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046B1 - 자동 주차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자동 주차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046B1
KR101241046B1 KR1020087010879A KR20087010879A KR101241046B1 KR 101241046 B1 KR101241046 B1 KR 101241046B1 KR 1020087010879 A KR1020087010879 A KR 1020087010879A KR 20087010879 A KR20087010879 A KR 20087010879A KR 101241046 B1 KR101241046 B1 KR 10124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spring
piston
parking brak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858A (ko
Inventor
니꼴라 뜨리스따노
모니카 스께프지크
프란체스꼬 오노라또
까루조 꼬라도
삐에뜨로 빠따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6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3/00Multiple operation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6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582Flexible element, e.g. spring, other than the main force gener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 상에서 작동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고, 브레이크의 피스톤은 압력이 피스톤 캐버티의 단부(12)에 가해지도록 하는 스프링(1)이 있는 캐버티를 포함하고 있다. 와셔(5)가 캐버티의 입구(13)와 스프링(1) 사이에 위치되어있다. 스프링(1)에 예하중이 주어지도록 가압 장치(4)가 압력을 와셔(5)에 가해도록 한다.
Figure 112008032202584-pct00001
브레이크 피스톤, 탄성 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스프링, 자동 주차 브레이크

Description

자동 주차 브레이크{AUTOMATIC PARKING BRAKE}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 상에서 작동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피스톤 내에 결합되는 스프링-하중식(spring-loaded)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스프링-하중식 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브레이크 라이닝이 냉각됨에 의한 현상을 고려하도록 선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자동 주차 브레이크의 선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적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동 주차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제동력이 탄성 구성요소가 삽입된 라인을 따라 전달되는 사용법이 예를 들면 미국특허 103 02 357호 유럽특허 0 866 236호로부터 이미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시스템들은 충분히 작지않아, 피스톤의 크기를 증가시키지않고 시스템을 브레이크 피스톤 내에 결합시킬 수 있기가 곤란하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미국특허 6.394.235호 및 독일특허 199 34 161호를 참조), 캘리퍼 내에 결합된 자동 주차 브레이크에서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전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제외 하고 어떠한 제동력 측정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류가 설정 레벨에 도달할 때 차량을 정지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힘의 공급이 중지된다.
하지만,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류와 차량을 정지시키는 데에 필요한 제동력 사이의 조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온도와 같은 여러 요인을 고려하지않는다.
본 발명은 현재 널리 쓰이는 다양한 크기의 피스톤에 적용될 수 있으며 탄성 작용을 하는 소형의 간단한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브레이크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브레이크는 냉각으로 인한 열 감소를 보상할 수 있게 하고 차량을 정지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힘이 모니터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열 감소를 보상할 수 있고, 또한 차량을 정지시키는 유효 하중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한 소형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피스톤의 캐버티의 내부에 위치되는 탄성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탄성 장치가 캐버티의 입구를 통해 제동력을 받고 이 제동력을 상기 피스톤의 캐버티의 단부로 전하여서 피스톤의 캐버티의 단부가 디스크 브레이크의 디스크 패드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상에서 작동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자동 주차 브레이크는
- 압력이 피스톤 캐버티의 단부에 가해지도록 하는 스프링,
- 캐버티의 입구와 스프링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와셔,
- 스프링에 예하중이 주어지도록 압력이 상기 제1 와셔에 가해지게 하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나사산(즉 외주면 상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링)이 구비된 제1 너트로 이루어지는 가압 장치와 상기 제1 너트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는 캐버티의 내벽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자동 주차 브레이크는 바람직하게는
- 스프링과 와셔의 축선을 따라 위치되는 중심 코어로서, 제1 말단부를 통해 피스톤 캐버티의 단부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되고, 제2 말단부가 캐버티의 입구를 향하여 제1 와셔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나사산 부분을 가지고 있는 중심 코어,
- 이 나사산 부분 상에 나사체결되고, 피스톤의 캐버티의 단부에 대하여 중심 코어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되어있고 그리고 캐버티의 피스톤의 단부에 제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1 와셔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과 피스톤의 캐버티의 단부 사이에 제2 와셔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피스톤의 캐버티 내에 제공된 상기 스프링은 복수의 스프링 디스크의 스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복수의 스프링 디스크의 스택이 한편으로는 중심 코어의 외주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피스톤의 캐버티의 내면에 제공되는 그루브들 내에서 각각 슬라이딩할 수 있는 내측 반경방향 돌출부 및 외측 반경방향 돌출부를 가질 것이다. 이는 중심 코어가 피스톤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할 것이다.
