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440B1 -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440B1
KR102397440B1 KR1020170037135A KR20170037135A KR102397440B1 KR 102397440 B1 KR102397440 B1 KR 102397440B1 KR 1020170037135 A KR1020170037135 A KR 1020170037135A KR 20170037135 A KR20170037135 A KR 20170037135A KR 102397440 B1 KR102397440 B1 KR 10239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 water
water
diaphragm
dis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031A (ko
Inventor
황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to KR102017003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440B1/ko
Priority to US15/920,025 priority patent/US20180274152A1/en
Priority to CN201810229456.3A priority patent/CN108625105A/zh
Publication of KR2018010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4Surface aerating
    • B01F23/2341Surface aerating by cascading, spraying or projecting a liquid into a gaseous atmosphere
    • B01F23/23412Surface aerating by cascading, spraying or projecting a liquid into a gaseous atmosphere using liquid falling from orifices in a gaseous atmosphere, the orifices being exits from perforations, tubes or chimn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3Mixing tubes wherein the shape of the tube influences the mixing, e.g. mixing tubes with varying cross-section or provided with inwardly extending profiles
    • B01F25/4332Mixers with a strong change of direction in the conduit for homogeniz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3Mixing tubes wherein the shape of the tube influences the mixing, e.g. mixing tubes with varying cross-section or provided with inwardly extending profiles
    • B01F25/4337Mixers with a diverging-converging cross-se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1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gases, e.g. air or steam, introduced into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505Mixing ingredients comprising detergents, soaps, for washing, e.g. wa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 상기 캐비닛에 제공되고,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유닛; 상기 외조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메인 배수 호스;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세탁 공간으로 공급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는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시키는 용해 유닛과,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상기 메인 배수 호스로 배출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용해 유닛에 연결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WASHING MACHINE, GENERATOR FOR MICRO-BUBBLE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FOR WASHING WATER INCLUDING MICRO-BUBBLE}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세제는 보통 세탁수와 함께 투입되고, 세탁 과정 중 세탁수에 용해되어 소정의 화학적 작용을 함으로써 세탁물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한다. 그런데, 세탁수의 온도 및 양, 투입된 세제의 양 등에 따라 세제가 세탁수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고 세탁물에 잔류할 수 있다. 세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음에 따라 세척 작용이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오염물질이 세탁물에 잔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탁물에 잔류하게 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며,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을 없애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 예로 미세 기포를 이용한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미세 기포란 직경이 수 마이크로 미터 크기 또는 수 나노 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기포로서 수중에서 완전 용해되어 소멸되는 특성을 갖는 기포이다. 구체적으로, 미세 기포는 일반적으로 직경 50㎛ 이하의 마이크로 버블, 마이크로/나노 버블(직경 10nm 이상 1㎛ 미만), 및 나노 버블(직경 10nm 미만) 등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기포는 높은 내부 압력을 갖고 있으므로, 미세 기포가 수중에서 터지는 경우 주변의 세탁물에 충격을 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은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세탁기 내에는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되는데, 미세 기포 생성기로는 컴프레서, 펌프 등 기포 생성을 위해 직접적으로 별도의 동력 장치를 이용하는 것과, 동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유동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동력 장치를 사용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야 하는 고성능의 동력 장치를 이용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비싸며, 소음 및 진동이 심할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생산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에 반해, 동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미세 기포 생성기는 구조가 단순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며, 소음 및 진동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세탁기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동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미세 기포 생성기로서, 세탁수의 급수압을 이용해 기체를 세탁수에 용해시키고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소정의 형상을 갖는 유로를 통과시킴으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기포 생성기는 미세 기포의 공급이 완료된 후, 일 예로 내조로의 세탁수 공급이 완료되어 세탁 과정이나 헹굼 과정 등 소정의 과정이 시작된 후, 기체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는 용해 탱크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호스를 통해 배수할 수 있다.
용해 탱크로부터의 배수를 조절하기 위해 배수 밸브가 요구되는데, 종래의 배수 밸브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전기를 이용한 것이 사용되어 전체적인 제조 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708597호(2017.02.14.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미세 기포 생성기를 구성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신뢰성 있게 동작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 상기 캐비닛에 제공되고,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유닛; 상기 외조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메인 배수 호스;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세탁 공간으로 공급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는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시키는 용해 유닛과,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상기 메인 배수 호스로 배출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용해 유닛에 연결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용해 유닛에 연결되는 용해 유닛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는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해 유닛 연결부의 입구와 출구, 및 상기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는,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노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제공되고,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을 갖는 캐비닛 커버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미세 기포의 생성 직후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부로 토출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용해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조에 수용된 세탁수의 배수 여부를 제어하는 메인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메인 배수 호스의 상기 메인 배수 밸브의 후류에 위치하는 지점에 세탁수를 토출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기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킨 후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에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로서, 세탁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된 기체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는 용해 유닛;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고, 상기 내조로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를 토출하는 노즐 유닛; 및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메인 배수 호스로 배수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용해 유닛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는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해 유닛 연결부와 상기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바디; 상기 용해 유닛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급수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에는 상기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 지지부가 수용되는 다이어프램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다이어프램 수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다이어프램 수용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에 가압되는 개스킷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2 홀을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 상기 차폐부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상기 다이어프램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차폐부를 연결하고, 세탁수의 급수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용해 유닛 연결부 측으로 돌출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 지지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요동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고정되는 지지리브; 및 상기 지지리브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다이어프램 지지부에 후크 결합되어 고정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서로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세탁수의 급수압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클 때에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홀을 차폐하고,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에는 원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제2 홀을 개방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으로서, 급수 밸브 유닛을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단계; 용해 유닛에서 공급받은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하는 단계; 노즐 유닛이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쪼개어 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즐 유닛이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는 내조에 토출하는 단계; 및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으로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닛으로 세탁수가 기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 유닛의 내부에 제공된 다이어프램이 탄성 변형되어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 홀을 차단하고,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닛으로 세탁수가 기 설정된 압력보다 작은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이 원상 복귀되어 상기 제2 홀을 개방함으로써 배수가 이뤄지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상기 용해 유닛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용해 유닛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 유닛까지 이동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압력을 가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압력은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상기 용해 유닛으로의 세탁수 공급이 없는 경우,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 가능한 세탁수의 하중에 따른 압력인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미세 기포 생성기를 구성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신뢰성 있게 동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 기포 생성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용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용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노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캐비닛 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9의 캐비닛 커버에 노즐 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방진 고무와 볼트가 결합된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2의 배수 유닛의 분해 사시도다.
