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373B1 -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373B1
KR101241373B1 KR1020100101072A KR20100101072A KR101241373B1 KR 101241373 B1 KR101241373 B1 KR 101241373B1 KR 1020100101072 A KR1020100101072 A KR 1020100101072A KR 20100101072 A KR20100101072 A KR 20100101072A KR 101241373 B1 KR101241373 B1 KR 10124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pigment
inorganic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386A (ko
Inventor
박호근
김동회
최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마산업건설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마산업건설,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마산업건설
Priority to KR102010010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3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2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4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질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또는 유무기 복합 몰탈 등에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조성되는 무기안료를 혼합 사용하여, 건축물 등의 바닥층에 대한 시공작업 시에 상기 바닥층 전체에 대한 착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기안료 조성물은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 35 내지 40 중량%에 분산제 2.0 내지 5.0 중량%, 색분리 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7 중량%, 침강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동결 방지제 1.0 내지 5.0 중량%, 1종 이상의 무기 안료제가 포함된 안료그룹 1 내지 58 중량%, 도막조제 0.5 내지 1.0중량%, 이온 교환수 3 내지 6중량%, 희석제 2.0 내지 5.0 중량% 범위로 혼합시킨 다음 pH 조절제 0.3 내지 1.0 중량%를 첨가시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INORGANIC PIG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닥재용 무기안료의 조성물 및 제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무기질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또는 유무기 복합 몰탈 등에 상온 건조가 가능한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무기안료, 체질안료 등 다수의 안료조성 물질들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건축물 등의 바닥층에 대한 착색작업 시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바닥층 전체의 착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무기안료의 조성물 및 제조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기초 시공된 건축물 등의 바닥층(또는 "바닥면"이라고도 한다.) 위에 무기질의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또는 유무기 복합 몰탈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재를 사용하여 상기 바닥층을 보호하거나 미관을 좋게 위한 마무리 시공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 바닥재에 혼합하여 바닥층 전체를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시켜 주기 위해 대부분 파우더(Powder)형 안료나 친수성이 떨어지는 유기계 안료를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안료의 결합력 내지는 착색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닥층이 쉽게 훼손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 있어서 콘크리트 시공된 바닥층이 레이턴스(Laitance)에 의한 백화현상은 물론 박리현상이 발생하고, 특히 시간이 경과 함에 따른 탈색과 변색이 발생하여 수명단축은 물론 건물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기질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또는 유무기 복합 몰탈 등에 상온 건조가 가능한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1종 이상의 무기안료와 함께 다수의 안료조성 물질들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건축물 등의 바닥층에 대한 착색작업 시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바닥층 전체의 착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색 시공된 바닥층이 벗겨지거나 마모가 되는 경우에도 시공 초기의 고유 색상을 그대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내구성 및 내후성을 가진 무기안료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기질 바닥재로 시공된 바닥층에 대해 자외선으로부터 저항력을 강화시켜 상기 바닥층이 쉽게 탈색 및 변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 35 내지 40 중량%에 분산제 2.0 내지 5.0 중량%, 색분리 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7 중량%, 침강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동결 방지제 1.0 내지 5.0 중량%, 1종 이상의 무기안료가 포함된 안료그룹 33.8 내지 55.4 중량%, 도막조제 