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542B1 -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 - Google Patents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542B1
KR101242542B1 KR1020077030856A KR20077030856A KR101242542B1 KR 101242542 B1 KR101242542 B1 KR 101242542B1 KR 1020077030856 A KR1020077030856 A KR 1020077030856A KR 20077030856 A KR20077030856 A KR 20077030856A KR 101242542 B1 KR101242542 B1 KR 10124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needle
knitting needle
portion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721A (ko
Inventor
에토레 로나티
파우스토 로나티
티베리오 로나티
Original Assignee
산토니 에쎄.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니 에쎄.뻬.아. filed Critical 산토니 에쎄.뻬.아.
Publication of KR2008007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with reciprocatory action, e.g. for knitting of flat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 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에 대한 것이다. 상기 편침은, 몸체(2);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말단 또는 상단에 배치된 헤드(3); 및 상기 몸체(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피봇 축(5)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3) 근처의 상기 몸체(2)에 피봇되고 상기 헤드(3)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피봇 축(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랫치(4)를 포함한다. 상기 편침(1)은, 몸체(2)와 연결되고 몸체(2)의 양면에서, 상기 몸체(2)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2)의 양쪽 면 상에서, 상기 랫치(4)의 아래에, 상기 몸체(2)의 각 면당 하나씩 2개의 수납부(8a, 8b)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박편부(6a, 6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에 의해 운반되고 상기 수납부(8a, 8b)에 배열되는 편환(40)을 상기 편침(1)로부터 그에 인접한 편침(1a)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인접한 편침(1a)의 헤드(3)를 삽입할 수 있다.
편직기, 편침, 편환, 스팃치, 박편부, 수납부

Description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 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 {NEEDLE FOR TRANSFERRING STITCHES THEREFROM TO ADJACENT NEEDLES FOR HOSIERY KNITTING MACHINES OR THE LIKE}
본 발명은 편침 그 자신으로부터 인접한 편침에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hosiery) 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에 관한 것이다.
편직기 또는 메리야스류 제조 장치의 분야에서, 하나의 편침(needle)으로부터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stitch)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편침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편침의 일 예가 국제공보 WO2002/070799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편침은, 그 몸체(shank)를 따라 윤곽을 이루는 탭(contured tab)을 가지며, 상기 탭은 몸체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편침의 한 면에 해당 편침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배열된 다른 편침의 헤드에 의해 교차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편침이 편직기 또는 메리야스류 제조 장치에 장착될 경우, 상기 수납부는 인접한 편침과 일렬로 된다. 해당 편침 또는 전달 편침은, 제품을 편직하는 일정 단계에서, 그 몸체에 배열된 스팃치 또는 편환(loop of knitting)이 상기 수납부에 배열되도록 움직인다. 이어서, 인접하는 편침 혹은 수용 편침은 상기 수납부를 통 해 지나가도록 구동되어, 그 헤드로 상기 편환을 완전히 교차시킨다. 이어서, 상기 전달 편침과 상기 수용 편침이 구동되어 상기 전달 편침이 상기 수용 편침의 헤드에 속한 채 남아있는 상기 편환을 해방시킨다.
완성도를 위해 참조한 국제공개 WO2002/070799에 개시되어 있는, 이러한 종류의 편침 및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편침으로부터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켜, 특정 패턴, 특히 오픈-워크(open-work)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편침은, 하나의 측면에 수납부를 가지므로, 직기에서, 상기 전달 편침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편침 중 단지 하나로, 다시말해, 상기 전달 편침의 수납부와 일렬로 된 편침으로만 스팃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스팃치를 단지 하나의 방향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은 결점으로 인식된다.
평 저지 편직(plain jersey knitting)의 경우 하나의 방향으로만 스팃치를 이동함에 의해, 편직이 사실상 이동된 스팃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특정 꼬임을 가지는 실을 사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상쇄될 수는 있으나, 이를 얻기가 어렵다.
더욱이, 상기 편침의 한쪽에서만 스팃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은 제조가능한 패턴에 대한 제한 요소가 된다.
