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006B1 -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 - Google Patents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006B1
KR101242006B1 KR1020100109202A KR20100109202A KR101242006B1 KR 101242006 B1 KR101242006 B1 KR 101242006B1 KR 1020100109202 A KR1020100109202 A KR 1020100109202A KR 20100109202 A KR20100109202 A KR 20100109202A KR 101242006 B1 KR101242006 B1 KR 10124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t
container
raw material
raw materials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558A (ko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김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문 filed Critical 김재문
Priority to KR102010010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0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수용하여 일정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원료 수용용기와, 원료 수용용기 내부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원료 수용용기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격리시켜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가 분리된 상태로 동일 높이로 수용되도록 하는 격리부재와, 원료 수용용기에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투입 후 격리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된 복수의 커틀렛 주원료들이 격리부재 분리 후 투입되는 식용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원료 수용용기를 내부공간 쪽으로 압착하여 조여주기 위한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틀렛 제조장치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커틀렛 원료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원하는 넓이로 배치되도록 된 커틀렛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UTTLET AND THE CUHHLE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틀렛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주원료를 서로 혼합되지 않고 분리되도록 하여 하나의 커틀렛으로 제조할 수 있는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에 관한 것이다.
돈까스의 기원은 독일, 오스트리아, 체코 등지에서 즐겨먹은 서양요리인 포크 커틀렛(pork cuttlet)에서 비롯되었다.
이 포크 커틀렛은 현재와는 다르게 소량의 기름으로 굽는 요리였으나, 일본으로 유입되면서 두께를 두껍게 해 빵가루로 튀김옷을 입혀 일본식 간장, 물엿 소스가 곁들여진 일본요리로 되었다. 그리고 일본요리로 정착한 돈까스의 초기 명칭은 포크 까스레쓰로 불렸고, 이 제조방법은 2~3cm의 두께의 고기를 소위 덴뿌라처럼 기름에 튀긴 것이 특징이었다.
한국에는 이 돈까스가 1970년대 중반 레스토랑에서 선보이기 시작한 후, 일반인에게까지 보급되었고, 1990년대 초반부터는 냉동식품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및 전문점의 출현으로 현재 누구나 즐겨 먹을 수 있는 기호식품이 되었다.
이 돈까스의 주원료인 돼지고기는 쇠고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쇠고기에 비해 일반서민에게까지 빠르게 확산될 수 있었다. 이러한 돼지고기를 이용한 돈까스는 가격이 저렴하고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일 뿐만 아니라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일반가정에서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돈까스의 주원료로 쓰는 돼지고기와 같은 동물성 식품은 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더욱이 돼지고기의 지방성분이 튀김시의 고온에 의해 열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대인의 식생활이 다양해지고, 취향이 다양해짐에 따라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돈까스 즉, 커틀렛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돼지고기만을 주원료로 하지 않고,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치킨, 치즈, 야채, 감지, 고구마, 카레 등을 주원료 또는 보조원료로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커틀렛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원료를 이용한 커틀렛이 있으나, 한번에 한가지 종류의 주원료를 이용해서 커틀렛을 만들기 때문에, 한번에 다양한 종류의 커틀렛을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주원료를 이용한 커틀렛을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주원료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고 구분되도록 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대량으로 제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여러 종류의 주원료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된 커틀렛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틀렛 제조장치는,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수용하여 일정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원료 수용용기와; 상기 원료 수용용기 내부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원료 수용용기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격리시켜 상기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가 분리된 상태로 동일 높이로 수용되도록 하는 격리부재와; 상기 원료 수용용기에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투입 후 상기 격리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된 복수의 커틀렛 주원료들이 상기 격리부재 분리 후 투입되는 식용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원료 수용용기를 내부공간 쪽으로 압착하여 조여주기 위한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료 수용용기는, 일측은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일정넓이 오버랩 되어 심부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하단에는 바닥벽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용기외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용기외벽의 타측은 상기 조절유닛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1용기외벽의 외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마주하여 이격되도록 상기 제2용기외벽의 외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각각을 통과하도록 결합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가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조절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조정나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조정 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격리부재는, 상기 원료 수용용기의 내부공간을 격리시키도록 서로 연결된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격벽들이 연결된 중심에서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틀렛은,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수용하여 