도 11은 도 2의 배수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캐비닛(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세탁기(1)를 지지하는 베이스(12),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캐비닛 커버(14) 및 캐비닛 커버(14)에 결합되어 캐비닛의 개방부를 차폐 또는 개방할 수 있는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세탁물의 투입 방향에 따라 세탁물을 상방에서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 등으로 나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탑 로딩 방식의 세탁기(1)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나 최근 출시되고 있는 복합형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세탁기(1)의 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측에는 세탁기(1)를 지지하는 베이스(12)가 제공될 수 있고,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캐비닛 커버(14)가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측에 제공된 캐비닛 커버(14)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141)(도 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 커버(14)에 도어(16)가 설치되고, 도어(16)는 세탁물을 투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투입홀(141)을 차폐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을 세탁기(1) 내로 투입하거나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인출할 때는 도어(16)를 열어서 세탁물을 투입 또는 인출할 수 있고, 세탁 과정을 진행 할 때는 도어(16)로 투입홀(141)을 덮어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캐비닛(10)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20)와, 외조(20)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2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조(20)와 내조(22)는 캐비닛(10) 내측에 수용되고, 외조(20)와 내조(2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조(22)는 외조(2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조(22)는 외조(20) 내측에서 외조(20)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내조(22)의 둘레에는 외조(2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내조(22)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을 통해 외조(20)와 내조(22)는 서로 유체 연통되어, 내조(22)의 세탁수가 외조(20)로 유동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외조(20)의 세탁수가 내조(22)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외조(20)와 내조(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와 같은 탑 로딩 타입의 세탁기(1)는 펄세이터(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24)는 내조(22)의 하부에 결합 또는 일체화되어 내조(22)의 저면을 이룰 수 있다. 펄세이터(24)는 내조(22)의 저면에 마련되어, 세탁 공간에 수용된 세탁수에 회전하는 유동 및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공간이란 외조(20) 내측 공간으로서 내조(22) 내측 공간을 포함하여,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펄세이터(24)는 기어 어셈블리(26)와 연결되어, 모터(28)의 회전력을 기어 어셈블리(26)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펄세이터(24)의 회전력에 의해서 방사상으로 강한 와류가 형성되고, 내조(22)에 수용된 세탁수와 세탁물이 강한 와류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내조(22) 내에서 방사상으로 강한 와류가 형성되는 세탁수에 의해서, 내조(22)와 외조(20) 사이에 수용된 세탁수는 상측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수는 외조(20)와 내조(22)를 포함하는 세탁 공간에서 세탁 시간 동안 순환되고, 와류가 형성되면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다만, 펄세이터(24)가 회전함에 따라 내조(22)가 함께 회전할 수도 있고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조(22)와 펄세이터(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펄세이터(24)가 회전함에 따라 내조(22)도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펄세이터(24)와 내조(22)가 별도로 마련되어 체결된 경우에는 펄세이터(24)만 회전하여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세탁기(1)가 펄세이터(24)를 포함하지 않는 드럼 세탁기와 같은 경우, 기어 어셈블리(26)와 모터(28)는 외조(20) 또는 내조(2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세제함(30), 급수 밸브 유닛(32), 메인 배수 호스(34) 및 메인 배수 밸브(3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30)은 서랍 형태로 형성되어, 캐비닛 커버(14)의 세제함 수용부(142)(도 7참조)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세제함(30)은 세제가 수용되는 공간과 유연제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을 수 있다. 세제함(30)의 개폐는 세탁기(1)의 내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제함(30)의 외측으로는 급수 밸브 유닛(32)이 연결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22)측을 내측이라 하고,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측을 외측이라 한다).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유닛(32)을 통해 세탁수가 세제함(30)으로 급수되고, 세제함(30)을 통해 세탁수가 내조(22)로 급수될 수 있다. 세탁수가 세제함(30)을 통해 내조(22)로 급수되므로, 내조(22)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유닛(32)은 캐비닛 커버(14)에 제공되고, 외부 호스(미도시됨)를 통해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유닛(32)은 사로 밸브(four way valve)(미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로 밸브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급수 밸브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 밸브와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수를 급수하는 미세 기포 급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 급수 밸브는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과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냉수 급수 밸브는 두 방향 밸브(two-way valve)로 형성되어, 하나는 세제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과 유체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유연제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과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미세 기포 급수 밸브는 미세 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용해 유닛(50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배수 밸브(36)는 외조(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외조(20)에 수용된 세탁수의 배수 여부를 제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배수 밸브(36)는 외조(20)의 하부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메인 배수 호스(34)는 메인 배수 밸브(36)와 연결될 수 있다. 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할 경우에는 메인 배수 밸브(36)를 개방하여 세탁수를 메인 배수 호스(34)를 통해 배수하고, 세탁을 진행하기 위해 세탁수를 급수 하고 있는 경우에는 메인 배수 밸브(36)를 폐쇄하여 외조(20)와 내조(22) 내에 세탁수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세탁기(1)는 제어부(40)와 조작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2)는 캐비닛 커버(14)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모터(28), 펄세이터(24), 급수 밸브 유닛(32), 조작부(4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부(42)를 통해 세탁 코스, 세탁 시간 등을 설정하면, 제어부(40)는 모터(28), 펄세이터(24), 급수 밸브 유닛(32) 등을 제어하여 설정에 대응하는 세탁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는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세탁 공간으로 공급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BG:bubble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기포 생성기(BG)는 용해 유닛(500), 노즐 유닛(600) 및 배수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미세 기포 생성기(BG)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급수 라인(L1), 공급 라인(L2), 제1 배수 라인(L3) 및 제2 배수 라인(L4)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라인(L1)은 용해 유닛(500)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고, 공급 라인(L2)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노즐 유닛(6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 라인(L3)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700)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제2 배수 라인(L4)은 배수 유닛(700)으로부터 세탁수를 메인 배수 호스(34)로 제공할 수 있다.
용해 유닛(500)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체는 용해 유닛(500)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용해 유닛(500)에 연결되거나 용해 유닛(500)과 함께 제공된 소정의 기체 제공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용해 유닛(500)은 급수 밸브 유닛(32)과 연결되어 있는 급수 라인(L1)을 통해 세탁수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동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급수 라인(L1)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급수압을 이용하여 세탁수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용해 유닛(5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기체는 용해 유닛(500)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용해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세탁수 내부에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라인(L2)을 통해 공급 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에서 기체가 세탁수에 용해됨에 따라 생성된 기포를 쪼개어 미세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 유닛(600)은 투입홀(141)의 둘레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미세 기포의 생성 직후 바로 내조(22)의 내부로 도출할 수 있다. 노즐 유닛(600)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는 시간이 지나거나 소정의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경우 점차 사라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노즐 유닛(600)에서 미세 기포를 생성하자 마자 바로 내조(22)의 내부로 토출할 경우, 미세 기포의 소멸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세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에 의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수 유닛(700)은 용해 유닛(500) 및 노즐 유닛(600)을 통한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용해 유닛(500) 내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유닛(700)은 제1 배수 라인(L3)을 통해 용해 유닛(500)과 연결되고, 제2 배수 라인(L4)을 통해 메인 배수 호스(3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700)은 용해 유닛(50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메인 배수 호스(34)로 배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기포 생성기(BG)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2는 도 1의 미세 기포 생성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용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용해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노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캐비닛 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9의 캐비닛 커버에 노즐 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방진 고무와 볼트가 결합된 노즐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2의 배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2의 배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미세 기포 생성기(BG)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해 유닛(500), 노즐 유닛(600), 및 배수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용해 유닛(500)은 세탁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된 기체를 세탁수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해 유닛(500)은 캐비닛(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과 외조(20) 사이에 배치되며, 진동이 크게 발생되는 외조(20)로부터 이격되도록 캐비닛(10)의 내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간격이 좁은 외조(20)와 캐비닛(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용해 유닛(5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서 중력 방향을 의미하고, 이를 수직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수평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용해 유닛(500)은 급수 밸브 유닛(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 유닛(500)의 상측에 급수 밸브 유닛(32)이 배치되어,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용해 유닛(500)으로의 방향이 중력 방향을 이루게 되어,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용해 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도 중력 방향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세탁수의 공급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해 유닛(500)은 외통(510)과, 외통(510) 내에 마련되는 내통(520), 및 외통(5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5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외통(510)은 상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기체 및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기체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용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용해 공간이란, 외통(510) 내부에서 세탁수와 기체가 만나 기체의 용해 작용이 일어나는 공간을 말한다. 이와 같은 외통(510)은 노즐 유닛 연결부(512), 배수 유닛 연결부(514), 캐비닛 고정부(516), 및 공급 라인 고정부(518) 및 캡 고정부(519)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유닛 연결부(512)는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노즐 유닛(60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L2)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외통(5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외통(510)의 외주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외통(51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700)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배수 유닛 연결부(514)에는 제1 배수 라인(L3)이 연결되어, 외통(51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700)으로 배수할 수 있다. 특히,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외통(5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노즐 유닛 연결부(512)와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노즐 유닛 연결부(512)는 용해 유닛(5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노즐 유닛(600)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외통(510)의 하부에서 노즐 유닛(600)의 위치 방향에 따라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용해 유닛(5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수 유닛(700)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외통(51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배수 유닛 연결부(514)는 외통(51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외통(510)의 최하단부에 형성되며,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노즐 유닛 연결부(512)와 배수 유닛 연결부(514)의 위치와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비닛 고정부(516)는 캐비닛(10)에 용해 유닛(5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캐비닛(10)의 내측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일 수 있고, 외통(510)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급 라인 고정부(518)는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토출 위치로 안내하는 공급 라인(L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공급 라인 고정부(518)는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노즐 유닛(600)으로 제공하는 공급 라인(L2)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급 라인 고정부(518)는 외통(510)의 외주면에 공급 라인(L2)이 지나가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캡 고정부(519)는 외통(5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외통(510)과 캡(53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캡 고정부(519)는 외통(510)의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리브일 수 있다.