대신, 편직 요건에 따라, 편직기 및 메리야스류 제조 장치에서 하나의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스티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다른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투-베드 직선운동 편직기(two-bed rectilinear knitting machines)에서, 하나의 편침으로부터 인접한 편침으로의 스팃치의 이동은 한 베드의 편침으로부터 다른 베드의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고, 캐리지(carriage)를 그 스트로크의 끝으로 이동시킨 다음에, 하나의 베드를 다른 베드에 대하여 이동하고, 다시 이전에 그로부터 스팃치를 이동시켰던 베드의 편침으로 스팃치를 다시 이동시킨 다음에, 상기 캐리지를 그 스트로크의 끝으로 되돌림으로써, 옮겨졌던 베드를 작업 위치에 되돌리고, 마지막으로 편직을 재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오히려 번거롭고, 베드의 운동을 수행하는 데에 고도의 기계적 정밀성을 수반하며 시간을 필요로 하여, 그 실행을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기계의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투-베드 환형 편직기(two-bed circular knitting machines)에서, 이동되는 스팃치는 한 베드의 편침으로부터 다른 베드의 편침으로 건너간 다음, 한 베드가 다른 베드로 적절하게 치환된 후에, 이전에 그로부터 스팃치를 이동시켰던 베드의 편침으로 다시 이동되기 때문에, 편직 과정이 직선 운동 편직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이 경우에, 한 베드를 다른 베드로 치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편직기의 피드의 작동을 중단할 필요가 있고, 상기 피드는 편직을 재개하기 위해서 반드시 재가동되어야 한다. 이 기술은 직선운동 편직기에서의 스팃치 이동 방법을 참조하여 앞에 설명한 문제점과 사실상 동일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메리야스류 환편기(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s)에서, 스팃치 이동은 상기 편침의 각각의 면에 대하여 하나씩, 측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편침으로부터 스팃치를 제거하고 이를 인접한 편침에 이동시킬 수 있는 두 개의 펀치에 의하 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메리야스류 환편기에서, 스팃치 이동은, 마치 다른 베드의 편침인 것처럼 편직기의 편침 실린더 위에 놓여 있는 다이알의 후크를 이용하여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경우 모두에서, 상기 편침과 무관한 요소의 사용은 구현 가능한 게이지(gauge)를 제한한다. 현재, 하나의 편침으로부터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환형 메리야스 편직기에서 구현 가능한 게이지는 18 n.p.i(needles per inch)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표는 편침 그 자신로부터 두 개의 인접한 편침 중 하나에, 즉, 둘 중 어느 방향으로든, 스팃치를 전달하는 편침과 스팃치를 수용하는 편침 이외에 다른 요소의 개입을 요하지 않고, 스팃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편침을 제공함에 의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스팃치를 인접한 두 개의 편침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18 n.p.i. 보다 큰) 미세-게이지 편직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감소된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편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알려진 패턴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새로운 패턴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싱글-베드 또는 투-베드 두 가지 형태 모두의, 환편기 및 직선운동 편직기 모두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편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보다 분명하게 되는 본 발명의 목표와 다른 목적은, 편침 그 자신으로부터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는 메리야스류 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으로서, 몸체(shank),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말단 또는 상단에 배치되는 헤드(head), 및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인 피봇 축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 근처의 상기 몸체에 피봇(pivot)되고 상기 헤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피봇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랫치(latch)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양면(two opposite side)에, 상기 랫치의 아래에, 상기 몸체의 각 면에 하나씩 2개의 수납부(receptacles)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박편부(laminas)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 의해 운반되고 상기 수납부에 배열되는 편환을 편침으로부터 그 인접한 편침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수납부 내에 상기 인접한 편침의 헤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과 이점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니들의 바람직한 비제한적 실시예의 기술로부터 명확해지는 바,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몸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축된 적어도 하나의 박편부를 가지는 도 4의 상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편침 및 인접한 편침의 측면 입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편침으로부터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가 이동되는 동안에 이들 편침이 장착된 편직기의 일부를 함께 보여주는 측면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8(a),(b) 내지 도 10 (a),(b)는 본 발명에 따른 편침으로부터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하는 세가지 장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8a, 9a, 10a는 각각 정면 입면도를 나타내고, 도 8b, 9b, 10b는 각각 측면 입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로 명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은 몸체(2), 헤드(3), 및 랫치(4)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3)는 상기 몸체(2)의 길이방향 말단 또는 상단에 배치되고, 알려진 형태의 편침과 유사한 방식으로 몸체(2)의 앞면을 향해 열려지는 후크(hook)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상기 랫치(4)는 상기 몸체(2)의 길이 방향축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인 피봇 축(5)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3) 근처의 몸체(2)에 피봇되고, 알려진 형태의 편침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3)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축(5)에 대하여 회전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은, 상기 몸체(2)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2)의 양면(two opposite side: 7a, 7b)에, 상기 랫치(4)의 아래에, 상기 몸체(2)의 각 면(7a, 7b)에 하나씩인 두개의 수납부(8a, 8b)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박편부(6a, 6b)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에 의해 운반되어 상기 수납부(8a, 8b)에 배열되는 편환(40)을 상기 편침(1)로부터 그 인접한 편침(1a)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수납부 내에 상기 인접한 편침(1a)의 헤드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2)의 면(7a, 7b)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박편부(6a, 6b)가 있고, 이들 2개의 박편부(6a, 6b) 각각은 인접한 편침(1a)를 위해 수납부(8a, 8b)을 형성한다.