0.5 내지 1.0중량%, 이온 교환수 3 내지 6중량%, 희석제 2.0 내지 5.0 중량% 범위로 혼합시킨 다음 pH 조절제 0.3 내지 1.0 중량%를 첨가시켜 이루어진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입도 1㎛ 이하이고, pH가 7 내지 9 범위의 바닥재용 무기안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 35 내지 40 중량%에 안료조성 물질인 분산제 2.0 내지 5.0 중량%, 색분리 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7 중량%, 침강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동결 방지제 1.0 내지 5.0 중량% 중에서 적어도 2종 이상 포함된 제1물질그룹을 투입하여 믹서로 1,600 내지 1,9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혼합시킨 제1조성물 생성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성물에 1종 이상의 무기안료가 포함된 안료그룹 33.8 내지 55.4 중량%를 투입하여 믹서로 1,600 내지 1,9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혼합시킨 제2조성물 생성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에 대한 입도를 1㎛ 이하로 생성하기 위해 다이노밀에서 적어도 2회 이상 밀링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조성물에 상기 제1물질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안료조성 물질인 도막조제 0.5 내지 1.0중량%, 이온 교환수 3 내지 6중량%, 희석제 2.0 내지 5.0 중량% 중에서 적어도 2종 이상 포함된 제2물질그룹을 투입하여 믹서로 180 내지 220RPM에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시킨 제3조성물 생성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조성물에 대해 pH 조절제 0.3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여 pH를 7 내지 9 범위로 조절시킨 제4조성물 생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 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무기안료는 상온 건조가 가능한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친수성으로 조성 내지는 제조되어 건축물 등의 바닥층 전체에 대한 착색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바닥층이 벗겨지거나 마모가 되는 경우에도 시공 초기의 고유 색상을 그대로 유지시켜 주는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안료는 광물성 천연 무기질을 사용함에 따른 친환경적이고, 더 나아가서 무기질 바닥재가 시공된 바닥층에 대해 자외선으로부터 저항력을 강화시켜, 상기 바닥층이 쉽게 탈색 및 변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는 내후성이 우수한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안료는 콘크리트 기초 시공된 바닥층의 레이턴스(Laitance)에 의한 백화현상 및 박리현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안료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 사례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 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수단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 및 수단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등에 있어서 무기질 바닥재와 혼합하여 바닥층 전체에 대한 착색용으로 사용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의 조성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안료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 사례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등에 있어서 콘크리트 등으로 기초 시공된 바닥층(또는 "바닥면"이라고도 한다.)에 무기질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또는 유무기 복합 몰탈 등에 상온 건조가 가능한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무기안료와 함께 다수의 안료조성 물질들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건축물 등의 바닥층 전체에 대한 착색작업 시에 사용함으로써, 이때 상기 바닥층이 벗겨지거나 마모가 되는 경우에도 시공 초기의 고유 색상을 그대로 유지시켜 주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바닥재의 시공과 함께 상온에서 건조가 용이한 친수성(親水性)의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Hybrid) 수지를 주성분으로 조성되고, 또한 상기 바닥재는 난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닥재용 무기안료의 조성을 위한 물질들에 대해서 살펴보면,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Hybrid) 수지 35 내지 40 중량%에 분산제 2.0 내지 5.0 중량%, 색분리 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7 중량%, 침강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동결 방지제 1.0 내지 5.0 중량% 및 적어도 1종 이상의 무기안료가 포함된 안료그룹 33.8 내지 55.4 중량%, 도막조제 0.5 내지 1.0중량%, 이온 교환수 3 내지 6중량%, 희석제 2.0 내지 5.0 중량% 범위로 배합기(또는 "믹서기"라고도 한다.)에서 혼합시킨 다음 pH 조절제 0.3 내지 1.0 중량%를 첨가시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은 pH(이를 "수소이온지수"라고도 한다.)