내통(520)은 용해 유닛(500)의 용해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통(520)은 외통(5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통(5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통(520)은 측면 및 하단부가 외통(5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내통(520)이 측면 및 하단부가 외통(5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통(520)의 일 측면은 외통(510)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타 측면 및 하단부가 외통(5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용해 공간이란, 외통(510) 내부에서 세탁수와 기체가 만나 기체의 용해 작용이 일어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외통(510) 내에 배치되는 내통(520)의 내부 공간도 포함한다.
특히, 내통(520)의 내부 공간의 부피는 외통(510)의 내부 공간의 부피의 1/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통(520)의 하단부는 외통(510)의 하단부로부터 외통(510)의 전체 길이의 1/3 지점 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해 유닛(500)에서 세탁수에 용해되는 기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통해 내통(520)으로 공급된 세탁수에 용해 공간내의 기체가 용해되어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기체의 용해는 내통(520)에서 오버플로우된 세탁수가 내통(520)과 외통(510)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며 이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외통(510)과 내통(520)의 부피 차가 커질수록 외통(510)에 기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및 기체가 용해되는 공간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내통(520)의 내부 공간의 부피가 외통(510)의 내부 공간의 부피의 1/2보다 작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내통(520) 내의 부피가 외통(510) 내의 부피의 1/2보다 작을 경우, 기체가 용해되기 위한 세탁수의 양이 감소하여 기포 발생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내통(520)은 오버플로우부(522) 및 잔수 배출홀(524)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부(522)는 내통(520)의 상단부에 내통(5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오버플로우 될 수 있도록 내통(5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오버플로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부(522)는 내통(520)의 상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리브들을 포함하고, 리브들의 사이 공간이 오버플로우 홀이 될 수 있다. 이때, 오버플로우부(522)의 상단부가 외통(510)의 상단부에 안착됨으로써 내통(520)이 외통(510)에 고정될 수 있다.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내통(520)으로 급수되고, 내통(520)에서 세탁수가 오버플로우되면, 오버플로우부(522)를 통해 내통(520)과 외통(510)의 사이의 용해 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용해 공간에서 기체와 세탁수가 용해되어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잔수 배출홀(524)은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노즐 유닛(600)으로 공급되고 난 후, 배수 유닛(700)으로 내통(52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형성된 홀이다. 잔수 배출홀(524)은 내통(520)의 최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잔수 배출홀(524)의 직경은 내통(520)의 상단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통(520)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공급량이 배수량보다 많게 되고, 내통(520)에서 세탁수가 오버플로우될 수 있다.
잔수 배출홀(524)은 외통(51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700)으로 연결하는 배수 유닛 연결부(514)의 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잔존하는 세탁수의 배출 과정에서, 내통(520)에 잔존하는 세탁수가 내통(52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잔수 배출홀(524)로 떨어지도록 하여, 바로 배수 유닛 연결부(514)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내통(520)의 잔존하는 세탁수가 배출 과정에서 외통(510)에 한번 더 잔존하지 않도록 하고, 배수 유닛 연결부(514)로 떨어져서 바로 배출될 수 있다.
캡(530)은 외통(510)의 상부와 체결되어, 외통(510)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다. 캡(530)과 외통(510)이 체결됨에 따라 용해 유닛(500)에 용해 공간에 기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기체의 이동이 차단되고, 따라서 용해 유닛(500)내에 기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캡(530)은 상술한 급수 라인 연결부(532)뿐만 아니라, 급수 방향 전환부(534), 에어 포켓부(536), 및 외통 고정부(5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 라인 연결부(532)와 급수 방향 전환부(534)를 포함하는 캡(530)은 외통(5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외통(510)을 차폐하고,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고,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방향을 내통(520)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급수 라인 연결부(532)는 급수 라인(L1)과 연결되어,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용해 유닛(5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라인 연결부(532)는 캡(53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탁수가 캡(530)의 내부로 수평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 유닛(5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적어도 1회 방향이 전환되어 급수 라인 연결부(532)로 수평 방향으로 급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수는 캡(530)의 수평 방향으로 급수 라인 연결부(532)로 진입된 후 방향 전환되어 수직 방향으로 내통(520)의 내측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급수 라인 연결부(532)의 토출측 단부에 연통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급수 라인 연결부(532)의 일 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환되어 연통되므로,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방향을 전환시켜 내통(52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내통(520)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급수되는 세탁수가 내통(520)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라인 연결부(532)와 급수 방향 전환부(534)는 'L'자 형상으로 90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L'자 형상은 급수 라인(L1)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급수 라인(L1)에서 내통(520)으로 바로 직분사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L'자 형상에 의해 세탁수가 꺽이면서 급수됨으로 인해 급수되는 세탁수가 균일하게 급수될 수 있다. 반면에, 급수 라인 연결부가'I'자형으로 형성될 경우, 세탁수는 급수 라인(L1)으로부터 직분사로 공급되게 되는데, 직분사로 공급될 경우 세탁수는 상대적으로 덜 균일하게 토출되고, 이에 의해 내통(520)에서의 세탁수의 오버플로우가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기체의 용해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세탁수가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일측 벽에 충돌되어 퍼지게 된 후 토출되므로, 상대적으로 내통(520)으로 균일하게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오버플로우에 의한 기체의 용해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뤄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급수 라인 연결부(532)는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상하 방향의 중간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급수된 세탁수는 수직 방향으로 꺽여서 형성되는 급수 방향 전환부(534)로 진입하여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내벽에 부딪히고,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상하 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수가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꺽여서 내통(520)으로 바로 분사되지 않고, 세탁수가 급수 방향 전환부(534)의 내벽에 부딪히며 상하 방향으로 퍼질 수 있으므로 흐름이 보다 균일해질 수 있다. 세탁수가 균일하게 내통(520)에 공급되므로 용해 공간의 기포가 세탁수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해 유닛(500)은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유입되는 세탁수를 한번 꺽어서 수평 방향으로 넣고, 다시 수직 방향으로 꺽어서 넣음으로 인해서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용해 유닛(500) 내부로의 직 분사가 방지될 수 있다.