상기 각각의 박편부(6a, 6b)는, 그의 부분들 중 일부가 상기 몸체(2)에 대응하는 면(7a, 7b)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수납부(8a, 8b)를 이루도록 형상을 가지고, 그의 탄성 반응과 반대로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2)의 각 면(7a, 7b)은, 도 5에 특별히 도시된 것처럼, 대응하는 박편부(6a, 6b)에서, 그의 탄성 반발력과 반대로 몸체(2)를 향해 눌려졌을 때의 상기 대응하는 박편부(6a, 6b)를,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시트(seat: 9a, 9b)를 가진다.
상기 몸체(2)는, 그 연장선을 따라서, 전방면, 혹은 상기 헤드(3)가 열리는 면에, 그리고 상기 헤드(3)에 대하여 반대 쪽에 놓인 길이방향 말단 또는 하단 근처에,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편침(1)이 장착될 메리야스류 편직기 등에 제공되는 구동 캠(actuation cam)과 공지된 방법으로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힐(heel)(10)을 가진다.
이 때, 상기 편환(4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인접한 편침(1a)(이하 '수용 편침'이라 함)은 상기 전달 편침(1)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용 편침(1a)은 그 헤드가 상기 수납부(8a, 8b)의 하부 개구(19a, 19b) 아래에 있도록 일렬로 되고, 그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상기 하부 개구(19a, 19b)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8a, 8b) 내부로 그 비이크(beak)의 삽입을 발생시킨다. 도 8a, 8b 내지 10a, 10b에 나타낸 경우, 상기 수용 편침(1a)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전달 편침(1)의 오른쪽에서 놓인 편침으로 구성되고, 도 8a, 8b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상기 수납부(8b)로 들어가서 하부 개구(19b)를 통해 지나간다.
상기 각각의 박편부(6a, 6b)는 그의 하단(11a, 11b) 근처에서 상기 몸체(2)에 고정되고, 그의 상단(12a, 12b)이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에 기대어 놓여있다.
각각의 박편부(6a, 6b)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몸체(2)의 상응하는 면(7a, 7b)에 부착되는 하부 영역(13a, 13b); 상기 수납부(8a, 8b)를 획정하기 위해 위하여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로부터 이격되는 중간 영역(14a, 14b); 및 상기 상단(12a, 12b)으로 끝나거나, 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에 대하여 놓여있는 상기 상단(12a, 12b)으로 제한는 상부 영역(15a, 15b)을 가지도록 형상화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편부(6a, 6b)의 중간 영역(14a, 14b)은 그의 하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접혀진 제1부분(16a, 16b);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부분(17a, 17b); 및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을 향하여 접혀진 제3부분(18a, 18b)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박편부(6a, 6b)는, 상기 수납부(8a, 8b)를 형성하는 영역에, 상기 수납부(8a, 8b)로의 접근을 위한 하부 개구(19a, 19b)를 형성하도록 밑에 놓인 하부(underlying lower portion)에 대하여, 상기 몸체(2)의 배면(rear side)을 향하여 오프셋된 상부(upper portion)를 가진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상기 하부 개구(19a, 19b)는 실질적으로 각 박편부(6a, 6b)의 상기 중간 영역(14a, 14b)의 제1부분(16a, 16b)과 제2부분(17a, 17b) 사이의 연결부분에 형성된다.
