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322B1 - 차량용 퓨즈 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퓨즈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322B1
KR101242322B1 KR1020110033777A KR20110033777A KR101242322B1 KR 101242322 B1 KR101242322 B1 KR 101242322B1 KR 1020110033777 A KR1020110033777 A KR 1020110033777A KR 20110033777 A KR20110033777 A KR 20110033777A KR 101242322 B1 KR101242322 B1 KR 10124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ok
case cover
coupled
fus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186A (ko
Inventor
이규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32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퓨즈 박스에 관한 것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 가압력에 의해서만 케이스 커버가 개방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를 구성하여 작업자의 의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는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차량의 주행 중 충격 등에 의한 예상치 못한 외력의 작용으로 케이스 커버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전기 부품이 배치된 내부 공간에 대한 보호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잠금 장치의 잠금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잠금 기능 강화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 공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퓨즈 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퓨즈 박스{Fuse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퓨즈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 가압력에 의해서만 케이스 커버가 개방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를 구성하여 작업자의 의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는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차량의 주행 중 충격 등에 의한 예상치 못한 외력의 작용으로 케이스 커버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전기 부품이 배치된 내부 공간에 대한 보호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잠금 장치의 잠금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잠금 기능 강화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 공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퓨즈 박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차량 자체의 운행과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전기장치들이 탑재되어 있는데, 이들 전기장치들은 배터리 및 제너레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으며,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 및 콘트롤 유니트의 전자제어에 의해 작동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장치와 전원(배터리 및 제너레이터)을 연결하는 전력 공급선 상에는 전기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퓨즈가 구비되며, 이는 전기 계통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과부하가 발생되어 전류가 과도하게 흐를 경우, 단락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장치가 보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퓨즈는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하나의 퓨즈 박스 내에 다수개가 집적된 형태로 사용된다. 즉, 퓨즈 박스는 밧데리 또는 제너레이터 등의 주전원과 해당기기 사이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내측에 집약시킴과 동시에 적정 형태를 갖는 다수의 터미널을 각각의 전원선에 개별적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 박스 내에 형성된 각각의 터미널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하고, 터미널의 접속부에는 별도의 연결 단자를 접속 설치하여 해당 전원선으로 과전압이 흐르게 되면 즉시 단락되도록 하여 각종 전기 기기 등의 고장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퓨즈 박스는 일반적으로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로 구성되며, 케이스 커버가 케이스의 일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 커버가 고정되도록 별도의 잠금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잠금 장치는 퓨즈 박스에 대한 보수 점검이 용이하도록 쉽게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작업자가 일측 방향으로 단순 누름 조작함으로써, 케이스 커버가 케이스로부터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작업자의 실수 또는 주행 중 충격 등에 의한 예상치 못한 외력의 작용으로 인해 케이스 커버가 쉽게 개방될 수 있고, 이러한 케이스 커버의 개방은 퓨즈 박스 내부로의 수분 또는 이물질 유입을 가능하게 하여 퓨즈 박스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 가압력에 의해서만 케이스 커버가 개방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를 구성하여 작업자의 의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는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차량의 주행 중 충격 등에 의한 예상치 못한 외력의 작용으로 케이스 커버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전기 부품이 배치된 내부 공간에 대한 보호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퓨즈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잠금 장치의 잠금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잠금 기능 강화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 공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퓨즈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의 결합 상태를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퓨즈 박스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 블록;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블록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가 상기 걸림 블록에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가 상기 걸림 블록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퓨즈 박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는 중심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커버에 결합되는 후크 본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후크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걸림 블록과 맞물림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후크 돌기를 각각 포함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커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후크 본체의 회전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토퍼 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후크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접촉 결합되는 접촉부; 및 양단부가 상기 접촉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후크 돌기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후크 본체에 탄성력에 의한 회전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판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접촉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커버는 일단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 가압력에 의해서만 케이스 커버가 개방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를 구성하여 작업자의 의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는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차량의 주행 중 충격 등에 의한 예상치 못한 외력의 작용으로 케이스 커버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전기 부품이 배치된 내부 공간에 대한 보호 기능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크 레버 및 탄성 부재를 통해 단순한 구조로 잠금 장치의 잠금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잠금 기능 강화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 공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에 대한 힌지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케이스 커버에 대한 개폐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잠금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잠금 장치에 대한 잠금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에 대한 힌지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케이스 커버에 대한 개폐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는 내부에 다수개의 퓨즈가 집적 배치되어 각각 해당 전기 장치와 전원선을 통해 연결되는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도록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110)에 고정 결합되도록 별도의 잠금 장치(200)가 더 구비된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의 엔진룸이나 또는 차량 실내의 대시 보드 하부 등 차체에 결합되는 형태로 특정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퓨즈(미도시)가 배치되어 다수개의 전기 장치와 각각 전원선을 통해 연결된다.