에어 포켓부(536)는 급수 방향 전환부(534)에 대하여 급수 라인 연결부(532)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용해 유닛(5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기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포켓부(536)는 캡(530)의 상부에서 급수 방향 전환부(534)가 돌출되어 있는 높이까지 외통(510)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에어 포켓부(536) 내에는 기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에어 포켓부(536)를 통해 용해 유닛(500) 내에서 기체가 저장될 수 있는 부피가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체의 용해량이 증가될 수 있다.
외통 고정부(539)는 캡(530)과 외통(51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외통 고정부(539)는 캡(530)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캡 고정부(519)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리브일 수 있다.
따라서, 외통(510)과 캡(530)을 결합 고정 시키기 위해서, 외통(510)의 캡 고정부(519)에 캡(530)의 외통 고정부(539)를 끼울 수 있다. 캡 고정부(519)와 외통 고정부(539)가 체결되면서 외통(510)과 캡(530)이 밀폐될 수 있다. 다만, 캡 고정부(519)와 외통 고정부(539)는 리브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공급 받은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미세 기포로 쪼개거나, 기포의 양을 증가시켜 내조(22)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노즐 유닛(600)은 용해 유닛(500)과 연결되는 바디부(610), 미세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 생성부(620), 개스킷(630), 및 내조(22)로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를 토출하는 노즐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610)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를 포함하고, 용해 유닛 연결부(612)는 공급 라인(L2)과 연결되어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미세 기포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바디부(610)는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수는 바디부(610)의 내측에서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610)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 가압 공간(615), 및 노즐부 연결부(618)를 포함할 수 있다.
용해 유닛 연결부(612)는 공급 라인(L2)과 연결되어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노즐 유닛(60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는 가압 공간(615)과 연결되어, 기포 생성부(620)를 수용할 수 있다.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와 연통되며, 노즐부(640) 측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보다 직경이 커지도록 확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에는 기포 생성부(6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기포 생성부(620)의 크기와 모양 및 단면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는 기포 생성부(6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기포 생성부(620)가 삽입되고 난 후에 용해 유닛 연결부(612)와 기포 생성부(620) 사이에 가압 공간(615)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에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와 연결되는 일 단으로부터 기포 생성부(620)를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시켜 가압 공간(615)를 형성하기 위해,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의 기 설정된 거리의 위치에 단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 단턱에 기포 생성부(620)가 걸림으로써, 기포 생성부(620)가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에 삽입될 때 용해 유닛 연결부(612)와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가압 공간(615)은 이와 같이 용해 유닛 연결부(612)의 단부와 기포 생성부(620) 사이의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압 공간(615)의 일 단에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가 연결되어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가 가압 공간(6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압 공간(615)은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가압 공간(615) 내부에서 세탁수는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는 유로가 좁은 공급 라인(L2)을 지나, 공급 라인(L2)보다 단면적이 넓은 가압 공간(615)으로 진입하게 되어, 가압 공간(165)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기포 생성부(620)를 통과되기 전에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가 가압될 수 있다. 압력이 증가할수록 세탁수의 기포 생성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공간(615)에서 보다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의 압력을 증가시켜서 분해부(624)로 공급할 수 있다.
노즐부 연결부(618)는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둘레에 형성되고 노즐부(640)의 바디 연결부(648)와 연결되어, 바디부(610)와 노즐부(640)를 고정할 수 있다. 노즐부 연결부(618)는 바디부(610)와 노즐부(640)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노즐부 연결부(618)는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외주면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의 노즐 연결부(618)는 노즐부(64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의 노즐 연결부(618)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노즐부 연결부(618)는 후술할 노즐부(640)의 바디 연결부(648)와 체결되는데, 바디 연결부(648)의 하부가 상부보다 노즐 연결부(618)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바디 연결부(648)에 대응되도록 노즐부 연결부(618)는 하부보다 상부가 바디 연결부(648) 측으로 돌출 되고, 하부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노즐부 연결부(618)는 체결부재가 삽입 또는 관통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총 4개의 노즐부 연결부(618)는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의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 테두리를 이루고, 각 꼭지점에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기포 생성부(620)는 가압 공간(615)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기포 생성부 수용부(614)에 삽입된다. 기포 생성부(620)는 바디부(610)에 수용되는 하우징(622)과, 하우징(622) 내측에 하우징(622)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분해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622)에 4개의 분해부(624)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분해부(624)가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분해부(624)는 가압 공간(615)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직경이 넓어지는 관으로서, 하우징(622)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지시하는 것 일 수 있다. 분해부(624)는 하우징(622)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분해부(624)는 가압 공간(615)과 연통되고, 가압 공간(615)으로부터 분해부(624)로 진입되는 세탁수가 분해부(624)를 통과하며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분해부(624)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측 개구부를 분해부(624)의 입구(624a)라 하고, 분해부(624)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는 측 개구부를 출구(624b)라 한다. 입구(624a)와 출구(624b)는 중심이 서로 동일 선상에 있고, 입구(624a)는 출구(624b)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분해부(624)는 입구(624a)에서 출구(624b)로 확장되며 형성되어, 테이퍼진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기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탁수는 가압 공간(615)로부터 분해부(624)의 입구(624a)로 유입되어 출구(624b)로 배출될 수 있다. 가압 공간(615)과 연통된 입구(624a)의 직경이 가압 공간(615)의 직경보다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가압 공간(615)에서 입구(624a)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유속이 증가된 상태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점점 확장되어 가는 분해부(624)를 통과하며 세탁수의 유속이 감소함과 동시에 압력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가 쪼개어져 미세 기포가 생성되거나, 세탁수 내부에 새로운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개스킷(630)은 기포 생성부(620)의 분해부(624)의 출구 측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개스킷(630)은 노즐부(640)에 기포 생성부(620)가 삽입될 때, 노즐부(640) 내측에 기포 생성부(620)를 둘러쌈과 동시에 바디부(610)의 단부에 가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630)은 바디부(610)와 노즐부(64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고, 미세 기포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630)은 오링(o-ring)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노즐부(640)는 기포 생성부(620)가 바디부(610)의 내측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바디부(610)에 결합되고, 미세 기포를 내조(22)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640)는 제1 혼합 공간(642)을 형성하는 제1 부분(640a)과, 제1 부분(640a)에 연결되어 미세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를 내조(22)의 상부에서 토출하는 제2 부분(6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640a)와 제2 부분(640b)는 각각의 분해부(624)에서 토출되는 세탁수의 유동의 적어도 일부가 직분사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643, 645)를 구비하고, 분해부(624)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를 분해부(624)로부터 토출된 후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에 혼합시키는 미세 기포 혼합부(642, 64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640a)은 분해부(624)와 연통되고 하우징(622)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는 제1 혼합 공간(642)과, 제1 혼합 공간(642)을 따라 진행하는 세탁수의 흐름을 변경하는 제1 차단면(6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640b)은 제1 혼합 공간(642)과 연결되고, 제1 혼합 공간(64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 혼합공간(644)과, 제2 혼합 공간(644)을 따라 진행하는 세탁수의 흐름을 변경하는 제2 차단면(6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혼합 공간(642)과 제2 혼합 공간(644)은 최대한 유로를 넓히면서, 직분사를 방지하여 미세 기포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은 기포 생성부(6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통 형상으로서, 기포 생성부(6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은 분해부(624)에서 토출되는 미세 기포가 생성된 세탁수가 이미 분해부(624)로부터 토출된 후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에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분해부(624)를 경유하고 난 후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가 제1 혼합 공간(642)으로 토출되고,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 중 일부는 제1 혼합 공간(642)에 머무를 수 있다. 