편리하게는, 상기 각 박편부(6a, 6b)의 중간 영역(14a, 14b)의 제3부분(18a, 18b)의 앞면이 경사면처럼 형성되고, 상기 몸체(2)의 위쪽 끝을 향하여 상기 몸체(2)의 앞면으로 점차 가까워져서 상기 각 박편부(6a, 6b)의 상부 영역(15a, 15b)과 연결된다.
상기 각 박편부(6a, 6b)에서, 상기 하부 개구(19a, 19b)는, 상기 박편부(6a, 6b)의 상부 영역(15a, 15b)이 상기 몸체(2)의 세로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2)의 상응하는 면(7a, 7b)에 대하여 유지되는 영역과 사실상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을 메리야스류 편직기 등에 장착함에 의해, 그리고 상기 편침에 후술되는 동작을 제공함에 의해, 스팃치 또는 편환(40)를 잡는 부가적인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하나의 편침(1)로부터, 상기 편침(1)의 어느 한 측방으로 정열되는 인접한 편침(1a)에 스팃치(40)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고려되는 편침의 인접한 편침을 참조 부호(1a)로 나타내었으 나, 상기 인접한 편침은 본 발명에 따른 편침(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편침(1)로부터 인접한 편침(1a)으로 편환(40)을 이동시키는 실행 과정을 메리야스류 환편기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이 실린더 및 다이얼을 가지는 환편기,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직선운동 또는 환형의 싱글-베드 또는 투-베드 편직기 모두의 다이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변경함 없이, 편환(40)의 이동이 일어나는 편침들이 상기 편직기의 편침 실린더에 있다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편환(40)을 편침(1)로부터 인접한 편침(1a)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편침(1)은, 편환(40)을 형성하고 이전에 형성된 편환을 해방시킨 후, 그 힐(10)에 의해서 장착된 편침의 구동 캠에 의하여 이동되어, 갓 형성된 편환(40)을 보유하고 있는 싱커(22)에 의해 형성되는 편직 형성 평면(21) 위로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상기 편환을 이동시켜야 하는 편침(1) (이하, '전달 편침'이라 함)의 리프팅 범위는 상기 박편부(6a, 6b)의 중간영역(14a, 14b)을 상기 편직 형성 평면(21)에 위치시키고, 상기 편침들이 슬라이드(slide)하는 편침 실린더 측면의 축상 슬롯을 측방향으로 한정하는, 소위 '바(bar)' 의해 점유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중간영역(14a, 14b)을 완전히 인출하도록 한다. 도 8a, 8b 내지 10a, 10b에서, 상기 바의 상단 평면은 참조부호 (23)으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의 존재에 의해 상기 전달 편침(1)의 몸체(2)에 대하여 사전에 눌려 있는, 박편부(6a, 6b)가 그들의 중간 영역(14a, 14b)과 함께 탄성반응에 의해 상기 몸체(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수납부(8a, 8b)를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편환(40)이 위치 한다.
이 때, 상기 편환(4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인접한 편침(1a)(이하 '수용 편침'이라 함)은 상기 전달 편침(1)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신편침(1a)은 그 헤드가 상기 수납부(8a, 8b)의 하부 개구(19a, 19b) 아래에 있도록 일렬로 되고, 그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상기 하부 개구(19a, 19b)를 통하여 상기 수납부(8a, 8b) 내부로 그 비이크(beak)의 삽입을 발생시킨다. 도 8a, 8b 내지 10a, 10b에 나타낸 경우, 상기 수용 편침(1a)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전달 편침(1)의 오른쪽에서 놓인 편침으로 구성되고, 도 8a, 8b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상기 수납부(8b)로 들어가서 하부 개구(19b)를 통해 지나간다.