일정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원료 수용용기와; 상기 원료 수용용기 내부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원료 수용용기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격리시켜 상기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가 분리된 상태로 동일 높이로 수용되도록 하는 격리부재와; 상기 원료 수용용기에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투입 후 상기 격리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된 복수의 커틀렛 주원료들이 상기 격리부재 분리 후 투입되는 식용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원료 수용용기를 내부공간 쪽으로 압착하여 조여주기 위한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커틀렛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틀렛 제조장치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들이 서로 혼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커틀렛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커틀렛 주원료의 종류 즉, 가지 수에 상관없이, 원하는 비율로 조절하여 동일두께로 제조가 가능하며, 단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커틀렛 제조장치로 인하여, 비숙력자도 여러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이용한 커틀렛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틀렛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커틀렛은, 여러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균일하게 또는 일정한 비율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의 맛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틀렛 제조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용용기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격리부재를 수용용기 내부에 장착한 뒤 커틀렛 복수의 주원료를 채워넣은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격리부재를 분리한 뒤 식용접착제를 투입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커틀렛 성형물을 수용용기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틀렛 성형물을 슬라이스 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같이 커틀렛 성형물을 슬라이스 하여 얻어낸 커틀렛 내용물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틀렛 제조장치(100)는, 복수의 주원료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분리되게 구분되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일 커틀렛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커틀렛 제조장치(100)는, 복수의 주원료들을 수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다지기 위한 원료 수용용기(10)와, 상기 수용용기(10) 내부의 공간을 복수로 구분하여 복수의 주원료가 섞이지 않게 수용하여 다져질 수 있도록 하는 격리부재(20)와, 상기 수용용기(10)의 내경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용기(10)의 상단에는 개방된 입구가 마련되어 복수의 주원료를 수용용기(10) 내부로 넣을 수 있으며, 하단은 거의 막힌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수용용기(10)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은 일측에서 경첩(14)에 의해 상호 움직임(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일정넓이로 오버랩될 수 있게 연결된다. 즉, 경첩(14)이 설치된 일측의 반대방향의 타측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넓이 오버랩되어 심부(13)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용기외벽들(11,12)이 결합됨으로써,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통 형상의 수용용기(10)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심부(13)의 주변에는 상기 조절유닛(30)이 설치되어, 심부(13)가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절유닛(30)의 조절상태에 따라서 심부(13)의 넓이(범위)를 조절하여 수용용기(10)의 내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절유닛(30)에 대해서는 후에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 각각은 대략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하단에는 수용용기(10)의 막힌 바닥부분에 해당되는 바닥벽(11a,12a)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바닥벽들(11a,12a)은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으로 틈(G)이 바닥벽들(11a,12a)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격리부재(20)가 결합 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격리부재(20)의 분리 후에는 틈(G)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을 더 밀착시켜 조일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의 일측은 경첩(1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로를 벌어지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추후에 내부에서 형성될 커틀렛을 수용용기(10) 내부에서 쉽게 분리하여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의 일측은 경첩(14)에 의해 연결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연결수단 예를 들어, 클립, 볼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용기(10)가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용기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상부의 입구부터 하단까지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격리부재(20)는 수용용기(10) 내부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수용용기(10) 내부에 설치될 경우, 수용용기(10)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격리되도록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격리부재(20)는 복수의 격리벽(21,22,23,24)과, 격리벽들(21,22,23,24)의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손잡이(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격리벽들(21,22,23,24)은 서로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격리부재(20)가 4개의 격리벽들(21,22,23,24)을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커틀렛의 주원료의 가지 수에 따라서 다양한 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격리부재(20)는 격리벽들(21,22,23,24)의 수나 배치를 다르게 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는 구조로서 복수 구비될 수도 있어서, 커틀렛 제조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격리벽들(21,22,23,24) 중에서 일부(21,23)는 다른 격리벽(22,24)보다 하부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격리부재(20)를 수용용기(10) 내부에 넣을 때, 길게 형성된 격리벽(21,23)이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갭(G) 부분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격리부재(20)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격리부재(20)에 의해 갭(G) 부분이 막히도록 하여 커틀렛 원료가 캡(G)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수용용기(10) 내부에 격리부재(20)를 집어넣어서 내부를 4개의 공간으로 구분한 뒤, 각각의 공간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들을 넣은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격리부재(20)를 이용하여 복수의 커틀렛 주원료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수용용기(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담을 수 있으며, 격리벽들(21,22,23,24) 간의 간격에 의해서 각 커틀렛 원료들의 양 즉, 평면 넓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가지의 커틀렛 주원료로서 치킨(41), 야채(42), 치즈(43) 및 감자(44)를 사용하고, 동일한 양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조절유닛(30)은 수용용기(10)의 연결 상태를 더 조여주거나, 여유 있게 풀어주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심부(13)의 범위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다. 