스프링 디스크는 또한 브레이크액이 피스톤의 캐버티 내부에서 쉽게 흐르게 하도록 외주면 노치를 가질 것이다.
동일한 이유 때문에, 대안으로서, 그루브 또는 스페이서 피스를 가지고 있는 피스톤의 캐버티의 내면을 제공할 것이다.
또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외피가 브레이크액이 스프링 디스크 스택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이 가요성 외피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스프링 디스크의 스택을 또한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주차 브레이크의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 스프링, 와셔 및 가압 장치를 피스톤의 캐버티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 그 후 스프링에 가해질 예하중에 상응하는 압축력을 스프링에 가하는 단계,
- 다음으로, 가압 장치가 와셔에 대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가압 장치가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가압 장치가 피스톤의 캐버티의 개구 내에 나사체결되는 상기 제1 너트인 경우, 가압 장치의 조절은 이 너트가 상기 와셔와 접촉할 때까지 너트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어떠한 압축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너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및 압축력을 가한 결과로서 중심 코어에 의해 이동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가해지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중심 코어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최적의 조절을 제공할 이동거리를 검출하도록 (힘/이동거리) 특성곡선의 기울기 변화가 검출되고, 상기 제2 너트의 위치가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은 채 조절된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과 특징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되 도면으로 보다 확실히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및
도 3a~3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곡선을 나타낸 도면.
도 1 및 2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브레이크 피스톤(2)의 캐버티(11) 내에 놓여있는 다수의 스프링 디스크(1)의 스택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디스크 스택은 피스톤의 캐버티의 단부(12)에 대하여 가압되고, 이 단부는 브레이크 패드에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 면(14)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의 면과 동일한 측에 있다.
중심 코어(3)가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축선을 따라 위치되어있다.
와셔(5)가 코어(3) 상에 체결되고 압력이 스프링 디스크 스택에 가해지도록 한다.
피스톤의 캐버티(11)의 입구(13)에는 암나사산이 갖추어져 있다. 수나사산이 갖추어져 있는 제1 너트(4)가 브레이크 피스톤의 캐버티(11)의 입구(13)의 암나나산에 나사체결되고, 캐버티의 단부(12)에 대하여 스프링 디스크 스택을 압축시키기 위하여 압력이 와셔(5)에 가해지게 한다. 이 배열구성은 추후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디스크 스택에 주어지는 최초 하중 즉 예하중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너트(9)가 와셔(5)로부터 벗어나는 중심 코어(3)의 말단부 상에 나사체결되어 스프링 디스크 스택 내에 들어갈 수 있는 코어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설명될 바와 같이, 이 배열구성은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최대 압축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완전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장치의 조절의 정확도 때문에, 트러스트 와셔(10)가 피스톤의 캐버티의 단부에 제공되어있다. 스프링 디스크 스택(1)이 이 트러스트 와셔(10)를 통하여 피스톤의 캐버티의 단부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설명된 장치에서, 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제동력이 중심 코어(3)를 통하여, 스프링 디스크(1)의 스택과 트러스트 와셔(10)를 통해 브레이크 피스톤(2)으로 전해진다.
그러므로 너트(4)를 피스톤의 캐버티 내에 나사체결시킴으로써, 와셔(5)가 강제로 (도 2의)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면 이 와셔가 스프링 디스크(1) 스택을 눌러서, 스프링 디스크(1) 스택이 와셔(10)와 피스톤의 단부 사이에서 압축된다. 따라서, 스프링 디스크 스택에는 예하중이 주어진다.