그리고 나서, 상기 수용 편침(1a)의 헤드가 상기 편환 형성 평면(21) 위에 놓이고, 상기 편환(40) 위에 장착되도록(도 9a, 9b), 상기 수용 편침의 상승이 완료된 다음, 상기 전달 편침(1)은, 상기 수용 편침(1a)이, 바람직하게는 터크-스팃치(tuck-stitch)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동안, 하강한다.
상기 전달 편침(1)의 하강은 상기 수용 편침(1a)으로 하여금 그 헤드와 함께 상기 수납부(8b)로부터 상방향으로 나가도록 하여, 상기 박편부(6b)의 상단(12b)과 상기 편침(1)의 몸체(2) 사이를 지나간다. 또, 상기 편침(1)의 하강은 도 10a, 10b에 보여진 것처럼, 상기 박편부(6a, 6b) 둘레에 배열되어 있는 편환(40)이 제3부분(18b)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서 상기 편환을 몸체(2) 쪽으로 이동시켜 수신 편환(1a)의 헤드 안에 들어가도록 한다.
그 하강 중에, 상기 전달 편침(1)은 그의 랫치와 함께, 상기 수용 편침(1a) 의 헤드 내에 있는 편환(40)을 지나 움직여서 상기 랫치(4)에 의해 상기 전달 편침(1)의 헤드(3)의 적어도 부분적인 패쇄(closure)를 형성하고, 이 때, 상기 2개의 편침(1 및 1a)이 상기 편직 형성 평면(21) 아래로 함께 내려갈 수 있다.
상기 편환(40)을 편침(1)의 오른쪽에 인접한 편침이 아닌, 왼쪽에 인접한 편침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왼쪽에 위치하는 상기 편침을 상기 수용 편침(1a)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작동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이 실린더-앤드-다이얼 편직기의 다이얼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편침들은 올라가는 대신에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내려가는 대신에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이 장착되는 편직기를 참조하여 상기 편침에 추가되어야 하는 동작의 개조는 싱글-베드 환형 편직기에 대하여 위에 주어진 설명에 기초하여 직접적으로 유추될 수 있다.
상기 전달 편침(1)으로부터 상기 수용 편침(1a)으로의 상기 편환(40)의 이동중에, 후자는 상승하지 않으며 오히려 터크-스팃치(tuck-stitch) 위치를 지나 이동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편침 (1a)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상기 박편부(6a, 6b)는, 그 중간영역(14a, 14b)과 함께 상기 편침의 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일 수 없으며, 그에 대항하여 편침 실린더 또는 편침이 속하는 다른 편침 지지 요소의 축방향 슬롯의 측벽에 의해 보유된다.
편침의 몸체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박편부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의 특별한 구조에 의해, 미세-게이지(18 n.p.i. 이상) 편직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은 투-베드 편직기에서도 하나의 베드로부터 다른 베드로 스팃치를 전달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베드의 상대적인 동작을 요구하지 않고 하나의 베드의 편침으로부터 동일한 베드의 인접한 편침으로 편환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러한 동작들이 관여하는 실행의 정밀성과 복잡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왕복 운동으로 구동될 수 있는 편직기에서 편침의 어느 한쪽으로도 스팃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편침의 사용은, 애디드 및 캐스트오프 스티치(added and cast off stitches)를 가지는 임의의 형태의 편직 영역으로 편직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은, 편침 자신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든) 2개의 인접한 편침 중 하나로 스팃치를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침은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어 미세-게이지 편직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침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량과 변형의 여지가 있고, 모든 상세 내용들은 기술적으로 균등한 다른 요소들로 더 치환될 수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 및 수치는 해당 기술의 수준과 요건에 따른 임의의 것 이 될 수 있다.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요소들 뒤에는 참조 표시를 기재하였으며, 이들 참조 표시는 단지 청구항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되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참조표시는 상기 참조표시의 예로서 나타내어지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해석을 한정하는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Claims (14)

  1.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 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으로서,
