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166B1 -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166B1
KR101240166B1 KR1020120098504A KR20120098504A KR101240166B1 KR 101240166 B1 KR101240166 B1 KR 101240166B1 KR 1020120098504 A KR1020120098504 A KR 1020120098504A KR 20120098504 A KR20120098504 A KR 20120098504A KR 101240166 B1 KR101240166 B1 KR 101240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wireless usb
wireless
removabl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Original Assignee
유환아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환아이텍(주) filed Critical 유환아이텍(주)
Priority to KR102012009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USB 방식 및 유선 USB 방식 중 선택적으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탈착형 카메라부; 및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하여 무선 USB 방식으로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며, 제 1 무선모듈 또는 제 1 I/O 포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가 무선 USB 방식 또는 유선 USB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는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에 형성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실물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실물화상기가 실제적으로 사용이 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실물화상기를 PC 등의 사용자단말과 1 : 1로 사용되는 방식을 개선하여 하나의 그룹상에 배치된 다수의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선택을 통해 다른 그룹에도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Combination-separating camera type visual presenter based on WUSB, and method for real-time transmitting image using combination-separating camera type visual presenter based on WUSB}
본 발명은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실물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실물화상기가 실제적으로 사용이 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실물화상기를 PC 등의 사용자단말과 1 : 1로 사용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실물화상기(1)와 사용자단말(2)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실물화상기(1)는 USB 케이블 또는 RS-232C 케이블 등을 통해 PC 등으로 형성 가능한 사용자단말(2)과 연결이 되며, 각종 영상데이터를 사용자단말(2)로 전송한다. 그러나 실물화상기(1)와 사용자단말(2) 간의 유선 연결 케이블로 인해 실물화상기(1)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고 이동 반경이 제한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물화상기(1)에 CCD 소자를 포함한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사용됨으로써, 실물화상기(1)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실물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는 실제적으로 사용이 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실물화상기(1)는 사용자단말(2)과 1 : 1로 대칭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무선 USB(wireless USB, WUSB)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USB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의 무선 형식으로, 초광대역 무선(UWB) 기술을 이용하여 유선 USB와 같이 2m 내에서 480Mpbs, 10m 내에서 110Mbps 전송 속도로 전송되며, 허브가 중앙에 있고 무선 USB(WUSB) 장치가 127개까지 점 대 점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캠코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기와 PC 간에 콘텐츠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기술이다.
[관련기술문헌]
1. 캠코더를 이용한 실물화상기(Visual presenter using camcoder) (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64374호)
2. 실물화상기(AN OBJECT PICTURE MACHINE)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6-0002611호)
3.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VIDEO PRESENTOR CAPABLE OF CHANGING OUTPUTTING STATE ON A SCREEN)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3965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실물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실물화상기가 실제적으로 사용이 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선 USB 기반과 탈착형 카메라부를 구비한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실물화상기를 PC 등의 사용자단말과 1 : 1로 사용되는 방식을 개선하여 하나의 그룹상에 배치된 다수의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선택을 통해 다른 그룹에도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USB 방식 및 유선 USB 방식 중 선택적으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탈착형 카메라부; 및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하여 무선 USB 방식으로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며, 제 1 무선모듈 또는 제 1 I/O 포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가 무선 USB 방식 또는 유선 USB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는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에 형성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하여 무선 USB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며, 제 1 무선모듈 또는 제 1 I/O 포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가 무선 USB 방식 또는 유선 USB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은 상기 사용자단말의 무선 USB 통신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의 브로드 캐스팅 신호 수신에 따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은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가 상기 제 1 무선모듈을 통한 무선 USB 방식으로 접속된 경우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와 무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며,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가 상기 제 1 I/O 포트를 통한 유선 USB 방식으로 접속된 경우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와 유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와 설정된 유선 또는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로부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I/O 포트 또는 상기 제 1 무선모듈을 제어한 뒤,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메라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제어 수단은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상기 프레임 메모리 중 제 1 메모리 영역에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로 수신 완료신호를 전송하여 다음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제 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으로의 교대 저장방식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 1 I/O 포트 또는 상기 제 1 무선모듈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저장이 완료됨을 의미하는 제 1 저장완료신호를 수신시,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설정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한 