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249B1 -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249B1
KR101242249B1 KR1020110088149A KR20110088149A KR101242249B1 KR 101242249 B1 KR101242249 B1 KR 101242249B1 KR 1020110088149 A KR1020110088149 A KR 1020110088149A KR 20110088149 A KR20110088149 A KR 20110088149A KR 101242249 B1 KR101242249 B1 KR 101242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bar
powder
hot
carbon nano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603A (ko
Inventor
신덕수
신종현
Original Assignee
신종현
신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현, 신덕수 filed Critical 신종현
Priority to KR102011008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2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4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bars or wire
    • B21C37/045Manufacture of wire or bars with particular section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2Both compacting and si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 B23K35/406Filled tubular wire 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5Mixtures of metal powder with non-metall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 내에 혼합한 후 열간 진공 가압하여 형성된 소결체를 열간 압출하고 용체화열처리를 하여 얻어진 제1 봉재를 냉간 인발하여 제1 봉재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봉재를 제조하는 실시예로부터 고강도에 도전성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및 자기윤활성까지 우수한 동 또는 동합금 봉재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MANUFACTURING METHOD OF ROD WITH DOUBLE LAYERED TUBE STRUCTURE AND THE WELDING TIP MANUFACTURED BY IT}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이용하여 고강도에 도전성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및 자기윤활성까지 우수한 동 또는 동합금 봉재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에 관한 것이다.
저항용접 또는 아크용접용 전극은 일반적으로 도전성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및 고강도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통상 동 또는 동합금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극은 석출경화형 동합금인 동(銅)과 크롬 및 지르코늄의 동합금(이하 'CCZ합금') 또는 동과 크롬의 동합금(이하 'CC합금')을 용해하고 압출한 후, 냉간 인발하고 단조한 후 급냉시켜 시효경화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전극은 동과 산화알미늄을 가스분무법에 의하여 합금분말 형태로 제조한 후 열간 압출하고 냉간 인발하여 단조함으로써 제조되기도 한다.
그러나, 위에서 열거한 전극들 중 CCZ합금과 CC합금의 경우 도전율과 기계적 성질이 상호 상반되므로, 도전율의 희생을 감수하지 않고는 기계적 성질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만들어진 전극을 이용하여 저항용접을 실시할 경우 피용접물과의 소착 현상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에서 열거한 전극들 중 동과 산화알미늄의 합금분말을 이용한 Cu-Al2O3 분산강화동 또한 도전성과 기계적 성질이 상반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현재의 물성을 개선하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공개특허 제10-1983-0007874호(1983년11월07일) 공개특허 제10-1990-0012719호(1990년09월01일) 등록특허 제10-0332916호(2002년04월03일) 등록특허 제10-0261234호(2000년04월17일) 등록특허 제10-0828007호(2008년04월30일) 등록특허 제10-1027073호(2011년03월2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고강도에 도전성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및 자기윤활성까지 우수한 동 또는 동합금 봉재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 내에 혼합한 후 열간 진공 가압하여 형성된 소결체를 열간 압출하고 용체화열처리를 하여 얻어진 제1 봉재를 냉간 인발하여 제1 봉재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봉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에 삽입하여 기계적합금(mechanical alloying)을 실시하여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을 제조하고 열간 진공 가압하여 소결체를 제조하는 제1 단계와, 소결체를 열간 압출한 후 급냉화시키는 용체화열처리를 실시하여 제1 봉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와, 제1 봉재를 냉간 인발하여 제1 봉재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봉재를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에 삽입된 동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의 