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868B1 -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868B1
KR101241868B1 KR1020050091710A KR20050091710A KR101241868B1 KR 101241868 B1 KR101241868 B1 KR 101241868B1 KR 1020050091710 A KR1020050091710 A KR 1020050091710A KR 20050091710 A KR20050091710 A KR 20050091710A KR 101241868 B1 KR101241868 B1 KR 10124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body
detergent box
box assembly
detergent
laundry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809A (ko
Inventor
류재철
조한기
윤종순
장호성
손창우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8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원활한 세제의 공급이 가능하며, 세제의 잔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세제 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후면 저부에는 세탁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고, 그의 저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디스펜서 바디;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내부에 수납되면서 각종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세탁 장치, 세제 박스 어셈블리, 디스펜서 바디, 와류 방지

Description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dispenser assembly of laundry devic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 중 디스펜서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 중 디스펜서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 중 디스펜서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 중 디스펜서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 중 디스펜서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디스펜서 바디 111. 유출관
112. 벨로우즈 113. 경사면
114. 오목부 115. 가이드턱
116. 와류 방지부 117. 단차진 부위
120. 세제 박스 122. 유출공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활한 세제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제 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펄세이터 세탁기와, 상기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세탁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있기 때문에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낙하 방식으로써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드럼 세탁기의 구성 중 기존의 세제 박스 어셈블리는 세탁에 사용되는 다양한 세제를 급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종래의 세제 박스 어셈블리는 벨로우즈(12)에 의해 터브(2)와 연통되는 디스펜서 바디(10)와, 상기 디스펜서 바디(10) 내부에 서랍식으로 수납되면서 각종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박스(20) 및 상기 세제 박스(20)의 각 세제가 수납된 공간으로 세탁수를 제공하는 세탁수 디스펜서(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 바디(10)는 그 후방측 저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유출관 (11)이 외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출관(11)에는 상기 벨로우즈(12)가 연결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기존의 일반적인 세제 박스 어셈블리의 디스펜서 바디(10)는 세제를 함유한 세탁수가 유입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유출관(11)에 이르기까지가 수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세탁수의 급수가 중단되어 수류가 약해질 경우 세제가 미처 유출되지 못하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10)의 내부에 잔존하게 된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세제 및 세탁수는 그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10)의 후벽면에 부딪혀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디스펜서 바디(10)의 내측 전방측에는 상기한 와류로 인해 세탁수의 일부가 제공되고, 이 세탁수에 함유된 세제는 상기 유출관(11)을 통해 유출되지 못하여 해당 부위에 잔존하였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바디(10) 내의 각 부위 중 상기 유출관(11)이 형성된 후방측에도 상기 세제를 함유한 세탁수가 미처 유출되지 못하고 상기 유출관(11)의 입구측 주위에도 상기 세제가 잔존하였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 박스 어셈블리의 디스펜서 바디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원활한 세제 및 세탁수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 바디에 세제가 잔존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제 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제 및 세탁수가 유출되는 도중 와류 생성을 최대한 방지하여 보다 원활한 세제 및 세탁수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제 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후면 저부에는 세탁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고, 그의 저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디스펜서 바디;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내부에 수납되면서 각종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는 크게 디스펜서 바디(110)와, 세제 박스(120)와, 세탁수 디스펜서(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먼저,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는 전면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되며, 세제 박스(120)가 수납됨과 동시에 세제가 함유된 세탁수를 터브(2) 내로 급수되도록 안 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후면 저부에는 세탁수가 유출되는 유출관(111)이 수평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출관(111)에는 터브(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벨로우즈(112)가 결합된다.
상기한 유출관(111)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를 후방에서 봤을 때 어느 한 측편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며, 특히 상기 유출관(111)이 우측편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좌측편 저부에 터브(2)의 둘레면이 위치되게 때문에 상기 벨로우즈(112)를 결합할 때 상기 터브(2)로 인해 간섭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유출관(111)은 어느 곳이든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는 측면에서 볼 때 그의 저면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한 경사 구조는 세탁수가 유출관(111)으로 최대한 원활히 유동되게 함으로써 급수가 중단되더라도 자중에 의해 상기 세탁수가 상기 유출관(111)으로 흘러내려 유출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측 공간이 그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벽면 양측에 후방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경사면(113)을 형성함으로써 달성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한 경사면(113)은 상기 디스 펜서 바디(110)의 저부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형상은 세탁수의 유동이 유출관(111)을 향해 집중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세탁수가 유출관(111)을 향해 집중되어 흐름으로써 세탁수가 완전히 유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세제가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면에 잔존됨은 방지된다.