케이스 커버(120)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다수개의 퓨즈 및 전원선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형태로 케이스(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케이스 커버(120)는 케이스(110)로부터 완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가 케이스(110)의 일측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110) 및 케이스 커버(120)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단부에는 각각 상호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본체 힌지 브래킷(111) 및 커버 힌지 브래킷(121)이 형성되고, 이들이 상호 힌지 결합함에 따라 케이스 커버(120)는 케이스(110)에 힌지축(C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커버(120)는 케이스(110)로부터 완전 분리되지 않고, 단순히 힌지축(C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퓨즈 박스에 대한 보수 점검시 케이스 커버(120)를 개방한 후 별도의 장소에 케이스 커버(120)를 따로 놓아두어야 할 필요가 없어 케이스 커버(120)에 대한 분실 위험 또는 부주의로 인한 파손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장치(200)는 케이스(110)와 케이스 커버(120)의 결합 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및 케이스 커버(120)의 힌지축(C1)에 대한 반대편 일측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 커버(120)가 힌지축(C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축(C1)의 반대편에 위치한 잠금 장치(200)를 통해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11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 커버(120)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어 더욱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장치(200)는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함에 따라 자동으로 잠금 동작되도록 형성되고,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해서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필요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잠금 장치(200)의 잠금 해제 동작은 종래 기술과 달리 작업자의 실수 또는 주행 중 충격에 의한 하중에 의해 발생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양방향 가압 조작을 통해 잠금 해제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는 케이스(110)에 형성된 걸림 블록(240)과,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되도록 케이스 커버(120)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와,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260)(도 4 및 도 5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중심으로 잠금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잠금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잠금 장치에 대한 잠금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의 잠금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케이스 커버(120)의 결합 상태를 고정 및 고정 해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걸림 블록(240),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 및 탄성 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구성 요소는 별도의 보호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 블록(240)은 케이스(110)의 외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가 맞물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걸림 블록(240)은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회동하는 과정에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에 대한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가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되도록 양측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케이스(110)에 형성된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될 수 있도록 케이스 커버(120)에 결합된다. 즉,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회동 결합한 상태에서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되도록 케이스 커버(120)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탄성 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탄성 편의된다.
탄성 부재(260)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가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260)는 단순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특정 지점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촉부(261) 및 탄성부(262)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탄성 부재(260)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가 각각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데, 이때,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에 서로 반대 방향의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가 걸림 블록(240)에 서로 대칭되게 맞물림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커버(120)가 힌지축(C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회전하면,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가 서로 대칭되게 자동으로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되며, 이에 따라 케이스(110)와 케이스 커버(120)의 결합 상태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케이스(110)와 케이스 커버(120)의 결합 상태를 고정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외력을 작용시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를 걸림 블록(24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퓨즈 박스는 케이스 커버(120)가 케이스(110)에 폐쇄된 상태로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 커버(120)를 다시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2개 힘을 작용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단순 누름 동작이나 또는 주행 중 차량의 충격으로 인한 하중 등에 의해서는 케이스 커버(120)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케이스 커버(1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퓨즈 박스에 대해 더욱 안전한 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와 탄성 부재(260)는 별도의 보호 하우징(210)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이물질 등에 의해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가 자동 작동하는 것이 한번 더 방지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중심부의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 커버(120)에 결합되는 후크 본체(221)와,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도록 후크 본체(221)의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22)와, 걸림 블록(240)과 맞물림될 수 있도록 후크 본체(221)의 타단에 형성되는 후크 돌기(223)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즉, 각 후크 본체(221)는 케이스 커버(120)에 결합된 별도의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이러한 후크 본체(221)의 양측단부에 각각 손잡이부(222)와 후크 돌기(2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손잡이부(222)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각각의 후크 본체(221)가 각각의 회전축(C2)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각각의 후크 돌기(22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손잡이부(22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각각의 후크 돌기(223)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후크 돌기(2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걸림 블록(240)의 하단부에 맞물림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탄성 부재(260)는 이와 같이 동작하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에 각각의 후크 돌기(223)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후크 본체(221)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접촉 결합되는 접촉부(261)와, 양단부가 이러한 접촉부(261)에 각각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후크 돌기(223)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각각의 후크 본체(221)에 탄성력에 의한 회전력을 가하는 탄성부(2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후크 본체(221)의 내측면에는 탄성 부재(260)의 접촉부(261)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홈(224)이 형성되고, 접촉부(261)는 이러한 삽입홈(224)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접촉부(261)는 후크 본체(221)의 내측면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후크 본체(221)의 내측면과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탄성부(262)에 의한 탄성력이 더욱 안정적으로 후크 본체(221)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탄성부(262)는 양단부가 이러한 접촉부(261)에 각각 결합되며 각각의 접촉부(26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배치된 접촉부(261)를 통해 후크 본체(221)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접촉부(26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 즉 접촉부(261)의 상단부가 후크 본체(221)의 회전축(C2)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탄성부(262)는 이러한 접촉부(261)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탄성부(262)의 탄성력이 각각의 접촉부(261) 상단을 상호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부(262)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261)의 상단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탄성력이 후크 본체(221)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탄성력의 작용점은 후크 본체(221)에 대해 회전축(C2)의 상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후크 본체(221)는 하단의 후크 돌기(223)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는 탄성 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 돌기(223)가 걸림 블록(240)에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편의된다. 