가 7 내지 9 범위이고, 앞에서 언급된 무기질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또는 유무기 복합 몰탈 사용량의 1Kg당 2 내지 5% 범위로 혼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기안료의 조성을 위한 물질들에 포함된 성분 및 함량(중량%) 등의 일실시 사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상온에서 건조 가능한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의 함량을 3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안료그룹에 포함된 안료들과의 혼합시 고른 분산에 어려움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이를 40중량%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적정한 함량을 사용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와 혼합되는 안료그룹은 굴절율이 2.50 내지 2.75 범위의 백색안료 1 내지 5 중량%, 적어도 1종 이상의 유색안료 1 내지 3 중량%, 굴절율이 1.50 내지 1.75 범위의 체질안료 30 내지 50중량%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안료 물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료그룹에 적어도 1종 이상 포함된 무기안료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물성 천연 무기질을 사용함에 따른 친환경적이고, 더 나아가서 무기질 바닥재가 시공된 바닥층 전체에 대해 자외선으로부터 저항력을 강화시켜, 시공된 바닥층이 쉽게 탈색 및 변색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는 내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상기 무기안료의 조성에 사용되는 물질로써 백색안료에는 화확적 성질이 안정하고 독성이 없으며, 산이나 안칼리에 대한 저항성 및 착색력, 은폐력이 강한 굴절율이 2.50 내지 2.75 범위의 TiO2(이산화티타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료그룹에 포함된 유색안료는 굴절율이 1.8 이상인 ZrO2(지르코니아), ZnO(산화아연), BiOCl(산화염화비스무스) 또는 굴절율이 1.8 이하인 SiO2(이산화규소), MgF2(불화마그네슘), Al2O2(알루미나)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색안료 중에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이나, 크롬 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유색안료에는 인체에 무해하고 무독성의 다양한 색상 예컨데, BLACK, RED, BLUE, PINK, VIOLET, YELLOW 등과 같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안료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안료그룹에 포함된 체질안료에 사용되는 물질로써는 Cr2O3(산화크롬, Chromium Oxide)(Ⅲ)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질안료를 30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바닥층에 대한 피막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고, 또한 이를 50중량%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바닥층에 대한 선명한 색상의 발현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안료 조성에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의 입도는 가능한 1㎛ 이하로 밀링(Milling)하여, 친수성 예컨데, 물과 잘 섞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한 수단으로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를 액상으로 조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안료그룹에는 입자 직경 1㎛ 이하의 구리, 니켈, 은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합된 도전성의 이엠아이(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과립이 안료그룹의 함량(중량%) 대비 2 내지 10% 범위로 포함시켜 줌으로써, 상기 바닥재가 시공된 바닥층을 통해서 유해한 전자파에 대한 차폐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엠아이과립은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하여 함량(중량%)을 증가시켜 줄수록 전자파 차폐효과에 더 유용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료그룹에는 Ca(칼슘) 대 P(인)의 혼합비율이 1 대 1.0 내지 1.5 범위의 방청안료를 안료그룹의 함량(중량%) 대비 3 내지 20%를 포함시켜 줌으로써, 이때 바닥재에 혼입된 각종 철분이나 또는 바닥층에 설치된 각종 금속물들 예컨데, 문틀이나 전기 및 통신용 아웃렛(Outlet) 등에 대한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산제는 안료그룹과 친화성을 가진 고분자량 블록 공중합체 용액으로 BYK-Chemie GmbH사의 제품인 BYK-190을 2.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색분리 방지제는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이고, EFKA사의 제품인 EFKA-4550을 0.2 내지 0.5 중량%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 용액으로 BYK-Chemie GmbH사의 제품인 BYK-020을 0.1 내지 0.7 중량%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분산제, 색분리 방지제, 소포제 등은 앞에서 언급된 함량(중량%) 미만으로 사용시에는 안료그룹에 포함된 안료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 색상에 대한 착색효과가 저하되고, 또한 앞에서 열거한 이들을 필요 이상으로 사용할 시에는 무기질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또는 유무기 복합 몰탈과의 혼합성이 저하되고, 이는 바닥층에 대한 마감작업 시공 후에 나타나는 피막의 슬립(Slip) 증가와 내구성 저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강 방지제는 왁스(Wax) 0.5 내지 2.0 중량%를 사용하고, 상기 동결 방지제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침강 방지제로 흄드실리카(Fumed Silica)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과도한 칙소(Thixo) 현상에 따른 안료의 흐름성 저하로 인해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등과 혼합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에 왁스(Wax)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막조제는 텍산올(Texanol) 0.5 내지 1.0중량%를 사용하고, 상기 이온 교환수는 3 내지 6중량%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희석제는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2.