기계적 합금 및 열간 진공 가압에 의하여 제조된 소결체가 열간 압출 및 냉간 인발된 봉재를 포함하며, 봉재는 일측이 냉간 단조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동 또는 동합금의 몸체와, 동 또는 동합금의 몸체 단부가 둥글게 기계 가공과 시효경화 열처리 및 표면 처리되어 동 또는 동합금의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된 동-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의 용접용 팁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제1 단계에서 동 분말의 입경은 50 내지 200㎛이며, 탄소나노튜브 분말은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의 충중량에 대하여 3 내지 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단계에서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은 동, 동합금 또는 동99%-크롬1%합금의 용기에 투입되고 열간 진공 가압되어 소결체로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단계에서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은 환원성 진공 또는 중성 진공 분위기 하에서 800 내지 950℃, 0.5 내지 3ton/㎠의 가압력으로 열간 진공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단계에서 소결체를 포함한 용기는 외경 150 내지 250mm, 길이 400 내지 800mm의 원기둥 형상이며, 용기에 대한 소결체의 비율은 1/2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단계에서 소결체는 900내지 980℃의 온도하에서 5 내지 10ton/㎠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10 내지 50mm/sec의 속도로 열간 압출되어 제1 봉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결체는 1/30 내지 1/60의 압출비로 열간 압출되어 외경 25 내지 50mm인 제1 봉재가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제3 단계에서 제1 봉재는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0의 단면 감소율에 5 내지 20m/min의 속도로 냉간 인발되어 외경 8 내지 25mm인 제2 봉재가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동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 내에 혼합하여 열간 진공 가압하고, 열간 압출 후 냉간 인발하여 동 또는 동합금 봉의 내부에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이 소결체로 형성된 이중구조의 봉재를 이용하여 고강도에 도전성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및 자기윤활성까지 우수한 저항용접용 전극(Cap Tip) 또는 아크용접용 팁(Contact Tip)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봉재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중에서 제1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소결체가 포함된 동합금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중에서 제2 단계에 따른 열간 압출에 의하여 제1 봉재를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제2 봉재로부터 추가 공정을 실시한 후 제조된 저항용접용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제1 단계(S1)를 통하여 제조된 소결체로부터 제1 봉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S2)가 실시된 후, 제1 봉재로부터 제2 봉재를 제조하는 제3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단계(S1)에서는 동(銅)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에 삽입하여 기계적합금(mechanical alloying)을 실시하여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을 제조하고 열간 진공 가압하여 소결체를 제조하게 된다.
제2 단계(S2)에서는 제1 단계(S1)에서 제조된 소결체를 열간 압출한 후 급냉화시키는 용체화열처리를 실시하여 제1 봉재를 제조하게 된다.
이후, 제3 단계(S3)에서는 제2 단계(S2)에서 제조된 제1 봉재를 냉간 인발하여 제1 봉재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봉재를 제조함으로써 제2 봉재를 이용한 저항용접용 전극(Cap Tip) 또는 아크용접용 팁(Contact Tip)을 제조할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제2 봉재(20)는 도 2와 같이 동 또는 동합금층(21) 내부에 동-탄소나노튜브 분말로부터 형성된 복합체(22)가 형성된 이중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3 단계(S3)가 완료되면, 제3 단계(S3)에서 제조된 제2 봉재를 냉간 단조하고, 기계 가공하여 시효경화 열처리한 후, 표면 처리하여 용접용 팁(Tip)을 제조하는 공정이 추가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단계(S1)에서 후술할 소결체의 도전성 및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동 분말의 입경은 50 내지 200㎛이며, 탄소나노튜브 분말은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의 충중량에 대하여 3 내지 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단계(S1)에서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은 동, 동합금 또는 동99%-크롬1%합금의 용기에 투입되고 열간 진공 가압됨으로써 소결체로 제조된다.
여기서,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은 구체적으로는 환원성 진공 또는 중성 진공 분위기 하에서 800 내지 950℃, 0.5 내지 3ton/㎠의 가압력으로 열간 진공 가압됨으로써 소결체가 되는 것이다.