    몸체(shank: 2); 상기 몸체(2)의 길이방향 말단 또는 상단에 배치된 헤드(3); 및 상기 몸체(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피봇 축(5)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3) 근처의 상기 몸체(2)에 피봇되고 상기 헤드(3)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피봇 축(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랫치(4)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와 연결되고 상기 몸체(2)의 양쪽 면(two opposite side) 상에서, 상기 랫치(4)의 아래에, 상기 몸체(2)의 각 면당 하나씩, 2개의 수납부(receptacle: 8a, 8b)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박편부(lamina:6a, 6b)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에 의해 운반되고 상기 수납부(8a, 8b)에 배열되는 편환(40)을 상기 편침(1)로부터 그에 인접한 편침(1a)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상기 수납부 내에, 상기 인접한 편침(1a)의 헤드(3)를 삽입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상기 박편부(6a, 6b)는, 상기 수납부(8a, 8b)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상기 수납부(8a, 8b)로의 접근을 위한 하부 개구(19a,19b)를 형성하기 위해 밑에 놓인 하부에 대하여 상기 몸체(2)의 배면을 향하여 오프셋(offset)된 상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하나의 면(7a, 7b)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인접한 편침(1a)을 위한 수납부(8a, 8b)를 형성하는 2개의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박편부(lamina: 6a, 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편부(6a, 6b)가 상기 몸체(2)의 대응면(corresponding side)을 향해 그의 탄성 반응(elastic reaction)에 반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각 면(7a, 7b)은, 대응하는 상기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박편부(6a, 6b)에서, 탄성 반응에 반대하여 상기 몸체(2) 쪽으로 눌려져 있는 각각의 박편부(6a, 6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시트(seat: 9a, 9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는, 그의 연장선을 따라서, 그의 전방면(front face)에, 상기 2개의 면(7a, 7b)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헤드(3)에 대하여 반대쪽에 놓인 길이방향 말단 또는 하단 근처에, 하나 이상의 힐(10)을 구비하고,
    상기 힐은, 전방으로 돌출되고 메리야스류 편직기 등의 편침 구동 캠(needle actuation cam)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박편부(6a, 6b)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수납부(8a, 8b)가, 상기 헤드(3)를 가진 상기 몸체(2)의 길이방향 말단을 향해, 그리고 반대쪽의 길이방향 말단을 향해 양쪽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7.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박편부(6a,6b)는, 그의 하단부(11a,11b)에 의해 상기 몸체(2)에 고정되고, 그의 상단부(12a,12b)가 상기 몸체(2)의 각 면(7a, 7b)에 기대어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8.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박편부(6a, 6b)는,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과 접촉하고 있는 하부 영역(13a, 13b); 상기 수납부(8a, 8b)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2)의 상기 대응하는 면(7a, 7b)으로부터 이격된 중간 영역(14a, 14b); 및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에 기대어 놓여있는 상부 영역(15a, 15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편부(6a, 6b)의 상기 중간 영역(14a, 14b)은, 그 하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몸체(2)의 상기 대응하는 면(7a,7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힌 제1 부분(16a,16b); 상기 몸체(2)의 상기 대응하는 면(7a,7b)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부분(17a,17b); 및 상기 몸체(2)의 상기 대응하는 면(7a, 7b)을 향해 접힌 제3 부분(18a,1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근 개구(19a, 19b)는 각 박편부(6a, 6b)의 상기 중간 영역(14a, 14b)의 제1부분(16a, 16b)과 제2부분(17a, 17b) 사이의 연결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박편부(6a, 6b)의 중간 영역(14a, 14b)의 상기 제3 부분(18a, 18b)의 전방면은 경사진 면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몸체(2)의 상단 방향으로 상기 몸체(2)의 전방면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며 각각의 상기 박편부(6a, 6b)의 상기 상부 영역(15a, 15b)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박편부(6a, 6b)에서, 상기 하부 접근 개구(19a, 19b)는, 상기 상부영역(15a, 15b)이 상기 몸체(2)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2)의 대응하는 면(7a, 7b)에 기대어 놓여 있는 영역과 실질적으로 일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침.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침이 장착된 메리야스 편직기 등에서 편침(1)로부터 인접한 편침(1a)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이동시키고자 하는 편환(40)이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박편부(6a, 6b)를 구비한 편침(1) 또는 전달 편침(1)을, 상기 편침(1)에 의해 형성된 편환(40)에 대하여 이동시켜서 상기 편환(40)이 상기 편직 형성 평면(knitting formation plane: 21)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수납부(8a, 8b) 둘레에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수납부(8a, 8b) 둘레에 상기 편환(40)을 보유하는 단계;