이때, 분해부(624)에서 계속해서 분사되고 있는 세탁수와 제1 혼합 공간(642)에서 머무르게 되는 세탁수가 부딪혀 혼합되며 세탁수 내의 기포가 더 쪼개지고, 미세 기포가 세탁수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제2 혼합 공간(644)은 제1 혼합 공간(642)으로부터 토출되는 세탁수가 일정 시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하며, 머무르고 있는 세탁수에 제1 혼합 공간(642)에서 빠르게 토출되는 세탁수가 부딪히면서 다시 한번 미세 기포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혼합 공간(644)은 제1 혼합 공간(64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혼합 공간(642)과 제2 혼합 공간(644)은 단턱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혼합 공간(642)에서 제2 혼합 공간(644)으로 이어지는 단턱의 일 측면이 제1 차단면(643)일 수 있다. 이때, 단턱은 분해부(624)의 입구(624a)의 중심과 출구(624b)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C)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차단면(643)은 제1 혼합 공간(642)의 측면으로부터 이어지게 형성되고, 분해부(624)의 출구(624b)면과 평행하거나 분해부(624) 측으로 돌출되게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단면(643)은 제1 혼합 공간(642)을 형성하는 일측면으로서, 노즐부(640)의 출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면(643)의 단부는 제1 혼합 공간(642)의 측면으로부터 분해부(624)의 중심선(C)의 연장선까지의 거리의 90% 내지 110%에 해당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차단면(643)의 단부가 분해부(624)의 중심선(C)의 연장선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1 차단면(643)이 형성됨으로써, 분해부(624)로부터 세탁수가 직분사되어 바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유로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하면서, 노즐부(640)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세탁수는 유로가 좁은 분해부(624)에서 유로가 넓어지는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나오면서 흐름이 느려지게 된다. 이때, 제1 차단면(643)은 흐름이 느려진 세탁수를 분해부(624)에서 제1 혼합 공간(642)과 제2 혼합 공간(644)으로 직분사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단면(643)에 의해 제1 혼합 공간(642)에서 흐름이 느려져서 임시로 머무는 세탁수와 분해부(624)에서 분사되어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히며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다시 분사되는 세탁수가 충돌하며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차단면(643)은 분해부(624)에서 토출되는 세탁수가 직분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도록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분사를 방지함으로써, 분해부(624)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가 미처 세탁수 내에 골고루 퍼지거나, 충분히 용해될 시간도 없이 바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혼합 공간(642)에서 추가의 미세 기포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정리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600)에 의하면, 용해 유닛(500)에서 유입된 기포는 분해부(624)의 입구(624a)에서 확관되는 출구(624b)를 통과하면서 흐름이 느려지는 동시에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기포는 미세 기포로 쪼개지고 기포가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분해부(624)를 경유하며 흐름이 느려진 미세 기포는 제1 혼합 공간(642)으로 토출 되고, 일부는 제1 혼합 공간(642)에서 느리게 제2 혼합 공간(644)으로 토출되고, 일부는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히며 직분사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힌 미세 기포는 제2 혼합 공간(644)으로 직분사되지 않고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분사되어, 제1 혼합 공간(642) 내에서 기포들 간에 충돌이 발생하여 미세 기포로 쪼개어지고, 기포의 생성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기포가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히면서 직 분사로 제2 혼합 공간(644)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1 차단면(643)에 의해 한번 더 미세 기포가 생성되기 때문에 미세 기포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는 제2 혼합 공간(644)으로 토출된다. 제2 혼합 공간(644)은 미세 기포가 내조(22)내로 토출되는 토출 위치까지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출 위치로 가이드 하는 부분에 제2 차단면(64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에서 토출되는 미세 기포가 제2 차단면(645)에 부딪히며 직분사가 한번 더 방지될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에서 기포 상태로 토출된 기포들이 제2 차단면(645)과 충돌하면서 미세 기포로 쪼개지며 미세 기포 발생량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면(645)가 토출 위치에 마련되어있으므로, 제2 차단면(645)에서 토출되는 미세 기포들은 바로 내조(22)내로 공급될 수 있다. 더불어, 노즐부(640)는 토출부(646), 바디 연결부(648), 및 노즐 유닛 고정부(6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646)를 통해 미세 기포가 용해된 세탁수가 세탁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부(646)는 토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더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토출부(646)의 내측면이 제2 차단면(645)일 수 있다. 또한, 토출부(646)는 내조(22) 내부로 향하도록 제2 혼합 공간(644)에서 내조(22)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단면(645)은 이에 대응되도록 내조(22)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646)는 내조(22) 측으로 경사를 가지며 확산되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조(22)로 배출되는 미세 기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 연결부(648)는 노즐 유닛(600)의 유로의 수직 방향으로 노즐부(640)의 일 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면을 포함하고, 연장 형성된 면에 바디부(610)의 노즐 연결부(6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에는 체결부재가 관통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 연결부(648)를 바디부(610)의 노즐 연결부(618)와 접촉시키고,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삽입 또는 관통하여 바디부(610)와 노즐부(640)를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부(640)가 기포 생성부(620)를 하측에서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바디 연결부(648)의 하부는 상부보다 바디부(6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연결부(648)의 하부는 기포 생성부(620) 전체가 감싸지도록 돌출되어 있고, 바디 연결부(648)의 상부는 기포 생성부(620)의 소정의 길이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즐부 연결부(618)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는 노즐부(6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노즐부 연결부(618)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2개는 용해 유닛 연결부(61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유닛 고정부(649)는 바디 연결부(648)의 양 측면에서 바디 연결부(648)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즐 유닛 고정부(649)는 노즐 유닛(600)의 유로 형상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유닛 고정부(649)에는 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유닛(600)이 캐비닛 커버(14)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 유닛(600)에 의한 세탁수의 유동 원리를 정리하면, 용해 유닛 연결부(612)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는 가압 공간(615)으로 유입되어 소정시간 머무르며 가압될 수 있다. 이후, 가압 공간(615)의 세탁수가 분해부(62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가 쪼개져 미세 기포가 되거나, 추가의 미세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분해부(624)로부터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배출되는 세탁수는 제1 혼합 공간(642)에 형성된 제1 차단면(643)에 의해 직분사 되지 않고 제1 차단면(643)에 부딪히면서 제1 혼합 공간(642)에 일정 시간 머무르게 되고, 이에 의해 추가의 미세 기포가 발생되고 미세 기포가 세탁수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제1 혼합 공간(642)을 지난 미세 기포는 제2 혼합 공간(644)의 제2 차단면(645)에 또 부딪히면서 한번 더 미세 기포의 직분사를 방지하고 미세 기포 생성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기포의 생성량을 증가시켜 세탁력과 헹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캐비닛 커버(14)는 플레이트(140), 투입홀(141), 세제함 수용부(142), 노즐 유닛 설치홈(144) 및 노즐 유닛 결합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40)의 중심부에 내조(22)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투입홀(141)을 통해 사용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142)는 플레이트(140)의 투입홀(141)의 둘레의 일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142)는 세제함(3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세제함(30)이 슬라이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유닛 설치홈(144)은 캐비닛 커버(14)의 투입홀(141)의 둘레의 타 지점에 노즐 유닛(600)이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유닛 결합부(146)는 캐비닛 커버(14)에 노즐 유닛(6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캐비닛 커버(14)의 투입홀(141)의 외측 저면에 제공될 수 있다.