이때, 도 3과 같이 소결체(2)를 포함한 용기(1)는 외경 150 내지 250mm, 길이 400 내지 800mm의 원기둥 형상이며, 용기(1)에 대한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로부터 제조된 소결체(2)의 비율은 후술할 제2 단계(S2) 및 제3 단계(S3)로부터 각각 제조될 제1, 2 봉재의 기계적 강도와 도전성 및 내열성 향상을 위하여 1/2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의 일단부에는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을 투입한 후 용기(1)와 동일한 재질의 마감편(1")으로 밀봉한 다음, 마감편(1")과 용기(1)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용접으로 마무리하며(부호 3은 용접부임), 용기(1)의 타단부에는 제2 단계(S2)의 열간 압출시 용이한 압출을 위하여 경사면(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단계(S2)에서 소결체(2)를 포함한 용기(1)는 도 4와 같이 열간 압출용의 컨테이너 슬리브(30)에 투입되고, 컨테이너 슬리브(30)로부터 삽입되는 램(50)의 가압력으로써 내부에 경사면(40')을 구비한 다이스(40)의 압출홀(40")을 통하여 압출되면, 제1 봉재(10)로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소결체(2)를 포함한 용기(1)는 기계적 강도와 도전성 및 내열성 향상을 위하여 900내지 980℃의 온도하에서 5 내지 10ton/㎠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10 내지 50mm/sec의 속도로 압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결체(2)를 포함한 용기(1)는 1/30 내지 1/60의 압출비로 열간 압출되어 외경 25 내지 50mm인 제1 봉재(10)가 되는 것이다.
한편, 제3 단계(S3)에서 제1 봉재(10)는 1/15 내지 1/50의 단면 감소율에 5 내지 20m/min의 속도로 냉간 인발됨으로써 외경 8 내지 25mm인 제2 봉재(20, 도 2 참고)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각 단계(S1, S2, S3)를 통하여 제조된 제2 봉재(20)로부터 추가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전극용 팁 중 저항용접용 전극(Cap Tip, 70)은 도 5와 같이 냉간 단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 동 또는 동합금의 몸체(71) 중앙에 동-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72)가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따르면 저항용접용 전극(70)은 도전율(IACS%)이 75 내지 90%이며, 경도(HBR)는 75 내지 90에, 인장강도(psi)는 70,000 내지 85,000이고, 항복강도(psi)는 70,000 내지 90,000로, 종래의 CCZ합금, CC합금, 또는 Cu-Al2O3 분산강화동을 이용한 전극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을 지닌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강도에 도전성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및 자기윤활성까지 우수한 동 또는 동합금 봉재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10...제1 봉재 20...제2 봉재
21...동합금층 22...복합체
30...콘테이너 슬리브 40...다이스
50...램 70...저항용접용 전극
71...동합금의 몸체 72...복합체(동-탄소나노튜브)
S1...제1 단계 S2...제2 단계
S3...제3 단계

Claims (10)

  1. 동(銅)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 내에 혼합한 후 열간 진공 가압하여 형성된 소결체를 열간 압출하고 용체화열처리를 하여 얻어진 제1 봉재를 냉간 인발하여 상기 제1 봉재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봉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2. 동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에 삽입하여 기계적합금(mechanical alloying)을 실시하여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을 제조하고 열간 진공 가압하여 소결체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소결체를 열간 압출한 후 급냉화시키는 용체화열처리를 실시하여 제1 봉재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봉재를 냉간 인발하여 상기 제1 봉재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봉재를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3.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에 삽입된 동 분말과 탄소나노튜브 분말의 기계적 합금 및 열간 진공 가압에 의하여 제조된 소결체가 열간 압출 및 냉간 인발된 봉재를 포함하며,
    상기 봉재는,
    일측이 냉간 단조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 동 또는 동합금의 몸체와,
    상기 동 또는 동합금의 몸체 단부가 둥글게 기계 가공과 시효경화 열처리 및 표면 처리되어 상기 동 또는 동합금의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치된 동-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용접용 팁.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동 분말의 입경은 50 내지 200㎛이며,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말은 동 기지 또는 동합금 기지의 충중량에 대하여 3 내지 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은 동, 동합금 또는 동99%-크롬1%합금의 용기에 투입되고 열간 진공 가압되어 소결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동-탄소나노튜브 복합분말은 환원성 진공 또는 중성 진공 분위기 하에서 800 내지 950℃, 0.5 내지 3ton/㎠의 가압력으로 열간 진공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소결체를 포함한 상기 용기는 외경 150 내지 250mm, 길이 400 내지 800mm의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용기에 대한 상기 소결체의 비율은 1/2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소결체는 900내지 