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0.3 내지 1.0 중량%를 사용하여, 상기 무기안료 조성물에 대한 pH를 7 내지 9 범위로 맞추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pH 조절제로는 암모니아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건물 등의 바닥층에 대한 착색작업 시공시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친수성을 가진 무기안료 조성물에 대한 pH 조절제의 첨가는 앞에서 언급된 바닥재를 사용하여 건축물 등의 바닥층에 대한 마감작업 예컨데, 상기 무기질 바닥재를 사용한 바닥층의 형성 및 상기 바닥재에 무기안료를 혼합 사용하여 바닥층에 대한 착색작업 등을 시공할 경우 바닥표면에 백화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성 또는 제조된 안료를 보관할 시에 빠르게 겔(Gel)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에 본 발명에 따른 pH 조절제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입도 1㎛ 이하의 바닥재용 무기안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도 1㎛ 이하이고, pH가 7 내지 9 범위의 바닥재용 무기안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Hybrid) 수지 35 내지 40 중량%에 안료조성 물질인 분산제 2.0 내지 5.0 중량%, 색분리 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7 중량%, 침강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동결 방지제 1.0 내지 5.0 중량% 중에서 적어도 2종 이상 포함된 제1물질그룹 0.1 내지 14.0 중량%를 투입하여 믹서로 1,600 내지 1,9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혼합(Mixing)시킨 제1조성물 생성단계(S10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조성물에 1종 이상의 무기안료가 포함된 안료그룹 33.8 내지 55.4 중량%를 투입하여 믹서로 1,600 내지 1,9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혼합시킨 제2조성물 생성단계(S10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에 대한 입도를 1㎛ 이하로 생성하기 위한 밀링(Milling)단계(S10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링단계(S103)는 다이노밀(Dyno mill)에서 적어도 2회 이상 반복으로 밀링시켜 상기 제2조성물에 대한 입도가 1㎛ 이하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조성물에 상기 제1물질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안료조성 물질인 도막조제 0.5 내지 1.0중량%, 이온 교환수 3 내지 6중량%, 희석제 2.0 내지 5.0 중량% 중에서 적어도 2종 이상 포함된 제2물질그룹 0.5 내지 12.0 중량%를 투입하여 믹서로 180 내지 220RPM에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시킨 제3조성물 생성단계(S10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조성물에 대해 pH 조절제 0.3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여 pH를 7 내지 9 범위로 조절시킨 제4조성물 생성단계(S105)를 포함하여 바닥재용 무기안료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는 상온에서 건조 가능한 친수성이고,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와 혼합되는 제1물질그룹 또는 제2물질그룹에 포함된 안료조성 물질 또한,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와 혼합되는 안료그룹에 포함된 안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은 액상을 사용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Hybrid) 수지에 제1물질그룹에 포함된 안료조성 물질들을 배합기(또는 "믹서기"라고도 한다.) 혼입시키는 순서는 분산제, 색분리 방지제, 소포제, 침강 방지제, 동결 방지제 순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Hybrid) 수지에 제2물질그룹에 포함된 안료조성 물질들을 혼입시키는 순서는 도막조제, 이온 교환수, 희석제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물질그룹에 포함된 안료조성 물질은 앞서 설명한 분산제 2.0 내지 5.0 중량%, 색분리 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7 중량%, 침강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동결 방지제 1.0 내지 5.0 중량% 범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물질그룹에 포함된 안료조성 물질은 앞서 설명한 도막조제 0.5 내지 1.0중량%, 이온 교환수 3 내지 6중량%, 희석제 2.0 내지 5.0 중량% 범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료그룹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굴절율이 2.50 내지 2.75 범위의 백색안료 1 내지 5 중량%, 적어도 1종 이상의 유색안료 1 