이때, 상기 공간의 폭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전방측 공간이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후방측 공간에 비해 적어도 1.5∼3배 정도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전방측 공간이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후방측 공간에 비해 1.5배 이하이거나 3배 이상일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에는 수류의 집중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부 저면 중 유출관(111)이 형성되는 부위에 오목부(114)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오목부(114)는 저부로 라운드지면서 요입되게 형성된 부위이다.
상기한 오목부(114)는 세탁수의 급수가 중단되더라도 상기 유출관(111) 근처에 잔존하는 세탁수 및 이에 함유된 세제가 상기 오목부(114)의 라운드 면을 따라 최대한 상기 유출관(111)으로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하여 해당 부위에 세제의 잔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특히, 상기 오목부(114)는 실질적으로 상기 유출관(110)의 시작단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120)를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세제 박스(120)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부에 수납되면서 각종 세제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세제 박스(120)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부를 향해 서랍식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양측면 상단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세제 박스(120)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턱(115)에 얹힌 상태로 그 이동이 지지되는 지지가이드(도시는 생략됨)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박스(120)는 내부에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세제가 서로 격리된 상태로 저장되도록 다수의 공간이 구획되게 형성되고, 그의 후면 저부에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로 세탁수가 유출되는 유출공(12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수 디스펜서(130)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세탁수 디스펜서(130)는 상기 세제 박스(120)의 각 세제가 저장된 공간으로 세탁수를 선택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세탁수 디스펜서(130)의 구조는 기존의 일반적인 세탁수 디스펜서의 구조와 동일하며, 도면에서는 해당 구성에 대한 상세 도시를 생략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에 의해 세제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세제 박스(120) 내에 세제가 공급되면,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세제 박스(120)를 디스펜서 바디 내에 수납한다.
이의 상태에서, 세탁이 진행되면 급수 밸브(3)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고, 상기 급수된 세탁수는 세탁수 디스펜서(130)를 통해 상기 세제 박스(120) 내의 세제가 공급된 공간으로 제공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세제는 상기 세탁수와 함께 상기 세제 박스(120)의 후면에 형성된 유출공(122)을 통해 디스펜서 바디(110) 내로 유출되고, 계속해서 유출관(111) 및 벨로우즈(11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터브(2) 내부로 급수된다.
이때, 세제 및 세탁수가 상기 유출관(111)을 통해 유출되는 도중에는 상기 세탁수는 소정의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저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유출관(111)이 형성된 부위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전방측으로 일부 유동된다 하더라도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경사진 저면을 타고 흘러 내리면서 상기 유출관(111)으로 원활히 유출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부는 경사면(113)에 의해 그 후방측(유출관이 형성된 측)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 내로 유출된 세제 및 세탁수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벽면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113)을 따라 전방측 하부로 모여지면서 유동된다.
이로 인해, 세탁수는 특정 부위(유출관이 형성된 부위)로 집중됨에 따라 해당 부위의 디스펜서 바디(110) 내의 저면에는 세제가 잔존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한 부위(유출관이 형성된 부위)에는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수의 급수가 중단되어 세탁수의 유동이 급격히 줄어들거나 완전히 중단된다 할지라도 상기 세제 및 세탁수는 유출관(111)으로 원활히 흘러 내려 해당 부위에 세제가 잔존하게 되는 현상은 완전히 방지된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의 디스펜서 바디(110)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의 디스펜서 바디(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류 방지부(116)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와류 방지부(116)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한 와류 방지부(116)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내측 저면 전 부위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지만, 대략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전방측 중 일부에만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전방측 중 일부라 함은 세제 박스(120)를 통해 디스펜서 바디(110) 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유출관(111)으로 곧장 유출되지 못하고 와류를 발생하면서 유동되는 부위이다.
상기 와류 방지부(116)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 내의 전방측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유동하는 세탁수를 가로막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류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와류 방지부(116)의 높이는 세탁수의 유동을 가로막아 와류가 저감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와류 방지부(116)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와 별개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일체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사출을 위해 존재하는 게이트(GATE)를 이용하여 형성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와류 방지부(116)는 별도의 금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결국, 전술한 와류 방지부(116)에 의해 세탁수가 유출관(111)을 통해 유출되는 도중 와류가 생성됨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와류로 인해 세제가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후방으로 유동되거나 혹은, 상기 와류로 인해 유출관(111)이 형성된 부위에서 세제가 배출되지 못함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의 디스펜서 바디(110)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의 디스펜서 바디(110)는 그 전방으로 갈수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 절곡된 단(段)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단차지는 부위(117)는 대략 디스펜서 바디(110)의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유출관(111)이 형성된 부위에 가까이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출관(111)이 형성된 부위에서 세탁수가 와류를 형성하더라도 상기 단차진 부위(117)에 의해 와류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더욱이,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저면은 상기 단차진 부위(117)를 기준으로 상측 단(전방측 부위)과 하측 단(후방측 부위)의 경사 각도가 다르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디스펜서 바디(110)의 저면 중 상기 상측 단의 경사 각도는 상기 하측 단의 경사 각도에 비해 크게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출관(111)의 형상이 수평한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하측 단과 상기 유출관(111) 간의 만나는 부위가 급격한 각도로 절곡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상측 단과 상기 하측 단의 경사 각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의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세제 박스 어셈블리의 구조에 의해 아래와 같은 각종 효과를 얻게 된다.
