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315B1 -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315B1
KR101241315B1 KR1020110113281A KR20110113281A KR101241315B1 KR 101241315 B1 KR101241315 B1 KR 101241315B1 KR 1020110113281 A KR1020110113281 A KR 1020110113281A KR 20110113281 A KR20110113281 A KR 20110113281A KR 101241315 B1 KR101241315 B1 KR 10124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sing
planetary gear
sun gear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킴
Priority to KR102011011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01/289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axial and identical sets of orbital gears, e.g. for distributing torque between the coaxial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1선기어와, 상기 제 1선기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유성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유성기어가 내측면의 기어를 따라 회전가능한 제 1캐리어기어와, 상기 제 1선기어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 1유성기어의 회전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선기어와, 상기 제 2선기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유성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성기어가 내측면의 기어를 따라 회전가능한 제 2캐리어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유성기어의 회전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공간의 가장자리에 베어링홈이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종동축의 일단의 가장자리는 상기 베어링홈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A Compact Type Anti-backlash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는 기존 타입보다 컴팩트하게 설계된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산업용 로봇의 관절, 승강기 등의 각종 기계장치(피구동장치)를 구동하는 경우, 구동원과의 사이에 반드시 동력전달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동력전달장치는, 구동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속도를 감속하거나, 토크를 증대시키거나, 혹은 회전의 축방향을 변경하거나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로서 근소한 치수(齒數)차를 가지는 외치기어 및 내치기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접맞물림 유성기어기구가 알려져 있다.
내접맞물림 유성기어기구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외치기어 또는 내치기어의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요동 내접맞물림 구조(예컨대, 미국특허 USP6,440,030호 공보 참조), 혹은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외치기어가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타원형 파동발생기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내치기어와 맞물리는 휨 맞물림식(bending engagement type) 내접맞물림 구조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와 같은 구성의 동력 전달 장치의 구조로는 이중으로 형성되는 유성기어와 캐리어기어 등에 의해 길이를 줄일 수 없고, 크기도 커 적용되는 부품으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의 전체 길이가 짧은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동력전달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1선기어와, 상기 제 1선기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유성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유성기어가 내측면의 기어를 따라 회전가능한 제 1캐리어기어와, 상기 제 1선기어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 1유성기어의 회전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선기어와, 상기 제 2선기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유성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성기어가 내측면의 기어를 따라 회전가능한 제 2캐리어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유성기어의 회전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공간의 가장자리에 베어링홈이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종동축의 일단의 가장자리는 상기 베어링홈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동축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종동축을 하우징 내부로 연장시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켜, 종동축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체적인 동력 전달 장치가 작아져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10)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연결되는 구동축(12)과, 상기 구동축(12)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1선기어(14)와, 상기 제 1선기어(1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유성기어(16)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유성기어(16)가 내측면의 기어를 따라 회전가능한 제 1캐리어기어(18)와, 상기 제 1선기어(14)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 1유성기어(16)의 회전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선기어(20)와, 상기 제 2선기어(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유성기어(22)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성기어(22)가 내측면의 기어를 따라 회전가능한 제 2캐리어기어(24)와, 상기 구동축(12)과 동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유성기어(22)의 회전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26)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은, 공간의 가장자리에 베어링홈(11)이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종동축(26)의 일단의 가장자리는 상기 베어링홈(11)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동력 전달 장치에는 하우징(10)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발명인 동력 전달 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공간과 별개로 베어링홈(11)이 마련된다. 상기 베어링홈(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종동축(26)의 연장부(27)와 제 2베어링()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간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구동축(12)이 마련된다. 상기 구동축(12)은 외부의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아래에서 설명될 종동축(26)으로 동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축(12)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2)에는 제 1선기어(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선기어(14)는 상기 구동축(12)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2)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 1선기어(14)의 가장자리에는 제 1유성기어(16)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유성기어(16)는 외측의 기어가 상기 제 1선기어(14)와 제 1캐리어기어(18)와 맞물려 상기 제 1유성기어(16)는 자전하면서, 상기 제 1선기어(14)를 중심으로 공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유성기어(16)의 회전축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선기어(2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유성기어(16)가 상기 제 1선기어(14)를 따라 공전할 때 상기 제 2선기어(20)는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유성기어(16)는 여러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제 1캐리어기어(18)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캐리어기어(18)는 상기 제 1유성기어(16)가 상기 제 1캐리어기어(18)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선기어(14)와 동축으로 제 2선기어(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선기어(20)는 상기 제 1유성기어(16)의 회전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제 2선기어(20)의 가장자리에는 제 2유성기어(2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유성기어(22)는 외측의 기어가 상기 제 2선기어(20)와 제 2캐리어기어(18)와 맞물려 상기 제 2유성기어(22)가 자전하면서, 상기 제 2선기어(20)를 중심으로 공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제 2유성기어(22)의 회전축은 아래에서 설명될 종동축(26)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제 2유성기어(22)가 상기 제 2선기어(20)를 따라 공전할 때 종동축(26)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유성기어(22)는 여러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제 2캐리어기어(2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캐리어기어(24)는 상기 제 2유성기어(22)가 상기 제 2캐리어기어(24)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 2선기어(20)에는 종동축(26)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종동축(26)은 상기 제 2선기어(20)와 동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유성기어(22)가 제 2선기어(20)를 따라 공전할 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축(26)의 내부에는 축홈(28)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선기어(20)의 선단이 상기 축홈(28)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2선기어(20)와 상기 종동축(26)이 서로 회전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2선기어(20)의 선단과 상기 축홈(28) 사이에는 제 1베어링(3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베어링(30)은 상기 제 2선기어(20)와 상기 종동축(26)의 회전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종동축(26)의 타단의 가장자리에는 연장부(27)가 마련된다. 상기 연장부(2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축(26)의 가장자리가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베어링홈(11)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에 의해 상기 종동축(26)의 회전이 지지된다.