내지 3 중량%, 굴절율이 1.50 내지 1.75 범위의 체질안료 30 내지 50중량%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조성물, 제2조성물, 제3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믹서(Mixer)의 RPM(Revolution Per Minute) 크기는 제3조성물 생성 RPM 180 내지 220 범위를 기준으로 제1조성물 생성 RPM=제2조성물 생성 RPM>제3조성물 생성 RPM으로 설정하여 믹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pH 조절단계(S105)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H 조절제인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0.3 내지 1.0 중량%를 사용하여, 상기 제3조성물에 대한 pH를 7 내지 9 범위로 맞추어 주는 것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닥재용 무기안료의 제조에 더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상기 제4조성물 다시 말해서, 본원발명의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은 착색을 좋게 하기 위해 건축물 등의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사용량의 1Kg당 2 내지 5%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Claims (14)

  1.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 35 내지 40 중량%에 분산제 2.0 내지 5.0 중량%, 색분리 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7 중량%, 침강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동결 방지제 1.0 내지 5.0 중량% 및 1종 이상의 무기안료가 포함된 안료그룹 33.8 내지 55.4 중량%, 도막조제 0.5 내지 1.0중량%, 이온 교환수 3 내지 6중량%, 희석제 2.0 내지 5.0 중량% 범위로 혼합시킨 다음 pH 조절제 0.3 내지 1.0 중량%를 첨가시켜 이루어진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안료그룹에는 Ca 대 P의 혼합비율이 1 대 1.0 내지 1.5 범위의 방청안료를 안료그룹의 함량(중량%) 대비 3 내지 20% 범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그룹에는 입자 직경 1㎛ 이하의 구리, 니켈, 은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된 이엠아이(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과립이 안료그룹의 함량(중량%) 대비 2 내지 10% 범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7. 삭제
  8. 입도 1㎛ 이하이고, pH가 7 내지 9 범위의 바닥재용 무기안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 35 내지 40 중량%에 안료조성 물질인 분산제 2.0 내지 5.0 중량%, 색분리 방지제 0.2 내지 0.5 중량%, 소포제 0.1 내지 0.7 중량%, 침강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동결 방지제 1.0 내지 5.0 중량% 중에서 적어도 2종 이상 포함된 제1물질그룹을 투입하여 믹서로 1,600 내지 1,9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혼합시킨 제1조성물 생성단계(S101);
    상기 제1조성물에 1종 이상의 무기안료가 포함된 안료그룹 33.8 내지 55.4 중량%를 투입하여 믹서로 1,600 내지 1,9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혼합시킨 제2조성물 생성단계(S102);
    상기 제2조성물에 대한 입도를 1㎛ 이하로 생성하기 위해 다이노밀에서 적어도 2회 이상 밀링시켜 주는 단계(S103); 및
    상기 제2조성물에 상기 제1물질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안료조성 물질인 도막조제 0.5 내지 1.0중량%, 이온 교환수 3 내지 6중량%, 희석제 2.0 내지 5.0 중량% 중에서 적어도 2종 이상 포함된 제2물질그룹을 투입하여 믹서로 180 내지 220RPM에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시킨 제3조성물 생성단계(S104);
    상기 제3조성물에 대해 pH 조절제 0.3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여 pH를 7 내지 9 범위로 조절시킨 제4조성물 생성단계(S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는 상온에서 건조되는 친수성이고,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와 혼합되는 제1물질그룹 또는 제2물질그룹에 포함된 안료조성 물질; 또는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와 혼합되는 안료그룹에 포함된 안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은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에 제1물질그룹에 포함된 안료조성 물질들을 혼합시키는 순서는 분산제, 색분리 방지제, 소포제, 침강 방지제, 동결 방지제 순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아크릴 우레탄 하이브리드 수지에 제2물질그룹에 포함된 안료조성 물질들을 혼합시키는 순서는 도막조제, 이온 교환수, 희석제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성물, 제2조성물, 제3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믹서의 RPM 크기는 제3조성물 생성 RPM 180 내지 220 범위를 기준으로 제1조성물 생성 RPM=제2조성물 생성 RPM>제3조성물 생성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그룹은 굴절율이 2.50 내지 2.75 범위의 백색안료 1 내지 5 중량%, 1종 이상의 유색안료 1 내지 3 중량%, 굴절율이 1.50 내지 1.75 범위의 체질안료 30 내지 50중량%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조성물은 바닥재인 세라믹 몰탈 셀프레벨링제 사용량의 1Kg당 2 내지 5% 범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무기안료 제조방법.