또한, 중심 코어는 와셔(5)를 통하여 축선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한다. 너트(4) 내에서의 너트(9)의 슬라이딩 또한 축선방향으로 자유롭다.
중심 코어(3) 내에 나사체결되는 너트(9)는 중심 코어의 위치가 와셔(5)에 대하여 조절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중심 코어(3)의 말단부의 위치가 와셔(10)에 대해 조절되도록 한다. 그래서 이는 코어(3)의 말단부와 와셔(10) 사이의 공간(X)이 조절되어서, 스프링의 이동거리를 한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예하중을 넘어설 때까지 스프링 디스크 스택에는 어떠한 탄성 압축도 없을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시스템에 관한 작동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중의 이러한 장치의 전체에 걸친 작동 특성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3a의 곡선은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이동거리가 2개의 너트(4 및 9)에 의해 한정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특성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곡선은 Ⅰ~Ⅴ로 표시된 5개의 다른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영역들은 제동 장치에 적용되는 힘을 간접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전기 작동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류를 통하여 얻어진다.
F1은 너트(4)를 조임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프링 디스크 스택 상의 예하중에 해당한다. 이 예하중은 차량을 정지시키는데에 필요한 최소 제동력과 동일한 것으로 한정될 수 있다.
F2는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최대 압축 상태에서의 힘의 레벨이고 너트(9)를 중심 코어(3) 상에 나사체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동거리 S1~S2는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최대 압축을 나타낸다. 이 이동거리는 도 2에서 표시된 거리(X)에 상당하고,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압축(이동)이 시스템의 열 감소로 인한 이동거리를 보상하기에 충분하도록 각각의 적용처에 관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스프링 디스크 스택 상에 적용되는 너트(4)의 힘은 필요한 정밀도로 설정된다.
예로서, 이동거리 S1~S2 = X의 값은 0.3 ㎜일 수 있다.
영역 Ⅰ에서, 힘은 넘어야만 하는 제동 시스템의 데드 트래벌에 해당하기 때문에 크기가 매우 낮다.
영역 Ⅱ에서, 주차 브레이크에 의해 생성되는 힘은 스프링 디스크 스택 상의 예하중의 크기보다 낮다.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용은 브레이크 캘리퍼의 탄성에 의해 결정되고, 스프링-하중식 장치는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
적용되는 힘이 스프링 디스크 스택 상의 예하중(F1)의 크기에 도달하였을 때, 이 스택은 영역 Ⅲ을 이룰 때까지 압축을 시작한다.
영역 Ⅲ에서 제동 시스템의 탄성에 있어서의 명백한 변화가 발생하고, 이 결과로서 영역 Ⅱ의 기울기와 비교하면 곡선의 기울기의 상당한 변화를 볼 수 있다.
적용되는 힘이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최대 압축에 해당하는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지금부터 더 이상 스프링의 압축이 불가능할 때), 시스템은 영역 Ⅳ에 도달한다.
영역 Ⅳ에서, 스프링-하중식 장치는 더 이상 작동하지않고, 시스템의 작용은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만으로, 특히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에 의해 결정된다.
주차 브레이크(예를 들면 전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요소에 의해 생성되는 힘이 그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예를 들면 모터가 움직이지않을 때까지) 증가하는 경우, 더 이상 힘 또는 이동거리가 증가할 수 없는 지점 Ⅴ에 도달한다.
이는 도 3b의 특성곡선에 따라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이유이다.
도 3b는 주차 브레이크가 작용하는 사이클 중의 이동거리의 함수로서 힘의 곡선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바람직한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이 곡선은 도 3a의 곡선과 유사하다.
제2 기울기-변화 지점이 영역 Ⅲ 후에, 간접적인 힘 측정 동안 확인될 때까지 적용되는 힘은 증가한다. 이 제2 기울기-변화 지점에 도달하자마자, 힘의 증가가 중지된다. 이 방식으로의 진행은 제동력이 필요 제동력 이상으로 남을 것이고 힘의 강도가 열 감소 후에도 유지될 것을 보장한다.