뒤,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에서 전송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삭제하는 영상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제어 수단은 상기 삭제 이후, 상기 카메라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저장이 완료됨을 의미하는 제 2 저장완료신호를 수신시,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설정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서 전송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삭제한 뒤, 다시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대한 상기 사용자단말으로부터의 중단 요청을 수신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는 무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무선모듈; 유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I/O 포트; CCD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및 상기 제 2 무선모듈이 상기 제 1 무선모듈과 접속되거나, 상기 제 2 I/O 포트가 상기 제 1 I/O 포트와 접속된 것인지 여부를 탐색하여, 상기 제 2 무선모듈이 상기 제 1 무선모듈에 접속된 경우, 무선 USB 방식으로 상기 제 2 무선모듈이 상기 제 1 무선모듈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2 I/O 포트가 상기 제 1 I/O 포트에 접속된 경우, 유선 USB 방식으로 상기 제 2 무선모듈이 상기 제 1 무선모듈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영상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무선모듈 또는 상기 제 2 I/O 포트를 제어하는 카메라 마이컴;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는 독립적인 전원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의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형 배터리 또는 교체형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은, 사용자단말이 대형 스크린과의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무선 USB 통신 영역에 위치한 다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에 대한 브로드 캐스팅 신호 전송에 따라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가 단수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와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 뒤,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무선 USB 방식으로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여 구현되도록 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가 단수가 아닌 복수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모든 카메라 탈착형 실물 화상기와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제 3-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3-1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모든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출력된 모든 디지털 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제 3-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3-3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모든 카메라 탈착형 실물 화상기와 무선 USB 방식으로 연결된 데이터 세션 중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제외한 다른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와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종료시키는 제 3-4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대형 스크린과 연결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여 구현되도록 하는 제 3-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은,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실물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실물화상기가 실제적으로 사용이 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은, 기존의 실물화상기를 PC 등의 사용자단말과 1 : 1로 사용되는 방식을 개선하여 하나의 그룹상에 배치된 다수의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선택을 통해 다른 그룹에도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실물화상기와 사용자단말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와 사용자단말 간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에서의 탈착형 카메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 이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와 사용자단말(2) 간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와 사용자단말(2)은 무선 USB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단말(2)은 PC로 도시되었지만, 유선단말 또는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PC(Personal Computer), IP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노트형 퍼스컴(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서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는 탈착형 카메라부(10), 제 1 무선모듈(20), 제 1 I/O 포트(30), 제어부(40), 프레임 메모리(50), 무선 USB 모듈(60), 그리고 전원부(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 카메라제어 수단(42) 및 영상제어 수단(43)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40)의 구성을 중심으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은 무선 USB 모듈(41)을 제어하여 무선 USB 방식으로 사용자단말(2)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은 사용자단말(2)의 무선 USB 통신 영역에 위치하여 사용자단말(2)로부터의 브로드 캐스팅 신호 수신에 따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단말(2)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무선 USB 모듈(41)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단말(2)의 무선 USB 통신 영역은 10m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은 제 1 무선모듈(20) 및 제 1 I/O 포트(30)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탈착형 카메라부(10)가 무선 USB 방식 또는 유선 USB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은 탈착형 카메라부(10)가 제 1 무선모듈(20)을 통한 무선 USB 방식으로 접속된 경우 탈착형 카메라부(10)와 무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다.
한편,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은 탈착형 카메라부(10)가 제 1 I/O 포트(30)를 통한 유선 USB 방식으로 접속된 경우 탈착형 카메라부(10)와 유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다.
카메라제어 수단(42)은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에 의해 설정된 유선 또는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탈착형 카메라부(10)로부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 1 I/O 포트(30) 또는 제 1 무선모듈(20)을 제어한 뒤,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메모리(50)에 저장한다. 한편, 디지털 영상데이터는 카메라제어 수단(42)이 탈착형 카메라부(10)에 형성된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프레임 메모리(50)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제어 수단(42)은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프레임 메모리(50) 중 제 1 메모리 영역(51)에 저장이 완료되면, 탈착형 카메라부(10)로 수신 완료신호를 전송하여 다음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제 2 메모리 영역(52)에 저장되도록 제 1 I/O 포트(30) 또는 제 1 무선모듈(20)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제어 수단(42)은 프레임 메모리(50) 상의 제 1 메모리 영역(51)과 제 2 메모리 영역(52)으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교대로 저장하는 방식을 취한다.