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는 후술할 볼트(670)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노즐 유닛을 커버하기위한 노즐 커버(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커버(650)는 캐비닛 커버(14)에 배치되는 노즐 유닛(600)의 일부를 덮어 노즐 유닛(600)이 투입홀(141)로 투입되는 세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커버(650)는 노즐 유닛(600)을 보호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더해주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커버(650)는 차폐부(652), 노즐 커버 고정부(654), 결합홀(655), 및 연결부(656)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652)는 노즐 유닛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652)는 노즐부(640)에서 제2 차단면(645)과 토출부(646)를 덮는 덮개 부분으로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다. 차폐부(652)는 토출부(646)를 투입 또는 인출되는 세탁물로부터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더해줄 수 있다. 차폐부(652)는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노즐 유닛 설치홈(14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차폐부(652)가 노즐 유닛 설치홈(144)에 배치되었을 때 빈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플레이트(140) 내부의 구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다른 이물질이 플레이트(140)를 통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노즐 커버 고정부(654)는 연결부(656)에의해 차폐부(652)와 연결될 수 있고, 노즐 커버 고정부(654)는 플레이트(140)의 저면에서 노즐 유닛(600)과 함께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고정될 수 있다. 노즐 커버 고정부(654)에는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홀(65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노즐 유닛(600)을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670)와, 볼트(670)에 끼워져 노즐 유닛(6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고무(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진 고무(660)는 노즐부 끼움홈(662), 댐핑부(664), 볼드 헤드 지지부(66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 끼움홈(662)은 방진 고무(660)의 캐비닛 커버(14)의 저면 방향으로의 일측 단바에 제공되고, 노즐 유닛(600)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부 끼움홈(662)은 방진 고무(66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 끼움홈9662)에 노즐 유닛 고정부(649)가 끼워져서 노즐 유닛(600)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부 끼움홈(662)은 노즐 유닛 고정부(649)에 형성된 홀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댐핑부(664)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부 끼움홈(662)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볼트 헤드 지지부(666) 사이에 제공되고, 항아리 형상으로 굴곡을 가지며 형성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댐핑부(664)는 방진 고무(660)의 길이 방향(즉, 노즐부 끼움홈(662)에서 볼트 헤드 지지부(666)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세탁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미세 기포 생성기(BG)에 의해 노즐 유닛(6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떨림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볼트 헤드 지지부(666)는 방진 고무(660)의 타측 단부에 제공되어, 볼트(670)의 헤드를 지지할 수 있다. 볼트 헤드 지지부(666)는 볼트 헤드(670)의 일 면과 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다.
볼트(670)는 볼트 헤드(672)와 방진 고무 삽입부(674)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670)는 방진 고무(660)의 볼트 헤드 지지부(666)에서 노즐부 끼움홈(662)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670)가 삽입되면 볼트 헤드(672)가 볼트 헤드 지지부(666)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방진 고무 삽입부(674)는 볼트(67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방진 고무(660)가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볼트(670)는 방진 고무(660)와 노즐 유닛(600)과 노즐 커버(6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670)는 방진 고무(660)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과하고, 노즐 유닛(600)의 노즐 유닛 고정부(649)를 통과하고, 노즐 커버(650)의 노즐 커버 고정부(654)에 형상된 결합홀(655)를 통과한 후, 노즐 유닛 결합부(146)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유닛(600)은 캐비닛 커버(14)의 투입홀(141) 내측으로 진입되어, 내조(22)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용해 유닛(500)과 노즐 유닛(600)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가 소멸되지 않고 세탁이 수행되는 내조(2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배수 유닛(700)은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용해 유닛(500)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메인 배수 호스(34)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 유닛(700)은 용해 유닛(50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배수 유닛(700)은 메인 배수 호스(34)의 메인 배수 밸브(36)의 후류에 위치하는 지점에 용해 유닛(500)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토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배수 밸브(36)의 작동과 무관하게 배수 유닛(700)으로부터의 배수가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도 2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배수 유닛(700)은 제1 바디(710), 제2 바디(720), 다이어프램(730), 다이어프램 지지부(740), 및 개스킷(75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유닛(700)은 용해 유닛(500)에 연결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 바디(710)와, 제1 바디(710)에 결합되고 메인 배수 호스(34)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 바디(7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유닛(700)은 상술한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뿐만 아니라,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 사이에 제공되고 제1 바디(710)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736)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730)과,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의 사이에 제공되고 다이어프램(7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748)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는 나사결합 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바디(710)에는 암 나사부(714)가 형성되고, 제2 바디(720)에는 수 나사부(724)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의 결합 방법은 나사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형합, 볼트 결합 등 다양한 체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바디(710)는 용해 유닛(500)에 연결되는 용해 유닛 연결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용해 유닛 연결부(712)는 제1 바디(710)에 제2 바디(720)가 체결되는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용해 유닛 연결부(712)는 제1 배수 라인(L3)와 연결되어 용해 유닛(500)에 잔존하는 세탁수가 배수될 수 있다.
제2 바디(720)는 메인 배수 호스(34)에 연결되는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와, 다이어프램 수용부(72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는 제2 바디(720)에 제1 바디(710)가 체결되는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는 제2 배수 라인(L4)와 연결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수 있다.
이때, 용해 유닛 연결부(712)의 입구와 출구,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용해 유닛 연결부(712)를 통해 배수되는 세탁수는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722)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수용부(726)는 제2 바디(7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서, 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730)에 형성된 제1 홀(736)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에 형성된 제2 홀(748)은 배수되기 위한 세탁수가 지나가는 통로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는 유압에 의해, 상호 이격되거나, 접촉되면서 세탁수를 배수시키거나 배수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어프램(730)은 세탁수의 급수압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클 때에는 탄성 변형되어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제2 홀(748)을 차폐하고,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에는 원 상태로 복귀하여 제2 홀(748)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용해 유닛(500)으로의 공급되는 세탁수의 하중에 따른 압력의 값일 수 있다)
먼저, 다이어프램(730)은 탄성 변형부(732), 걸림홈(733), 차폐부(734), 고정부(735) 및 제1 홀(736)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변형부(732)는 세탁수의 급수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고, 차폐부(734)의 둘레를 따라 용해 유닛 연결부(712) 측으로 돌출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부(732)는 고정부(735)와 차폐부(734)를 연결할 수 있다.
차폐부(734)에는 제1 홀(736)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736)은 차폐부(734)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홀(736)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부(734)의 중심부가 제2 홀(748)을 차폐할 수 있다. 제2 홀(748)을 차폐하기 위해서, 차폐부(734)는 제2 홀(748)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734)는 배수 유닛(700)으로 제공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제2 홀(748)을 차폐할 수 있다. 상세히, 배수 유닛(700)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을 갖는 세탁수, 예를 들어 급수 밸브 유닛(32)에 의해 용해 유닛(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배수 유닛(700)까지 이동되어 다이어프램(730)에 압력을 가하면, 탄성 변형부(732)가 변형되면서 차폐부(734)가 다이어프램 지지부(740) 측으로 이동되고, 차폐부(734)와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서로 접촉되면서 제2 홀(748)이 차폐될 수 있다. 반대로, 배수 유닛(70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구체적으로,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탄성 변형부(732)가 차폐부(73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그에 따라 제2 홀(748)이 개방될 수 있다.