따라서, 후크 돌기(223)를 걸림 블록(24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손잡이부(222)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양방향 가압 조작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가 걸림 블록(24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지 않고, 이에 따라 케이스 커버(120)와 케이스(110)의 결합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탄성 부재(260)의 탄성부(262)와 접촉부(26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작 및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탄성부(262)는 양단의 접촉부(261)를 상호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손잡이부(222)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가압 조작할 때, 각각의 후크 본체(221)가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손잡이부(222)가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후크 본체(221)의 회전 이동 범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도록 케이스 커버(120)에는 별도의 스토퍼 블록(25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블록(250)에 의해 제한되는 후크 본체(221)의 회전 이동 범위는 적어도 후크 돌기(223)가 걸림 블록(24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범위 이상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일정 범위 이상 후크 본체(221)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무리한 가압 조작에 의한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이러한 잠금 장치(200)의 동작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손잡이부(222)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 조작하게 되면, 각각의 후크 본체(22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후크 돌기(22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크 돌기(22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후크 돌기(223)가 걸림 블록(24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므로, 이 상태에서 케이스 커버(120)를 케이스(110)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22)에 대한 가압 조작력을 해제하게 되면,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60)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여 후크 돌기(223)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220a,220b)의 후크 본체(221)가 각각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에 따라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돌기(223)가 걸림 블록(240)에 완전하게 맞물림되고, 이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탄성 부재(260)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며 맞물림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케이스 120: 케이스 커버
200: 잠금 장치 210: 보호 하우징
220a, 220b: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 221: 후크 본체
222: 손잡이부 223: 후크 돌기
240: 걸림 블록 250: 스토퍼 블록
260: 탄성 부재 261: 접촉부
262: 탄성부

Claims (6)

  1.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와, 상기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의 결합 상태를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퓨즈 박스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 블록; 상기 케이스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블록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가 상기 걸림 블록에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가 상기 걸림 블록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후크 레버는, 중심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커버에 결합되는 후크 본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후크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걸림 블록과 맞물림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후크 돌기를 각각 포함하고,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후크 본체의 회전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토퍼 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퓨즈 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후크 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접촉 결합되는 접촉부; 및
    양단부가 상기 접촉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후크 돌기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후크 본체에 탄성력에 의한 회전력을 가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퓨즈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판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접촉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퓨즈 박스.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일단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퓨즈 박스.
KR1020110033777A 2011-04-12 2011-04-12 차량용 퓨즈 박스 KR10124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77A KR101242322B1 (ko) 2011-04-12 2011-04-12 차량용 퓨즈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77A KR101242322B1 (ko) 2011-04-12 2011-04-12 차량용 퓨즈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186A KR20120116186A (ko) 2012-10-22
KR101242322B1 true KR101242322B1 (ko) 2013-03-11

Family

ID=4728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777A KR101242322B1 (ko) 2011-04-12 2011-04-12 차량용 퓨즈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760B1 (ko) * 2020-09-16 2022-03-14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641A (ja) 2001-03-16 200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ヒューズ収容用の電気接続箱
KR20110017261A (ko) * 2009-08-13 2011-0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641A (ja) 2001-03-16 200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ヒューズ収容用の電気接続箱
KR20110017261A (ko) * 2009-08-13 2011-0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186A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6051B (zh) 维护插接单元、设备单元以及电动汽车用电力切断系统
EP1296341B1 (en) Lever fitting-type manual disconnector
US8604368B2 (en) Circuit breaker having cradle with a shutter safety device
US9071020B2 (en) Locking system for a plug coupling device arranged on a motor vehicle, a charging station or a wall
EP3703096B1 (en) 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operation device
EP3447849A1 (en)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JPS6339405A (ja) 閉鎖配電盤
US6196858B1 (en) Circuit breaking device
KR20110061057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전원차단 안전플러그
EP3188205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100957493B1 (ko) 진공차단기반 케이스 도어 잠금장치
KR101242322B1 (ko) 차량용 퓨즈 박스
CN103227422B (zh) 用于开关柜的开关装置
CN105655834B (zh) 具有用于防止电击的安全连接器的电气设备
JP5052321B2 (ja)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168083B1 (ko) 도어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CN208315419U (zh) 用于开关柜的闭锁装置以及开关柜
US3088004A (en) Electrical switches
CN213168054U (zh) 轨道车辆用控制装置
CN202905517U (zh) 用于断路器的锁定装置
JP7452642B2 (ja) 端子台
EP2607293B1 (de) Batteriebetriebenes Flurförderzeug
KR200469030Y1 (ko) 차단기의 핸들 인터록 장치
KR101876860B1 (ko) 좌우 개폐형 정션 블럭 커버
JP2014117001A (ja) 鉄道車両用の蓄電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