첫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바디의 저면을 유출관이 위치된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세제 및 세탁수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상기 디스펜서 바디에 세제가 잔존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바디 내 의 양측에 유출관이 위치된 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협소해지도록 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세제 및 세탁수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바디 내에 와류 방지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세제 및 세탁수가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도중 와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원활한 세제 및 세탁수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박스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바디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段)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와류의 발생 및 세제의 잔존 현상을 보다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2)

  1. 후면 저부에는 세탁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고, 그의 저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벽면 양측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디스펜서 바디;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내부에 수납되면서 각종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경사진 저면은 전방측의 상기 유출관이 형성된 부위 가까이에 하향 절곡된 단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바디는 경사진 저면 전방측의 와류 발생 부위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류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내측 공간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저부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를 후방에서 봤을 때 어느 한 측편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상기 디스펜서 바디를 후방에서 봤을 때 우측편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내부 저면 중 상기 유출관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저부로 요입된 오목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방지부는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저면은
    상기 단차진 부위를 기준으로 상측 단과 하측 단의 경사 각도가 달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바디의 저면 중 상기 상측 단의 경사 각도는 상기 하측 단의 경사 각도에 비해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KR1020050091710A 2005-09-30 2005-09-30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KR10124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710A KR101241868B1 (ko) 2005-09-30 2005-09-30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710A KR101241868B1 (ko) 2005-09-30 2005-09-30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809A KR20070036809A (ko) 2007-04-04
KR101241868B1 true KR101241868B1 (ko) 2013-03-11

Family

ID=3815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710A KR101241868B1 (ko) 2005-09-30 2005-09-30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509B1 (ko) * 2015-12-09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N112824580A (zh) * 2019-11-21 2021-05-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的进水盒和洗衣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2622A (en) * 1978-05-30 1979-12-19 Domar Sa Improvements in detergent feeders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EP0758031A1 (de) * 1995-08-07 1997-02-12 Bosch-Siemens HausgerÀ¤te GmbH Waschmittel-Einspüleinrichtung
KR20000002183A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20040105343A (ko) * 2003-06-07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EP1568814A1 (en) * 2004-02-27 2005-08-31 Whirlpool Corporation Detergent dispenser for a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2622A (en) * 1978-05-30 1979-12-19 Domar Sa Improvements in detergent feeders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EP0758031A1 (de) * 1995-08-07 1997-02-12 Bosch-Siemens HausgerÀ¤te GmbH Waschmittel-Einspüleinrichtung
KR20000002183A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20040105343A (ko) * 2003-06-07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EP1568814A1 (en) * 2004-02-27 2005-08-31 Whirlpool Corporation Detergent dispenser for a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809A (ko)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919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8230705B2 (en) Fluid detergent and fabric softener box assembly for laundry machine and detergent dispenser having the same
KR101082564B1 (ko) 세탁기의 디스펜서
US7313934B2 (en) Detergent injecting device for washer
RU2324025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AU2005200380B2 (en) Detergent-supply system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102397435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7440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US9487903B2 (en) Washing machine soap and chemical dispenser with improved flushing
KR101384759B1 (ko) 세탁기
KR101241868B1 (ko) 세탁 장치용 세제 박스 어셈블리
KR10146430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094929B2 (ja) 洗濯機
KR100987447B1 (ko)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
KR100987446B1 (ko)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
KR102487866B1 (ko) 세탁기
JP7142211B2 (ja) 洗濯機
KR101125563B1 (ko) 세제 잔류 방지용 돔을 구비한 드럼 세탁기의 세제통
KR200464781Y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20100042988A (ko) 드럼세탁기
KR100677244B1 (ko) 증기분사식 세탁기의 일체형 분사장치
KR100782977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102436709B1 (ko) 세탁기
KR100720572B1 (ko) 냉온수 분리급수형 디스펜서가 장착된 세탁기
KR100429644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