스프링-하중식 장치의 해당 압축이 열 감소로 인한 이동거리를 보상하기에 충분한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하중식 장치의 너트(9)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3c는 시스템의 작용, 특히 냉각시의 제동 장치의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이 냉각의 결과로서 디스크 및 라이닝의 수축 때문에, 이동거리와 제동력이 감소하 지만, 제동력이 항상 필요 제동력의 크기(F1) 이상으로 남도록 스프링-하중식 장치가 신장함으로써 제한된다.
스프링-하중식 장치의 2개의 너트(4 및 9)의 위치에 대응하는 힘의 값이 (예를 들면 선조절 동안)매우 정확하게 알려진다. 이 너트들은 각각의 특정 적용예 동안 힘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간접적인 함수를 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설명된 작동 곡선은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모니터하게 한다. 간접적인 힘 측정 동안 2개의 기울기-변화 지점에서의 힘 크기 사이의 비율은 스프링-하중식 장치의 최종 하중에 대한 예하중의 비율에 상당한다. 측정된 값과 그 비율은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계획된 비율에 대해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하중식 장치에서 있을 수 있는 변화가 모니터될 수 있다.
전술된 방법의 정확도는 너트(4 및 9)의 위치가 선조절되는 정확도에 좌우된다.
가능한 한 정확한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이동거리 및 예하중 힘의 조절을 이루기 위하여, 선조절 방법은 모든 구성요소에서의 탄성 공차(elasticity tolerance)를 고려하는 동시에, 2개의 너트(4 및 9)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계획한다.
조립식 피스톤은 축선방향의 압축력을 중심 코어(3)와 피스톤(2) 사이에 가할 수 있는 장치에 놓여있다. 이 압축력은 0과 대략 20kN 정도의 최대값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어야 한다. 이 압축력은 힘과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동시에 가해진다.
너트의 위치는 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여 조절될 것이다.
스프링 디스크 스택에 적용될 예하중에 상응하는 힘이 와셔(5)에 적용된다. 따라서 너트(4)는 스프링 디스크(1) 스택 상의 예하중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와셔(5)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피스톤의 캐버티(11) 내로 쉽게 나사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작동력이 해제되는 동안, 중심 코어의 복귀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힘이 더 이상 스프링-하중식 장치에 가해지지 않으므로, 너트(9)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힘을 가한 후 제거함으로써 다시 한번 이동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도 3a 및 3b의 곡선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울기 변화의 검출은 기울기 변화 지점에서의 힘(F1 및 F2)의 값을 검출하도록 이용될 수 있어서, 중심 코어(3)에 의해 이동되는 축선방향 거리(X)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선조절이 수행될 때, 너트(4 및 9)의 위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너트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의 나사산을 손상시킴으로써, 나사의 나사산에 점용접을 실시하거나 또는 또 다른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와셔(5)는 각각 코어와 피스톤의 그루브(7 및 8)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반경방향의 돌출부(6 및 6')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6)는 와셔(5)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중심 코어(3)의 그루브(7) 내에서 슬라이딩한다. 돌출부(6')는 와셔(5)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피스톤의 캐버티(11)의 그루브(8) 내에서 슬라이딩한다.
이 요소들은 중심 코어(3)가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코어의 그루브(7)는 예 를 들면 라이닝을 교체하기 위해 코어가 와셔(10)로부터 빠져나갈 때조차 이러한 회전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충분히 길다.
브레이크 피스톤이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브레이크액이 디스크 사이를 지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한 외면 형태를 가지는 스프링 디스크를 의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디스크의 외면상에 노치(15)가 형성되어있는 디스크들이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는, 브레이크액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생성하도록 피스톤의 내벽 상에 그루브 및/또는 스페이서 피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무 막으로 스프링 디스크 스택을 코팅하는 것도 의도할 수 있다.
앞서 말한 설명에서, 스프링 디스크 스택이 제공되지만 이 스프링-하중식 장치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고 또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프링 디스크 스택을 구비할 수 있고 나사/너트 장치가 자동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의 적용을 조절하도록 피스톤의 축선을 따라 위치될 수 있게 충분히 크기가 큰 캐버티를 가진 피스톤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피스톤 및 그에 의한 브레이크의 크기가 추가로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다.
