구비되어 상기 돌출팁의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돌출팁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가동부재와, 상기 접촉패드에 상기 돌출팁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돌출팁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한 쌍의 가동부재를 상기 돌출팁에 가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팁이 형성된 접촉패드는 상기 돌출팁의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지그에 교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팁은 상기 접촉패드로부터 돌출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신선재의 표면에 표면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흠이 형성된 상기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면흠의 깊이를 조절하여 상기 신선재의 표면에 표면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일련의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표면흠의 깊이에 따른 딜라미네이션의 발생여부를 데이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선재를 가혹 조건으로 시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혹 조건은 인장 시험 또는 비틀림 시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KR1020100089043A 2010-09-10 2010-09-10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KR101242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43A KR101242779B1 (ko) 2010-09-10 2010-09-10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43A KR101242779B1 (ko) 2010-09-10 2010-09-10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69A KR20120026869A (ko) 2012-03-20
KR101242779B1 true KR101242779B1 (ko) 2013-03-12

Family

ID=4613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043A KR101242779B1 (ko) 2010-09-10 2010-09-10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389B1 (ko) * 2012-03-13 2013-11-08 주식회사 포스코 딜라미네이션 예측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609U (ko) * 1980-05-13 1981-12-08
JP2002018511A (ja) * 2000-07-04 2002-01-22 Suzutoyo Seiko Kk 引抜き加工装置
JP2005177806A (ja) * 2003-12-19 2005-07-07 Allied Material Corp 超極細線用ダイヤモンドダイ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609U (ko) * 1980-05-13 1981-12-08
JP2002018511A (ja) * 2000-07-04 2002-01-22 Suzutoyo Seiko Kk 引抜き加工装置
JP2005177806A (ja) * 2003-12-19 2005-07-07 Allied Material Corp 超極細線用ダイヤモンドダ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69A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122B2 (en) Process for straightening a tube
AU6553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 drawing
US7975463B2 (en) Metal cord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etal cord
JP5879897B2 (ja) 耐デラミネーション特性に優れた極細鋼線とその製造方法
JP2012187594A (ja) 伸線ダイス
KR101242779B1 (ko) 신선재의 표면흠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시험방법
JP3844267B2 (ja) 鋼線の製造方法
KR102619569B1 (ko) 고무 보강용 강철 코드
KR101526793B1 (ko) 비원형 관통구멍이 형성된 다이스를 이용한 강선의 제조방법
Browning et al. An analysis of splitting failures during the drawing of tungsten wire
KR20050035546A (ko)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Suliga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nalyses of the influence of single draft on properties of rope wires
KR101365730B1 (ko) 강선의 기계적 특성 향상을 위한 신선 가공 방법
JP2010275626A (ja) 耐断線性に優れた高強度極細鋼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5564845B2 (ja) 疲労強度に優れたダル表面金属ストリップの調質圧延方法およびダル表面金属ストリップ
Suliga The influence of the high speed multipass drawing process on the fatigue strength of high carbon steel wires
KR101482422B1 (ko) 신선재의 딜라미네이션 예측 방법, 강도와 비틀림 특성이 우수한 신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3037844B2 (ja)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59114B1 (ko) 고탄소 강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1884991B2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straightness of a thin wire
KR101215778B1 (ko) 초고강도 스틸코드용 강선의 제조방법
Peterka et al. The causes of the damage to the bearing rope–failure analysis
KR20090073296A (ko) 초고강도 스틸코드용 강선의 제조방법
ÇELİK et al. Investigating Effect of Bearing Length on Tensile Strength of 1045 Steel in Wire Drawing Operation
Domazet et al. Failure analysis of the rolls with gro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