KR1020100101072A 2010-10-15 2010-10-15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241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072A KR101241373B1 (ko) 2010-10-15 2010-10-15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072A KR101241373B1 (ko) 2010-10-15 2010-10-15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386A KR20120039386A (ko) 2012-04-25
KR101241373B1 true KR101241373B1 (ko) 2013-03-11

Family

ID=4613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072A KR101241373B1 (ko) 2010-10-15 2010-10-15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92B1 (ko) 2015-09-17 2017-01-16 신동페인트공업(주) 지붕을 위한 논슬립형 탑코팅재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19B1 (ko) 1995-12-29 2003-08-14 고려화학 주식회사 수용성 방청도료 조성물
KR20040062466A (ko) * 2004-05-19 2004-07-07 최행식 유기계 자체통기형, 1kㆍ수성ㆍ아크릴 - 우레탄 하이브리드 타입, 탄성도막 방수재의 조성과 이의 제조방법
KR100525772B1 (ko) 2002-07-03 2005-11-03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폴리아닐린을 이용한 철강용 방청도료
KR100526987B1 (ko) 2003-09-01 2005-11-15 김성광 온돌마루용 판재 코팅방법 및 이에 의해 상피가 야광 코팅 처리된 온돌마루용 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719B1 (ko) 1995-12-29 2003-08-14 고려화학 주식회사 수용성 방청도료 조성물
KR100525772B1 (ko) 2002-07-03 2005-11-03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폴리아닐린을 이용한 철강용 방청도료
KR100526987B1 (ko) 2003-09-01 2005-11-15 김성광 온돌마루용 판재 코팅방법 및 이에 의해 상피가 야광 코팅 처리된 온돌마루용 판재
KR20040062466A (ko) * 2004-05-19 2004-07-07 최행식 유기계 자체통기형, 1kㆍ수성ㆍ아크릴 - 우레탄 하이브리드 타입, 탄성도막 방수재의 조성과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386A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0536B (zh) 一种环保型建筑铝幕墙用陶瓷涂料及其制备方法
CN101508542B (zh) 一种墙体饰面彩色砂浆
US8632631B2 (en) High SRI systems for cementitious applications
KR100850537B1 (ko) 수성도료 조성물
CN102617104B (zh) 无机干粉砂壁状涂料及其生产方法
JP2013519780A (ja) 二酸化チタン
CA2931818A1 (en) Black fine particulate near-infrared reflective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usage for same
JP2016102218A (ja) コーティング材
SG187066A1 (en) Heat reflective dry-mix/paint
CN105219146A (zh) 一种水性多彩仿石涂层体系
CN107151106A (zh) 一种耐水性能优异的人工彩砂及其制备方法
CN106752434B (zh) 一种防火抗菌环保涂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241373B1 (ko) 바닥재용 무기안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EP2584010B1 (en) Bismuth-based pigmen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103642323A (zh) 一种内墙保温阻燃纳米涂料
KR20120052244A (ko) 불소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09456700A (zh) 一种外墙高弹砂面质感漆及制备方法
CN1169888C (zh) 纳米钛釉涂料
JP4104353B2 (ja) 塗料組成物
JP2011037939A (ja) 赤外線反射性複合黒色顔料、該赤外線反射性複合黒色顔料を用いた塗料及び樹脂組成物
JP5550171B2 (ja) 積層体
CN109554037A (zh) 一种疏水透气的无机干粉纳米保护涂料
JP2015034100A (ja) 遮熱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4227369A1 (en) Titanium dioxide pigment with coloring after-treatment
KR101067268B1 (ko) 환경친화적 페인트용 세라믹 칼라샌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세라믹 칼라샌드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