스프링 디스크 스택은 상용 브레이크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데에 단지 필요한 한정된 힘의 범위 이상으로 브레이크의 탄성을 증가시킨다.
현재의 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을 정지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속도 감속 박스를 통해 나사-너트 전달 장치에 작용하는 전기 모터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브레이크 작동력은 모터로부터 스프링의 스택을 통하여 브레이크 피스톤으로 전해진다.
스프링 디스크 스택에는 예하중의 힘이 도달될 때까지 스프링이 어떠한 탄성 압축작용도 하지않도록 너트(4)와 와셔(5)에 의해 예하중이 주어진다.
예하중의 힘의 크기는 제동 장치의 어떠한 열 감소 후에도 주차 브레이크가 보장되어야만 하는 차량을 정지시키는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힘과 같도록 특정 적용 용처에 따라 선택된다. 예로서, 예하중의 값은 대략 13~15 k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 디스크 스택의 강성은 차량을 정지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이 예하중의 크기에 도달했을 때,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탄성이 대략 두 배가 되도록, 전체적으로 제동 장치(캘리퍼 브레이크) 강성에 대체로 상당하도록 선택된다.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류의 증가분의 레벨을 검출함으로써, 작동 특성곡선의 기울기 변화가 추후에 설명될 방식으로 쉽게 확인될 수 있고, 이 변화는 쉽게 식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주차 브레이크를 제어하기 위한 유닛은 생성되는 차량 정지력이 최소 허용값에 도달되는 정보를 획득한다.
주차 브레이크 작동 모드에 따라, 열 감소의 보상이 전혀 필요치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자동 주차 브레이크가 적용되는 사이클이 정지될 수 있다.
열 감소의 보상이 필요한 경우, 이 자동 주차 브레이크의 적용 사이클은 계속된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요소의 특성곡선에 따라, 최대 열 감소 효과는 각각의 특정 적용예에 관하여 추정될 수 있다. 이 영향은 전반적으로 대략 0.2㎜ 만큼의 라이닝 두께 감소에 해당할 것이다. 이러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 제동 장치가 냉각된 후조차도 스프링 디스크 스택이 동일한 양만큼 적어도 압축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차량을 정지시키는데에 필요한 제동력보다 더 큰 제동력은 제동 장치에 불리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해 가해지는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이유이다.

Claims (11)

  1. 브레이크 피스톤(2)의 캐버티(11)의 내부에 위치되는 탄성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탄성 장치가 캐버티의 입구(13)를 통해 제동력을 받고 제동력을 상기 피스톤의 캐버티(11)의 단부(12) 상으로 전하여서, 상기 단부가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 상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상에서 작동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로서,
    - 압력이 피스톤 캐버티의 단부(12)에 가해지게 하는 스프링(1),
    - 캐버티의 입구(13)와 스프링(1) 사이에 위치된 제1 와셔(5),
    - 스프링(1)에 예하중이 주어지도록 압력이 제1 와셔(5)에 가해지게 하는 가압 장치(4)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에 있어서,
    - 수나사산 즉 외주면 상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링을 구비하고 있어,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있는 캐버티(11)의 입구(13)의 내벽 내로 나사체결되는 제1 너트(4),
    - 스프링(1)과 와셔(5)의 축선을 따라 위치되는 중심 코어(3)로서, 제1 말단부를 통해 피스톤 캐버티의 단부(12)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되고, 제2 말단부가 캐버티의 입구(13)를 향하여 제1 와셔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나사산 부분을 가지고 있는 중심 코어(3),
    - 상기 중심 코어의 나사산 부분 상에 나사체결되고, 중심 코어의 위치를 피스톤의 캐버티(11)의 단부(12)에 대하여 조절하도록 되어있고 그리고 제동력을 캐 버티의 피스톤의 단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제1 와셔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되는 제2 너트(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과 피스톤의 캐버티의 단부(13) 사이에 제2 와셔(1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은 복수의 스프링 디스크의 스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프링 디스크는 한편으로는 중심 코어의 외주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피스톤의 캐버티(11)의 내면에 제공되는 그루브(7, 8) 내에서 각각 슬라이딩할 수 있는 내측 반경방향 돌출부(6) 및 외측 반경방향 돌출부(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스프링 디스크는 외주면 노치(15)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
  6. 제 3 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캐버티(11)의 내면은 그루브 또는 스페이서 피스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