영상제어 수단(43)은 카메라제어 수단(42)이 제 1 메모리 영역(51)에 대한 저장이 완료됨을 의미하는 제 1 저장완료신호를 전송시, 제 1 메모리 영역(51)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에 의해 사용자단말(2)과 설정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사용자단말(2)로 전송하도록 무선 USB 모듈(60)을 제어한다.
이후, 영상제어 수단(43)은 제 1 메모리 영역(51)에서 전송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삭제한다.
다음으로, 영상제어 수단(43)은 카메라제어 수단(42)이 제 2 메모리 영역(52)에 대한 저장이 완료됨을 의미하는 제 2 저장완료신호를 전송시, 제 2 메모리 영역(52)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41)에 의해 사용자단말(2)과 설정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사용자단말(2)로 전송하도록 무선 USB 모듈(60)을 제어한다. 동일하게 이후, 영상제어 수단(43)은 제 2 메모리 영역(52)에서 전송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삭제한 뒤, 다시 제 1 메모리 영역(51)과 제 2 메모리 영역(52)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사용자단말(2)로부터의 중단 요청을 수신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지털 영상데이터에 대한 시믈리스(seamless)한 데이터 전송과 프레임 메모리(50)의 저장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전원부(70)는 교류/직류 어답터, 그리고 충전형 배터리나 교체형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의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도 3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에서의 탈착형 카메라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탈착형 카메라부(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결합소자, 1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2), 카메라 마이컴(13), 제 2 무선모듈(14), 제 2 I/O 포트(15), 그리고 배터리부(16)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마이컴(13)을 중심으로 탈착형 카메라부(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CCD(11)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2)로 전송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2)는 CCD(11)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카메라 마이컴(13)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마이컴(13)은 제 2 무선모듈(14) 또는 제 2 I/O 포트(15) 중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와 접속된 것을 탐색한다.
카메라 마이컴(13)은 제 2 무선모듈(14)이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의 제 1 무선모듈(20)에 접속된 경우, 무선 USB 방식으로 제 2 무선모듈(14)이 제 1 무선모듈(20)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카메라 마이컴(13)은 제 2 I/O 포트(15)가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의 제 1 I/O 포트(30)에 접속된 경우, 유선 USB 방식으로 제 2 무선모듈(14)이 제 1 무선모듈(20)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카메라 마이컴(13)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의 영상제어 수단(43)으로 전송하도록 제 2 무선모듈(14) 또는 제 2 I/O 포트(15)를 제어한다.
배터리부(16)는 탈착형 카메라부(10)가 독립적인 전원으로 구동되도록 탈착형 카메라부(10)의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형 배터리 또는 교체형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에 부착되거나 분리가 가능한 탈착형 카메라부(10)에 제 2 무선모듈(14)과 자제척 전원 공급을 목적으로 한 배터리부(16)를 내장함으로써,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 본체를 이동해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탈착형 카메라부(10)를 분리하여 기존 실물화상기 사용시 자료를 반드시 실물화상기로 이동해서 실물에 대한 영상 데이터 전송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한다. 즉, 촬영의 대상이 되는 실물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예를 들어 두피나 피부조직을 실물화상기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탈착하여 두피나, 피부조직에 탈착형 카메라부(10)를 이동함으로써, 기존의 실물화상기의 고전적인 사용방식을 탈피한 새로운 공간 이동성을 고려한 실물화상기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에서 무선 USB 방식으로 전송 되어진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사용자단말(2)이 수신한 뒤, 수신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대형 스크린(3)으로 전송함으로써, 즉각적 구현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형 스크린(3)은 40인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한 장소에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1)를 포함한 다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무선으로 운용하면서, 사용자단말(2)에서 다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대형 스크린(3)으로 전송하여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실물화상기의 유선연결을 무선화할 뿐만 아니라, 고전적인 1 : 1 사용방식을 탈피하여 필요에 따라 각각의 그룹에 배치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른 그룹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에 각각 부착된 탈착형 카메라부는 무선 전송방식의 호환에 따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2)은 대형 스크린(3)과의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다(S11).
단계(S12) 이후, 사용자단말(2)은 무선 USB 통신 영역에 위치한 다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에 대한 브로드 캐스팅 신호 전송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12).
단계(S12)에 따라 사용자단말(2)은 단계(S12)에서 수신된 응답신호가 단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단계(S13)의 판단에 따라 수신된 응답신호가 단수인 경우, 사용자단말(2)은 응답신호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와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다(S14).