    - 상기 전달 편침에 측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편환(40)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편침 또는 수용 편침(1a)을, 상기 전달 편침의 헤드(3)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전달 편침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가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전달편침이 상기 편환(40)을 지나서 그 위로 움직일 때까지, 상기 전달 편침을, 그의 헤드(3)과 함께, 상기 2개의 수납부(8a, 8b) 중 상기 전달 편침(1)의 상기 수용 편침(1a) 을 향해 유도되는 면에 위치한 수납부로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수용 편침(1a)의 헤드(3)가 상기 수납부(8a, 8b)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하여 상기 수납부(8a, 8b) 위로 상기 편환(40)을 이동시키도록 할 때까지, 상기 전달편침(1)을 상기 수용 편침(1a) 및 상기 편환(40)에 대하여 상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전달 편침(1)이, 그의 랫치와 함께, 편환(40)을 지나서 움직일 때까지, 상기 전달 편침을 상기 방향을 따라 더 움직이는 단계; 및
    - 상기 편환이 상기 전달 편침(1)으로부터 벗어날 때까지, 2개의 편침(1,1a) 모두를 상기 편환(40)에 대하여 상기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팃치 이동 방법.
  14. 삭제
KR1020077030856A 2005-11-18 2005-11-18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 KR101242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5/012393 WO2007057041A1 (en) 2005-11-18 2005-11-18 Needle for transferring stitches therefrom to adjacent needles for hosiery knitting machines or the li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721A KR20080074721A (ko) 2008-08-13
KR101242542B1 true KR101242542B1 (ko) 2013-03-19

Family

ID=3723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856A KR101242542B1 (ko) 2005-11-18 2005-11-18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08890B2 (ko)
EP (1) EP1948859B1 (ko)
JP (1) JP5364379B2 (ko)
KR (1) KR101242542B1 (ko)
CN (1) CN101213332B (ko)
AT (1) ATE462814T1 (ko)
BR (1) BRPI0520317A2 (ko)
DE (1) DE602005020371D1 (ko)
HK (1) HK1120575A1 (ko)
WO (1) WO2007057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42B1 (ko) * 2005-11-18 2013-03-19 산토니 에쎄.뻬.아.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
ITMI20080121A1 (it) * 2008-01-28 2009-07-29 Santoni & C Spa Ago per operare il trasferimento di punti di maglia dallo stesso ago ad aghi adiacenti per macchin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i.
ITMI20080123A1 (it) * 2008-01-28 2009-07-29 Santoni & C Spa Ago per operare il trasferimento di punti di maglia dallo stesso ago ad aghi adiacenti per macchin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i.
ITMI20080122A1 (it) * 2008-01-28 2009-07-29 Santoni & C Spa Ago per operare il trasferimento di punti di maglia dallo stesso ago ad aghi adiacenti per macchin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i.
EP2096200B1 (de) 2008-02-27 2011-06-08 Groz-Beckert KG Umhängenadel mit innen liegender Federspitze
CN111286863A (zh) * 2020-01-14 2020-06-16 冯加林 一种织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7865A (en) * 1961-08-29 Philip
JPS57167796U (ko) * 1981-04-15 1982-10-22
JPS5872189U (ja) * 1980-07-29 1983-05-16 株式会社 桜井製作所 横移し針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150A (en) * 1906-02-24 1908-04-21 Powell Knitting Company Transferring device for knitting-machines.
US2076896A (en) * 1935-06-11 1937-04-13 Hosiery Developments Ltd Means for producing knitted fabrics
US2181105A (en) * 1936-05-09 1939-11-21 Jacquard Knitting Machine Co Inc Knitting machine
FR821641A (fr) * 1936-05-09 1937-12-09 Jacquard Knitting Machine Co Inc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à tricoter
US2146079A (en) * 1937-09-29 1939-02-07 Kunzmann Otto Knitting needle
US2667770A (en) * 1950-08-23 1954-02-02 Ordnance Gauge Company Transfer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US3584481A (en) * 1969-03-06 1971-06-15 Teihichi Kayashi Knitting needle for transferring stitches
IT8321328V0 (it) * 1983-03-30 1983-03-30 Santoni & C Spa Ago del piatto composito per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ica per calzetteria atta a produrre maglia a costa.