  7.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프링 디스크의 스택은 가요성 외피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브레이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의 조절 방법에 있어서,
    스프링(1), 와셔(5) 및 가압 장치를 피스톤(2)의 캐버티(11)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스프링(1)에 압축력을 가하는 단계, 그리고 그 후 가압 장치가 와셔(5)에 대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가압 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조절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압 장치는 피스톤의 캐버티(11)의 개구(13) 내로 나사체결되는 제1 너트(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가압 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너트가 상기 와셔(5)와 접촉할 때까지 제1 너트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조절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조절 방법은 어떠한 압축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너트(9)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및 압축력을 가한 결과로서 중심 코어에 의해 이동되는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조절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의 조절 방법은 가해지는 압축력을 측정하는 단계, 중심 코어(3)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너트의 위치가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은 채 조절되는 상태에서 최적의 조절을 제공할 이동거리를 검출하도록 (가해지는 힘/이동거리) 특성곡선의 기울기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의 조절 방법.
KR1020087010879A 2005-10-05 2006-10-04 자동 주차 브레이크 KR101241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0156A FR2891601B1 (fr) 2005-10-05 2005-10-05 Frein de stationnement automatique.
FR0510156 2005-10-05
PCT/EP2006/009608 WO2007039292A1 (fr) 2005-10-05 2006-10-04 Frein de stationnement auto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858A KR20080064858A (ko) 2008-07-09
KR101241046B1 true KR101241046B1 (ko) 2013-03-08

Family

ID=3659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879A KR101241046B1 (ko) 2005-10-05 2006-10-04 자동 주차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091689B2 (ko)
EP (1) EP1941176B1 (ko)
JP (1) JP2009510373A (ko)
KR (1) KR101241046B1 (ko)
CN (1) CN101317023B (ko)
AT (1) ATE453066T1 (ko)
DE (1) DE602006011352D1 (ko)
ES (1) ES2338588T3 (ko)
FR (1) FR2891601B1 (ko)
RU (1) RU2008117079A (ko)
WO (1) WO2007039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3742B2 (en) * 2010-04-26 2015-03-10 Joy Mm Delaware, Inc. Chain tension sensor
US9889833B2 (en) 2012-10-18 2018-02-13 Performance Friction Corporation Integrated parking brake for disk brake
US9132809B2 (en) 2012-10-18 2015-09-15 Performance Friction Integrated parking brake for disc brake
DE102017210395B4 (de) 2017-06-21 2019-06-06 Mando Corporation 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CN107364800A (zh) * 2017-08-18 2017-11-21 浙江西子富沃德电机有限公司 一种电梯用制动器
DE102017126006A1 (de) * 2017-11-07 2019-01-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lektromechanische Feststellbremse
DE102018216509A1 (de) * 2018-09-26 2020-03-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ischer Radbremsaktuator mit verbesserter Endlagenerkennung
KR102620658B1 (ko) * 2019-02-15 2024-0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210643B1 (ko) * 2019-08-09 2021-02-02 (주)진합 전자드럼 브레이크용 나사풀림방지 너트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3975A (en) * 1974-05-08 1976-10-05 Girling Limited Lock assembly for a vehicle disc brake
JPH08312701A (ja) * 1995-05-19 1996-11-26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電気作動ブレーキ装置
WO2004065814A1 (de) 2003-01-22 2004-08-05 Lucas Automotive Gmbh Feststellbremseinrichtung und mit feststellbremseinrichtung ausgeführte fahrzeugbremsanlage