상기 종동축(26)의 연장부(27)와 상기 하우징(10)의 베어링홈(11) 사이에는 제 2베어링(32)이 마련된다. 상기 제 2베어링(32)은 상기 종동축(26)이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10)과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베어링(32)의 가장자리에는 돌기(32a)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26)의 연장부(27)에는 상기 돌기(32a)와 대응되는 홈(27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베어링(32)의 돌기(32a)가 상기 연장부(27)의 홈(27a)에 삽입되여, 서로 맞물려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커버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부(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축(26)을 지지하고, 상기 중동축(26)의 연장부(27)와 제 2베어링(32)이 상기 베어링홈(11)에서 이탈되지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축(12)이 회전하면 제 1선기어(14)가 회전한다. 상기 제 1선기어(14)가 회전하면 제 1유성기어(16)가 자전하면서, 상기 제 1선기어(14)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그러면, 상기 제 1유성기어(16)의 공전에 의해 제 2선기어(20)가 회전한다. 상기 제 2선기어(20)가 회전하면, 맞물리는 제 2유성기어(22)가 회전한다.
상기 제 2유성기어(22)가 자전하면서, 상기 제 2선기어(20)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상기 제 2선기어(20)가 회전함에 따라 종동축(26)이 회전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잇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하우징 12: 구동축
14: 제 1선기어 16: 제 1유성기어
18: 제 1캐리어기어 20: 제 2선기어
22: 제 2유성기어 24: 제 2캐리어기어
26: 종동축 28: 축홈
30: 제 1베어링 32: 제 2베어링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1선기어;
    상기 제 1선기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유성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유성기어가 내측면의 기어를 따라 회전가능한 제 1캐리어기어;
    상기 제 1선기어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 1유성기어의 회전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선기어;
    상기 제 2선기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유성기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성기어가 내측면의 기어를 따라 회전가능한 제 2캐리어기어; 그리고,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유성기어의 회전축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공간의 가장자리에 베어링홈이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종동축의 일단의 가장자리는 상기 베어링홈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의 연장부와 상기 하우징의 베어링홈 사이에는 제 2베어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베어링홈을 차폐하도록 커버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베어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전달 장치.
KR1020110113281A 2011-11-02 2011-11-02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 KR10124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281A KR101241315B1 (ko) 2011-11-02 2011-11-02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281A KR101241315B1 (ko) 2011-11-02 2011-11-02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315B1 true KR101241315B1 (ko) 2013-03-11

Family

ID=4818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281A KR101241315B1 (ko) 2011-11-02 2011-11-02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3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273A (ja) 2005-04-22 2006-11-02 Exedy Corp 車両の駆動装置
JP2008275105A (ja) 2007-05-01 2008-11-13 Komatsu Ltd 走行減速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273A (ja) 2005-04-22 2006-11-02 Exedy Corp 車両の駆動装置
JP2008275105A (ja) 2007-05-01 2008-11-13 Komatsu Ltd 走行減速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907B2 (en) Finger joint mechanism
IN2012DN02827A (ko)
WO2010079683A1 (ja) 歯車伝動装置
JP2012223081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関節装置
WO2010047189A1 (ja) 歯車伝動装置
WO2012073596A1 (ja) 歯車伝動装置
JPWO2015001587A1 (ja) 波動歯車装置ユニットに被駆動部材を締結する締結構造および波動歯車装置ユニット
EP3358217B1 (en) Speed reducer
KR101007069B1 (ko) 2단 유성기어시스템을 구비한 기어박스
TW201940808A (zh) 齒輪單元
KR101463300B1 (ko) 다중 출력 차동 장치
KR101241315B1 (ko) 유성치차 동력 전달 장치
KR101034749B1 (ko) 전동축 증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210423597U (zh) 环齿轮的保持结构
KR101324083B1 (ko) 인휠 모터용 감속기
KR100579705B1 (ko) 유성 치차 감속기
JP6369274B2 (ja) 内接噛合遊星歯車機構
JP2018105373A (ja) 減速装置、関節装置及びロボットアーム構造
KR101192862B1 (ko) 저 감속 회전토크 변환장치
JP2008025846A (ja) ロボット等の旋回部構造
JP2010214527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アーム構造体
WO2015119058A1 (ja) 減速機
JP2015052378A (ja) 遊星歯車ユニット
JP2019078343A (ja) 内接式遊星歯車機構を組み合わせた回転伝達装置
JP2013199999A (ja) 減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