단계(S14) 이후, 사용자단말(2)은 응답신호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단계(S11)에서 연결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대형 스크린(3)으로 전송함으로써, 대형 스크린(3)에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구현되도록 한다(S15).
한편, 단계(S13)의 판단에 따라 수신된 응답신호가 단수가 아닌 복수인 경우, 사용자단말(2)은 응답신호를 전송한 모든 카메라 탈착형 실물 화상기와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다(S16).
단계(S16) 이후, 사용자단말(2)은 응답신호를 전송한 모든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출력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확인한 뒤,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S17).
단계(S17) 이후, 사용자단말(2)은 단계(S17)에서 출력된 모든 디지털 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18).
단계(S18) 이후, 사용자단말(2)은 단계(S16)에서 연결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 중 단계(S18)에서의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제외한 다른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와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종료시킨다(S19).
단계(S19) 이후, 사용자단말(2)은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단계(S16)에서 연결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함으로써, 대형 스크린(3)에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구현되도록 한다(S20).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2: 사용자단말
3: 대형 스크린
10: 탈착형 카메라부
11: CCD
1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13: 카메라 마이컴
14: 제 2 무선모듈
15: 제 2 I/O 포트
16: 배터리부
20: 제 1 무선모듈
30: 제 1 I/O 포트
40: 제어부
41: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
42: 카메라제어 수단
43: 영상제어 수단
50: 프레임 메모리
60: 무선 USB 모듈
70: 전원부

Claims (14)

  1.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USB 방식 및 유선 USB 방식 중 선택적으로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탈착형 카메라부; 및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하여 무선 USB 방식으로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며, 제 1 무선모듈 또는 제 1 I/O 포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가 무선 USB 방식 또는 유선 USB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는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에 형성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은,
    상기 사용자단말의 무선 USB 통신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의 브로드 캐스팅 신호 수신에 따른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상기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은,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가 상기 제 1 무선모듈을 통한 무선 USB 방식으로 접속된 경우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와 무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며,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가 상기 제 1 I/O 포트를 통한 유선 USB 방식으로 접속된 경우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와 유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와 설정된 유선 또는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로부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I/O 포트 또는 상기 제 1 무선모듈을 제어한 뒤, 상기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메라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제어 수단은,
    상기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가 상기 프레임 메모리 중 제 1 메모리 영역에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로 수신 완료신호를 전송하여 다음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제 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으로의 교대 저장방식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 1 I/O 포트 또는 상기 제 1 무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저장이 완료됨을 의미하는 제 1 저장완료신호를 수신시,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설정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한 뒤,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에서 전송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삭제하는 영상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 수단은,
    상기 삭제 이후, 상기 카메라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저장이 완료됨을 의미하는 제 2 저장완료신호를 수신시,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세션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단말과 설정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USB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서 전송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삭제한 뒤, 다시 상기 제 1 메모리 영역과 상기 제 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대한 상기 사용자단말으로부터의 중단 요청을 수신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는,
    무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무선모듈;
    유선 USB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I/O 포트;
    CCD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및
    상기 제 2 무선모듈가 상기 제 1 무선모듈과 접속되거나, 상기 제 2 I/O 포트가 상기 제 1 I/O 포트와 접속된 것인지 여부를 탐색하여, 상기 제 2 무선모듈이 상기 제 1 무선모듈에 접속된 경우, 무선 USB 방식으로 상기 제 2 무선모듈이 상기 제 1 무선모듈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2 I/O 포트가 상기 제 1 I/O 포트에 접속된 경우, 유선 USB 방식으로 상기 제 2 무선모듈이 상기 제 1 무선모듈과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영상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2 무선모듈 또는 상기 제 2 I/O 포트를 제어하는 카메라 마이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는,