고정부(735)는 차폐부(734)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735)는 탄성 변형부(732)에서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측으로 연장되어, 다이어프램(730)의 고정부(735)와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안착부(742)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735)에는 걸림홈(733)이 형성되어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에 형성되는 걸림부(746)가 걸릴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지지부(740)는 세탁수가 배수되는 제2 홀(748), 제2 바디(720)의 내측에 요동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고정되는 지지리브(744), 지지리브(744)에 연결되고 다이어프램(730)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안착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742)는 다이어프램(730)의 연결부와 접촉되어 다이어프램(730)을 안착시키고, 지지리브(744)는 안착부(742)에 접촉된 다이어프램(7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742)는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가 후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74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746)는 다이어프램(730)의 걸림홈(73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어프램(730)과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의 제1 홀(736)과 제2 홀(748)은 서로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 변형부(732)의 탄성에 따라 제2 홀(748)이 차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배수 유닛(700)은 제1 바디(7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용해 유닛 연결부(712)측으로 삽입되고, 제2 바디(720)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개스킷(750)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750)은 오링(O-ring)으로 형성되어, 제1 바디(710)의 용해 유닛 연결부(712)측의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수 유닛(700)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용해 유닛(500)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경우, 용해 유닛(500)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배수 유닛(700)까지 이동되어 다이어프램(73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압력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용해 유닛(500)으로의 세탁수 공급이 없는 경우, 용해 유닛(500)에 잔존 가능한 세탁수의 하중에 따른 압력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배수 유닛(700)으로 세탁수가 기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배수 유닛(700)의 내부에 제공된 다이어프램(730)이 탄성 변형되어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 홀(748)을 차단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용해 유닛(500)으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채워치고,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가 노즐 유닛(6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반면에,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탄성 변형부(732)가 차폐부(73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그에 따라 제2 홀(748)이 개방되어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닛(700)은 간단한 구조로 미세 기포 생성기를 구성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신뢰성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 및 미세 기포 생성기(BG)의 작용, 효과 및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 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급수 밸브 유닛(32)을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용해 유닛(500)에서 공급받은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할 수 있다.
여기서, 용해 유닛(500)에서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하기 위해, 용해 유닛(5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캡(530)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급수 라인 연결부(532)를 따라 세탁수가 공급되고, 캡(530)의 수평 방향으로 공급된 세탁수의 진행 방향이 캡(530)의 급수 방향 전환부(534)에 의해 캡(530)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급수 방향 전환부(534)에 의해 균일하게 토출되는 세탁수가 내통(520)에 채워진 후 오버플로우 될 수 있다. 내통(520)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세탁수가 내통(520)과 외통(51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기체가 세탁수에 용해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700)은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용해 유닛(500)에 공급되는 급수압에 의해 다이어프램(730)이 탄성 변형되고, 이에 다이어프램 지지부(740)에 형성된 제2 홀(748)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급수 밸브 유닛(32)에서 급수되는 세탁수는 용해 유닛(500)의 용해 공간에서 기체가 용해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는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노즐 유닛(600)으로 공급되고, 노즐 유닛(600)은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쪼개어 미세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
용해 유닛(500)에서 세탁수에 기체가 용해되어 형성된 기포는 노즐 유닛(600)의 바디부(610)에 제공된 가압 공간(615)으로 유입되어 가압되고, 가압된 상태에서 가압 공간(615)보다 직경이 작은 분해부(624)의 입구(624a)로 진입하며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그리고, 유속이 빨라진 기포는 입구(624a)에서 확장되는 출구(624b)를 통과하면서 흐름이 느려지는 동시에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미세 기포로 쪼개어질 수 있다. 분해부(624)에서 토출된 미세 기포의 일부는 노즐부(640)에 제공된 제1 차단면(643)에 의해 직분사되지 않고 제1 혼합 공간(642)으로 분사되어 기포들 간에 충돌이 일어나면서 미세 기포 생성량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혼합 공간(642)에서 토출되는 세탁수가 제2 혼합 공간(644)을 통과하며 제2 차단면(645)에서 다시 한번 직분사가 방지되고, 미세 기포 생성량이 증가된 후 노즐 유닛(600)의 토출부(646)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차단면(645)에 토출부(646)의 내측면으로서, 토출되는 미세 기포의 흐름을 내조(22) 내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유닛(600)은 이와 같이 형성된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는 내조(22)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용해 유닛(500)에 잔존하는 세탁수가 배수 유닛(700)에 의해 메인 배수 호스(34)로 배수될 수 있다. 상세히, 용해 유닛(500)으로부터 배수 유닛(700)으로 세탁수가 기 설정된 압력보다 작은 압력(즉, 급수 밸브 유닛(32)으로부터 제공되는 급수압보다 작은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용해 유닛(500)에 저장되는 세탁수가 다이어프램(730)으로 하중을 가하지 못하므로, 다이어프램(730)의 탄성 변형부(732)가 원상 복귀되어 제2 홀(748)을 개방함으로써 배수가 이뤄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세탁기 10: 캐비닛
12: 베이스 14: 캐비닛 커버
16: 도어 20: 외조(outer basket)
22: 내조(inner basket) 140: 플레이트
141: 투입홀 144: 노즐 유닛 설치홈
146: 노즐 유닛 결합부 500: 용해 유닛
510: 외통 520: 내통
522: 오버플로우부 524: 잔수 배출홀
530: 캡 532: 급수 라인 연결부
534: 급수 방향 전환부 536: 에어 포켓부
539: 외통 고정부 600: 노즐 유닛
610: 바디 612: 용해 유닛 연결부
614: 기포 생성부 수용부 615: 가압 공간
618: 노즐부 연결부 620: 기포 생성부
622: 하우징 624: 분해부
630: 개스킷 640: 노즐부
642: 제1 혼합 공간 643: 제1 차단면
644: 제2 혼합 공간 645: 제2 차단면
646: 토출부 648: 바디 연결부
649: 노즐 유닛 고정부 650: 노즐 커버
652: 차폐부 654: 노즐 커버 고정부
655: 결합홀 656: 연결부
660: 방진 고무 670: 볼트
700: 밸브 유닛 710: 제1 바디
712: 용해 유닛 연결부 720: 제2 바디
722: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 730: 다이어프램
732: 탄성 변형부 733: 걸림홈
734: 차폐부 735: 고정부
736: 제1 홀 740: 다이어프램 지지부
742: 안착부 744: 지지리브
746: 걸림부 748: 제2 홀

Claims (14)

  1.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측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
    상기 캐비닛에 제공되고,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유닛;
    상기 외조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메인 배수 호스;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세탁 공간으로 공급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는,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시키는 용해 유닛;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며, 투입홀의 둘레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미세 기포의 생성 직후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부로 토출하는 노즐 유닛; 및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상기 메인 배수 호스로 배출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유닛은,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수가 가압되는 가압 공간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가압 공간과 연통되고, 세탁수가 통과하며 미세 기포가 생성되는 복수 개의 분해부를 포함하는 기포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해부는, 상기 기포 생성부의 하우징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가압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직경이 넓어지도록 입구와 출구는 중심이 서로 동일선상에 있고, 상기 입구는 상기 출구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제공되며,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용해 유닛에 연결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바디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용해 유닛에 연결되는 용해 유닛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는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해 유닛 연결부의 입구와 출구, 및 상기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세탁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제공되고,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을 갖는 캐비닛 커버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미세 기포의 생성 직후 세탁수를 상기 내조의 내부로 토출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용해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는 세탁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조에 수용된 세탁수의 배수 여부를 제어하는 메인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메인 배수 호스의 상기 메인 배수 밸브의 후류에 위치하는 지점에 세탁수를 토출하는 세탁기.