이러한 조절유닛(30)은 제1용기외벽(11)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연결부(31)와, 제2용기외벽(12)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연결부(31) 각각에 마주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연결부(33) 및, 제1 및 제2연결부(31,33) 각각에 연결되는 조정나사(35)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31,33) 각각은 수용용기(10)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느 한쪽의 연결부(31)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연결부(33)에는 조정나사(35)가 통과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연결부(31,33) 각각의 결합공 및 나사공에 상기 조정나사(35)를 결합함으로써, 제1용기외벽(11)과 제2용기외벽(12)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조정나사(35)를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서, 조정나사(35)가 제2연결부(33)의 나사공에서 회전되면서, 제2연결부(33)를 제1연결부(31)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접근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결국 수용용기(10)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정나사(35)의 외주에는 제2연결부(33)의 결합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링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조정나사(35)를 회전시켜 조정할 때, 제1연결부(31)만을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절유닛(30)을 구비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부재(20)를 분리한 공간에 식용 접착제(45)를 투입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41,42,43,44)가 식용 접착제(45)에 의해 견고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용기(10)를 화살표 방향으로 조여서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조절유닛(30)을 이용하여 커틀렛 주원료(41,42,43,44)가 소정의 시간 동안 압착되어 굳어질 수 있도록 외측에서 전체적으로 조여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빨리 커틀렛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주원료들(41,42,43,44)이 흐트러지지 않고 단단하게 연결되어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유닛(30)은 조정나사(35)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을 조여 주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수용용기(10)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조여 주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므로, 다양한 실시예에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틀렛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커틀렛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를 조립하고, 조절유닛(30)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용기외벽(11,12)이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한다.
그런 상태에서, 커틀릿의 주원료로 사용할 원료들을 선정하여 준비한다. 커틀렛 주원료의 수와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주원료의 수에 따라서 격리부재(20)를 다양하게 준비된 것 중에서 주원료의 수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커틀렛 주원료로서는 치킨(41), 야채(42), 치즈(43) 및 감자(44) 4가지를 미리 준비할 수 있다. 준비된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준비될 수 있으며, 주원료에 더해서 각종 양념이나 첨가물이 더해질 수 있으며, 그 가공방법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4가지의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이 준비되면, 도 3과 같이 격리부재(20)를 수용용기(10) 내부에 설치하여 4개의 공간으로 구분시킨다. 그리고 4개의 격리된 공간 각각으로 준비된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을 각각 주입한다.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이 수용용기(10)의 입구 부분까지 투입되거나 또는 원하는 높이까지 차게 되면, 격리부재(20)를 손잡이(25)를 잡고 수용용기(10)에서 빼내어 분리한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부재(20)를 빼내고 생긴 공간 즉,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 사이의 격리공간에 식용접착제(45)를 주입한다. 여기서 식용접착제(45)로는 친환경 재료인 전분질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식용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분질에 일정 점성이 유지되도록 물과 혼합한 상태에서, 상기 격리부재(20)를 빼낸 공간에 흘려 넣어서 투입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각각의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은 전분질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조정나사(35)를 회전시켜서 제1 및 제2용기외벽들(11,12)을 화살표 방향으로 조여지도록 하여, 수용용기(10) 내에 수용된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이 식용접착제(45)와 견고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형태로 굳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같은 상태를 일정 시간 경과시킨 뒤,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이 굳어지고, 식용접착제(45)에 의해 충분히 결합될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수용용기(10)로부터 식용접착제(45)에 의해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이 서로 결합된 형태의 소위 커틀렛 성형물(40)을 꺼낸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용기(10)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 즉, 원기둥형상의 커틀렛 성형물(4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커틀렛 성형물(4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50)을 이용하여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하게 되면, 원하는 두께 및 사이즈의 커틀렛 내용물(4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틀렛 내용물(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에 네 가지의 커틀렛 주원료들(41,42,43,44)이 동일한 면적 즉, 동일한 양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식용접착제(45)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형태를 유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커틀렛 내용물(40')의 외부를 커틀렛 외피 즉, 밀가루, 계란, 튀김가루 등을 혼합한 외피로 감싸서 최종적으로 커틀렛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틀렛 내용물(40')을 수용용기(10)로부터 분리할 때는, 조절유닛(30)을 완전히 분리하여 빼낼 수도 있고, 조절유닛(30)의 결합상태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수용용기(10)로부터 커틀렛 내용물(40')을 분리하여 빼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리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커틀렛 제조장치 10..수용용기