    독립적인 전원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탈착형 카메라부의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형 배터리 또는 교체형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10. 사용자단말이 대형 스크린과의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무선 USB 통신 영역에 위치한 다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에 대한 브로드 캐스팅 신호 전송에 따라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가 단수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와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 뒤,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무선 USB 방식으로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여 구현되도록 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가 단수가 아닌 복수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모든 카메라 탈착형 실물 화상기와 무선 USB 방식으로의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제 3-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3-1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모든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2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출력된 모든 디지털 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제 3-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3-3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모든 카메라 탈착형 실물 화상기와 무선 USB 방식으로 연결된 데이터 세션 중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제외한 다른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와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종료시키는 제 3-4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전송한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상기 대형 스크린과 연결된 무선 USB 방식의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여 구현되도록 하는 제 3-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14. 삭제
KR1020120098504A 2012-09-05 2012-09-05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KR101240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504A KR101240166B1 (ko) 2012-09-05 2012-09-05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504A KR101240166B1 (ko) 2012-09-05 2012-09-05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166B1 true KR101240166B1 (ko) 2013-03-18

Family

ID=4818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504A KR101240166B1 (ko) 2012-09-05 2012-09-05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1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2420A1 (zh) * 2015-12-02 2017-06-0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usb数据的无线传输方法、摄像头及系统
KR102295885B1 (ko) 2020-06-25 2021-08-31 (주)알파캠 온라인 수업용 실물 화상기 타입 웹캠
KR20220155012A (ko) * 2021-05-14 2022-11-22 (주)오맥스 실물화상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
KR20240030579A (ko) 2022-08-31 2024-03-07 유계환 해킹 방지 기능 및 사용자 설정 대기화면 기능을 갖는 캠브릿지 웹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757Y1 (ko) * 2004-05-04 2004-07-19 김성원 복합 영상기
JP2009521694A (ja) 2005-12-26 2009-06-04 コンセジョ スペリオール デ インベスティガショネス シエンティフィカス 手術内使用のための位置特定システムを含む独立型ミニガンマカメラ
JP2009230193A (ja) 2008-03-19 2009-10-08 Olympus Imaging Corp ポインティング装置としての機能を実現する撮影装置、表示装置、および情報システム
KR20100025866A (ko) * 2008-08-28 2010-03-10 서경식 무선 usb 방식의 연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757Y1 (ko) * 2004-05-04 2004-07-19 김성원 복합 영상기
JP2009521694A (ja) 2005-12-26 2009-06-04 コンセジョ スペリオール デ インベスティガショネス シエンティフィカス 手術内使用のための位置特定システムを含む独立型ミニガンマカメラ
JP2009230193A (ja) 2008-03-19 2009-10-08 Olympus Imaging Corp ポインティング装置としての機能を実現する撮影装置、表示装置、および情報システム
KR20100025866A (ko) * 2008-08-28 2010-03-10 서경식 무선 usb 방식의 연결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2420A1 (zh) * 2015-12-02 2017-06-0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usb数据的无线传输方法、摄像头及系统
KR102295885B1 (ko) 2020-06-25 2021-08-31 (주)알파캠 온라인 수업용 실물 화상기 타입 웹캠
KR20220155012A (ko) * 2021-05-14 2022-11-22 (주)오맥스 실물화상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
KR102523829B1 (ko) * 2021-05-14 2023-04-20 (주)오맥스 실물화상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
KR20240030579A (ko) 2022-08-31 2024-03-07 유계환 해킹 방지 기능 및 사용자 설정 대기화면 기능을 갖는 캠브릿지 웹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843B2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5020494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390720B2 (en) Advanced magn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low-power sensor systems
KR101240166B1 (ko)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 그리고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 실물화상기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방법
US20180184900A1 (en) Bluetooth pulse diagosis bracele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lse data
JP5642994B2 (ja) 無線通信装置
JP7025198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3919522B (zh) 一种自组网式无线视频影像喉镜系统
CN101287242B (zh) 一种基于手机摄像头的视频方法与系统
EP319224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9347802B (zh) 通信协议切换方法、数据传输方法、无线传感器及系统
JP4732107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CN211266945U (zh) 一种4k视频一体机和一种音视频系统
US10057495B2 (en)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CN204667171U (zh) 一种智能家居监控设备
CN211429388U (zh) 无线医疗用摄像装置及系统
JP2016061800A (ja) 撮像装置、外部機器、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957352A (zh) 拍摄现场智能布光控制系统
CN202049504U (zh) 身份信息采集传输装置
CN207745113U (zh) 一种可拆装和自由旋转的手持式内窥镜
CN208079245U (zh) 一种智能工业内窥镜系统
CN1661932B (zh) 无线数据通信装置
CN218387659U (zh) 一种应用于扫地机的视频监控系统
CN106133836B (zh) 信息处理方法、控制装置、录音装置、信息处理系统和程序
CN209913907U (zh) 一种双摄像头单摄像控制器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