  5. 세탁기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킨 후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에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로서,
    세탁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된 기체를 세탁수에 용해시키는 용해 유닛;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생성하고, 상기 내조로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를 토출하는 노즐 유닛; 및
    미세 기포가 포함된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메인 배수 호스로 배수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유닛은,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수가 가압되는 가압 공간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가압 공간과 연통되고, 세탁수가 통과하며 미세 기포가 생성되는 복수 개의 분해부를 포함하는 기포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해부는, 상기 기포 생성부의 하우징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가압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직경이 넓어지도록 입구와 출구는 중심이 서로 동일선상에 있고, 상기 입구는 상기 출구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제공되며,
    상기 배수 유닛은,
    세탁수가 유입되는 용해 유닛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메인 배수 호스에 연결되는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해 유닛 연결부와 상기 메인 배수 호스 연결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바디;
    상기 용해 유닛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급수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지지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는 상기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 지지부가 수용되는 다이어프램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다이어프램 수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닛은,
    상기 다이어프램 수용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에 가압되는 개스킷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2 홀을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
    상기 차폐부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상기 다이어프램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차폐부를 연결하고, 세탁수의 급수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용해 유닛 연결부 측으로 돌출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지지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요동되지 않도록 밀착되어 고정되는 지지리브; 및
    상기 지지리브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다이어프램 지지부에 후크 결합되어 고정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서로 중심이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세탁수의 급수압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클 때에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홀을 차폐하고,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에는 원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제2 홀을 개방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12.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으로서,
    급수 밸브 유닛을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단계;
    용해 유닛에서 공급받은 세탁수에 기체를 용해하는 단계;
    노즐 유닛이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기체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쪼개어 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즐 유닛이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를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는 내조에 토출하는 단계; 및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하는 세탁수를 배수 유닛으로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닛으로 세탁수가 기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 유닛의 내부에 제공된 다이어프램이 탄성 변형되어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 홀을 차단하고,
    상기 용해 유닛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닛으로 세탁수가 기 설정된 압력보다 작은 압력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이 원상 복귀되어 상기 제2 홀을 개방함으로써 배수가 이뤄지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상기 용해 유닛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용해 유닛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 유닛까지 이동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압력을 가하는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압력은 상기 급수 밸브 유닛으로부터 상기 용해 유닛으로의 세탁수 공급이 없는 경우, 상기 용해 유닛에 잔존 가능한 세탁수의 하중에 따른 압력인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20170037135A 2017-03-23 2017-03-23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239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35A KR102397440B1 (ko) 2017-03-23 2017-03-23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US15/920,025 US20180274152A1 (en) 2017-03-23 2018-03-13 Washing Machine,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in Washing Machine
CN201810229456.3A CN108625105A (zh) 2017-03-23 2018-03-20 洗衣机、微泡沫发生器和供给包含微泡沫的洗涤水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35A KR102397440B1 (ko) 2017-03-23 2017-03-23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031A KR20180108031A (ko) 2018-10-04
KR102397440B1 true KR102397440B1 (ko) 2022-05-12

Family

ID=6358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135A KR102397440B1 (ko) 2017-03-23 2017-03-23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274152A1 (ko)
KR (1) KR102397440B1 (ko)
CN (1) CN1086251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3523A1 (zh) * 2018-11-05 2020-05-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微气泡发生器和衣物处理装置
CN112439337B (zh) * 2019-08-30 2022-07-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产生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清洗机
CN112439330B (zh) * 2019-08-30 2022-10-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产生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清洗机
CN112439334B (zh) * 2019-08-30 2022-09-0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产生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清洗机
EP4071290A4 (en) * 2019-12-04 2023-01-25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MICROBUBBLE SPRAY HEAD AND WASH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3522068B (zh) * 2020-04-14 2022-10-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发生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清洗机
CN113520247B (zh) * 2020-04-14 2023-02-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195A (ja) * 2008-01-29 2009-08-13 Sharp Corp 洗濯機
CN103003603A (zh) * 2010-07-20 2013-03-27 辛洪建 用于低压的自动水关断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6686A (en) * 1960-03-01 gheen
US2946342A (en) * 1960-07-26 Dopplmaier
CN1055021A (zh) * 1990-03-18 1991-10-02 初伟英 立式充气洗衣机
FR2860735B1 (fr) * 2003-10-10 2006-12-22 Degremont Buse de detente d'eau pressurisee pour generer des microbules dans une installation de flottation
JP2006061432A (ja) * 2004-08-27 2006-03-09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洗濯機
AU2008319606B2 (en) * 2007-10-31 2011-11-17 Robotous Co., Ltd. Shower and wash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JP2012040448A (ja) * 2008-11-14 2012-03-01 Yasutaka Sakamoto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US9060916B2 (en) * 2009-01-12 2015-06-23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US8201811B2 (en) * 2009-01-12 2012-06-19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US8418510B2 (en) * 2009-04-15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1937133B1 (ko) * 2013-06-13 2019-01-10 시그마 테크놀로지 유겐가이샤 마이크로·나노 버블의 발생 방법, 발생 노즐 및 발생 장치
CN103409976A (zh) * 2013-07-11 2013-11-27 林伟明 带泡沫发生器的洗衣液混合装置
CN104711824B (zh) * 2013-12-12 2018-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及控制方法
KR101568209B1 (ko) * 2013-12-24 2015-1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버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US9897227B2 (en) * 2015-02-03 2018-02-2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elf-acting pressure drain valve
CN105986400A (zh) * 2015-02-13 2016-10-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超微细气泡发生装置的洗衣机
CN108474164B (zh) * 2015-12-25 2020-06-16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洗衣机
KR101708597B1 (ko) 2016-10-05 2017-02-22 김대준 나노 버블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195A (ja) * 2008-01-29 2009-08-13 Sharp Corp 洗濯機
CN103003603A (zh) * 2010-07-20 2013-03-27 辛洪建 用于低压的自动水关断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25105A (zh) 2018-10-09
KR20180108031A (ko) 2018-10-04
US20180274152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440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2397434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KR102397435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8491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240530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2665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발생기
JP7150853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397439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20060085784A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US10422066B2 (en) Washing machine
KR10250266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발생기
KR10239744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250267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발생기
US20180087203A1 (en) Washing machine
KR20170038529A (ko) 세탁기
KR100677244B1 (ko) 증기분사식 세탁기의 일체형 분사장치
KR100946818B1 (ko) 증기분사식 세탁기용 일체형 분사장치, 이를 구비한 증기분사식 세탁기 및 그의 설치방법
KR20060052754A (ko) 일체형 분사장치를 구비한 증기분사식 세탁기 및 그의증기/세탁수 분사방법, 증기분사식 세탁기의 일체형분사장치의 설치방법
KR20050108789A (ko) 증기분사식 세탁기의 일체형 분사장치
KR20050100558A (ko) 드럼세탁기의 벨로우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