11,12..제1, 제2용기외벽 20..격리부재
21,22,23,24..격벽 30..조절유닛
31.33..제1, 제2연결부 35..조정나사

Claims (6)

  1.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수용하여 일정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원료 수용용기와;
    상기 원료 수용용기 내부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상기 원료 수용용기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격리시켜 상기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가 분리된 상태로 동일 높이로 수용되도록 하는 격리부재와;
    상기 원료 수용용기에 복수 종류의 커틀렛 주원료를 투입 후 상기 격리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된 복수의 커틀렛 주원료들이 상기 격리부재 분리 후 투입되는 식용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원료 수용용기를 내부공간 쪽으로 압착하여 조여주기 위한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틀렛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수용용기는,
    일측은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일정넓이 오버랩 되어 심부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하단에는 바닥벽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용기외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틀렛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용기외벽의 타측은 상기 조절유닛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틀렛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1용기외벽의 외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마주하여 이격되도록 상기 제2용기외벽의 외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각각을 통과하도록 결합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가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조절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조정나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조정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틀렛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는,
    상기 원료 수용용기의 내부공간을 격리시키도록 서로 연결된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격벽들이 연결된 중심에서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틀렛 제조장치.
  6. 삭제
KR1020100109202A 2010-11-04 2010-11-04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 KR10124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02A KR101242006B1 (ko) 2010-11-04 2010-11-04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02A KR101242006B1 (ko) 2010-11-04 2010-11-04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58A KR20120047558A (ko) 2012-05-14
KR101242006B1 true KR101242006B1 (ko) 2013-03-11

Family

ID=4626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202A KR101242006B1 (ko) 2010-11-04 2010-11-04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0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524A (ko) * 2004-06-19 2004-07-07 우석균 멀티 테마 피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524A (ko) * 2004-06-19 2004-07-07 우석균 멀티 테마 피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58A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39241B (zh) 用于制备和呈递食品的系统
KR102082841B1 (ko) 떡볶이 핫도그의 제조방법
US20070110884A1 (en) Additive for meat product, meat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09126062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композиция пельменей с порциями начинки различного состава, а также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ов их приготовления
KR20150017823A (ko) 다양한 맛과 영양을 갖는 핫도그의 제조방법
KR101242006B1 (ko) 커틀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틀렛
US20100055258A1 (en) Bread Product
JPH09299026A (ja) 圧着成型チーズ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669665A (zh) 一种方便米饭快餐及其使用的菜肴饼制作方法
US20060182852A1 (en) Convenient high protein sandwich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213404774U (zh) 一种蛋黄肉肠及其生产设备
KR101857194B1 (ko) 육고기 말이식 핫도그 제조 방법 및 육고기 사각 슬라이스 제조 방법
KR20140128283A (ko) 튜브형 핫도그의 제조방법
US20200305478A1 (en) Stuffed fritter foods
EP1221285B1 (en) Method of producing spitfuls of foodstuff automatically
KR20190081167A (ko) 내부 충진형 음식물을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
US20030044510A1 (en) Meat patty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1126267B1 (ko) 도넛형 가공육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공육
KR102552409B1 (ko) 토핑을 포함하는 만두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217942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plant-based food products
CN101912089A (zh) 浮饺及其制备方法
CN202445072U (zh) 酥皮烤饭
US20210153511A1 (en) Method and product for imparting the texture of fresh foods to frozen foods
RU262066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улинарного изделия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AU2005220234A1 (en) Additive for meat product, meat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