JP2005114170A (ja) 2003-10-08 2005-04-28 Robert Bosch Gmbh ブレーキ適用エネルギを蓄えるための弾性手段を含む自動車用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5255A1 (fr) * 1982-11-03 1984-05-04 Soma Europ Transmissions Moyeu de roue a frein integre
DE19711382C2 (de) * 1997-03-19 2001-11-08 Daimler Chrysler Ag Feststellbremsvorrichtung an einem Bremssattel einer hydraulisch betätigbaren Betriebsbremse
DE19732168C2 (de) 1997-07-25 2003-06-18 Lucas Ind Plc Hydraulische Fahrzeugbremse mit Feststell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E19934161C2 (de) 1999-07-21 2001-10-04 Lucas Automotive Gmbh Taumelscheibengetriebe und Getriebemotor
FR2819469B1 (fr) * 2001-01-18 2003-02-28 Sagem Actionneur electromecanique de frein a disques multiples pour moyen de transport, notamment pour avion
EP1554504B1 (de) * 2002-09-17 2006-04-0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fahrzeugbremse
JP4011033B2 (ja) * 2004-03-26 2007-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3975A (en) * 1974-05-08 1976-10-05 Girling Limited Lock assembly for a vehicle disc brake
JPH08312701A (ja) * 1995-05-19 1996-11-26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電気作動ブレーキ装置
WO2004065814A1 (de) 2003-01-22 2004-08-05 Lucas Automotive Gmbh Feststellbremseinrichtung und mit feststellbremseinrichtung ausgeführte fahrzeugbremsanlage
JP2005114170A (ja) 2003-10-08 2005-04-28 Robert Bosch Gmbh ブレーキ適用エネルギを蓄えるための弾性手段を含む自動車用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91689B2 (en) 2012-01-10
ATE453066T1 (de) 2010-01-15
WO2007039292A1 (fr) 2007-04-12
US20080257661A1 (en) 2008-10-23
ES2338588T3 (es) 2010-05-10
CN101317023A (zh) 2008-12-03
DE602006011352D1 (de) 2010-02-04
KR20080064858A (ko) 2008-07-09
RU2008117079A (ru) 2009-11-10
EP1941176A1 (fr) 2008-07-09
CN101317023B (zh) 2010-07-07
EP1941176B1 (fr) 2009-12-23
FR2891601A1 (fr) 2007-04-06
JP2009510373A (ja) 2009-03-12
FR2891601B1 (fr) 200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046B1 (ko) 자동 주차 브레이크
US7945368B2 (en) Method of adjusting an automatic parking brake
US7434669B2 (en) Hydraulic vehicle brake
US7950502B2 (en)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disc brake with guide plate
KR20010021585A (ko) 마모가 보상되는 브레이크 캘리퍼
JP2008516170A (ja) 自己倍力構造形式の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自己倍力式のブレーキのための制御方法
JP2008516171A (ja) 自己倍力構造形式のブレーキディスク
JP2008516169A (ja) 自己倍力構造形式の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自己倍力式のブレーキのための制御方法
JP2008516168A (ja) 自己倍力構造形式の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自己倍力式のブレーキのための制御方法
EP0070106A1 (en) Disc brakes
JP2007514110A (ja) 電動モータ駆動式の調整装置を備えたニューマチック的に操作されるディスクブレーキおよび該ディスクブレーキ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6976563B1 (en) Brake caliper with integral parking brake
US3842949A (en) Disc brakes
US4957193A (en) Actuating cylinder having mechanical advantage
JPH0676062B2 (ja) 液圧式ブレーキ作動機
US4867283A (en) Ramp/roller slack adjuster
US20140110196A1 (en) Integrated parking brake for disk brake
JP7478759B2 (ja) 増加した耐用年数を伴う車両ブレーキ用電気機械式アクチュエータ
US6913118B2 (en) Disc brake
JP2022535289A (ja) コンパクト電気機械式ブレーキ
JPH0669460U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ピストン復帰構造
US20230304550A1 (en) Electromechanical vehicle brak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lectromechanical vehicle brake
JP712224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H0534349Y2 (ko)
JPS62297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