CH664392A5 (de) * 1984-12-18 1988-02-29 Dubied & Cie Sa E Zungennadel fuer maschenuebertragung.
IT1185187B (it) * 1985-07-04 1987-11-04 Mecmor Spa Dispositivo per il passaggio del punto da un ago per la formazione di maglia diritta ad un ago per la formazione di maglia rovescia e viceversa,in una macchina per maglieria e simili
CN1121124A (zh) * 1994-10-20 1996-04-24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齿轮罗纹移圈龙眼提花机
US6085554A (en) * 1999-02-02 2000-07-11 Edelweiss Manufacturing Co., Inc. Loop transfer needl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DE19905668C2 (de) * 1999-02-11 2001-01-25 Groz Beckert Kg Umhängenadel zur Maschenübertragung
US6321578B1 (en) * 2001-02-28 2001-11-27 Francesco Gavagnin Apollonio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op from a selected needle to an adjacent needle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work pattern with no-run stitch and loop transfer knitting needle
DE10227533C1 (de) * 2002-06-20 2003-12-11 Groz Beckert Kg Nadel mit Umhängefeder
KR101242542B1 (ko) * 2005-11-18 2013-03-19 산토니 에쎄.뻬.아.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
DE502006006452D1 (de) * 2006-08-11 2010-04-29 Groz Beckert Kg Zungennadel für maschenbildende Textil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7865A (en) * 1961-08-29 Philip
JPS5872189U (ja) * 1980-07-29 1983-05-16 株式会社 桜井製作所 横移し針
JPS57167796U (ko) * 1981-04-15 1982-10-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4379B2 (ja) 2013-12-11
US7908890B2 (en) 2011-03-22
BRPI0520317A2 (pt) 2009-09-15
EP1948859A1 (en) 2008-07-30
CN101213332A (zh) 2008-07-02
ATE462814T1 (de) 2010-04-15
KR20080074721A (ko) 2008-08-13
CN101213332B (zh) 2012-12-12
DE602005020371D1 (de) 2010-05-12
HK1120575A1 (en) 2009-04-03
WO2007057041A1 (en) 2007-05-24
JP2009516087A (ja) 2009-04-16
EP1948859B1 (en) 2010-03-31
US20100043498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542B1 (ko) 인접한 편침으로 스팃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리야스류편직기 등을 위한 편침
KR101025153B1 (ko)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EP105408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ubular items, such as hosiery items or the like, which are closed at an axial end, using a single-cylinder circular machine
EP2578733A1 (en) Knitting needle-guiding member, knitting needle, knitting method, knit fabric and gloves
EP0567282A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CN102227526B (zh) 用于制造设有花纹的针织物的针织机和为此的针床
US6609398B2 (en) Needle for knitting, warp knitting or hosiery machines and a knitting machine equipped therewith
KR100397029B1 (ko)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KR20050014665A (ko)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EP1388600B1 (en) Needle selector for knitting machine, and needle selecting module finger
EP0683257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knitting retention sinkers
US7152435B2 (en)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EP2570535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compound needle, and slider control method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CN100408741C (zh) 有至少两个针床的横机
KR100825661B1 (ko) 편직 공구
US55864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titches of knit articles
JP3604199B2 (ja) 編み機のシンカ装置及び編み物成形方法
EP2240635B1 (en) Needle for transferring stitches from the needle itself to adjacent needles for hosiery knitting machines or the like
EP2240634B1 (en) Needle for transferring stitches from the needle itself to adjacent needles for hosiery knitting machines or the like
IT8921905A1 (it) Macchina per maglieria con platine di trattenimento della maglia.
US20220235501A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JPS6252064B2 (ko)
CN211057361U (zh) 一种双针筒织机成圈机构
KR100347672B1 (ko) 컴퓨터가 부착된 양두 성형 환편기
US20080034804A1 (en) Knitting method and knitt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