980℃의 온도하에서 5 내지 10ton/㎠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10 내지 50mm/sec의 속도로 열간 압출되어 상기 제1 봉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소결체는 1/30 내지 1/60의 압출비로 열간 압출되어 외경 25 내지 50mm인 상기 제1 봉재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봉재는 1/15 내지 1/50의 단면 감소율에 5 내지 20m/min의 속도로 냉간 인발되어 외경 8 내지 25mm인 상기 제2 봉재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10088149A 2011-08-31 2011-08-31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 KR10124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49A KR101242249B1 (ko) 2011-08-31 2011-08-31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49A KR101242249B1 (ko) 2011-08-31 2011-08-31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03A KR20130024603A (ko) 2013-03-08
KR101242249B1 true KR101242249B1 (ko) 2013-03-11

Family

ID=4817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149A KR101242249B1 (ko) 2011-08-31 2011-08-31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0627B (zh) * 2013-03-21 2014-09-10 南昌航空大学 激光-感应复合熔化沉积梯度长径比的CNTs增强铜基复合材料的方法
CN105057921B (zh) * 2015-08-24 2017-09-12 句容亿格纳米材料厂 一种钛酸钾焊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326069B (zh) * 2017-12-26 2019-08-20 湖南中大冶金设计有限公司 一种高强度微米、纳米级孪晶铜合金丝材的制备方法
CN108555104B (zh) * 2018-01-09 2023-09-19 南京航空航天大学 含钛双金属板材制备复合管的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130B1 (ko) 2003-11-24 2006-05-15 한국기계연구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0611721B1 (ko) 2003-11-24 2006-08-10 한국기계연구원 나노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4230A (ko) * 2008-08-25 2010-03-05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합금기지 나노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23037A (ko) * 2009-05-14 2010-11-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탄소나노튜브 복합재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130B1 (ko) 2003-11-24 2006-05-15 한국기계연구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0611721B1 (ko) 2003-11-24 2006-08-10 한국기계연구원 나노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4230A (ko) * 2008-08-25 2010-03-05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합금기지 나노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23037A (ko) * 2009-05-14 2010-11-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탄소나노튜브 복합재 제조 방법 및 그 복합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03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2382B (zh) 高熵合金絲及多主元合金絲,及其預形成物、製造方法和應用
KR101242249B1 (ko) 이중구조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 용접용 팁
CN104889186B (zh) 一种ZrTiAlV合金电场辅助正反复合挤压成形方法
CN105869778B (zh) 一种高强度高电导率铜铌多芯复合线材的制备方法
US4045644A (en) Welding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CN108000060B (zh) 一种多尺度析出异构铝合金棒材的制备方法
CN100495585C (zh) 氧化铝弥散铜与铬铜合金的组合材料的制造方法
CN106735844A (zh) 用于异种金属旋转摩擦焊的包套结构及旋转摩擦焊方法
KR101403796B1 (ko) 스파크 플러그의 전극 및 그 제조방법, 및 스파크 플러그 및 스파크 플러그의 제조방법
CN102500615B (zh) 一种制造钨铜合金棒丝材的方法
KR20130061189A (ko)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부품, 및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스프링
CN104380412B (zh) 接触组件及其生产方法
CN104245982A (zh) 镁合金部件及其制造方法
US1158392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clad section, and aluminum alloy clad section produced by same method
US10207355B2 (en) Welding electrod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JP7008391B2 (ja) 押出複合材の製造方法
US10300531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s, composite wires, and welding electrodes
DE10210421B4 (de) Elektrodenelement für Plasmabrenn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JP2006193765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部材の製造方法
JP2014001427A (ja) 焼結部品の製造方法
CN109201769B (zh) 一种铬锆铜微孔管的加工方法及铬锆铜微孔管
JP2006255765A (ja) 貫通孔付きねじ部品の製造方法
JP7000145B2 (ja) 押出複合材の製造方法
JP4212363B2 (ja) 銅複合材の製造方法
JP3002446U (ja) 燒結超硬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